맨위로가기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는 2007년에 개최되었으며, 아시아 영화 발전에 기여한 작품과 영화인을 시상했다. 주요 경쟁 부문으로는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각본상, 촬영상, 제작 디자인상, 작곡상, 편집상, 시각효과상이 있었으며, 특별상으로 아시아 박스 오피스 스타상, 아시아 영화 공헌상, 아시아 영화 학술상이 수여되었다.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작품상, 남우주연상, 촬영상, 시각효과상을 수상하며 4관왕을 차지했고, 《혐오스러운 마츠코의 일생》의 나카타니 미키가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홍콩 - 제26회 홍콩 영화 금상장
    2007년 홍콩에서 열린 제26회 홍콩 영화 금상장에서는 담가명 감독의 영화 《부자》가 최우수 작품상 등 3관왕을, 유청운과 공리가 각각 남녀주연상을, 장이머우 감독의 《천리주단기》가 최우수 아시아 영화상을, 사런런이 공로상을 수상했다.
  • 2007년 홍콩 - 2007년 구정컵
    2007년 구정컵은 호주, 중국, 자메이카 올림픽 대표팀과 홍콩 리그 선발팀이 참가한 친선 축구 대회로, 중국 올림픽 대표팀이 자메이카 올림픽 대표팀을 꺾고 우승했으며 호주 올림픽 대표팀이 3위를 차지했다.
  • 아시안 필름 어워즈 - 제7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2013년에 개최된 제7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에서는 《미스터리》가 최우수 작품상을, 기타노 다케시가 최우수 감독상을, 에디 가르시아와 노라 아우노르가 각각 남우주연상과 여우주연상을 수상했으며, 양자경이 아시아 영화 공헌상을, 《잃어버린: 태국》이 2012년 아시아 최고 흥행 영화상을 수상했다.
  • 아시안 필름 어워즈 - 제3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제3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는 2009년에 개최된 영화 시상식으로, 최우수 작품상, 감독상, 남녀주연상, 남녀조연상, 신인상 등 다양한 부문에서 아시아 영화의 뛰어난 작품과 영화인들에게 상이 수여되었다.
  • 2006년 영화상 - 제43회 대종상
    제43회 대종상은 2006년에 개최되었으며, 영화 《왕의 남자》가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고, 이준익 감독, 감우성, 전도연 등이 각 부문별 상을 받았다.
  • 2006년 영화상 - 제79회 아카데미상
    제79회 아카데미 시상식은 2007년 2월 25일에 엘렌 드제너러스의 사회로 개최되었으며, 《디파티드》가 작품상 등을 수상하고, 《불편한 진실》이 주제가상과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했다.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 [상(Prize)]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회차제1회
시상명아시안 필름 어워즈
원어 명칭Asian Film Awards
시상 분야아시아 영화
개최일2007년 3월 20일
개최 장소홍콩 컨벤션 & 전시 센터
주최홍콩 국제 영화제
웹사이트아시안 필름 어워즈
수상
최우수 작품상괴물
최우수 감독상지아장커
최우수 감독상 작품스틸 라이프
최우수 남우주연상송강호
최우수 남우주연상 작품괴물
최우수 여우주연상나카타니 미키
최우수 여우주연상 작품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최다 수상4 - 괴물
최다 후보5 - 괴물
연혁
다음2회

2. 시상 부문

2. 1. 주요 경쟁 부문

2. 1. 1. 최우수 작품상

괴물 (봉준호) - 수상

황후花 (장이머우)

익사일 (두기봉)

무사의 체통 (야마다 요지)

오페라 자바 (가린 누그로호)

스틸 라이프 (지아장커)

'''수상작''': ''괴물'' (대한민국)

2. 1. 2. 최우수 감독상

자장커 (중국) 감독이 스틸 라이프로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다른 후보로는 홍상수 (대한민국) 감독의 해변의 여인, 자파르 파나히 (이란) 감독의 오프사이드, 두기봉 (홍콩) 감독의 방·수, 차이밍량 (타이완) 감독의 나는 잠들지 않는다,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태국) 감독의 증후군과 한 세기가 있었다.

