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중심언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제 중심 언어는 주어 대신 주제를 중심으로 문장이 구성되는 언어로, 수동태 축소, 허사 주어 부재, 이중 주어 문장, 관사 부재, 주어와 목적어의 모호성 등의 특징을 보인다.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터키어 등이 대표적인 예시이며, 언어에 따라 주제를 나타내는 방식과 문맥 의존성이 다르다. 주어 우세 언어와 비교했을 때, 동사의 인칭 변화와 같은 주어의 통어적 특권이 없고, 주어가 문법적으로 필수적이지 않다는 차이점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주제중심언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주제중심언어 |
정의 | 문장의 구문을 구성할 때 문장의 주제-해설 구조를 강조하는 언어 |
설명 | 화제(topic)가 문장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문장의 의미와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는 언어 유형 |
특징 | 문장 내에서 화제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화제는 문장 맨 앞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문법적인 주어와 화제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
언어 유형 | |
대조 | 주어 중심 언어 |
예시 |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
참고 자료 | |
서적 | 박종한, 양세욱, 김석영 (2012). 중국어의 비밀. 경기: 궁리. pp. 38-39. Charles N. Li, Sandra A. Thompson (1976). Subject and Topic. New York: Academic Press. pp. 457-489. |
2. 공통적인 특징
주제 중심 언어는 주어가 아닌 주제를 중심으로 문장이 구성되므로 다음과 같은 여러 구문 특징을 공유한다.
- 수동태가 존재하더라도 그 역할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 영어의 "It's raining"에서 "it"과 같은 허사 또는 더미 주어가 거의 없다.
- 흔히 '이중 주어' 문장이라고 불리는 형태는 실제로 주제와 주어로 이루어져 있다.
- 관사가 없다.
- 주어와 목적어의 구분이 확실하게 표시되지 않는다.
영어 등의 주어 우세 언어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보인다.
- 동사의 인칭 변화 등과 같은 문장에 대한 "주어"의 통어적인 특권이 없다.
- 주어가 통어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 일본어 "象は鼻が長い(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이른바 "총주 문"이 존재한다.
- 요리를 주문할 때 말하는 "ぼくはうなぎだ(나는 장어다)"와 같은 구문이 있다.[10]
주어 우세 언어에서도 주제를 표시하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11] 예를 들어, 게르만어파에서의 V2 어순 등은 도치적 어법이긴 하지만, 주제를 문장 앞에 두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또한, 스페인어처럼 통상적으로 주어의 대명사를 쓰지 않는 언어도 있지만, 이들은 동사에 주어의 인칭·수가 명시되므로, 주제 우세 언어에서의 주어 생략과는 다르다. 게다가 주어 우세 언어에서도 의미상의 주어와 형식상의 주어가 다른 표현이 많이 보인다.
2. 1. 수동태 역할 축소
주제 중심 언어에서는 수동태가 존재하더라도 그 역할이 축소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수동태의 주요 아이디어가 기본적으로 주제로 이해되기 때문이다. 목적어를 주어로 바꾸는 수동태 구성에서, 주제 중심 언어는 이미 주제가 문장의 중심 의미를 전달하므로 수동태의 필요성이 줄어든다.[1]2. 2. 허사 주어의 부재
영어의 "It's raining"에서 "it"과 같은 허사 또는 더미 주어가 거의 없다.[1]2. 3. 이중 주어 문장
흔히 '이중 주어' 문장이라고 불리는 형태는 실제로 주제와 주어로 이루어져 있다. 주제 중심 언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장 패턴을 흔히 볼 수 있다.
주어는 일본어처럼 격조사 'は(와)'로 표시되거나, 중국어처럼 어순(문장 맨 앞)으로 표시된다. 겉보기에는 주어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일본어의 "象は鼻が長い" (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문장을 '총주 문'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표현을 이중 주어로 볼 것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반면 중국어에서는 "주어 + 술어" 조합이 술어가 되는 '주위위어구'로 해석한다.
