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심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심립은 동물 세포에서 발견되는 세포 소기관으로, 세포 분열과 세포 내 미세 소관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1875년 발터 플레밍과 1876년 에두아르 반 베네덴에 의해 공동 발견되었으며, 테오도어 보베리에 의해 "중심립"으로 명명되었다. 중심립은 방추체 형성, 세포질 분열, 편모 및 섬모 형성에 관여하며, DNA 복제 시 복제된다. 중심립은 3연 미세소관 9개로 구성된 원통형 구조를 가지며, 다양한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비정형 중심립과 같이 다양한 형태를 보이며, 정자 운동성 및 배아 발달에도 기여한다. 진핵생물의 마지막 공통 조상인 LECA는 중심립을 가진 섬모 세포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 운동 - 운동 단백질
    운동 단백질은 세포 내 능동 수송, 소낭 이동, 세포 분열, 근육 수축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마이오신, 키네신, 다이닌으로 분류되고 ATP를 사용하여 화학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변환하며, 결핍 시 질병과 관련될 수 있고 식물 세포는 동물 세포와 다른 특징을 가진다.
  • 세포 운동 - 운동성
    운동성은 대사 에너지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생물의 능력을 의미하며, 이동성과는 차이가 있고, 동물뿐 아니라 일부 세균, 미생물, 다세포 유기체의 체액 흐름, 그리고 장 운동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 단백질 복합체 -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은 단백질 간의 결합을 의미하며, 결합의 지속성, 결합력, 구성 단백질 종류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고, 물 분자에 의해 조절되며, 연구 방법과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질병 연구 및 신약 개발에 응용된다.
  • 단백질 복합체 - 광계 I
    광계 I(PSI)은 광합성 전자전달계의 효소로, 빛 에너지를 흡수하여 전자를 전달하며, P700을 포함한 다양한 색소, 조효소, 보조 인자로 구성되어 있다.
  • 세포소기관 - 소포 (세포)
    소포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세포 내 물질 수송, 소화, 분비, 세포간 신호 전달, 세포 외부 물질 소화 및 배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세포외소포체는 질병과의 연관성으로 주목받고 있고, 클라트린, COPI, COPII, SNARE 단백질 등이 소포 형성 및 수송에 관여한다.
  • 세포소기관 - 세포막
    세포막은 세포질을 둘러싸고 세포 내외부 환경을 구분하는 선택적 투과성 막으로,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물질 수송, 세포 형태 유지, 세포 간 신호 전달, 세포 접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동 모자이크 모델로 설명된다.
중심립
개요
동물 세포의 구조 다이어그램.
동물 세포의 일반적인 구조: 세포소기관은 다음과 같다. (1) 핵소체, (2) 핵, (3) 리보솜, (4) 소포, (5) 거친면 소포체, (6) 골지체, (7) 세포골격, (8) 매끈면 소포체, (9) 미토콘드리아, (10) 액포, (11) 세포질, (12) 리소좀, (13) 중심체
유형세포소기관
발견테오도르 보베리
발견 연도1888년
기능세포 분열에서 중요한 역할
추가 기능섬모와 편모의 형성을 조직화
구조
구성9개의 삼중미세소관으로 구성된 원통형 구조 두 개
중심체 주변에 위치
길이약 400 nm
지름약 200 nm
주요 단백질튜불린
역할
세포 분열미세소관을 조직화하여 방추체 형성
염색체 분리에 관여
섬모 및 편모 형성기저체 역할을 하여 섬모 및 편모의 미세소관 구조를 조립
기타
관련 질병중심체의 비정상적인 수 또는 구조는 암과 같은 질병과 관련될 수 있음

2. 역사

중심립은 1875년 발터 플레밍[8][9]과 1876년 에두아르 반 베네덴이 공동으로 발견했다.[10][9] 1883년 에두아르 반 베네덴은 두 개의 직교하는 중심립으로 구성된 중심체를 최초로 관찰했다.[11] 테오도어 보베리는 1888년 "중심립",[12][9][13][14] 1895년 "중심체"라는 용어를 도입했다.[15][9] 기저체는 1880년 테오도어 빌헬름 엥겔만이 명명했다.[16][9] 중심립 복제 패턴은 1950년경 에티엔 드 하르벤과 조셉 G. 갈이 독립적으로 처음 밝혀냈다.[17][18]

