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폐수 처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폐수 처리는 하수도에서 오수를 정화하는 기술로, 역사적으로 중세 유럽의 감염병 대처를 위해 시작되어 현대에는 수질 오염 개선을 목표로 발전해 왔다. 하폐수 처리 시설은 오수 처리와 슬러지 처리를 수행하며, 물리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화학적 처리 등의 공법을 사용한다. 주요 공법으로는 침전, 여과, 부유생물법, 생물막법, 화학적 산화 등이 있으며, 고도 처리를 통해 질소, 인 등 오염 물질을 추가로 제거하기도 한다. 슬러지(오니)는 농축, 탈수, 건조, 소화, 소각 등의 과정을 거쳐 처리되며, 발생 가스를 이용한 에너지 생산 및 슬러지 재활용을 통해 자원 순환을 도모한다. 유입 오수의 부패, 수질 정화에 따른 수산물 영향, 시설 확대의 어려움, 운전 관리의 중요성 등이 과제로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기물 - 먼지
    먼지는 0.001~1000μm 크기의 다양한 고체 입자로, 총먼지, 초미세먼지 등으로 나뉘며 무기, 유기, 혼합분진으로 분류되고, 발생원에 따라 건강과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치며, 집먼지진드기, 우주 먼지 등도 포함된다.
  • 폐기물 - 유해 폐기물
    유해 폐기물은 인간의 건강이나 환경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폐기물로, 바젤 협약과 각국 법규에 따라 관리되며 매립, 소각, 재활용 등의 방법으로 처리된다.
  • 물 처리 - 양극 산화
    양극 산화는 전압을 이용하여 물 속 유기물을 산화시키는 전기화학적 산화 과정으로, 직접 산화와 매개 산화 메커니즘을 통해 작동하며, 전극 재료에 따라 효율이 달라 수처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지만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해야 한다.
  • 물 처리 - 중화 반응
    중화 반응은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염과 물을 만드는 화학 반응으로, 넓게는 양성자 교환 반응을, 좁게는 수소 이온과 수산화 이온이 물을 생성하는 반응을 뜻하며, 다양한 종류와 응용 분야를 가진다.
  • 상하수도 공학 - 저수지
    저수지는 수력 발전, 수자원 관리, 농업용수 공급, 홍수 조절, 레크리에이션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인공 시설로, 여러 유형으로 나뉘며 다양한 수위 기준과 용량 산정 방법을 가지고 건설의 긍정적 효과와 부정적 환경영향, 댐 붕괴 위험 등의 요소들을 고려하여 운영 및 관리된다.
  • 상하수도 공학 - 펌프
    펌프는 공기나 액체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기계이며, 진공과 고압을 이용해 작동하고, 원심 펌프, 기어 펌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효율, 양정, 유량 등으로 성능을 평가하여 산업 전반에 사용된다.
하폐수 처리
개요
유형폐수 처리 시설
목적폐수에서 오염 물질 제거
처리 대상가정 하수
산업 폐수
처리 방법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공정 조합
중요성환경 보호 및 공중 보건 향상
명칭
일본어下水処理場 (Gesui shori-jō 게스이 쇼리조)
영어Wastewater treatment plant
처리 과정
1차 처리침전, 스크리닝 등을 통해 고형 물질 제거
2차 처리미생물을 이용한 유기 오염 물질 분해
3차 처리질소, 인 등 특정 오염 물질 제거 (선택 사항)
소독잔류 병원균 제거 (염소 소독, 자외선 소독 등)
추가 정보
부산물슬러지 (처리 후 남은 고형 물질)
슬러지 처리소화, 탈수, 소각, 매립 등을 통해 처리
방류정화된 물은 강, 바다 등으로 방류
재이용산업 용수
농업 용수
조경 용수 등으로 재이용

2. 역사

하수처리 기술의 역사는 인류 문명과 함께 시작되었으며, 특히 전염병 예방과 공중 보건 향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중세 유럽에서는 콜레라, 장티푸스 등이 대유행했다. 이때 상하수도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고,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길어 쓰고 오물 등을 열린 수로에 흘려보냈기 때문에, 상수에 하수가 섞이는 경우가 잦았다.

이에 감염병 대책으로 상하수도를 분리하고, 하수를 암거에 모으는 것이 이루어졌다.

이후 하수를 더 깨끗하게 하여 하천에 방류하는 기술이 발전했다. 큰 쓰레기, 모래 등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리닝, 침전 기술이 도입되었고, 하수 처리장에서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제거하여 수질 오염을 개선하고 있다[3]

그러나 지금도 하수도 정비가 미흡한 도시 근교 하천에서는 방류되는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용존 산소를 모두 소비하여 산소 부족 상태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수중 생물이 죽고 부패하여 수리 장애, 악취에 의한 주거 환경 파괴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1922년 3월 26일, 도쿄시 미카와시마정에 일본 최초의 근대적인 하수 처리장인 미카와시마 오수 처분 공장(현 미카와시마 물 재생 센터)이 가동을 시작했다[3]

2. 1. 고대 및 중세

중세 유럽에서는 콜레라, 장티푸스 등이 대유행했다. 이때 상하수도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고,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길어 쓰고 오물 등을 포함하여 열린 수로에 흘려보냈기 때문에, 상수에 하수가 섞이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감염병 등의 대책으로 우선 상하수도를 분리하고, 하수를 암거에 모으는 것이 이루어졌다.[3]

2. 2. 근대

산업 혁명 이후 도시화와 인구 증가로 하수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하수를 암거에 모으고 하천에 방류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중세 유럽에서는 콜레라, 장티푸스 등이 대유행했는데, 이때는 상하수도가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고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길어 쓰고 오물 등을 열린 수로에 흘려보냈기 때문에, 상수에 하수가 섞이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그래서 감염병 대책으로 상하수도를 분리하고 하수를 암거에 모으는 것이 이루어졌다. 이후 하수를 더 깨끗하게 하여 하천에 방류하는 기술이 발전했다. 큰 쓰레기, 모래 등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리닝, 침전 기술이 도입되었고, 하수 처리장에서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제거하여 수질 오염을 개선하고 있다[3]

그러나 지금도 하수도 정비가 미흡한 도시 근교 하천에서는 방류되는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용존 산소를 모두 소비하여 산소 부족 상태를 초래하고, 이로 인해 수중 생물이 죽고 부패하여 수리 장애, 악취에 의한 주거 환경 파괴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1922년(다이쇼 시대 11년) 3월 26일, 도쿄시 미카와시마정에 일본 최초의 근대적인 하수 처리장인 미카와시마 오수 처분 공장(현 미카와시마 물 재생 센터)이 가동을 시작했다[3]

2. 3. 현대

중세 유럽에서는 콜레라, 장티푸스 등이 대유행했다. 이때 상하수도는 명확히 구분되지 않았고, 공동 우물에서 물을 길어 올리고 오물 등을 포함하여 열린 수로에 흘려보냈기 때문에, 상수에 하수가 섞이는 경우도 드물지 않았다.

