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 원수는 1955년 중국 인민해방군에 계급 제도가 도입되면서 제정된 군 계급이다. 이 계급은 중국 인민해방군을 건설하고 지휘하며, 탁월한 공을 세운 고급 장관에게 수여되었다. 1955년 9월, 10명의 군인에게 원수 계급이 수여되었으며, 이들을 10대 원수라고 부른다. 10대 원수는 주더, 펑더화이, 린뱌오, 류보청, 허룽, 천이, 뤄룽환, 쉬샹첸, 녜룽전, 예젠잉이다. 1965년 계급 제도가 폐지되었고, 1988년 계급 제도가 부활했지만 원수 계급은 부활하지 않았다. 10대 원수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초기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펑더화이와 린뱌오처럼 실각하거나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경우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 허룽 (1896년)
    허룽은 중국 공산당의 군사 지도자이자 인민해방군 원수로서, 난창 봉기의 주역이었으며 중국혁명에 기여했고, 의적 활동으로 시작해 농민군을 이끌며 국공합작, 항일전쟁, 국공 내전에서 활약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요직을 지냈으나 문화대혁명 중 사망 후 복권되어 그의 업적은 기념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 류보청
    류보청은 신해혁명부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까지 혁명에 헌신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고, 팔로군 사령관으로서 항일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국공 내전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중국의 군인이다.
  • 5성장군 - 시아오시 투포우 5세
    시아오시 투포우 5세는 통가의 제23대 국왕으로, 외무장관을 역임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다 2006년 즉위 후 민주주의 개혁을 추진하고 권력을 이양하는 등 통가의 정치 개혁에 힘썼으나 결혼하지 않아 왕위 계승권이 있는 자녀는 없었다.
  • 5성장군 - 우동측
    우동측은 김일성종합대학 졸업 후 요직을 두루 거치며 김정은 체제 안착을 위한 숙청을 주도했으며, 뇌졸중 또는 숙청설 이후에도 열병식에 참가하여 건재함을 과시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 훙쉐즈
    훙쉐즈는 중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 초기부터 홍군, 국공 내전, 한국 전쟁 등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으며, 이후 중국인민해방군 총후근부 부장과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전국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2. 제정 배경 및 폐지

1955년 2월 8일, 제1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제6차 회의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장교 복무 조례"[1]가 가결되어, 인민해방군에 계급 제도가 도입되면서 원수 계급이 제정되었다. 해당 조례는 "인민의 무장력을 건설·영도하고, 또는 전시 군단의 작전을 영도하며, 탁월한 훈공을 세운 고급 장관에게 수여한다" (제9조)라고 규정하였으며,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의 결정을 거쳐, 중화인민공화국 주석 명령에 의해 수여된다" (제18조 5항)라고 명시되었다.

1955년 9월 23일, 제1기 전인대 상무위원회 제22차 회의의 결정에 따라 10명의 군인이 동시에 원수 계급을 받았다.[2] 1955년 9월 27일, 베이징 중난하이에서 수여식이 거행되어, 마오쩌둥 국가주석으로부터 원수 계급과 훈장이 수여되었다.[3]

그러나 문화 대혁명 직전인 1965년 5월, 마오쩌둥의 군사 노선 변화로 계급 제도가 폐지되면서 원수 계급도 사라졌다.[4] 1988년 계급 제도가 부활했지만, 원수 계급은 '전시 계급'으로 간주되어 부활하지 않았다.[5]

3. 10대 원수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 정부는 주더, 펑더화이, 린뱌오, 류보청, 허룽, 천이, 뤄룽환, 쉬샹첸, 녜룽전, 예젠잉 등 10명에게 원수 계급을 수여했다. 이들을 '10대 원수'라고 부른다. 이들은 모두 1급 8·1 훈장, 1급 독립자유훈장, 1급 해방훈장을 받았다.

10대 원수는 중국 혁명과 건국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인물들이다. 주더, 린뱌오, 류보청, 허룽, 천이, 예젠잉은 1927년 8월 난창 봉기에 참가했고, 뤄룽환은 같은 해 9월 추수 봉기에, 쉬샹첸녜룽전은 같은 해 12월 광저우 봉기에 참가했다. 펑더화이는 1928년부터 정강산에서 활동하며 주더와 함께 중국공산당 초기 군사력을 이끌었다. 10명 모두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건설에 참여했다.


3. 1. 주더 (朱德)



'''주더'''(주덕, 1886년 12월 1일 ~ 1976년 7월 6일)는 중국 인민해방군 총사령관, 국가부주석, 국방위원회 부주석,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을 역임하였다. 1955년 원수 계급을 받았으며, 10대 원수 중 한 명이다. 1급 8·1 훈장, 1급 독립자유훈장, 1급 해방훈장을 받았다.