2. 1. 발견

발터 플레밍[8][9]과 에두아르 반 베네덴[10][9]은 1875년과 1876년에 각각 중심립을 공동으로 발견하였다. 1883년 에두아르 반 베네덴은 두 개의 직교하는 중심립으로 구성된 중심체를 최초로 관찰했다.[11] 테오도어 보베리는 1888년에 "중심립"[12][9][13][14], 1895년에는 "중심체"[15][9]라는 용어를 도입했다. 기저체는 1880년 테오도어 빌헬름 엥겔만에 의해 명명되었다.[16][9] 중심립 복제의 패턴은 1950년경 에티엔 드 하르벤과 조셉 G. 갈에 의해 독립적으로 처음 밝혀졌다.[17][18]

3. 세포 분열에서의 역할

어머니와 딸 중심립, 직교로 부착됨


중심립은 분열 방추체 형성과 세포질 분열 완료에 관여한다.[19] 중심립이 없어도 세포 분열이 가능하다는 실험 결과가 있다. 레이저로 중심립을 제거한 세포도 세포 주기를 진행할 수 있었고,[20] 중심립이 없는 돌연변이 파리도 유충 단계까지는 정상적으로 발달했다.[21] 다만, 이 파리는 성체가 된 후 편모와 섬모가 없어 출생 직후 사망했는데,[21] 이는 중심립이 편모와 섬모 형성에 필수적임을 보여준다.

3. 1. 방추사 형성

중심립은 분열 방추체의 구성과 세포질 분열의 완료에 관여한다.[19] 중심립은 이전에는 동물 세포에서 분열 방추체 형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 실험에 따르면, 레이저 절제를 통해 중심립을 제거한 세포도 중심립이 de novo 방식으로 나중에 합성되기 전에 간기의 G1 단계를 거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20] 또한 중심립이 없는 돌연변이 파리도 정상적으로 발달하지만, 성체 파리의 세포에는 편모와 섬모가 없어 출생 직후 사망한다.[21]

중심소체는 유사분열 시기에 형성되는 방추사를 형성하는 데 관여한다. 또한 세포질 분열을 완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39] 이전에는 동물 세포에서 방추사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중심소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지만, 레이저 제거를 통해 중심소체를 제거한 세포에서도 세포 주기를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40] 또한, 중심소체를 가지지 않은 돌연변이 파리도 편모나 섬모가 없는 것 외에는 거의 정상적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41] 편모나 섬모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중심소체가 필요하다는 것이 시사되었다. 이 외에도, 레이저 제거 및 유전자 조작을 통해 중심소체가 없는 세포는 성상체 미세 소관이 부족하여 정상적인 부등분열을 할 수 없다는 것도 밝혀졌다.

3. 2. 세포질 분열

중심립은 분열 방추체의 구성과 세포질 분열의 완료에 관여한다.[19] 이전에는 동물 세포에서 분열 방추체 형성에 필수적인 것으로 여겨졌으나, 최근 실험에 따르면 레이저 절제를 통해 중심립을 제거한 세포도 중심립이 de novo 방식으로 나중에 합성되기 전에 간기의 G1 단계를 거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20] 또한 중심립이 없는 돌연변이 파리도 정상적으로 발달하지만, 성체 파리의 세포에는 편모와 섬모가 없어 출생 직후 사망한다.[21]

중심소체는 유사분열 시기에 형성되는 방추사를 형성하는 데 관여하며, 세포질 분열을 완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여겨진다.[39]

4. 세포 내 구성

세포 중심체는 세포질 내 미세 소관을 구성하는 데 관여하는 세포 중심체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22][23] 세포 중심체의 위치는 핵의 위치를 결정하며, 세포의 공간적 배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5. 생식 (Fertility)

정자 중심립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중요한 기능을 한다.[24]


  • 정자 편모를 형성하고 정자를 움직이게 한다.
  • 수정 후 배아 발달에 기여한다.


정자는 접합자의 중심체와 미세소관계를 생성하는 중심립을 제공한다.[25]

6. 섬모 형성 (Ciliogenesis)

편모충과 섬모충에서 편모 또는 섬모의 위치는 모세포 중심립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기저체가 된다. 세포가 중심립을 사용하여 기능적인 편모와 섬모를 만들 수 없는 것은 여러 유전적 및 발달 질환과 관련이 있다. 특히, 섬모 조립 전에 중심립이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는 것은 최근 메켈-그루버 증후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26] 중심소체는 편모와 섬모의 형성을 조절하며, 중심소체가 정상적으로 기능하지 않으면 편모와 섬모가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아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메켈 증후군 등).

