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존 스노 (의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스노는 1813년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19세기 런던에서 활동한 의사로, 근대 역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그는 1854년 런던 콜레라 유행 당시, 오염된 식수가 콜레라의 원인임을 밝혀 미아즈마 이론을 반박하고, 역학 연구의 토대를 마련했다. 또한, 마취학 분야에서 클로로포름을 이용한 마취법을 개발하여 빅토리아 여왕의 출산을 성공적으로 이끌기도 했다.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런던 브로드윅 스트리트에는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존 스노우 학회와 존 스노우 칼리지가 설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유행병학자 - 마이클 마멋
    마이클 마멋은 건강 불평등의 사회적 결정 요인 연구에 기여한 영국의 역학자이자 의학자이며, 화이트홀 연구를 통해 사회경제적 지위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WHO 위원회 의장과 영국 정부 정책 자문으로 활동하며 정책 결정에도 기여했다.
  • 영국의 유행병학자 - 제프리 로즈
    제프리 로즈는 1926년 출생하여 1993년 사망한 영국의 역학자이며, 심혈관 질환 조사 방법 편찬, 사회적 지위와 건강의 연관성 연구, 고위험 및 인구집단 예방 전략 제시 등의 업적을 남겼다.
  • 잉글랜드의 의사 - 존 로크
    존 로크는 경험론 철학의 아버지로 불리는 잉글랜드의 철학자이자 정치사상가로서, 인간의 마음을 백지 상태로 보고 경험을 통해 지식이 형성된다고 주장했으며, 사회계약론과 자연권 사상을 발전시켜 자유주의 사상과 민주주의 혁명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잉글랜드의 의사 - 헨리 그레이
    헨리 그레이는 영국의 해부학자이자 의사로, 『그레이 해부학』이라는 저서를 통해 섬세한 해부학적 묘사와 정교한 삽화로 의학 교육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34세의 젊은 나이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 1858년 사망 - 우타가와 히로시게
    우타가와 히로시게는 에도 시대 후기 우키요에 화가로, 풍경화 스타일을 확립하여 『도카이도 오십삼차』, 『에도 명소 백경』 등의 대표작을 남겼고 서양 인상파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858년 사망 - 로버트 오언
    로버트 오언은 공장 경영, 사회 개혁, 교육, 협동조합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인간의 성격이 환경에 의해 형성된다는 신념으로 사회 개혁을 주장했고, 뉴 라나크 제분소에서 노동자들의 생활 개선과 아동 교육에 힘썼으며, 뉴하모니 공동체 건설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노동조합 운동과 협동조합 운동을 지원하다가 1858년 사망했다.
존 스노 (의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 스노
출생일1813년 3월 15일
출생지영국 요크
사망일1858년 6월 16일 (45세)
사망지런던, 영국
국적영국
민족잉글랜드인
학력
모교런던 대학교 (MD)
연구 및 업적
분야마취
역학
주요 업적마취
콜레라 유행의 감염원 특정 (이를 통해 수인성 질병임을 확립)
알려진 업적마취
콜레라 발병 원인과 장소를 찾아냄
서명
존 스노 서명

2. 생애

존 스노는 마취학과 공중 보건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한 영국의 의사이다. 그는 특히 마취 방법의 개선과 콜레라의 전파 경로를 밝혀낸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초기 생애와 교육 과정, 그리고 기본적인 의학 경력은 하위 섹션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토머스 존스 바커(Thomas Jones Barker)가 그린 존 스노 초상화(세부), 1847년, 개인 소장


스노는 마취 분야의 선구자 중 한 명으로, 에테르와 클로로포름의 안전한 사용법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1847년 에테르 사용 지침을 담은 논문 "에테르 증기 흡입에 관하여"를 발표했으며,[19] 이후 클로로포름의 특성을 연구하여 신중한 투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5] 그는 외과 수술 및 산과 시술 시 환자의 고통을 줄이기 위해 마취제의 적정 용량을 계산하고, 안전한 투여를 위한 장치와 마스크를 설계했다.[18] 그의 연구는 1858년 사후 출판된 "클로로포름 및 기타 마취제와 그 작용 및 투여에 관하여"와 같은 저술로 정리되었다.[20] 특히 1853년과 1857년, 빅토리아 여왕의 출산 시 클로로포름을 성공적으로 투여하여[21] 당시 논란이 있던 산과 마취의 수용도를 높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5]

존 스노가 그린 1854년 런던 유행병에서 콜레라 발생의 군집을 보여주는 원본 지도, 찰스 체핀스가 그림과 석판화 제작.


스노는 콜레라 연구에서도 획기적인 업적을 남겼다. 당시 지배적이던 미아스마 이론에 반대하여 콜레라가 오염된 물을 통해 전파된다는 수인성 전파설을 주장했다. 1849년 관련 논문을 처음 발표했고,[22] 1854년 브로드 스트리트 콜레라 발생 당시 역학 조사를 통해 자신의 이론을 입증했다. 그는 헨리 화이트헤드의 도움으로 브로드 스트리트의 공용 펌프가 오염원임을 밝혀냈고, 지역 당국을 설득하여 펌프 사용을 중단시킴으로써 유행을 종식시키는 데 기여했다.[23][24]

스노는 점 지도를 활용하여 펌프 주변의 콜레라 발생 집중 현상을 시각적으로 제시했으며, 통계 분석을 통해 수원의 질과 콜레라 발병률 간의 명확한 상관관계를 증명했다. 오염된 물을 공급받던 사우스워크 앤 복스홀 워터웍스 컴퍼니 지역의 발병률이 깨끗한 물을 공급받던 램베스 워터웍스 컴퍼니 지역보다 현저히 높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 대표적이다.[25][26] 이러한 연구는 현대 역학의 기초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그의 이론은 당시 즉각적으로 수용되지 못했고, 분변-구강 경로 전파라는 개념이 사회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어려웠기 때문에[30] 사후에야 그 중요성이 제대로 인정받기 시작했다.[31][32] 나중에 조사 결과 해당 공용 우물은 오래된 오수정화조에서 불과 약 0.91m 떨어진 곳에 위치했으며, 이곳에서 오염이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28]