2. 1. 3. 최우수 남우주연상

괴물송강호가 최우수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기성 오청원장첸,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의 샤룩 칸, 묵공유덕화, 내일의 기억와타나베 켄이 후보에 올랐다.

2. 1. 4. 최우수 여우주연상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나카타니 미키가 주연 배우로서 뛰어난 연기를 선보여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후보로는 황후花의 공리, 타짜김혜수, 싸이보그지만 괜찮아의 임수정, 하나의 미야자와 리에, 야연의 장쯔이가 있었다.

2. 1. 5. 최우수 각본상

마니 하기기가 일하는 사람들로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하였다.

2. 1. 6. 최우수 촬영상

뛰어난 영상미를 만들어낸 촬영 감독에게 수여된다.

2. 1. 7. 최우수 제작 디자인상

'''수상'''

  • 엽금첨, 《야연》(중국/홍콩)


'''후보'''

2. 1. 8. 최우수 작곡상

오페라 자바의 라하유 수팡가가 최우수 작곡상을 수상했다.

2. 1. 9. 최우수 편집상

징후와 세기의 리 차타메티쿤이 최우수 편집상을 수상하였다. 후보로는 괴물의 김선민, 구교구의 Angie LAM, 비열한 거리의 박곡지 외 1명, 아버지와 아들의 담가명이 올랐다.

2. 1. 10. 최우수 시각효과상

괴물 - The Orphanage 수상

황후花 - Angela BARSON 외 1명

중천 - DTI (Digital Tetra Inc.)

The Sinking of Japan - OHYA Tetsuo 외 2명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 YANAGAWASE Masahide

2. 2. 특별상

유덕화는 2007년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에서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높은 흥행 성적을 기록한 영화인에게 수여되는 아시아 박스 오피스 스타상을 수상했다.

소방방은 아시아 영화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영화인에게 수여되는 상을 2007년에 수상하였다. 시상은 뤽 베송이 맡았다.

데이비드 보드웰은 아시아 영화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아시아 영화 학술상을 수상했다. 시상은 두기봉이 맡았다.

2. 2. 1. 아시아 박스 오피스 스타상

유덕화는 2007년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에서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높은 흥행 성적을 기록한 영화인에게 수여되는 아시아 박스 오피스 스타상을 수상했다.

2. 2. 2. 아시아 영화 공헌상

소방방은 아시아 영화 발전에 큰 공헌을 한 영화인에게 수여되는 상을 2007년에 수상하였다. 시상은 뤽 베송이 맡았다.

2. 2. 3. 아시아 영화 학술상

데이비드 보드웰은 아시아 영화 연구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아시아 영화 학술상을 수상했다. 시상은 두기봉이 맡았다.