그래서 감염병 등의 대책으로 우선 상하수도를 분리하고, 하수를 암거에 모으는 것이 이루어졌다.

이후 하수를 더 깨끗하게 하여 하천에 방류하는 기술이 발전했다. 큰 쓰레기, 모래 등을 걸러내기 위한 스크리닝, 침전에서 시작하여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 제거를 통한 수질 오염 개선을 하수 처리장에서 하고 있다.[3]

그러나 지금도 하수도 정비가 미비한 도시 근교의 하천에서는 방류되는 오수에 포함된 유기물이 용존 산소를 모두 소비하여 산소 부족 상태를 야기한다. 이는 수중 생물의 사멸, 부패에 의한 수질 악화, 악취에 의한 주거 환경 파괴 등의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일본에서는 1922년(다이쇼 시대 11년) 3월 26일, 도쿄시 미카와시마정에 미카와시마 오수 처분 공장(현 미카와시마 물 재생 센터)이 가동을 시작했다.[3] 이는 일본 최초의 근대적인 하수 처리장이었다.

2. 4. 한국의 역사

1922년 3월 26일, 도쿄 미카와시마정에 미카와시마 오수 처분 공장(현 미카와시마 물 재생 센터)이 가동을 시작하면서,[3] 일본 최초의 근대적인 하수 처리장이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70년대부터 경제 성장과 도시화에 따라 하수처리 시설이 본격적으로 확충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이후 고도 처리 기술이 도입되면서 하수처리 효율이 크게 향상되었다. 최근에는 하수 재이용, 슬러지 처리 및 에너지 회수 등 지속 가능한 하수처리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4대강 사업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수질 개선을 위한 하수처리 시설 확충 및 고도화에 대한 투자를 강조해 왔다.

3. 하수 처리 시설

하수 처리장은 하수도의 "정화"[2]를 주 목적으로 하는 시설이다. 오수를 정화하여 공공 수역으로 방류하거나 재이용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니(슬러지)를 처리한다.

하수 처리장에는 수처리 시설과 오니 처리 시설이 함께 있다. 수처리 시설은 오수를 정화하며, 1차 처리(물리적 처리), 2차 처리(생물학적 처리), 3차 처리(고도 처리)로 나뉜다. 1차 처리에서는 침사지와 최초 침전지를 통해 고형물을 분리하고, 2차 처리에서는 미생물을 이용해 유기물을 제거한다. 3차 처리에서는 질소, 등 추가적인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오니 처리 시설은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니를 감량, 안정화시킨다.

하수 처리의 주요 목적은 하천의 산소 부족 방지이다. 오수 속 유기물이 용존 산소를 소모하여 하천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또한, 병원체 소독을 통해 감염증 유행을 막는 것도 중요한 역할이다.

3. 1. 수처리 시설

수처리 시설은 하수에 포함된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시설이다. 주요 시설은 다음과 같다.

  • 1차 처리 (물리적 처리):
  • 침사지: 유입 하수 중의 모래를 제거한다.[2]
  • 최초 침전지: 중력으로 가라앉는 하수 속 유기물을 분리·제거한다. 생물학적 처리를 위해 반응조로 들어가는 물과 오니의 부하를 조절한다.[2] 다만, 산화구법(OD법)처럼 최초 침전지가 없는 하수 처리장도 있다.[4]
  • 오수 조정지: (설치되는 경우) 하수 유입량 변화를 조절한다.

  • 2차 처리 (생물학적 처리):
  • 반응 탱크 (폭기조): 미생물 등을 이용해 하수 속 유기물, 질소, 등 오염 물질을 처리한다.[2]
  • 최종 침전지: 반응 탱크에서 처리된 활성 슬러지를 분리해 맑은 처리수를 얻는다.[2]

  • 3차 처리 (고도 처리): 2차 처리로 제거되지 않는 부유물, 질소, , 유기물 등을 제거한다. 주로 처리수 활용 및 방류 지점의 환경 보전(특히 호소, 폐쇄된 등 폐쇄성 수역의 부영양화 방지)을 위해 사용된다.[2]
  • 방법: 반응 탱크 처리 방식 개선, 여과, 응집제 침전 촉진 등이 있다.
  • 사례: 시가현비와호적조녹조 발생을 막기 위해 "비와호 조례"와 함께 하수도 정비 및 고도 처리 시설 설치를 진행, 현재 비와호로 흘러드는 하수는 모두 고도 처리를 거친다.[5] 교토시 일부 하수 처리장은 냄새 및 염료 색도 제거, 소독을 위해 오존 처리를 한다.[7]

  • 소독 시설: 방류수를 소독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염소 소독이 일반적이며, 자외선 소독, 오존 소독, 이산화 염소나 브롬계 약제 소독, 막 여과 등도 사용된다.[2]

3. 2. 오니 처리 시설

하수 처리장에서는 오수 처리와 함께 대량의 유기성 오니(슬러지)가 발생한다. 오니 처리 시설은 이를 부패하기 전에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꺼내기 쉬운 형태로 장외로 반출하고, 처분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1]

오니 처리 시설은 거의 모든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농축과 탈수를 실시하여 수분을 85% 이하까지 탈수한다.[2] 농축만으로는 수분이 95% 이상을 차지하여 진흙 상태로 취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탈수하여 수분을 85% 이하로 하면 습한 흙 상태가 되어, 트럭 적재함에 실어 운반할 수 있으며, 폐기물 처리 및 청소에 관한 법률상에서도 유기성 오니로 취급되어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처리 방법으로는 이 외에도 소화, 건조, 소각, 용융 등이 있으며, 하수 처리장의 규모, 최종 처분 형태, 처분처 조건 등에 맞춰 다양한 방법이 조합된다. 예를 들어, 일부 처리장에서는 농축된 오니를 파이프 압송이나 탱크로리차를 이용해 다른 장소로 보내 처리하기도 한다.