개인적인 삶에서 스노는 절주와 채식주의를 실천했다. 젊은 시절에는 완전 채식(비건)을 하기도 했으나,[87][88] 1840년대 중반 신장 질환을 앓은 후 의사의 권유로 식단을 변경했다.[87][88] 그는 평생 깨끗하게 끓인 증류수를 마시는 습관을 유지했으며, 결혼하지 않고 독신으로 지냈다.[89][36] 1852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런던 새크빌 거리 18번지에 거주했다.[37][90]

런던 브롬프턴 묘지의 묘비


1858년 6월 10일, 스노는 런던의 자택 겸 진료소에서 일하던 중 45세의 나이로 뇌졸중을 겪었다.[38][91] 그는 회복하지 못하고 6일 후인 1858년 6월 16일에 사망했으며, 브롬프턴 묘지에 안장되었다.[39][92] 그의 비교적 이른 죽음은 평생에 걸쳐 마취 가스에 자신을 노출시키며 실험했던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추측이 있다.[40][88]

사후 존 스노의 업적은 역학과 공중 보건 분야의 선구적인 기여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브로드윅 스트리트의 옛 펌프 자리에는 그의 연구를 기념하는 명판과 기념물이 세워졌으며,[41] 존 스노 협회는 매년 그의 업적을 기리는 강연회를 개최하는 등[34] 다양한 방식으로 그를 기리고 있다.[48]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스노는 1813년 3월 15일 잉글랜드 요크의 노스 스트리트에서 태어났다.[52] 그는 윌리엄 스노와 프랜시스 스노 부부 사이의 아홉 자녀 중 첫째였으며, 올 세인츠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52] 그의 아버지는 처음에는 오즈 강가의 지역 석탄 야적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였으나,[53] 나중에는 요크 북쪽의 작은 마을에서 농부가 되었다.[53]

스노가 살던 동네는 도시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였고, 오즈 강과 가까워 홍수 피해에 자주 노출되었다. 그는 성장하면서 고향의 비위생적인 환경과 오염을 직접 경험했다. 당시 대부분의 거리는 제대로 관리되지 않았으며, 강물은 시장 광장, 묘지, 하수구 등에서 흘러나온 오물로 심각하게 오염된 상태였다.[54] 이러한 환경은 훗날 그가 위생과 질병의 관계에 주목하는 계기가 되었을 수 있다.

스노가 세례받은 올 세인츠 교회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재능을 보였던 스노는 14세가 되던 1827년, 뉴캐슬어폰타인 지역에서 외과의사 윌리엄 하드캐슬 밑에서 의학 수습을 시작했다. 1832년, 외과의사이자 약제사 견습생으로 일하던 중 킬링워스의 탄광 마을에서 콜레라 유행을 처음으로 겪게 되었다.[55] 그는 수많은 콜레라 환자들을 직접 치료하며 경험을 쌓았다. 이 경험 이후, 그는 건강과 생활 방식에 깊은 관심을 갖게 되어 절주를 실천하기 시작했고, 1835년에는 절주 서약에 서명하며 완전한 금주 생활을 했다. 또한 그는 채식주의자였으며,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증류수만을 마시려 노력했다.[56]

1832년부터 1835년까지 스노는 탄광 의사의 조수로 일하며 경력을 쌓았다. 처음에는 더럼주 버놉필드에서 근무했고, 이후 웨스트라이딩 오브 요크셔의 페이틀리 브리지에서 일했다. 1836년 10월, 그는 학업을 이어가기 위해 런던으로 가 그레이트 윈드밀 스트리트에 위치한 헌터 의학교에 입학했다.[57]

2. 2. 의학 경력

1827년 14세의 나이로 뉴캐슬어폰타인에서 윌리엄 하드캐슬(William Hardcastle) 밑에서 의학 수습생이 되었다.[55] 수습생 시절인 1832년, 탄광 마을 킬링워스에서 콜레라가 유행했을 때 많은 환자를 직접 치료하며 경험을 쌓았다.[55] 1832년부터 1835년까지는 탄광 외과 의사의 조수로 일했는데, 처음에는 더럼주 버노프필드에서, 이후에는 웨스트라이딩오브요크셔의 페이틀리 브리지에서 근무했다.[57] 이 시기 스노우는 절주주의를 받아들여 1835년 금주 서약을 했고, 채식주의 생활을 하며 '순수한' 증류수만 마시려 했다고 전해진다.[56]

1830년대에는 뉴캐슬 병원에서 외과의사 토마스 마이클 그린하우와 함께 일하며 잉글랜드의 콜레라 유행에 대한 연구를 함께 수행했으며, 이 연구는 수년간 이어졌다.[8][9][10][11][58][59][60]

1836년 10월, 런던 그레이트 윈드밀 스트리트에 있는 헌터 의학교에 입학하며 정식 의학 교육을 받기 시작했다.[57] 1837년에는 웨스트민스터 병원에서 근무를 시작했으며,[12] 1838년 5월 2일 영국 왕립 외과 학회 회원으로 가입했다.[12][61]

스노우는 학문 연구에도 힘썼다. 특히 호흡기 질환에 관심을 갖고 동물 실험을 통해 가설을 검증했으며, 1841년에는 신생아 호흡 생리, 산소 소비, 체온 변화 영향 등에 대한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 '질식과 사산아의 소생에 관하여'를 발표했다.[15]

1844년 12월 런던 대학교를 졸업하고 의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2][15][61] 졸업 후 소호의 프리쓰 스트리트 54번지에 외과의사이자 일반의로서 진료소를 열었다.[15] 그는 마취학을 비롯한 다양한 의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임상 및 과학 시연에 중점을 둔 웨스트민스터 의학회 회원으로 활동했다. 이 학회 활동을 통해 명성을 얻었을 뿐 아니라 다양한 과학적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발전시킬 수 있었으며, 학회 회의에서 여러 차례 발표하고 논문을 출판했다.[15]