7. 동물 발생 (Animal development)

생쥐 배아의 중심립 전자 현미경 사진


배아 노드 세포의 후방을 향한 중심립 위치 지정과, 이를 통한 섬모의 적절한 방향 설정은 포유류 발달 과정에서 좌우 비대칭을 확립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27]

8. 중심립 복제

DNA 복제 전후, 세포 내에는 모 중심립과 딸 중심립이 존재하며, 세포 분열 과정에서 새로운 중심립이 형성된다. 복제 후 두 쌍의 중심립은 유사분열 전까지 서로 직교 상태를 유지하다가 세파라제 효소에 의해 분리된다.[28] 중심체 내 두 중심립은 연결되어 있으며, 모 중심립은 원위 말단에 방사형 부속물을 갖고, 근위 말단에서 딸 중심립에 부착된다. 세포 분열 후 각 딸 세포는 이 중심립 쌍 중 하나를 상속받으며, DNA 복제 시점에 중심립 복제가 시작된다.[19] 중심소체는 분열기의 중심체 각각에 두 개씩 포함되어 있으며, 분열에 의해 딸세포로 두 개씩 분배된다. 다음 주기에 중심소체가 복제됨으로써 그 수가 유지된다.

8. 1. 복제 과정

DNA 복제 전, 세포는 더 오래된 '''모 중심립'''과 더 젊은 '''딸 중심립'''이라는 두 개의 중심립을 가지고 있다. 세포 분열 동안, 새로운 중심립이 모 중심립과 딸 중심립의 근위 말단에서 성장한다. 복제 후, 두 쌍의 중심립(새로 조립된 중심립은 각 쌍에서 이제 딸 중심립이다)은 유사분열 전까지 서로 직교로 붙어 있게 된다. 그 시점에서 모 중심립과 딸 중심립은 세파라제라는 효소에 의존하여 분리된다.[28]

중심체 내의 두 중심립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모 중심립은 긴 축의 원위 말단에 방사형 부속물을 가지고 있으며, 근위 말단에서 딸 중심립에 부착된다. 세포 분열 후 형성된 각 딸 세포는 이 쌍 중 하나를 상속받게 된다. 중심립은 DNA가 복제될 때 복제를 시작한다.[19]

중심소체 복제는 세포 주기G1기와 S기 사이에 일어난다. G1기에서 S기에 걸쳐, 기존의 모 중심소체 측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딸 중심소체'''가 형성된다. 그 후 G2기에서 M기에 걸쳐 신장하고, 세포 분열에 의해 각각의 중심소체 쌍이 각 딸세포에 계승된다.

계승된 중심소체는 G1기에 분리되고, 딸 중심소체는 새로운 '''모 중심립'''이 된다. 이전 세포 주기에서도 모 중심소체였던 구조체는 '''오래된 모 중심립'''이라고 불리며 구분된다. 두 개의 모 중심소체 측면으로부터, 다시 딸 중심소체가 형성된다.

중심소체 형성 과정에서는, 처음에 카트 휠이라고 불리는 구조가 모 중심소체의 측면에 형성된다. 카트 휠은 자전거 바퀴와 같은 구조가 여러 층으로 쌓인 것이며, 그 외측에 미세 소관이 형성되면 딸 중심소체가 된다. 카트 휠은 분열기에 딸 중심소체에서 탈락하기 때문에, 모 중심소체에서는 관찰되지 않는다.

카트 휠 형성의 마스터 조절 인자는 PLK4라고 불리는 키나아제이다. PLK4를 과다 발현하면 대량의 중심소체가 형성되고, 반대로 Centrinone 등의 약물을 사용하여 억제하면 중심소체의 복제가 억제된다.

9. 구조

사람의 중심립은 3연 미세소관 9개가 고리 모양으로 배열된 지름 250nm, 길이 400nm 정도의 원통형 구조이다. 중심립 벽을 구성하는 미세소관의 마이너스(-) 단을 "Proximal", 플러스(+) 단을 "Distal"이라고 부른다.

3연 미세소관은 중심립의 축에 가까운 것부터 순서대로 A 미세소관, B 미세소관, C 미세소관이라고 불린다. 일반적인 미세소관은 튜불린 분자에 의한 프로토필라멘트가 13개 고리 모양으로 정렬된 구조이지만, 중심립의 A 미세소관은 13개, A 미세소관 측면에서 형성되는 B 미세소관은 9개, B 미세소관 측면에서 형성되는 C 미세소관은 8개의 프로토필라멘트로 구성된다. 중심립의 Distal 측 끝 부분에는 C 미세소관이 존재하지 않아 2연 미세소관이 된다.