요리를 주문할 때 사용하는 일본어 표현인 "ぼくはうなぎだ" (나는 장어다)는 오쿠츠 케이이치로가 '장어 문'이라고 명명했다[10]. 이러한 표현은 주제와 주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 중심 언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중국어에도 "自己的名字都不記得" (자기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다)와 같이 주제를 문장 앞에 놓는 '장어 문'이 존재한다.
2. 4. 관사의 부재
주제 중심 언어는 관사가 없는데, 이는 오래된 정보와 새로운 정보를 나타내는 또 다른 방식이다.[1]2. 5. 주어와 목적어의 모호성
주제 중심 언어는 주어가 아닌 주제와 목적어를 중심으로 문장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어와 목적어의 구분이 확실하게 표시되지 않는다.[1] 리수어와 같은 일부 언어에서는 주어와 목적어를 구별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2]예를 들어, 리수어 문장 "làthyu nya ánà khù -a"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1]
- "사람들은, 그들이 개를 문다."
- "사람들은, 개가 그들을 문다."
이는 주어와 목적어의 구분이 모호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주제는 일본어처럼 격조사 "は(와)"로 표시되거나, 중국어처럼 어순(문두)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겉으로 보기에는 주어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3. 예시
주제 중심 언어의 예시로는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싱가포르 영어, 말레이시아 영어와 같은 동아시아 언어가 있다.[3] 터키어[3][4], 헝가리어[5], 소말리아어와 아메리카 원주민의 수어족 언어, 브라질 포르투갈어[6][7], 미국 수화[8]도 주제 중심 언어로 간주된다.
주제는 격조사 "は(와)"(일본어)로 표시되거나, 어순(문두)(중국어)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으며, 겉으로 보기에는 주어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영어 등의 주어 우세 언어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동사의 인칭 변화 등 문장에 대한 "주어"의 통어적인 특권이 없다.
- 주어가 통어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 일본어 "象は鼻が長い(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이른바 "총주 문"이 존재한다.
- 요리를 주문할 때 말하는 "ぼくはうなぎだ(나는 장어다)"(ぼくはうなぎだ|보쿠와 우나기다일본어)와 같이, 주제와 주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 우세 언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게 되는 구문이 있다. 중국어에서도 "自己的名字都不記得(자기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다)"와 같은 주제를 문두에 둔 장어 문이 있다.
주어 우세 언어에서도 주제를 표시하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11], 도치적 어법을 통해 주제를 문두에 두는 게르만어파의 경우처럼 주제 중심 언어와는 다른 방식으로 표현된다.
3. 1. 동아시아 언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 베트남어,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싱가포르 영어, 말레이시아 영어와 같은 동아시아 언어가 주제중심언어에 해당한다.[3][4][5][6][7][8]주제는 일본어처럼 격조사 "は(와)"로 표시되거나, 중국어처럼 어순(문두)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으며, 겉으로 보기에는 주어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영어 등의 주어 우세 언어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동사의 인칭 변화 등과 같이 문장에 대한 "주어"의 통어적인 특권이 없다.
- 주어가 통어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 일본어 "象は鼻が長い(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이른바 "총주 문"이 존재한다.
- 요리를 주문할 때 말하는 "ぼくはうなぎだ(나는 장어다)"(ぼくはうなぎだ|보쿠와 우나기다일본어)와 같이, 주제와 주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 우세 언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게 되는 구문이 있다. 중국어에서도 "自己的名字都不記得(자기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다)"와 같은 주제를 문두에 둔 장어 문이 있다.
3. 2. 기타 언어
터키어[3][4], 헝가리어[5], 소말리아어와 아메리카 원주민의 수어족 언어도 주제 중심 언어이다. 현대 언어학 연구에 따르면 브라질 포르투갈어는 주제 중심 언어 또는 주제 및 주어 중심 언어이며(브라질 포르투갈어#주제 중심 언어 참조)[6][7], 미국 수화도 주제 중심 언어로 간주된다.[8]4. 언어별 예시
주제는 일본어처럼 격조사 "は(와)"로 표시되거나, 중국어처럼 어순(문두)으로 표시되며, 겉으로 보기에는 주어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영어 등의 주어 우세 언어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 주어가 있는 언어에서 보이는 동사의 인칭 변화 등 문장에 대한 "주어"의 통어적인 특권이 없다.