1850년 왕립 내과 학회에 가입했다.[12][61] 같은 해 5월, 1849년 콜레라 유행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런던 역학회의 창립 회원이 되었다.[12][13][14][61][62][63] 1856년까지 스노우와 에드워드 헤들램 그린하우 박사(토마스 마이클 그린하우의 조카)는 학회에서 '끔찍한 비극인 콜레라'에 대해 논의한 소수의 저명한 의학자 중 하나였다.[12][13][14][61][62][63]

1857년에는 소책자 On the adulteration of bread as a cause of rickets|빵의 불순물이 구루병의 원인에 관하여eng[17][64]를 통해 역학 분야에 중요한 기여를 했으나, 이는 종종 간과되기도 한다.[16][65]

3. 마취학 분야의 업적

런던 대학교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89][87] 존 스노는 소호의 프리쓰 스트리트 54번지에서 외과의사이자 일반의로 활동하며 마취학을 포함한 다양한 의학 분야에 기여했다.[15][71] 그는 임상 및 과학적 시연을 위한 단체인 웨스트민스터 의학회 회원이 되어 여러 과학적 아이디어를 실험하고 발표할 기회를 가졌다.[15][71] 특히 호흡기 질환에 관심이 많아 동물 연구를 통해 가설을 검증했으며, 1841년에는 신생아 호흡 생리, 산소 소비, 체온 변화 영향 등을 다룬 논문 On Asphyxiation, and on the Resuscitation of Still-Born Children|질식과 사산아의 소생에 관하여영어를 저술했다.[15][71]

스노는 1841년부터 마취와 호흡에 관심을 보였고, 1843년부터는 에테르를 실험하며 마취제 연구를 본격화했다.[5][72] 그는 에테르와 클로로포름과 같은 주요 마취제의 특성을 깊이 연구하고, 환자들이 고통 없이 안전하게 수술 및 산과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정확한 투여량을 계산하고 관련 장치를 개발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18][66] 그는 에테르를 안전하게 투여하는 장치와 클로로포름 투여용 마스크를 직접 설계했다.[18][66]

1847년, 스노는 에테르 사용 지침을 담은 논문 On the Inhalation of the Vapor of Ether|에테르 증기 흡입에 관하여영어를 발표했으며,[19][68] 마취에 대한 임상 경험, 반응, 절차, 실험 등을 기록한 여러 논문을 꾸준히 발표했다.[5] 그는 마취제 연구 결과를 특허로 내려 하지 않고, 지속적인 연구와 저술 활동을 통해 공유하는 데 힘썼다.[73] 그의 노력 덕분에 스노는 영국에서 가장 숙련된 마취 전문가로 인정받게 되었다.[5][73]

클로로포름 연구에도 매진하여, 에테르보다 강력한 만큼 투여 시 정밀성이 필요함을 강조했다.[5][74] 그는 마취제 투여는 수술 집도의가 아닌 다른 사람이 담당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주장하기도 했다.[15][75] 마취학에 대한 그의 포괄적인 연구는 사후인 1858년에 출판된 On Chloroform and Other Anaesthetics and Their Action and Administration|클로로포름 및 기타 마취제와 그 작용 및 투여에 관하여영어라는 저서로 집대성되었다.[20][69]

3. 1. 산과 마취

존 스노우는 1841년부터 마취와 호흡에 관심을 가졌고, 1843년부터는 호흡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에테르를 실험했다.[5][72] 그는 환자들이 고통 없이 외과 및 산과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에테르와 클로로포름을 외과 마취제로 사용하는 데 필요한 투여량을 연구하고 계산한 선구적인 의사 중 한 명이었다. 그는 환자에게 안전하게 에테르를 투여하기 위한 장치를 설계했고 클로로포름을 투여하기 위한 마스크도 설계했다.[18][66]

에테르가 영국에 도입된 지 1년 후인 1847년, 스노우는 On the Inhalation of the Vapor of Ether|에테르 증기 흡입에 관하여eng라는 논문을 발표하여 에테르 사용 지침을 제공했다.[5][19][68] 그는 에테르를 철저히 연구했지만 특허를 내려 하지 않고, 자신의 관찰과 연구 결과를 계속 발표했다.[73] 동시에 그는 마취에 대한 임상 경험을 보고하는 다양한 논문을 작성하여 반응, 절차, 실험 등을 기록했다.[5] 에테르 도입 2년 만에 스노우는 영국에서 가장 숙련된 마취 전문가로 인정받았고, 런던의 주요 외과 의사들이 그의 도움을 구하기 시작했다.[5][73]

스노우는 스코틀랜드 산부인과 의사 제임스 영 심슨이 1847년 도입한 클로로포름도 연구했다.[5][74] 그는 클로로포름이 에테르보다 훨씬 강력하여 투여 시 더 많은 주의와 정밀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는 1848년 1월 28일, 15세 소녀 한나 그리너(Hannah Greener)가 발톱 제거 수술 중 클로로포름 과다 투여로 사망한 사건을 통해 명확해졌다.[5][74] 그녀는 클로로포름에 적신 천으로 얼굴을 가리는 방식으로 마취되었으나 곧 맥박이 멈추고 사망했다.[5][74] 스노우는 이 사건과 이후의 유사 사례들을 조사한 후, 클로로포름은 매우 신중하게 투여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고 그 결과를 의학 저널 ''더 랜싯''에 서한으로 발표했다.[5][74]

스노우의 연구는 특히 산과 분야와 관련이 깊었다. 그는 77명의 산과 환자에게 클로로포름 마취를 시행했으며,[15][75] 에테르, 아밀렌 등 다른 물질도 사용했지만 클로로포름이 가장 투여하기 쉬운 약물이라고 판단했다.[15][75] 그는 분만 제2기에 클로로포름을 투여하되, 환자를 완전히 잠재우지 않고 의식 수준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 방식은 환자가 진통의 일부만 느끼면서 의식의 경계에 머물도록 했다.[15][75] 스노우는 마취제 투여는 수술 집도의가 아닌 다른 사람이 담당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고 믿었다.[15][75]