4. 하수 처리 공법

하수 처리 공법은 크게 물리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화학적 처리로 나눌 수 있다.


  • 물리적 처리: 침전, 여과 등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오염 물질을 제거한다.
  • 생물학적 처리: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이용하여 물속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한다. 하수 처리 공정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데 가장 대표적으로 적용되며,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이차 처리라고 부른다.
  • 화학적 처리: 오존이나 염소 등 화학적 산화제를 이용하여 물속에 있는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한다. 주로 하폐수 처리를 한 후 물속에 잔존하고 있는 오염물질이나 미생물을 제거하는 후처리로 사용된다.[1]


하수 처리장의 수처리 공정은 물리적으로 고형물 등을 분리·제거하는 "1차 처리(물리적 처리)",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제거하는 "2차 처리(생물학적 처리)"가 있다. 또한, 이 두 가지 처리로 제거할 수 없는 부유물·질소··유기물 등을 제거하는 "3차 처리(고도 처리)"도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수처리 공정을 거쳐 소독·멸균하여 처리수를 하천이나 바다로 방류한다.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 처리에는 활성 오니법이 대표적이다. 미생물을 적절하게 관리해야 하지만,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수준의 정화가 가능하여 대부분 처리장에서 주 처리(2차 처리) 공정으로 채택하고 있다.

병원체가 소독되지 않고 하천으로 유입되면 감염증 유행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하수 처리 과정에서 소독은 필수적이다. 소독은 인체에 대한 감염 위험성을 낮추는 것으로, 의학적·생물학적 의미에서의 멸균과는 다르다. 소독 효과를 측정하는 지표로는 대장균군이 사용된다.[1]

4. 1. 물리적 처리

물리적 처리는 침전, 여과 등 물리적인 방법을 통해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이다.[4]

침전은 고체 입자나 비극성 액체가 물과 밀도가 다를 때, 중력에 의해 하폐수에서 제거하는 공법이다. 여과는 물속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작은 입자성 물질의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가진 투과성 여과재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이 외에 부상 등의 물리적 작용에 의한 처리 공정이 슬러지 처리 및 고도 처리에서 채택되고 있다.

4. 1. 1. 침전

침전은 고체 입자나 비극성 액체가 밀도가 다를 때, 중력에 의해 하폐수에서 제거하는 공법이다. 고체 입자중력에 의한 분리는 생활하수 처리의 첫 번째 단계로 주로 사용되며, 이때 사용되는 반응조를 일차침전조라고 부른다. 침전은 가장 간단하면서도 제거 효율이 높은 하폐수 처리 공법이지만, 부유성이나 용존성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4]

응집제를 사용하면 부유성 또는 용존성 오염물질이 서로 뭉쳐 쉽게 침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주로 정수처리에 사용된다.

침전은 주로 비중 차이를 이용하여 중력 침강으로 하수 중의 침전성 유기물을 분리·제거한다. 또한 반응조로 유입되는 물과 오니의 부하를 조절하여 생물학적 처리를 위한 준비를 하는 역할도 한다. 다만, 산화구법(OD법)과 같이 최초 침전지가 없는 하수 처리장도 존재한다.

4. 1. 2. 여과

여과는 물속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작은 입자성 물질의 크기보다 작은 구멍을 갖고 있는 투과성 여과재를 사용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공법이다. 대표적인 자연 여과 과정은 지표수가 다공성 토양층을 통과해 지하수 층으로 들어가면서 많은 입자성 물질이 제거되는 과정이다. 하폐수 처리 공법에서 여과 공정의 처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여과 전에 응집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여과 공법은 가격이 저렴하고 운전이 간단한 것이 장점이지만, 여과 후 여과재에 쌓여 있는 걸러진 입자들을 제거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4. 2. 생물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는 미생물의 대사 작용을 이용하여 물속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공법으로, 하폐수 처리 공정에서 유기물을 제거하는 데 가장 대표적으로 적용된다. 유기물을 생물학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이차 처리라고 부른다.[1]

생물학적 산화 공법은 자연계에서 유기물이 제거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 주로 산소가 있는 조건에서 대사를 하는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유기물이 산화되며, 이 과정에서 산소가 소모된다. 따라서 소모되는 산소의 양인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은 물속 유기물의 양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1]

하수 처리장의 수처리 공정은 물리적으로 고형물 등을 분리·제거하는 "1차 처리"와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유기물을 제거하는 "2차 처리"로 나뉜다. 유기물 제거는 하천의 산소 부족을 방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오수 속 유기물은 용존 산소를 소모하여 하천 오염을 유발하기 때문에 2차 처리가 고안되었다.

미생물의 생존과 증식을 이용하여 하수 속 용해·부유성 유기물을 물과 탄산가스 등으로 산화 분해하는 방식이 사용되며, 활성 오니법이 대표적이다. 미생물을 적절하게 육성·관리해야 하지만,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높은 수준의 정화가 가능하여 대부분 처리장에서 주 처리(2차 처리) 공정으로 채택한다. 생물학적 처리에는 세균, 원생동물, 미소 생물 등이 혼재하며, 대사·자화에 의한 물질 순환과 먹이 사슬이 성립한다.[1]

생물학적 처리 방법에는 부유생물법, 생물막법, 담체법 등이 있다.

4. 2. 1. 부유생물법

폭기조라고도 한다. 미생물 등을 이용하여 하수 중의 유기물, 질소, 인을 중심으로 한 오염 물질을 처리한다. 물을 폭기(에어레이션)를 통해 산소를 용해시키고, 동시에 교반 혼합하는 에어레이션 탱크를 설치하여 그 안에 주로 호기성 미생물을 부유·체류시켜 오수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활성 슬러지법과 산화 연못으로 분류된다. 이 중, 활성 슬러지법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다.