3. 수상 결과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수상 결과'''
부문수상자(작)국가비고
최우수 작품상괴물 (봉준호 감독) 대한민국황후화, 엑자일, 황혼의 사무라이, 오페라 자바, 장강의 노래 등 후보
최우수 감독상자장커 (스틸 라이프) 중국홍상수 (해변의 여인), 자파르 파나히 (오프사이드), 두기봉 (엑자일), 차이밍량 (나는 잠들지 않는다),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증후군과 한 세기) 등 후보
최우수 남우주연상송강호 (괴물) 대한민국장첸 (오청원: 극도의 기보), 정지훈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샤룩 칸 (돈), 유덕화 (묵공), 와타나베 켄 (내일의 기억) 등 후보
최우수 여우주연상나카타니 미키 (혐오스러운 마츠코의 일생) 일본공리 (황후화), 김혜수 (타짜), 임수정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미야자와 리에 (꽃보다 남자), 장쯔이 (여제) 등 후보
최우수 각본상마니 하기기 (일하는 사람들) 이란홍상수 (해변의 여인), 오오이시 테츠야, 카네코 슈스케 (데스노트 the Last name), 손재곤 (달콤, 살벌한 연인), 프랍다 윤 (보이지 않는 물결) 등 후보
최우수 촬영상김형구 (괴물) 대한민국유위강, 뢰요휘 (상처), 랴오펑룽 (나는 잠들지 않는다), 사욤푸 무크디프롬 (신드롬 앤 어 센추리), 왕유 (고수) 등 후보
최우수 제작 디자인상티미 입 (여제) 중국쿠와시마 토와코 (혐오스러운 마츠코의 일생), Patrick TAM 외 1명 (아버지와 아들), 와다 에미 (오청원: 극도의 기보), 조근현 (음란서생) 등 후보
최우수 작곡상라하유 수팡가 (오페라 자바) 인도네시아정용진 (해변의 여인), 피터 캄 (이자벨라), 린지옹 (세상), 테라시마 타미야 (게드전기) 등 후보
최우수 편집상리 차타메티쿤 (징후와 세기) 태국김선민 (괴물), 박곡지 및 정진희 (비열한 거리), 앤지 람 (도그 바이트 도그), 담가명 (아버지와 아들) 등 후보
최우수 시각효과상The Orphanage (괴물) 대한민국안젤라 바슨(Angela BARSON) 외 1명 (황후화), DTI (Digital Tetra Inc.) (중천), 오야 테츠오(OHYA Tetsuo) 외 2명 (일본침몰), 야나가와세 마사히데(YANAGAWASE Masahide) (혐오스러운 마츠코의 일생) 등 후보


3. 1. 최우수 작품상

봉준호 감독의 괴물이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최우수 작품상을 수상했다. 이 영화는 대한민국 영화로, 작품상 외에도 남우주연상, 촬영상, 시각 효과상을 수상하며 총 4관왕을 차지했다.

후보작으로는 장이머우 감독의 황후花, 두기봉 감독의 익사일, 야마다 요지 감독의 무사의 체통, 가린 누그로호 감독의 오페라 자바, 지아장커 감독의 스틸 라이프 등이 있었다.

3. 2. 최우수 감독상

중국 자장커 감독의 스틸 라이프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최우수 감독상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 홍상수 감독의 해변의 여인, 이란 자파르 파나히 감독의 오프사이드, 홍콩 두기봉 감독의 방·수, 타이완 차이밍량 감독의 나는 잠들지 않는다, 태국 아피찻퐁 위라세타쿤 감독의 증후군과 한 세기가 후보에 올랐다.

3. 3. 최우수 남우주연상

2006년 대한민국 괴물송강호가 최우수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 부문에는 기성 오청원장첸,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의 샤룩 칸, 묵공유덕화, 내일의 기억와타나베 켄이 후보로 지명되었다.

3. 4. 최우수 여우주연상

나카타니 미키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일본)으로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 부문에는 황후花의 공리(홍콩/중국), 타짜김혜수(대한민국), 싸이보그지만 괜찮아의 임수정(대한민국), 하나의 미야자와 리에(일본), 야연의 장쯔이(홍콩/중국)가 후보로 올랐다.

3. 5. 최우수 각본상

마니 하기기가 이란 영화 ''일하는 사람들''로 최우수 각본상을 수상했다. 이외 후보로는 홍상수 감독의 ''해변의 여인'', 오오이시 테츠야와 카네코 슈스케의 ''데스 노트 - 라스트 네임'', 손재곤 감독의 ''달콤, 살벌한 연인'', 프랍다 윤 감독의 ''보이지 않는 물결'', 위성수 감독의 ''크레이지 스톤''이 있었다.