당시 출산 시 클로로포름을 마취제로 사용하는 것은 많은 의사들과 잉글랜드 교회로부터 비윤리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21][76] 그러나 1853년 4월 7일, 빅토리아 여왕은 여덟 번째 아이인 레오폴드 왕자를 출산하면서 스노우에게 직접 클로로포름 투여를 요청했다.[99][21][67] 스노우는 1857년 여왕의 아홉 번째 아이인 비아트리스 공주 출산 시에도 동일한 시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21][67] 여왕이 직접 클로로포름 마취를 받으면서 산과 마취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가 크게 높아지는 계기가 되었다.[5][67]

스노우는 마취에 관한 더 긴 저술인 On Chloroform and Other Anaesthetics and Their Action and Administration|클로로포름 및 기타 마취제와 그 작용 및 투여에 관하여eng를 집필했으나, 이는 그가 사망한 후인 1858년에 출판되었다.[20][69]

4. 역학 분야의 업적

존 스노는 1854년 런던 소호 지역에서 발생한 콜레라 유행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연구를 통해 근대 역학의 아버지로 평가받는다. 당시에는 콜레라장티푸스 같은 전염병이 미아즈마( μίασμαgrc ), 즉 '나쁜 공기'를 통해 전파된다는 미아즈마설이 정설처럼 받아들여졌으나, 스노는 이러한 통념에 도전하여 오염된 물이 질병의 매개체라는 혁신적인 주장을 펼쳤다.

스노의 역학 연구는 이미 1830년대부터 시작되었다. 뉴캐슬 병원에서 외과의사 토마스 마이클 그린하우와 함께 잉글랜드의 콜레라 유행을 연구하며 경험을 쌓았고,[8][9][10][11] 이후 런던으로 이주하여 활동하면서도 콜레라 연구를 지속했다. 그는 1849년 콜레라 발생에 대응하기 위해 1850년 설립된 런던 역학회의 창립 회원이기도 했다.[12][13][14]

그의 가장 중요한 업적은 1854년 소호 콜레라 유행 당시, 오염된 물이 질병의 원인임을 밝힌 역학 조사이다. 그는 환자 발생 분포를 지도에 표시하고 통계 분석을 활용하는 등 선구적인 역학 연구 방법론을 통해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가 오염원임을 특정했다. 이는 질병의 원인을 환경적 요인과 연관 지어 분석하고, 공간적 분포와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한 중요한 사례이다.

스노는 1849년 "콜레라의 전파 방식에 관하여"(On the Mode of Communication of Cholera)라는 논문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처음 제시했으며,[22] 1854년 소호 유행 조사를 바탕으로 1855년에 더욱 상세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23][24] 또한 1857년에는 "빵의 불순물이 구루병의 원인에 관하여"라는 소책자를 통해 또 다른 역학적 기여를 하기도 했다.[16][17]

스노의 이러한 발견과 주장은 당시 지배적이던 미아즈마설에 정면으로 배치되었기 때문에 즉각적으로 수용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의 연구는 장기적으로 런던의 물 처리하폐수 처리 시스템의 근본적인 개선을 이끌어내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는 나아가 다른 도시들의 위생 환경 개선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전 세계적인 공중보건학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4. 1. 1854년 런던 콜레라 유행 연구



브로드윅 스트리트, 소호에 있는 존 스노 기념관과 술집


존 스노는 1854년 런던 소호 지역에서 발생한 콜레라 유행의 원인을 추적한 연구로 근대 역학의 아버지로 불린다. 당시에는 콜레라페스트와 같은 전염병이 '나쁜 공기', 즉 미아즈마( μίασμαgrc ) 때문에 발생한다는 미아즈마설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스노는 이러한 미아즈마설에 회의적이었고, 오염된 식수가 콜레라의 진짜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병원균 이론이 아직 정립되지 않았던 시기였기에 질병 전파의 정확한 메커니즘을 알지는 못했지만, 관찰과 증거 수집을 통해 기존 이론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1849년 "콜레라의 전파 방식에 관하여"(On the Mode of Communication of Cholera)라는 논문으로 처음 발표했고,[22] 1854년 소호 유행 당시 상수도의 역할을 조사한 결과를 담아 1855년에 더 상세한 연구를 발표했다.[23][24]

스노는 헨리 화이트헤드 목사의 도움을 받아 지역 주민들을 인터뷰하며 조사를 진행했고, 그 결과 브로드 스트리트(현재의 브로드윅 스트리트)에 있던 공용 수도 펌프가 콜레라 확산의 중심임을 밝혀냈다. 스노가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에서 떠온 물을 화학적, 현미경적으로 검사했을 때 결정적인 오염 증거를 찾지는 못했지만, 그가 제시한 질병 발생 패턴 분석은 매우 설득력이 있었다. 그의 주장을 받아들인 지역 의회는 결국 문제의 펌프 손잡이를 제거하여 사용을 중단시켰다. 이 조치가 유행을 종식시킨 결정적인 계기로 흔히 알려져 있지만, 스노 자신은 펌프 사용 중단 이전에 이미 유행이 잦아들고 있었을 가능성을 지적하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스노는 점 지도를 사용하여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 주변에 콜레라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했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수원의 질과 콜레라 발병률 사이의 명확한 연관성을 입증했다. 그는 하수로 오염된 템스강 하류 지역에서 물을 공급받던 사우스워크 앤 복스홀 워터웍스 컴퍼니 이용 가구의 콜레라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깨끗한 상류 지역(시딩 웰스)에서 물을 끌어오던 램베스 워터웍스 컴퍼니 이용 가구보다 14배나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25][26]