  • 표준 활성 슬러지법: 기본이 되는 방식으로, 오수를 6~8시간 정도 체류시켜 그 사이에 정화한다.
  • 스텝 에어레이션법: 표준 활성 슬러지법의 발전된 형태이다. 에어레이션 탱크를 4개 정도로 분할하여, 각각에 오수를 유입시키는 방식이다. 표준 활성 슬러지법보다 처리 부하를 약간 높게 할 수 있다.
  • 장시간 에어레이션법: 표준 활성 슬러지법을 개선한 방식이다. 오수를 24시간 정도 체류시켜 안정된 처리를 목표로 하는 소규모 방식이다.
  • 산소 활성 슬러지법: 밀폐된 에어레이션 탱크에 순산소를 불어넣어 처리하는 방식이다. 체류 시간을 표준 활성 슬러지법의 절반 이하로 줄일 수 있어, 설비 설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 옥시데이션 디치(OD)법: 흐르는 풀과 같은 순환 수로를 사용한 소규모 방식이다. 소규모 처리장에서는 가장 채용 사례가 많다.
  • 회분식 활성 슬러지법: 하나의 에어레이션 탱크에서 생물 처리와 고액 분리의 과정을 교대로 수행하는 소규모 방식이다.
  • 막 분리 활성 슬러지법: 고액 분리를 분리막에 의해 수행하여, 고농도의 활성 슬러지로 높은 처리 부하를 달성할 수 있는 방식이다. 즉, 작은 반응 탱크와 최종 침전지 이후의 공정이 필요 없는 설비로 표준 활성 슬러지법과 동등 이상의 처리 수질을 얻을 수 있다.

4. 2. 2. 생물막법

접촉재, 여재를 배치한 수로나 수조, 또는 여재를 조립한 여상을 설치하고, 접촉재 표면에 다양한 미생물로 구성된 생물막을 성장시켜 오수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생물막이란 수중의 고체 표면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예를 들어 강바닥의 갈색 이끼와 같은 것으로, 호기성부터 혐기성까지 다양한 종류의 미생물로 구성된다. 접촉재는 수류와 생물막의 무게를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쇄석이나 플라스틱이 주로 사용된다. 생물막과 오수의 접촉 방법, 산소 공급 방법에 따라 몇 가지 종류가 있으며, 생물막이 항상 수면 위에 있는 경우, 항상 수면 아래에 있는 경우, 그 중간의 세 가지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1]

  • 살수 여상법: 최초의 하수 처리장에서 사용된 생물 처리법으로, 쇄석에 오수를 살수하고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한다. 처리수의 수질이 나빠 현재는 채택되지 않는다.
  • 접촉 산화법: 수조 속에 접촉재를 침전시키고, 폭기 교반한다. 설비면에서는 표준 활성 오니법과 유사하다.
  • 호기성 여상법: 하부에서 폭기를 하고 있는 여상에 오수를 통수함으로써, 여과와 생물 처리를 동시에 수행하는 방식. 최종 침전지가 불필요하다.
  • 회전 생물 접촉법(회전 원판법): 오수에 일부를 침지시킨 원판을 가로축 회전시켜, 생물막에 오수와 공기를 교대로 공급한다.

4. 2. 3. 담체법

부유 생물법과 생물막법의 중간적인 방식으로, 미생물을 담지시킨 담체를 물속에서 유동시켜 오수를 처리한다. 담체의 형상이나 재질, 담체 밀도나 교반 방식(무교반 ~ 부유 생물법 수준), 담지시키는 미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기법이 개발, 운전되고 있다.

실제 시설에서는 기존 폭기조를 개조하여 담체를 투입하는 사례가 많으며, 그 외 민간에서는 플랜트로서 유용 물질을 생산하는 사례까지 폭넓게 활용된다.

결합 고정화 방법은 미세한 스펀지를 폭기조에 투입하여, 그 안에 생물막을 성장시켜 이용하는 사례가 대표적이며, 하수 처리에 적합하다. 포괄 고정화 방법은 공장에서 배양한 미생물을 담체와 성형하여 이용한다. 생물 반응탑에서의 물질 생산 등에서 주류를 이루는 방식이다.

4. 3. 화학적 처리

화학적 산화는 오존이나 염소 등 화학적 산화제를 이용하여 물속에 있는 오염물질을 산화시켜 제거하는 공법이다. 주로 하폐수 처리를 한 후 물속에 잔존하고 있는 오염물질이나 미생물을 제거하는 후처리로 사용된다.[1] 약품을 사용한 방류수의 소독이나 고도 처리에서 금속 이온을 이용한 인산 이온의 난용해 처리 등이 있지만, 현대에는 유기물의 정화를 수행하는 주 처리로 사용되지 않는다.

처리 수질에 대한 요구 수준은 다양하지만, 위생적인 관점에서는 병원체가 포함되지 않는 것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소독 설비가 설치된다. 소독은 인체에 대한 감염 위험성을 낮추는 것으로, 의학적·생물학적 의미에서의 멸균과는 다르다. 병원체란 일부 세균, 바이러스, 원생생물 및 기생충 등을 가리키지만, 이 중에는 소독 난이도가 높은 것도 있다.

소독 효과를 측정하는 지표로 대장균군이 사용된다. 배양과 검출이 용이하고, 보편적인 장내 세균임을 이용하여 소화기계 병원균의 잔존을 간접적으로 검출한다.

4. 3. 1. 염소 소독

염소 소독은 차아염소산을 이용한 산화 및 효소 반응 저해를 통해 이루어진다. 차아염소산은 불안정하기 때문에 고체 염소 (차아염소산 칼슘, 트리클로로아이소시아누르산 제제), 차아염소산 나트륨, 액화 염소 등을 물에 용해시켜 생성한다. 이들의 사용 구분은 주로 시설 규모에 따라 달라지며, 뒤의 것일수록 대규모 처리에 적합하다.

차아염소산은 pH 7.5 정도를 경계로 소독력이 약 100분의 1로 급감하며,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클로라민으로 변화한다. 따라서 처리 수질 악화 등으로 암모니아성 질소가 대량으로 잔류하면 소독 효과가 크게 떨어진다.