- 주어가 문법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영어의 "''It'' rains."와 같이 실체가 없는 주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일본어 "象は鼻が長い(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총주 문"이 존재한다.
- 요리를 주문할 때 말하는 "ぼくはうなぎだ(나는 장어다)"(ぼくはうなぎだ|나는 장어다일본어)[10]와 같이, 주제와 주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 중심 언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는 구문이 있다. 중국어에서도 "自己的名字都不記得(자기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다)"와 같은 주제를 문두에 둔 장어 문이 있다.
주어 우세 언어에서도 주제를 표시하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11] 게르만어파에서의 V2 어순 등은 도치적 어법이지만, 주제를 문두에 두는 것을 허용한다. 스페인어처럼 주어의 대명사를 쓰지 않는 언어도 있지만, 이들은 동사에 주어의 인칭·수가 명시되므로, 주제 우세 언어에서의 주어 생략과는 다르다. 주어 우세 언어에서도 의미상의 주어와 형식상의 주어가 다른 표현이 많이 보인다.
4. 1. 중국어 (만다린)
만다린 중국어 문장은 주로 SVO 어순을 따르지만, 목적어를 문장의 주제로 승격시켜 겉보기에 OSV 어순을 만들 수 있다.[10] 주제는 일본어처럼 격조사 "は(와)"로 표시되거나, 중국어처럼 어순(문두)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겉보기에는 주어와 구별하기 어려울 때도 있다.다음은 일반적인 어순과 주제 중심 어순을 비교한 예시 문장이다.
'''주제 중심 어순'''
장삼|장삼|wǒ yǐjing jiàn-guò le중국어
(장삼은 내가 이미 만났어.)
'''일반적인 어순'''
(나는 이미 장삼을 만났어.)
4. 2. 일본어
일본어에서 주제는 격조사 "は(와)"로 표시되며, 겉으로 보기에는 주어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영어 등의 주어 중심 언어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동사의 인칭 변화 등 문장에 대한 "주어"의 통어적인 특권이 없다.
- 주어가 문법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영어의 "''It'' rains."와 같이 실체가 없는 주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象は鼻が長い(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총주 문"이 존재한다. 이러한 표현은 이중 주어로 해석할지에 대한 논쟁이 있지만, 중국어에서는 "주어 + 술어"의 조합이 술어가 된다고 해석한다.
- 요리를 주문할 때 말하는 "ぼくはうなぎだ(나는 장어다)"[10]와 같이, 주제와 주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 중심 언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는 구문이 있다.
魚は鯛がおいしい|사카나와 타이가 오이시이|물고기는 도미가 맛있다.일본어
위 문장에서 '물고기는'은 주제이고 '도미가'는 주어이다. 이 문장은 '물고기에 관해서라면, 도미가 맛있다' 또는 '도미는 맛있는 물고기이다'라는 의미를 갖는다.
4. 3. 라코타어
Miye ṡuŋkawaḱaŋ eya owiċabluspe yelo.|미예 슝카와카ŋ 에야 오위찰루스페 옐로.lkt: 나 말들 DET.PL 잡다-3PL.UND-1SG.ACT-잡다 DECL.남성
: (나에 관해서는) 말들, 내가 그들을 잡았다. → 내가 말들을 잡았다.[1]
4. 4. 터키어
너-목적격 내일 다시 보다-미래-1인칭단수|넌 내일 또 볼 거야.tr → 내일 널 또 볼 거야.5. 한국어의 특징
영어 등 주어 중심 언어와 비교했을 때, 한국어는 주제 중심 언어로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동사의 인칭 변화 등 문장에 대한 "주어"의 통어적인 특권이 없다.
- 주어가 없어도 문장이 성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영어의 "It rains."와 같이 실체가 없는 주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이른바 "총주 문"이 존재한다.
- 요리를 주문할 때 말하는 "나는 장어다"와 같이, 주제와 주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 중심 언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게 되는 구문이 있다.[10]
- 주어 중심 언어에서도 주제를 표시하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11] 예를 들어, 게르만어파에서의 V2 어순 등은 도치적 어법이지만, 주제를 문두에 두는 것을 허용한다.