후속 연구를 통해 브로드 스트리트의 공용 우물은 분뇨 박테리아가 새어 나오던 오래된 오수정화조로부터 불과 약 0.91m 떨어진 곳에 설치되었음이 밝혀졌다. 콜레라에 걸린 아기의 기저귀를 이 오수정화조에서 빤 것이 오염의 시작으로 추정된다. 원래 오수정화조가 있던 자리는 근처 건물이 화재 후 재건축되고 도로가 확장되면서 사라졌다. 당시 런던의 가정집들은 대부분 집 아래에 오수정화조를 두고 있었으며, 오수가 넘치는 것을 막기 위해 생활 하수를 모아 템스강에 버리는 경우가 많았다.[28]

스노의 연구는 공중보건학과 지리학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으며, 역학이라는 학문 분야의 시초로 여겨진다. 그의 발견은 런던의 물 처리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이는 다른 도시들에도 영향을 미쳐 전 세계적인 공중보건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

한편, 스노보다 7년 앞서 토마스 섀프터가 엑서터에서 콜레라 유행을 조사하며 점 지도를 활용한 유사한 연구를 수행했지만, 당시에는 수질 오염 문제를 원인으로 특정하지는 못했다.[29]

4. 2. 정치적 논쟁

스노는 당시 지배적이었던 미아스마 이론에 회의적이었다. 이 이론은 콜레라페스트와 같은 질병이 오염된 공기나 "나쁜 공기(악기, 惡氣)" 때문에 발생한다고 보았다. 아직 병원균 이론이 정립되지 않았던 시기였기에 스노 역시 질병 전파의 정확한 메커니즘을 알지는 못했지만, 그는 관찰과 증거를 통해 미아스마 이론에 의문을 제기했다. 1849년 "콜레라의 전파 방식에 관하여"라는 논문을 발표했고,[77] 1855년에는 1854년 소호 지역 콜레라 유행 당시 상수도 오염의 역할을 밝힌 연구 결과를 포함한 더 상세한 논문을 출판했다.[78][79]

헨리 화이트헤드 목사의 도움으로 지역 주민들을 면담한 스노는 브로드 스트리트(현재의 브로드윅 스트리트)에 위치한 공용 수도 펌프가 콜레라 확산의 중심지임을 밝혀냈다. 비록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에서 채취한 물 샘플에 대한 화학적, 현미경적 검사만으로는 물의 위험성을 결정적으로 증명하지는 못했지만, 스노가 제시한 질병 발생 패턴 분석은 매우 설득력이 있었다. 결국 지역 위원회는 스노의 주장을 받아들여 해당 펌프의 손잡이를 제거하여 사용을 중단시켰다. 이 조치가 콜레라 유행을 종식시킨 결정적인 계기로 알려져 있지만, 스노 본인은 펌프 손잡이 제거 이전에 이미 유행이 수그러들고 있었을 가능성도 신중하게 지적했다. 그는 "물 사용 중단 이전에 이미 발병이 감소하고 있었으므로, 우물에 콜레라 독이 여전히 남아 있었는지, 아니면 다른 이유로 물에서 독이 사라졌는지 단정하기는 어렵다"고 기록했다.[78]

스노는 점 지도를 이용하여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 주변에 콜레라 사망자가 집중된 양상을 시각적으로 보여주었다. 또한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수원의 수질과 콜레라 발병률 사이의 명확한 연관성을 입증했다. 그는 하수가 유입되는 템스강 하류 지역의 물을 공급받는 사우스워크 앤 복스홀 워터웍스 컴퍼니 급수 지역 주민들의 콜레라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깨끗한 상류 지역의 물을 공급받는 램베스 워터웍스 컴퍼니 급수 지역 주민들보다 14배나 높다는 사실을 밝혀냈다.[25][26] 스노의 이러한 체계적인 조사는 공중 보건과 지리학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으며, 현대 역학의 기초를 다진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스노는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상세히 보고했다:

현장에 가보니, 거의 모든 사망자가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 근처에서 발생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다른 거리 펌프가 더 가까운 집에서는 사망자가 10명에 불과했습니다. 이 중 5명의 유족은 사망자가 평소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 물을 더 선호하여 일부러 그곳에서 물을 길어왔다고 증언했습니다... 펌프 급수 지역 내 사망자 중 61명은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 물을 꾸준히 혹은 때때로 마셨다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 조사 결과, 해당 펌프 우물 물을 마시는 습관이 있는 사람들을 제외하면, 런던의 이 지역에서 콜레라가 특별히 유행한 것은 아니었습니다. 9월 7일 저녁, 세인트 제임스 교구 관리위원회에 이러한 사실들을 보고했고, 그 결과 다음 날 펌프 손잡이가 제거되었습니다.[27]


훗날 조사 결과, 이 공공 우물은 오래된 오수정화조에서 불과 약 0.91m 떨어진 곳에 위치했으며, 이 정화조에서 새어 나온 분변 오염 물질이 우물을 오염시킨 것으로 밝혀졌다. 콜레라에 걸린 아기의 기저귀를 이 정화조에 버린 것이 오염의 시작점으로 추정된다.[80]

하지만 콜레라 유행이 잦아들자, 정부 당국은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 손잡이를 다시 설치했다. 이는 당시 지배적인 미아스마 이론을 고수하며 스노의 수인성 전염 이론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이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스노의 주장을 인정하는 것은 질병이 분변-경구 경로를 통해 전파된다는, 당시 사회적으로 받아들이기 매우 불쾌하고 충격적인 사실을 인정하는 것을 의미했기 때문이다.[82]

당시 저명한 통계학자이자 스노의 이론에 비판적이었던 윌리엄 파(William Farr)조차 시간이 흘러 1866년 브롬리바이보(Bromley by Bow)에서 또 다른 콜레라 유행을 조사하면서 스노의 진단이 옳았음을 일부 인정하게 되었다. 그는 주민들에게 끓이지 않은 물을 마시지 말 것을 권고했다.[83] 파는 오염된 물이 콜레라를 전파한다는 스노의 설명을 전적으로 수용하지는 않았지만, 물이 질병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은 인정했다. 파가 수집한 통계 자료 중 일부는 오히려 스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활용되기도 했다.[84]