세균에 대해서는 수 mg/L 이하에서도 효과를 발휘하지만, 바이러스를 소독하기 위해서는 200mg/L 정도가 필요하다. 하수 처리장의 염소 소독 레벨에서는 사실상 바이러스 소독 효과가 없다. 이는 바이러스가 저해되어야 할 효소 반응을 하지 않아 생물학적으로 소독(일종의 독살)할 수 없고, 화학적인 산화력으로 분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4. 3. 2. 자외선 소독

핵산파장 253.7nm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유전 정보가 손상되어 비활성화된다. 이 때문에 바이러스에 효과적이며, 할로겐 부생성물을 생성하지 않고 혼화 시간 및 설비가 필요 없다는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우천 시 방류수에도 이용된다.[1]

자외선은 투과력이 작고, 빛을 가리는 부유 물질에 약하기 때문에 고액 분리 불량에 의한 영향이 특히 크다. 또한 잔류 소독력을 가지지 않으며, 잔류 염소 농도와 같은 관리 지표도 없기 때문에 후단에 보완적인 염소 소독 설비를 추가하는 경우도 있다. 한편, 한 번 비활성화된 세균이 햇빛 등으로 재활성화되는 현상이 알려져 있지만, 증식 능력의 회복에는 이르지 않아 감염 위험은 낮다고 여겨진다.[1]

4. 3. 3. 오존 소독

오존 분자나 발생 라디칼에 의해 병원체의 체내를 산화 분해하는 방식으로, 소독 외에도 고도 처리에 이용된다. 오존은 공기 또는 분리된 산소로부터 무성 방전에 의해 현장에서 제조하여 사용한다. 오존은 유해하므로 처리수에 용해·반응 설비 외에 잉여 가스의 분해 설비 및 농도 감시 장치 등이 필요하다.

오존에 의한 산화 분해 반응의 효율은 화학 반응의 원칙에 따라 수온에 의존하며, 겨울철 등 저온에서 소독력이 저하되므로 보온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5. 고도 처리

고도 처리는 2차 처리로 제거되지 않는 오염 물질을 추가적으로 제거하는 공법이다. 주로 처리수를 활용하거나 방류 지점의 환경(특히 폐쇄성 수역(호소, 폐쇄성의 등)에서의 부영양화 대책)을 보전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도 처리는 추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급이 더뎠지만, 2003년 하수도법 개정으로 촉진될 전망이다.[5]

고도 처리 방법으로는 반응 탱크의 처리 방식 개선, 여과, 응집제에 의한 침전 촉진 등이 있다.

일본 시가현에서는 수도(水道) 물을 공급하는 비와호로 배출되는 생활 하수 중의 질소, 인이 적조녹조플랑크톤 대량 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시가현 비와호의 부영양화 방지에 관한 조례(비와호 조례)"와 함께 하수도 정비 및 고도 처리 설비 설치가 진행되어, 현재 비와호로 흘러드는 하수는 모두 고도 처리가 시행되고 있다.[5] 요도가와 수계의 유역 하수도에서는 6개소,[6] 교토시의 4개소 하수 처리장에서도 고도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도바 수환경 보전 센터 기쇼인 지소[7]와 후시미 수환경 보전 센터에서는 냄새나 염료의 색도 제거·소독을 위해 오존 처리가 시행되고 있다.

도시 하수에서는 질소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질산화를 진행시키면 처리수에 다량의 질산성 질소가 포함된다. 이는 침전조에서 탈질(질산→아질산→질소 가스)을 일으켜 가스가 오니에 부착, 부상하여 고액 분리를 어렵게 만든다. 이 때문에 질산화를 억제하는 운전(저 오니 농도·저 산소 농도)이 이루어지지만, 이는 사상균의 최적 조건이 되어 침전조에서 벌킹을 초래, 고액 분리를 어렵게 한다. 또한 질산화를 억제하면 질소 성분을 암모니아 상태로 방류하게 되어 BOD의 급격한 상승을 초래한다. 따라서 도시 하수도에서는 탈질이 필수적이다. 반응조에서 탈질을 하지 않는 처리장에서는 항상 침전조에서의 탈질에 의한 오니 부상과 벌킹을 반복하여 방류 수질이 좋지 않다.[5]

표준 활성 오니법의 경우, 혐기·호기법(AO법)에 의한 생물 탈질법은 반응조 입구 일부를 저산소 상태로 하면 되어 쉽게 할 수 있다. 반응조가 길게 설계되어 있고, 몇 개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만 교반용 공기를 줄이는 것만으로 저산소(혐기)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반송률을 올리지 않아도 적당한 재순환이 발생하여 탈질율을 확보할 수 있다. 유입수 저수위 운전 시 수량 변화에 의한 유입수 정지 시에도 처리수의 pH가 저하되지 않는다는 이점도 있다. 생물 탈질법을 하면 인의 제거도 할 수 있지만, 과잉 섭취된 인이 소화조나 배관에서 석출, 결정화되어 배관이 막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5. 1. 질소·인 제거

고도 처리는 주로 질소 제거를 목적으로 한다. 이는 생물 반응조 내에 혐기, 무산소, 호기성 상태를 만들어 호기성균이나 통성 혐기성균 등의 미생물을 이용해 질소나 인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대표적인 처리 방법으로는 인 제거를 위한 혐기·호기법(AO법), 질소 제거를 위한 순환식 질산화 탈질법(무산소·호기법), 질소·인 제거를 위한 혐기·무산소·호기법(A2O법)이 있다.[5]

생물 처리에 의한 인 제거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생물 반응조 마지막에 폴리 염화 알루미늄(PAC) 등의 무기 응집제를 첨가하여 인산을 응집 침전 처리하기도 한다.[5]

공공 하수도에서는 하수에 질소 성분이 많아 표준 활성 오니법 반응조에서 질산화가 진행되어 최종 침전지에서 질산 농도가 높아진다. 그러면 최종 침전지에서 탈질 반응(질산→아질산→질소)이 발생, 질소 가스 때문에 오니가 떠올라 고액 분리가 어려워져 수 처리에 악영향을 미친다. 이를 막기 위해 질산화를 억제하고자 반응조 내 용존 산소량을 낮추거나 오니 농도를 낮추면 사상균이 대량 발생해 오니가 가라앉지 않는 벌킹 현상이 발생, 고액 분리가 어려워져 수 처리에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공공 하수도에서는 탈질이 필수적이다.[5]