A-C 링커, 이너 스캐폴드, 카트휠과 같은 구조는 중심립을 구성하는 9개의 3연 미세소관이 흩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연결 역할을 한다. A-C 링커는 중심립의 Proximal 쪽에만 존재하며, A 미세소관과 인접한 3연 미세소관의 C 미세소관 사이를 연결한다. 이너 스캐폴드는 중심립의 중앙부에 존재하며, 중심립 안쪽에서 구조를 지탱하는 골격으로 기능한다. 카트휠은 딸 중심립의 Proximal 쪽에만 존재하는 구조이며, 중심립 복제에 중요하다.

오래된 모 중심립만이 Distal 쪽에 중심소체 부속기라고 불리는 구조를 가진다. 부속기는 두 종류가 존재하며, Distal 측 끝에 있는 것을 Distal appendage, 그보다 조금 Proximal 쪽에 있는 것을 Subdistal appendage라고 부른다.

3연 미세 소관으로 구성된 중심소체

9. 1. 다른 종의 중심립

노랑초파리 등의 중심소체는 미세소관 이중체(더블렛 미세 소관)가 9개, 선충의 정자 세포 등의 중심소체는 미세소관 단일체(싱글렛 미세 소관) 9개로 구성되어 있다.[37][38]

10. 구성 단백질

중심립은 아래와 같은 단백질들로 구성된다.

단백질역할 및 위치
SASS6카트휠(cartwheel) 구조 형성에 관여
PLK4중심립 형성에 필수적인 키네이스
STIL중심립 복제에 관여
POC5중심립의 원위부(distal) 쪽에 위치
POC1B중심립의 원위부 쪽에 위치
센트린2중심립의 원위부 쪽에 위치하며, 섬모 형성에도 관여
FAM161A중심립의 원위부 부속지(distal appendage)에 위치
Cep164중심립의 원위부 부속지에 위치
ODF2중심립의 아원위부 부속지(subdistal appendage)에 위치
CEP128중심립의 아원위부 부속지에 위치
CP110중심립 성숙 및 섬모 형성에 관여
Cep97CP110과 함께 중심립 성숙 및 섬모 형성에 관여


11. 비정형 중심립 (Atypical centrioles)

전형적인 중심립은 방사형 대칭으로 배열된 9개의 미세소관 삼중체로 구성된다.[32] 중심립은 미세소관의 수를 변경할 수 있으며, ''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와 같이 9개의 미세소관 이중체 또는 예쁜꼬마선충(Caenorhabditis elegans)과 같이 9개의 미세소관 단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비정형 중심립은 ''초파리'' 정자에서 발견되는 근위 중심립 유사체와 같이 미세소관이 없거나,[33] 인간 정자의 원위 중심립과 같이 방사형 대칭이 없는 미세소관을 가진 중심립이다.[34] 비정형 중심립은 척추동물 진화 동안 적어도 8번 독립적으로 진화했을 수 있으며, 내부 수정이 진화한 후 정자에서 진화할 수 있다.[35]

최근까지 중심립이 왜 비정형적으로 되는지 명확하지 않았다. 비정형 원위 중심립은 역동적인 기저 복합체(DBC)를 형성하며, 이는 정자 목의 다른 구조와 함께 내부 슬라이딩의 폭포를 촉진하여 꼬리 박동과 머리 꺾임을 연결한다. 비정형 원위 중심립의 특성은 정자 꼬리 모터를 전체 정자에 연결하여 정자 기능을 향상시키는 전달 시스템으로 진화했음을 시사한다.[36]

12. 관련 용어

13. 진핵생물에서의 기원

진핵생물의 마지막 공통 조상(LECA)은 중심립이 있는 섬모 세포였다. 육상 식물과 같은 일부 진핵생물 계통은 운동성 있는 수컷 배우자를 제외하고는 중심립을 가지고 있지 않다. 중심립은 섬모 또는 편모 배우자를 가지고 있지 않은 구과식물과 피자식물의 모든 세포에서 완전히 제거되었다.[29]

마지막 공통 조상이 하나[30] 또는 두 개의 섬모를 가졌는지는 불분명하다.[31] 중심립 성장에 필요한 센트린을 코딩하는 것과 같은 중요한 유전자는 진핵생물에서만 발견되며, 세균 또는 고세균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30]