스노의 사례는 과학적 발견이 사회적, 정치적 저항에 부딪히는 과정을 잘 보여준다. 이는 공중 보건 정책을 개선하려는 노력이 종종 복잡한 논쟁에 휘말릴 수 있음을 시사한다.[85] 오늘날 영국에서는 존 스노 협회(John Snow Society)가 매년 펌프 핸들 강연(Pumphandle Lecture)을 개최하고 있다. 이 행사에서는 공중 보건 발전을 위한 끊임없는 도전을 상징하며 펌프 손잡이를 제거했다가 다시 부착하는 퍼포먼스를 벌인다.[86]

5. 개인적인 삶



스노는 1813년 3월 15일 잉글랜드 요크의 노스 스트리트에서 윌리엄 스노와 프랜시스 스노 부부의 아홉 자녀 중 첫째로 태어났으며, 올 세인츠 교회에서 세례를 받았다.[52] 그의 아버지는 처음에는 오즈 강가의 지역 석탄 야적장에서 일하는 노동자였으나,[53] 나중에는 요크 북쪽의 작은 마을에서 농부가 되었다.[53] 스노가 자란 동네는 도시에서 가장 가난한 지역 중 하나였고, 오즈 강과 가까워 홍수 위험에 자주 노출되었다. 그는 성장하면서 고향의 비위생적인 환경과 오염을 경험했는데, 당시 강은 시장 광장, 묘지, 하수 등에서 흘러든 물로 오염되어 있었다.[54]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재능을 보였던 스노는 14세였던 1827년, 뉴캐슬어폰타인 지역에서 윌리엄 하드캐슬(William Hardcastle) 밑에서 의학 수습생이 되었다. 1832년 외과-약제사 견습생으로 일하던 중, 탄광 마을인 킬링워스에서 콜레라 유행을 처음 접했고, 많은 환자를 치료하며 경험을 쌓았다.[55] 1832년부터 1835년까지 스노는 탄광 의사의 조수로 일했는데, 처음에는 더럼주 버노프필드에서, 그 후에는 웨스트라이딩 오브 요크셔의 페이틀리 브리지에서 근무했다. 1836년 10월 그는 런던 그레이트 윈드밀 스트리트에 있는 헌터 의학교에 등록했다.[57]

스노는 17세에 채식주의자가 되었으며,[87][88] 이후 절주주의자가 되어 1835년에는 금주 서약서에 서명했다.[55] 처음에는 채소에 유제품과 계란을 더한 락토-오보 채식을 했으며,[87] 고기를 먹는 친구들보다 수영을 더 잘할 정도로 건강했다고 전해진다.[87] 30대에 들어서는 동물성 식품을 완전히 배제하는 비건이 되었다.[87][88] 그는 평소 "순수한" 증류수만 마시려고 노력했다.[56]

대학 졸업 후인 1844년에는 결핵을 앓았으나 공기 좋은 곳에서 요양하여 회복했다.[88] 1840년대 중반, 건강이 악화되어 신장 장애를 앓게 되자 자신의 비건 식단을 원인으로 생각했고, 의사의 권유에 따라 다시 동물성 식품과 와인을 섭취하기 시작했다.[87][88] 그는 1830년부터 금주 운동에 참여했고 1845년에는 요크 금주 협회 회원이 되었으나,[87] 건강 악화 후인 1845년경부터는 소화를 돕기 위해 소량의 와인을 마셨다.[35] 그럼에도 가능한 한 증류수를 마시는 습관은 유지했다.[54] 스노는 운동 삼아 수영을 즐겼으며,[35] 평생 결혼하지 않았다.[36][89]

스노는 1852년부터 1858년 사망할 때까지 런던 새크빌 스트리트(Sackville Street) 18번지에 살았다.[37][90]

1858년 6월 10일, 런던의 사무실에서 일하던 중 45세의 나이로 뇌졸중을 겪었다.[38][91] 그는 회복하지 못하고 6일 후인 1858년 6월 16일에 사망했으며, 브롬프턴 묘지에 묻혔다.[39][92] 그의 조기 사망은 마취 가스에 대한 빈번한 노출과 스스로를 대상으로 한 실험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추측된다.[40][88]

6. 유산 및 기념



왕립화학회가 세운 청색 명판


존 스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다양한 기념물과 활동이 이어지고 있다.

  • 기념 장소 및 시설:
  • 과거 1854년 브로드 스트리트 콜레라 유행의 진원지였던 런던 소호의 브로드윅 스트리트(옛 브로드 스트리트) 수도 펌프 자리에는 스노와 그의 1854년 연구를 기념하는 명판이 설치되었다. 손잡이가 제거된 수도 펌프가 새겨져 있으며, 펌프가 있던 자리는 붉은색 화강암으로 표시되어 있다. 근처의 한 술집은 그의 이름을 따 "존 스노우"로 명명되었다.[41][93]
  • 런던 브롬프턴 묘지에는 그의 묘비가 세워져 있다.[39]
  • 그의 고향인 요크의 노스 스트리트에 있는 파크 인 호텔 서쪽 끝에는 청색 명판이 설치되어 스노를 기념하고 있다. 2017년에는 요크 시민 신탁(York Civic Trust)이 그의 출생지 근처 노스 스트리트 정원에 손잡이가 제거된 펌프, 청색 명판, 해설판으로 구성된 존 스노 기념비를 세웠다.[48]
  • 2009년, 앤 공주는 런던 위생 및 열대 의학 대학에 존 스노 강의실을 개관했다.