5. 2. 여과 시설

최종 침전지에서는 비중 차이에 의해 고액 분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미량의 부유 물질이 처리수에 섞여 들어가기 쉽다. 그래서 여과 시설을 설치하여 부유 물질과 그 안에 포함된 물질을 제거한다. 기존 시설에 추가하기 쉽고, 생물 처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때를 대비할 수 있어 비교적 널리 사용된다. 여재로는 모래부터 UF막까지 사용되는데, UF막을 사용한 여과는 재생수로 오피스 거리에 공급되기도 한다.[1]

5. 3. 오존 산화 + 생물 활성탄

오존의 산화력을 이용하여 생물 처리가 어려운 난분해성 유기물을 저분자화하고, 후단의 생물 활성탄(BAC)으로 생물 처리와 흡착 제거를 하는 방식이다. 주로 COD색도 제거를 목적으로 하며, 정수장에서도 이용되는 비교적 새로운 방식이다.[7]

6. 슬러지(오니) 처리

하수 처리장에서는 오수 처리와 함께 대량의 유기성 오니(슬러지)가 발생한다. 오니 처리 시설은 이를 부패하기 전에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꺼내기 쉬운 형태로 장외로 반출하고, 처분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오니 처리 시설은 거의 모든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농축과 탈수를 실시하여 수분을 85% 이하로 줄인다. 농축만으로는 슬러지의 수분이 95% 이상을 차지하여 진흙 상태로 취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탈수를 통해 수분을 85% 이하로 줄이면 습한 흙 상태가 되어 트럭 적재함에 실어 운반할 수 있으며, 폐기물 처리 및 청소에 관한 법률에 따라 유기성 오니로 취급되어 쉽게 처리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소화, 건조, 소각, 용융 등 다양한 처리 방법이 있으며, 하수 처리장의 규모, 최종 처분 형태, 처분처 조건 등에 맞춰 적절한 방법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일부 처리장에서는 농축된 오니를 파이프 압송이나 탱크로리차를 이용해 다른 장소로 보내 처리하기도 한다.

종말 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다.


  • 초침 슬러지: 최초 침전지에서 고형물이 분리되면서 생성된다. 무기물과 산화되지 않은 유기물을 많이 함유하고 있으며, 생 슬러지라고도 불린다.
  • 잉여 슬러지: 생물학적 처리 과정에서 유기물을 정화하면서 증식한 미생물이다. 반송 슬러지의 일부를 분기하여 슬러지 처리 시설로 보내는 경우가 많다.

6. 1. 농축

슬러지 처리 시설은 거의 모든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농축과 탈수를 실시하여 수분을 85% 이하로 탈수한다.[1] 농축만으로는 슬러지의 수분이 95% 이상을 차지하여 진흙 상태로 취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농축은 초침 슬러지 및 여잉 슬러지를 별개로 또는 혼합하여 일정 농도로 농축하는 것이다. 농축 방법에는 고형물과 물 사이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과 물리적인 분리에 의한 방법이 있다. 주로 탈수 공정에서의 효율 개선을 목적으로 하며, 슬러지 수송을 하는 경우 더욱 중요하다. 농축된 중간 생성물을 농축 슬러지라고 한다.

; 중력 농축

: 슬러지를 침전조에 체류시켜 비중 차이와 중력에 의해 농축한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지만, 기대할 수 있는 농도는 2~4%이다. 기계 농축을 하는 경우에도 전단에 중력 농축을 수반하는 예가 많다.

; 기계 농축

: 원심법과 여과법이 있다. 원심법은 중력 농축의 원리를 원심력으로 강화한 장치에 의한 것이다. 여과법은 최근 개발된 방법으로, 금속 등의 메쉬 위에 응집시킨 슬러지를 얹어 중력 여과한다.

; 부상 농축

: 미세한 기포를 고형물에 부착시켜 비중 차이를 역전시켜 수면으로 부상시켜 농축한다. 기포 생성 방법에 따라 가압법과 상압법이 있다. 가압법은 슬러지에 압력을 가해 가스를 봉입하고 한 번에 감압하여 가스화시켜 기포와 슬러지를 부상 농축시키는 방법이다. 상압법은 계면활성제로 거품을 낸 기포를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한 슬러지에 부착시켜 부상 농축시키는 방법이다. 기계 농축처럼 특수한 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후자는 소규모 시설에서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6. 2. 탈수

농축된 슬러지의 수분 함량을 더욱 낮추어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과정이다. 슬러지를 농축만 시키면 수분이 95% 이상을 차지하여 진흙 상태가 되어 취급하기 어렵다. 이를 탈수하여 수분을 85% 이하로 하면 습한 흙 상태가 되어, 트럭 적재함에 실어 운반할 수 있으며, 폐기물 처리 및 청소에 관한 법률상에서도 유기성 오니 취급이 되는 등, 쉽게 취급할 수 있게 된다.[1]

탈수는 농축 오니에 무기 응집제 또는 고분자 응집제를 첨가하여 탈수기에서 수행된다. 오니 탈수 메커니즘은 먼저, 물 속에 분산되어 있는 미세한 고형물 입자(콜로이드화되어 있다고 생각됨)의 표면 전하를 중화하여 응집성을 개선한 후, 고분자 실로 얽히게 하여 플록을 만드는 것으로 시작한다. 플록의 크기와 강도는 오니 탈수기의 방식에 따라 다르므로, 적절한 약품과 첨가율을 선택하여 플록의 크기와 강도를 조정하고 오니와의 혼합 상태를 균질화하기 위해 적절한 교반 방법을 선택한다. 농축 오니에 플록을 형성시킨 후, 원심력이나, 여과·압착력 등을 이용한 탈수기로 수분을 분리한다.

탈수 방법은 다음과 같다.

; 진공 여과

: 여포(여과용 천 필터)와 감압용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수분을 흡인 제거하는 고전적인 방법.