3. 6. 최우수 촬영상

김형구는 영화 괴물로 최우수 촬영상을 수상했다. 이 부문에는 상성의 유위강(앤드루 라우) 및 뢰요휘(라이 유 파이), 나는 잠들지 않는다의 랴오펑룽(랴오 펑룽), 신드롬 앤 어 센추리의 사욤푸 무크디프롬, 고수의 왕유가 후보로 지명되었다.

3. 7. 최우수 제작 디자인상

야연(중국/홍콩)의 티미 입이 최우수 제작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의 쿠와시마 토와코, 아버지와 아들의 Patrick TAM 외 1명, 기성 오청원의 와다 에미, 음란서생의 조근현 등이 후보에 올랐다.

3. 8. 최우수 작곡상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최우수 작곡상 후보에는 정용진(해변의 여인), 피터 캄(이자벨라), 린지옹(세상), 테라시마 타미야(게드전기: 어스시의 전설)가 올랐다. 최종 수상자는 오페라 자바의 라하유 수팡가이다.

3. 9. 최우수 편집상

리 차타메티쿤이 태국 영화 《징후와 세기》로 최우수 편집상을 수상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의 김선민(《괴물》), 박곡지 및 정진희(《비열한 거리》), 일본/홍콩 합작 영화 《도그 바이트 도그》의 앤지 람, 홍콩 영화 《아버지와 아들》의 담가명이 후보에 올랐다.

3. 10. 최우수 시각효과상

2007년 제1회 아시안 필름 어워즈에서 '''최우수 시각효과상'''은 대한민국 영화 '''괴물'''(The Orphanage)이 수상했다. 이 부문에는 황후花의 안젤라 바슨(Angela BARSON) 외 1명, 중천의 DTI (Digital Tetra Inc.), The Sinking of Japan의 오야 테츠오(OHYA Tetsuo) 외 2명,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의 야나가와세 마사히데(YANAGAWASE Masahide)가 후보로 올랐다.

4. 2007년 이후

아시안 필름 어워즈는 2007년 제1회 시상식을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고 있다. 제1회 시상식에서는 괴물이 작품상, 남우주연상, 촬영상, 시각효과상을 수상하며 4관왕을 차지했다. 혐오스러운 마츠코의 일생은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작품별 후보 및 수상 부문''' ※영제 알파벳순·수상은 굵게 표시
작품명부문국가/지역후보 수수상 수
1묵공남우주연상1
2비열한 거리편집상1
3아버지와 아들미술상, 편집상2
4상처촬영상1
5황후화작품상, 여우주연상, 시각 효과상3
6데스노트 the Last name각본상1
7도그 바이트 도그편집상1
8돈 - 잃어버린 기억남우주연상1
9엑자일작품상, 감독상2
10사랑의 덫미술상1
11꽃보다 남자여우주연상1
12검은 눈의 오페라감독상, 촬영상2
13싸이보그지만 괜찮아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2
14인비저블 웨이브각본상1
15이자벨라작곡상1
16황혼의 사무라이작품상1
17혐오스러운 마츠코의 일생여우주연상 , 미술상, 시각 효과상31
18내일의 기억남우주연상1
19맨 앳 워크각본상11
20달콤, 살벌한 연인각본상1
21오프사이드 걸스감독상1
22오페라 자바작품상, 작곡상21
23장강의 노래작품상, 감독상 , 작곡상31
24세기의 빛감독상, 작곡상, 편집상31
25게드전기작곡상1
26타짜여우주연상1
27여제여우주연상, 미술상21
28오청원: 극도의 기보남우주연상, 촬영상, 미술상3
29괴물작품상, 남우주연상, 촬영상, 편집상, 시각 효과상54
30중천시각 효과상1
31일본침몰시각 효과상1
32해변의 여인작품상, 편집상, 작곡상3


참조

[1] 웹사이트 Koreans win big at HK's first pan-Asian film awards https://www.reuters.[...] Reuters 2007-03-20
[2] 웹사이트 First Asian film awards shine HK film festival http://www.newsgd.co[...] 2007-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