  • 학술 및 단체:
  • 존 스노 협회(John Snow Society)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정기적으로 존 스노 술집에서 모임을 갖는다. 매년 9월에는 현대 공중 보건 분야의 주요 인사가 연례 펌프 핸들 강연(Pumphandle Lecture)을 진행한다. 이 강연에서 펌프 손잡이를 제거하고 다시 부착하는 행위는 공중 보건 발전의 지속적인 과제를 상징한다.[34]
  • 마취학의 선구자인 조셉 토마스 클로버와 함께 스노는 왕립 마취과 대학(Royal College of Anaesthetists)의 문장 지지자 중 한 명이다.[42][94]
  • 영국 및 아일랜드 마취과 의사 협회(Association of Anaesthetists of Great Britain and Ireland)는 마취 분야 연구를 수행하는 학부 의대생에게 존 스노 상(John Snow Award)을 수여한다.
  • 2001년, 더럼 대학교의 퀸스 캠퍼스(스톡턴온티즈)에 존 스노 칼리지(John Snow College)가 설립되었다.[45]
  • 스노가 콜레라에 관한 1849년 논문으로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서 상을 받았다는 보고가 있었으나,[43][95] 1950년 아카데미의 편지에 따르면 그는 단지 후보로 추천되었을 뿐 수상하지는 못했다.[44][96]

  • 기업 및 기타:
  • 1978년, 공중 보건 연구 및 컨설팅 회사인 존 스노우, 인크(John Snow, Inc.)가 설립되었다.

  • 후대 평가 및 문화적 영향:
  • 2003년, 영국의 '병원 의사'(Hospital Doctor) 잡지 독자들은 스노를 '역대 최고의 의사'로 선정했다.[46]
  • 2013년 의학 저널 ''란셋''은 1858년에 처음 발표했던 스노의 짧은 부고 기사에 대한 수정을 게재하며, "본 저널은 일부 독자들이 ''란셋''이 역학 분야, 특히 유행성 콜레라의 전염 방식을 추론한 그의 선견지명 있는 연구를 인정하지 못했다고 잘못 추론했을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고 밝혔다.[47][97]
  • 2016년, 캐서린 탠슬리(Catherine Tansley)는 스노의 활동을 바탕으로 한 역사 소설 The Doctor of Broad Street|브로드 스트리트의 의사eng를 출판했다.
  • 2019년 방영된 영국 드라마 ''빅토리아'' 시즌 3의 'Foreign Bodies' 에피소드에서는 존 스노가 빅토리아 여왕을 만나 콜레라 발병 상황을 설명하고, 여왕의 도움으로 브로드 스트리트 펌프 손잡이를 제거하는 과정이 묘사되었다.