; 원심 탈수기 (데칸터)

: 가정용 세탁기의 탈수기와 마찬가지로, 매분 수천 회전하는 원통 내의 원심력으로 고액 분리한다.

; 벨트 프레스

: 폭이 넓은 2장의 여포에 농축 오니를 끼워 넣고, 롤러로 압착하여 수분을 짜낸다.

; 다중 원반

: 비교적 새로운 방식으로, 소형화, 무인화 등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금속 원반을 겹쳐서 여포 대신 사용한다.

; 스크류 프레스

: 원통 스크린 내의 스크류부에 오니를 투입하고, 내부 체적을 감소시키면서 스크류로 밀어 넣어 탈수하는 방법. 탈수된 오니는 배출구에서 배출되고, 분리수는 원통 스크린 전체에서 배출되어 오니 탈수를 수행한다.

6. 3. 건조

탈수는 취급을 용이하게 하지만, 아직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한계가 있다. 또한, 소화 공정을 거치지 않은 경우에는 부패하기 쉽다.[8] 소각 공정이나 퇴비화 처리를 위해, 더욱 수분을 줄이기 위해 건조 공정을 두는 경우가 있다.[8] 일부에서는 천일 건조도 행해지고 있지만, 대부분은 열원에 의한 기계 건조이다.[8] 열에너지의 가해지는 방식에 따라 직접 건조와 간접 건조로 나뉘지만, 후단의 처리에 따라 적절한 방식을 선정한다.[8] 또한, 종종 탈취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8]

이 외에 가스터빈 발전기에서 나오는 고온의 배기를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가스 열병합 발전을 행하고, 오니에서 나온 증기를 사용하여 발전하는 복합 화력 발전 기술이 확립되어 있다.[8]

;열풍 건조

: 고온의 공기를 파이프 내에서 선회시켜, 투입된 탈수 오니는 수 초 내에 건조된다.[8] 효율이 뛰어나지만 안정성에서 떨어진다.[8]

;기계 교반 건조

: 교반 장치를 설치한 고온의 원통 내에서 수 분에서 수십 분에 걸쳐 건조시킨다.[8] 운전 조건의 변동에 강하고 안정적이다.[8] 고온의 공기에 의한 직접 가열식과, 원통 외부를 열매체로 고온으로 유지하는 간접 가열식이 있다.[8]

함수율을 10~20%로 하면 건조 오니 비료로 만들 수 있다.[8] 용융로로 보내는 경우는 5~40%, 미생물 발효로 퇴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60~65%로 하며, 소각 처리에서는 자가 연소가 가능한 70%를 목표로 한다.[8]

6. 4. 소화

소화는 농축된 오니를 혐기성 미생물의 작용으로 안정화시키고 감량화하는 과정이다. 적절하게 운전하면 메탄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자원 재활용의 관점에서 재평가되고 있다. 주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9]

# 침전하는 오니와 부상하는 오니로 나누어 침전하는 오니를 1차 소화조에 투입한다.

# 1차 탱크에서 가온하면서 산 발효를 시킨 후, 2차 탱크에서 메탄 발효를 시킨다. 30일 정도 체류시켜 오니로부터 메탄 가스를 발생시킨 후, 다음 처리 공정(오니의 탈수 또는 소각, 퇴비화 등)으로 이행한다.

# 메탄 가스가 발생한 오니에 응집제라는 점성을 부여하는 약품을 첨가하여 탈수기로 오니를 수분과 고형물로 분리한다.

6. 5. 소각·용융·탄화

탈수된 오니(슬러지)를 고온으로 소각 또는 용융하여 감량화·안정화를 도모하고, 동시에 무기화하여 더욱 안전하게 만드는 방법이다. 소각할 때에는 유해 가스 발생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1]

탄화는 "탄"으로 만드는 방법으로, 유해 가스 발생이 적다는 특징이 있어 개발되고 있다.[1]

7. 슬러지(오니) 감량화

활성 오니법을 사용하는 시설에서는 파쇄한 오니를 생물조에 반송하여 감량화하는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다. 이는 오니의 발생 자체를 줄이려는 시도이다.[1]

잉여 오니에 가용화·재기질화 처리를 실시하여 생분해성을 개선한 후 생물 처리 공정으로 반송한다. 처리법으로는 오존, 강알칼리, 효소, 초음파, 전해, 열, 밀 등이 개발, 실용화되고 있다.[1] 이 외에도 조내 생태계의 먹이 사슬을 길게 하는 방법, 저부하로 내생 호흡에 의한 자기 산화를 촉진하는 방법 등 전통적인 수법에 기초한 것도 있다.[1]

8. 생성물 처리 및 재자원화

하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러지(오니)와 가스는 각각 처리 및 재활용된다. 슬러지는 농축, 탈수, 소화, 건조, 소각, 용융 등의 과정을 거쳐 처리되며, 비료, 시멘트, 벽돌 등의 원료로 재활용되거나 회수에 활용된다.[10][11][12] 슬러지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 가스는 화력 발전이나 복합 화력 발전의 연료, 또는 고베 시 노선 버스의 연료 등으로 재활용된다.[9][13]

8. 1. 슬러지(오니) 처리 및 이용

하수 처리장에서는 오수 처리와 함께 대량의 유기성 오니(슬러지)가 발생한다. 오니 처리 시설은 이를 부패하기 전에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꺼내기 쉬운 형태로 장외로 반출하고, 처분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거의 모든 하수 처리장에 설치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농축과 탈수를 실시하여 수분을 85% 이하로 줄인다. 농축만으로는 수분이 95% 이상을 차지하여 진흙 상태로 취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탈수 후에는 습한 흙 상태가 되어 트럭 적재함에 실어 운반할 수 있으며, 폐기물 처리 및 청소에 관한 법률상 유기성 오니로 취급되어 쉽게 다룰 수 있다.[10]

처리 방법으로는 소화, 건조, 소각, 용융 등이 있으며, 하수 처리장의 규모, 최종 처분 형태, 처분처 조건 등에 맞춰 다양한 방법이 조합된다. 일부 처리장에서는 농축된 오니를 파이프 압송이나 탱크로리차를 이용해 다른 장소로 보내 처리하기도 한다. 오니 처리를 통해 소화 공정에서는 "소화 오니", 탈수 공정에서는 "탈수 오니"(탈수 케이크라고도 불림)가 생성되며, 그 외의 공정에서도 처리된 오니 등이 생성된다.