참조

[1] 논문 Posttranslational glutamylation of alpha-tubulin
[2] 논문 Cilia and the cell cycle?
[3] 논문 Assembly and motility of eukaryotic cilia and flagella. Lessons from Chlamydomonas reinhardtii
[4] 논문 Subdiffraction imaging of centrosomes reveals higher-order organizational features of pericentriolar material https://pubmed.ncbi.[...] 2012-11
[5] 논문 The arithmetic of centrosome biogenesis https://infoscience.[...]
[6] 논문 SAS-6 defines a protein family required for centrosome duplication in ''C. elegans'' and in human cells
[7] 논문 The centrosome in vertebrates: more than a microtubule-organizing center 2001-10
[8] 문서 Studien uber die Entwicklungsgeschichte der Najaden Sitzungsgeber. Akad. Wiss. Wien 1875
[9] 논문 From central to rudimentary to primary: the history of an underappreciated organelle whose time has come. The primary cilium 2009-12-23
[10] 문서 Contribution a l’histoire de la vesiculaire germinative et du premier noyau embryonnaire 1876
[11] 논문 JMM - Past and Present
[12] 문서 Zellen-Studien II. Die Befruchtung und Teilung des Eies von Ascaris megalocephala Jena. Z. Naturwiss. 1888
[13] 문서 Ueber das Verhalten der Centrosomen bei der Befruchtung des Seeigel-Eies nebst allgemeinen Bemerkungen über Centrosomen und Verwandtes https://archive.org/[...] Verh. d. Phys.-Med. Ges. zu Würzburg, N. F. 1895
[14] 문서 Zellen-Studien: Uber die Natur der Centrosomen. IV https://archive.org/[...] Fischer, Jena 1901
[15] 문서 Ueber die Befruchtungs und Entwickelungsfahigkeit kernloser Seeigeleier und uber die Moglichkeit ihrer Bastardierung 1895
[16] 문서 Zur Anatomie und Physiologie der Flimmerzellen 1880
[17] 서적 Biology: the foundations https://archive.org/[...] Wadsworth
[18] 서적 The Centrosome and Its Role in the Organization of Microtubules
[19] 논문 Centrin-2 is required for centriole duplication in mammalian cells
[20] 논문 The de novo centriole assembly pathway in HeLa cells: cell cycle progression and centriole assembly/maturation
[21] 논문 Flies without centrioles
[22] 논문 The mother centriole plays an instructive role in defining cell geometry
[23] 논문 Basal body/centriole assembly and continuity
[24] 논문 Atypical centrioles during sexual reproduction 2015
[25] 서적 A color atlas for human assisted reproduction: laboratory and clinical insights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3-11-09
[26] 논문 Disruption of Mks1 localization to the mother centriole causes cilia defects and developmental malformations in Meckel-Gruber syndrome
[27] 논문 Left–right asymmetry: cilia stir up new surprises in the node 2013-05-01
[28] 논문 Mechanism limiting centrosome duplication to once per cell cycle
[29] 논문 Centriole Evolution
[30] 서적 Eukaryotic Membranes and Cytoskeleton https://archive.org/[...]
[31] 논문 Analysis of Rare Genomic Changes Does Not Support the Unikont-Bikont Phylogeny and Suggests Cyanobacterial Symbiosis as the Point of Primary Radiation of Eukaryotes
[32] 논문 Building a centriole
[33] 논문 A Proximal Centriole-Like Structure is Present in Drosophila Spermatids and Can Serve as a Model to Study Centriole Duplication
[34] 논문 A novel atypical sperm centriole is functional during human fertilization
[35] 논문 Atypical Centriolar Composition Correlates with Internal Fertilization in Fish https://www.mdpi.com[...] 2022
[36] 논문 A dynamic basal complex modulates mammalian sperm movement https://doi.org/10.1[...]
[37] 논문 The arithmetic of centrosome biogenesis http://jcs.biologist[...]
[38] 논문 SAS-6 defines a protein family required for centrosome duplication in C. elegans and in human cells http://www.nature.co[...]
[39] 논문 Centrin-2 is required for centriole duplication in mammalian cells http://www.current-b[...]
[40] 논문 The de novo centriole assembly pathway in HeLa cells: cell cycle progression and centriole assembly/maturation http://www.jcb.org/c[...]
[41] 논문 Flies without centrioles http://linkinghub.el[...]
[42] 논문 The Enigma of Centriole Loss in the 1182-4 Cell Line 2020-05-23
[43] 웹인용 La mitose chez les végétaux https://planet-vie.e[...] 2000-02-15
[44] 저널 The Enigma of Centriole Loss in the 1182-4 Cell Line https://www.mdpi.com[...] 2020-05-23
[45] 저널 Implication des septines recrutées sur les microtubules tyrosinés et polyglutamylés dans la résistance au taxol de cellules cancéreuses mammaires MDA-MB 231 https://theses.hal.s[...] 2011-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