참조

[1] 백과사전 John Snow https://www.britanni[...] 2018-03-08
[2] 논문 (제목 정보 없음)
[3] 문서 Wedding Record of William Snow and Frances Empson, Huntington All Saints 1812-05-24
[4] 문서 Census 1841
[5] 저널 John Snow, MD: anaesthetist to the Queen of England and pioneer epidemiologist 2009-01-06
[6] 저널 Cholera and the Pump on Broad Street: The Life and Legacy of John Snow
[7] 서적 John Snow Charles Scribner's Sons
[8] 뉴스 The Duchess of Cambridge's Ancestor Would Have Led The Fight Against Covid 19 https://www.pressrea[...] Daily Telegraph 2020-06-28
[9] 서적 Water-Supply and Public Health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10] 웹사이트 Cholera from the east. A letter addressed to Mayor of Newcastle-upon-Tyne James Hodgson, Esq. https://books.google[...] E. Charnley
[11] 논문 (제목 정보 없음)
[12] 웹사이트 London Epidemiology Society http://www.ph.ucla.e[...] UCLA 2012-10-22
[13] 웹사이트 The Lancet London: A Journal of British and Foreign Medicine ..., Volume 1... Epidemiological Society https://books.google[...] Elsevier 1856
[14] 웹사이트 London Epidemiological Society http://www.ph.ucla.e[...] Department of Epidemiological (UCLA) 2019-03-18
[15] 저널 John Snow's Practice of Obstetric Anesthesia http://anesthesiolog[...] 2000-01-01
[16] 저널 Commentary: John Snow and alum-induced rickets from adulterated London bread: an overlooked contribution to metabolic bone disease
[17] 저널 On the Adulteration of Bread As a Cause of Rickets https://zenodo.org/r[...]
[18] 웹사이트 John Snow (1813–58) http://www.sciencemu[...] 2016-01-06
[19] 웹사이트 On the Inhalation of the Vapor of Ether http://www.ph.ucla.e[...]
[20] 서적 On Chloroform and Other Anaesthetics and Their Action and Administration https://archive.org/[...] John Churchill
[21] 웹사이트 Anesthesia and Queen Victoria http://www.ph.ucla.e[...] Department of Epidemiology [[UCLA School of Public Health]] 2007-08-21
[22] 서적 On the Mode of Communication of Cholera https://collections.[...] John Churchill
[23] 서적 On the Mode of Communication of Cholera https://archive.org/[...] John Churchill
[24] 서적 Concepts and Practice of Humanitarian Medicine https://books.google[...] Springer
[25] 웹사이트 Location of water companies https://www.ph.ucla.[...]
[26] 웹사이트 Proof from Seething Wells http://seethingwells[...]
[27] 저널 The cholera near Golden-Square, and at Deptford https://babel.hathit[...] 1854
[28] 서적 Seeing What Others Don't
[29] 서적 The History of the Cholera in Exeter in 1832 John Churchill
[30] 서적 Wellsprings Rutgers University Press
[31] 서적 Seven Wonders of the Industrial World Fourth Estate
[32] 저널 William Farr on the Cholera: The Sanitarian's Disease Theory and the Statistician's Method 1973-04-01
[33] 서적 Essential Public Health Radcliffe Publishing
[34] 웹사이트 Pumphandle Lecture 2017 https://johnsnowsoci[...] The John Snow Society 2017-09-12
[35] 서적 200 Years of British Hydrogeology The Geological Society
[36] 서적 Snow, John (1813–1858) http://www.oxforddnb[...] Oxford Dictionary of Biography
[37] 웹사이트 JOHN SNOW'S HOMES http://www.ph.ucla.e[...] UCLA Department of Epidemiology 2014-06-06
[38] 서적 The Ghost Map https://archive.org/[...] Riverhead Books
[39] 웹사이트 List of notable occupants http://www.brompton.[...] 2007-08-21
[40] 웹사이트 John Snow's final rest - information on his death https://www.ph.ucla.[...] 2023-01-07
[41] 방송 Birmingham http://www.bbc.co.uk[...] 2014-05-12
[42] 웹사이트 The College Crest http://www.rcoa.ac.u[...] The Royal College of Anaesthetists 2014-09-12
[43] 서적 Concepts and practice of humanitarian medicine https://archive.or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4] 학술지 John Snow and the Institute of France 1959-07
[45] 웹사이트 John Snow College https://www.durham.a[...]
[46] 웹사이트 Remembering Dr. John Snow on the sesquicentennial of his death http://www.cmaj.ca/c[...]
[47] 학술지 John Snow
[48] 웹사이트 John Snow Memorial, North Street Gardens – York Civic Trust https://yorkcivictru[...] 2022-05-05
[49] 웹사이트 実地疫学調査の基礎 https://www.pref.aom[...] 青森県庁 2013-05-23
[50] 백과사전 John Snow https://www.britanni[...] 2018-03-08
[51] 서적 Cholera, Chloroform, and the Science of Medicine: A Life of John Sno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52] 기록 Wedding Record of William Snow and Frances Empson, Huntington All Saints 1812-05-24
[53] 기록 Census 1841
[54] 학술지 John Snow, MD: anaesthetist to the Queen of England and pioneer epidemiologist 2009-01-06
[55] 학술지 Cholera and the Pump on Broad Street: The Life and Legacy of John Snow
[56] 학술지 John Snow, MD: anaesthetist to the Queen of England and pioneer epidemiologist 2009-01-06
[57] 서적 John Snow Charles Scribner's Sons
[58] 서적 Water-Supply and Public Health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5-15
[59] 서적 Cholera, Chloroform, and the Science of Medicine: A Life of John Snow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3-05-01
[60] 서적 Cholera from the east. A letter addressed to Mayor of Newcastle-upon-Tyne James Hodgson, Esq. https://books.google[...] E. Charnley 1852
[61] 웹사이트 London Epidemiology Society http://www.ph.ucla.e[...] UCLA 2012-10-22
[62] 서적 The Lancet London: A Journal of British and Foreign Medicine ..., Volume 1... Epidemiological Society https://books.google[...] Elsevier 1856
[63] 웹사이트 London Epidemiological Society http://www.ph.ucla.e[...] Depatment of Epidemiological (UCLA)
[64] 학술지 On the adulteration of bread as a cause of rickets http://www.ph.ucla.e[...]
[65] 학술지 Commentary: John Snow and alum-induced rickets from adulterated London bread: an overlooked contribution to metabolic bone disease
[66] 웹사이트 John Snow (1813–58) http://www.sciencemu[...]
[67] 웹사이트 Anesthesia and Queen Victoria http://www.ph.ucla.e[...] Department of Epidemiology UCLA School of Public Health 2007-08-21
[68] 웹사이트 On the Inhalation of the Vapor of Ether http://www.ph.ucla.e[...] 1847
[69] 서적 On Chloroform and Other Anaesthetics and Their Action and Administration https://archive.org/[...] John Churchill
[70] 학술지 ジョン・スノウとコレラ 日本薬学会
[71] 웹사이트 John Snow’s Practice of Obstetric Anesthesia http://anesthesiolog[...] 2000-01-00
[72] 논문 John Snow, MD: anaesthetist to the Queen of England and pioneer epidemiologist 2009-01-06
[73] 논문 John Snow, MD: anaesthetist to the Queen of England and pioneer epidemiologist 2009-01-06
[74] 논문 John Snow, MD: anaesthetist to the Queen of England and pioneer epidemiologist 2009-01-06
[75] 웹사이트 John Snow’s Practice of Obstetric Anesthesia http://anesthesiolog[...] 2000-01-00
[76] 논문 John Snow, MD: anaesthetist to the Queen of England and pioneer epidemiologist 2009-01-06
[77] 서적 On the Mode of Communication of Cholera https://collections.[...] John Churchill 1849-00-00
[78] 서적 On the Mode of Communication of Cholera https://archive.org/[...] John Churchill 1855-00-00
[79] 서적 Concepts and Practice of Humanitarian Medicin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7-10-23
[80] 서적 Seeing What Others Don't
[81] 서적 The History of the Cholera in Exeter in 1832 John Churchill 1849-00-00
[82] 서적 Wellsprings Rutgers University Press 2005-00-00
[83] 서적 Seven Wonders of the Industrial World Fourth Estate 2003-00-00
[84] 논문 William Farr on the Cholera: The Sanitarian's Disease Theory and the Statistician's Method 1973-04-00
[85] 서적 Essential Public Health Radcliffe Publishing 2005-00-00
[86] 웹사이트 Pumphandle Lectures http://www.johnsnows[...] The John Snow Society 2017-05-01
[87] 서적 200 Years of British Hydrogeology http://johnsnow.matr[...] The Geological Society 2004-00-00
[88] 웹사이트 https://www.ph.ucla.[...]
[89] 백과사전 Snow, John (1813–1858) http://www.oxforddnb[...]
[90] 웹사이트 JOHN SNOW'S HOMES http://www.ph.ucla.e[...] 2014-06-06
[91] 서적 The Ghost Map https://archive.org/[...] Riverhead Books 2006-00-00
[92] 웹사이트 List of notable occupants http://www.brompton.[...] 2007-08-21
[93] 에피소드 Birmingham http://www.bbc.co.uk[...]
[94] 웹사이트 The College Crest http://www.rcoa.ac.u[...] The Royal College of Anaesthetists 2014-09-12
[95] 서적 Concepts and practice of humanitarian medicine https://books.google[...] 2008-00-00
[96] 논문 John Snow and the Institute of France 1959-07-00
[97] 논문 John Snow 2013-00-00
[98] 백과사전 John Snow https://www.britanni[...] 2018-03-08
[99] 뉴스 마취의 역사 (2): 우연에서 필연으로 https://medifonews.c[...] 2018-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