하수 오니는 기본적으로 산업 폐기물로서 소각 여부와 관계없이 매립 처분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지의 하수 처리장에서는 오니 감량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오니 처리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오니의 성상과 양이 달라 과제도 다양하다.

한편, 오니는 "쓰레기" 감량화를 위해 재이용되기도 한다. 소각하여 비료, 시멘트 원료로 사용하거나, 압력을 가해 성형하여 벽돌 등으로 가공하기도 한다. 교토부 남부의 일부 지역에서는 오니로 만든 벽돌을 도로 공사 시 보도에 깔기도 한다.[11]

또한, 오니에 포함된 을 자원으로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다.[12] 기후시의 하수 처리장에는 인 회수 설비가 설치되어 회수된 인을 이용해 비료를 생산하고 있다.

8. 2. 발생 가스 이용

농축된 오니(슬러지)를 혐기성 미생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메탄 가스가 발생한다.[9] 이 메탄 가스는 자원 재활용의 관점에서 연료로 사용된다.[13] 화력 발전이나 복합 화력 발전의 연료로 사용되어 남은 열을 소화조 가온에 사용하며, 고베 시에서는 노선 버스의 연료로 재활용하기도 한다.[13]

9. 과제

하수 처리 과정에는 여러 문제점이 존재하며, 이에 대한 해결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도심 하수에는 대변, 소변 등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부패 및 백탁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정조 설치, 교반기 사용 등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또한, 하수 처리 시설은 도시 성장에 발맞춰 확대되어야 하므로, 초기 계획 단계에서 장기적인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14]

하수도 정화 능력 향상에 따른 수질 개선은 긍정적인 현상이지만, 역설적으로 수질의 영양분 감소로 인해 수산물 수확량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2019년 6월 마이니치 방송의 보도에 따르면, 효고현에서는 해수 중 질소 농도의 하한을 0.2g으로 하는 규제 방안을 검토하기도 했다. 오사카만에서는 바지락과 같은 이매패류에서 패류 독이 확산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역시 수질 개선이 원인이라는 보도가 있었다.https://www.sankei.com/west/news/130430/wst1304300046-n1.html

많은 하수 처리 시설에서는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유기적인 운전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설계값을 뛰어넘는 정화 능력을 발휘하는 경우도 많다.[14] 그러나 국민의힘과 같은 보수 정당은 하수 처리 시설 투자에 소극적인 경향을 보여, 수질 오염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9. 1. 유입 오수 부패

도심 하수에는 대변과 소변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원래 색깔은 노란색이다. 하지만 많은 하수 처리장에서 유입 오수의 부패 및 백탁 현상이 나타난다. 많은 처리장에서는 조정조를 설치하여 오수를 부패시키고, 가스 발생에 따른 플록 부상을 교반기로 침강시키는 등의 처리를 하고 있다.[1]

유입 오수의 부패는 황화 수소 발생에 의한 관거 및 처리 시설의 부식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가스 발생으로 인해 전처리 과정에서의 오니 침전 및 농축을 방해한다. 따라서 하수 처리장에서는 유입 오수의 부패를 막기 위해 유입 수위를 최대한 낮춰 운전해야 한다. 유입 수량이 변화하여 일시적으로 유입 오수가 없더라도 혐기성-호기성법(AO법)을 사용하고 있다면 방류수의 pH 저하 등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영양염류 부족으로 인한 오니 해체도 수 시간 정도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쇼크 응답으로 오니의 건전화에 기여한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1]

9. 2. 수질 정화에 따른 수산물 영향

하수도 정화 능력 향상에 따른 수질 개선은 긍정적인 일이다. 그러나 "수질 개선 = 역설적으로 수질의 영양분 감소"에 따른 수산물 수확 감소가 2019년 6월 마이니치 방송에 의해 보도되었으며, 효고현에서는 해수 중 질소 농도의 하한을 0.2g으로 하는 하한 규제를 검토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 오사카만에서 바지락 등의 이매패류에 패류 독이 확산되고 있는 것은 수질 개선이 원인이라는 보도도 있다. https://www.sankei.com/west/news/130430/wst1304300046-n1.html

9. 3. 기타

도시 하수에는 대변, 소변이 다량 포함되어 부패 및 백탁 현상이 나타나므로, 조정조 설치, 교반기 사용 등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하다. 하수 처리 시설은 도시 성장에 맞춰 확대되어야 하므로, 초기 계획 시 장기적인 관점을 고려해야 한다.[14]

많은 하수 처리 시설에서는 숙련 기술자에 의해 유기적인 운전 관리가 이루어지며, 설계값을 뛰어넘는 정화 능력을 발휘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14] 특히, 국민의힘 등 보수 정당은 하수 처리 시설 투자에 소극적인 경향을 보이며, 이는 수질 오염 문제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참조

[1] 웹사이트 「下水処理場の名前」の話 https://www.jswa.go.[...] 日本下水道事業団 2022-12-27
[2] 문서
[3] 웹사이트 旧三河島汚水処分場喞筒(ポンプ)場施設 https://www.gesui.me[...] 東京都 2022
[4] 웹사이트 下水の処理方法 (福島県の下水道) http://www.pref.fuku[...]
[5] 웹사이트 国土交通省近畿地方整備局大阪湾再生会議・資料 http://www.kkr.mlit.[...]
[6] 문서
[7] 웹사이트 鳥羽水環境保全センター吉祥院支所 http://www.city.kyot[...]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웹사이트 下水道の新しい取り組み http://www.kkr.mlit.[...] 国土交通省近畿地方整備局
[12] 웹사이트 下水道におけるリン資源化検討会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13] 뉴스 下水汚泥からメタンとリンを高効率で回収する技術 https://web.archive.[...] IBTimes(アイビータイムズ) 2006-12-06
[14] 웹사이트 下水道ものしり辞典 http://www.jswa.jp/s[...] 財)日本下水道協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