- 주어 중심 언어에서도 스페인어처럼, 주어의 대명사를 생략하는 언어도 있지만, 이는 동사에 주어의 인칭·수가 명시되므로, 주제 중심 언어에서의 주어 생략과는 다르다.
5. 1. 조사 활용
주제를 나타내는 조사 "~는/은"은 격조사의 하나로, 겉으로 보기에는 주어와 구별하기 어려운 경우도 많다. 영어 등의 주어 중심 언어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동사의 인칭 변화 등과 같은 문장에 대한 "주어"의 통어적인 특권이 없다.
- 주어가 통어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 "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이른바 "총주 문"이 존재한다.
- 요리를 주문할 때 말하는 "나는 장어다"와 같이, 주제와 주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 중심 언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게 되는 구문이 있다.[10]
5. 2. 문맥 의존성
영어 등 주어 중심 언어와 비교하면, 주제 중심 언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동사의 인칭 변화 등 문장에 대한 "주어"의 통어적인 특권이 없다.
- 주어가 통어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 "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총주 문"이 존재한다.
- 주제와 주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 중심 언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는 구문이 있다. 예를 들어, 요리를 주문할 때 말하는 "나는 장어다"와 같은 표현이 있다.[10]
- 주어 중심 언어에서도 주제를 표시하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11] 게르만어파에서의 V2 어순 등은 도치적 어법이지만, 주제를 문두에 두는 것을 허용한다.
- 주어 중심 언어에서도 스페인어처럼, 통상적으로 주어의 대명사를 생략하는 언어도 있지만, 이는 동사에 주어의 인칭·수가 명시되므로, 주제 중심 언어에서의 주어 생략과는 다르다.
6. 참고: 주어 우세 언어와의 비교
영어 등 주어 우세 언어와 비교하면, 주제중심언어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동사의 인칭 변화 등 문장에 대한 "주어"의 통어적인 특권이 없다.
- 주어가 통어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영어의 "''It'' rains."와 같이 실체가 없고 문형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주어를 둘 필요가 없다.
- 일본어 "象は鼻が長い(코끼리는 코가 길다)"와 같은 "총주 문"이 존재한다. 중국어에서는 이러한 표현을 "주어 + 술어"의 조합이 술어가 된다고 해석한다.
- 요리를 주문할 때 말하는 일본어 "ぼくはうなぎだ(나는 장어다)"[10]와 같이, 주제와 주어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어 우세 언어로 직역하면 의미가 통하지 않게 되는 구문이 있다. 중국어에도 "自己的名字都不記得(자기 이름도 기억하지 못한다)"와 같은 주제를 문두에 둔 장어 문이 있다.
주어 우세 언어에서도 주제를 표시하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11] 게르만어파에서의 V2 어순 등은 주제를 문두에 두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스페인어처럼 통상적으로 주어의 대명사를 사용하지 않는 언어도 있지만, 이들은 동사에 주어의 인칭·수가 명시되므로, 주제 우세 언어에서의 주어 생략과는 다르다.
참조
[1]
서적
Subject and Topic
Academic Press
[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Linguistic Interfaces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Typology of Language Grammars - San Jose State University
http://www.sjsu.edu/[...]
[4]
간행물
A Typological Approach to Sentence Structure in Turkish - Yılmaz Kılıçaslan
http://www.turkofoni[...]
[5]
서적
Hungarian
Routledge
2002
[6]
문서
"O tópico no português do Brasil"
Pontes Editores
[7]
웹사이트
As Construções De Tópico No Português Do Brasil: Uma Análise Sintático-Discursiva Em Tempo Real
http://www.filologia[...]
Filologia.org.br
null
[8]
서적
Advances in the Sign Language Development of Deaf Childre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8-09-23
[9]
문서
"Subject and Topic: A New Typology of Language"
Academic Press
[10]
서적
"「ボクハ ウナギダ」の文法—ダとノ"
くろしお出版
[11]
문서
[12]
서적
중국어의 비밀
궁리
[13]
서적
Subject and Topic
https://www.research[...]
Academic Press
[14]
서적
중국어의 비밀
궁리
[15]
문서
[16]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