출생일사망일건국 이후 주요 직책
1886년 12월 1일1976년 7월 6일


3. 2. 펑더화이 (彭德怀)



'''펑더화이'''(1898년 10월 24일 ~ 1974년 11월 29일)는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가이다. 한국전쟁 당시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였다.[2]

출생일사망일건국 이후 주요 직위
1898년 10월 24일1974년 11월 29일


3. 3. 린뱌오 (林彪)



린뱌오1907년 12월 5일에 태어나 1971년 9월 13일에 사망했다. 그는 국무원 부총리, 국방위원회 부주석, 국방부장,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부주석・중앙정치국 상무위원,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1부주석을 역임하였다.[3] 린뱌오 사건으로 실각한 후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3. 4. 류보청 (刘伯承)



류보청1892년 12월 4일 쓰촨성 카이현에서 태어나 1986년 10월 7일 베이징시에서 사망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국방위원회 부주석,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부위원장,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당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하였다. 1955년 원수 계급을 수여받았으며, 1급 8·1 훈장, 1급 독립자유훈장, 1급 해방훈장을 수여받았다. 1927년 8월 난창 봉기에 참가하였다.

3. 5. 허룽 (贺龙)



허룽1896년 3월 22일에 태어나 1969년 6월 9일에 사망한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국무원 부총리, 국방위원회 부주석, 국가체육운동위원회 주임,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당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하였다.[5]

3. 6. 천이 (陈毅)



천이는 1901년 8월 26일 사천성 낙지현에서 출생하여 1972년 1월 6일 베이징시에서 사망했다. 그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국무원 부총리, 국방위원회 부주석, 외교부 부장,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당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6]

출생일사망일건국 후 주요 직책
1901년 8월 26일1972년 1월 6일국무원 부총리, 국방위원회 부주석, 외교부 장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3. 7. 뤄룽환 (罗荣桓)



뤄룽환1902년 11월 26일에 태어나 1963년 12월 16일에 사망했다. 그는 국방위원회 부주석,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부위원장,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당중앙 군사위원회 위원을 역임하였다.[7]

3. 8. 쉬샹첸 (徐向前)



쉬샹첸(서향전)은 1901년 11월 8일에 태어나 1990년 9월 21일에 사망한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그는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국방위원회 부주석,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부위원장, 국무원 부총리, 국방부 부장, 국가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당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8]

3. 9. 녜룽전 (聂荣臻)



녜룽전은 1899년 12월 29일에 태어나 1992년 5월 14일에 사망했다. 그는 국방위원회 부주석, 국무원 부총리, 국무원 과학기술위원회 주임,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부위원장, 국가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당중앙 군사위원회 부주석을 역임했다.[9]

3. 10. 예젠잉 (叶剑英)



1897년 4월 28일 출생, 1986년 10월 22일 사망하였다.

예젠잉이 역임한 주요 직책은 다음과 같다.

4. 5대 원수

岩波新書|이와나미 신서중국어의 『중국 근현대사』에 따르면, "5대 원수"라는 것이 존재한다[8]. 이 책에 따르면, 그 중 한 명은 녜룽전으로 되어 있지만, 다른 4명이 누구인지는 불분명하다[9].

5. 평가 및 영향

10대 원수는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과 초창기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인물들로 평가받는다. 이들은 모두 1급 8·1 훈장, 1급 독립자유훈장, 1급 해방훈장을 수여받았다.[1] 주더, 린뱌오, 류보청, 허룽, 천이, 예젠잉은 1927년 8월 남창 봉기에 참가했고,[1] 뤄룽환은 같은 해 9월 추수 봉기에 참가했다.[1] 쉬샹첸녜룽전은 같은 해 12월 광저우 봉기에 참가했으며,[1] 펑더화이는 1928년부터 정강산에서 활동하며 주더와 함께 활동했다.[1] 10명 모두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에 참여했다.[1]

하지만, 펑더화이는 여산회의에서 마오쩌둥대약진 운동을 비판했다가 실각하여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박해를 받고 사망했다. 린뱌오마오쩌둥의 후계자로 지목되었으나, 1971년 9월 13일 몽골 온두르한에서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린뱌오 사건은 중국 현대 정치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펑더화이는 한국 전쟁 당시 중국인민지원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국제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참조

[1] 웹사이트 中国人民解放軍軍官服役条例 http://www.npc.gov.c[...]
[2] 웹사이트 全国人民代表大会常務委員会関於授予中華人民共和国元帥軍銜的決議 http://www.npc.gov.c[...]
[3] 뉴스 中国人民解放軍軍銜制 http://news.xinhuane[...]
[4] 서적 1989
[5] 서적 1989
[6] 서적 1989
[7] 서적 徐向前と聶栄臻は元帥の称号を付されて報道されている。 1989
[8] 서적 1986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