녜룽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녜룽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군인, 정치인으로, 중일 전쟁, 국공 내전, 한국 전쟁 등에서 활약했다. 1923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유럽에서 유학 후 군사 교육을 받고, 국민혁명군과 팔로군에서 정치 장교, 사령관 등을 역임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에는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국방과학기술위원회 주임, 부총리 등을 거쳐 1955년 원수 칭호를 받았다. 그는 특히 중국의 핵무기 개발을 주도했으며, 문화 대혁명 기간에도 정치적 입지를 유지하며 활동했다. 1992년 사망했으며, 10대 원수 중 마지막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마오안잉
마오안잉은 마오쩌둥의 장남으로 소련 유학 및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전사했으며, 그의 죽음은 논란을 낳았고 중국과 북한에서 기리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한국 전쟁 참전 군인 - 왕훙원
왕훙원은 문화대혁명 시기 4인방으로 부상하여 중국공산당 부주석까지 올랐으나 마오쩌둥 사후 체포되어 몰락한 정치인으로, 급격한 권력 상승과 몰락은 권력 남용과 개인숭배의 위험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 허룽 (1896년)
허룽은 중국 공산당의 군사 지도자이자 인민해방군 원수로서, 난창 봉기의 주역이었으며 중국혁명에 기여했고, 의적 활동으로 시작해 농민군을 이끌며 국공합작, 항일전쟁, 국공 내전에서 활약했으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후 요직을 지냈으나 문화대혁명 중 사망 후 복권되어 그의 업적은 기념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 류보청
류보청은 신해혁명부터 중화인민공화국 건국까지 혁명에 헌신하며 군사적 경험을 쌓고, 팔로군 사령관으로서 항일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국공 내전의 주요 전투에서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에 기여한 중국의 군인이다. - 베이징 시장 - 자칭린
자칭린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푸젠성 당서기, 베이징시 시장, 당서기를 거쳐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과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주석을 역임했으며 장쩌민의 측근으로 대만 정책을 담당하고 다당제에 반대하는 등 중국 공산당의 입장을 대변했다. - 베이징 시장 - 궈진룽
궈진룽은 난징 대학 물리학과 졸업 후 쓰촨성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 티베트 자치구와 안후이성 당 서기를 거쳐 베이징 시장과 베이징시 당 서기를 역임하며 2008년 하계 올림픽과 2022년 동계 올림픽 유치에 기여한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인이다.
녜룽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聂荣臻 |
로마자 표기 | Niè Róngzhēn |
웨이드-자일스 표기 | Nieh Jung-chen |
출생일 | 1899년 12월 29일 |
사망일 | 1992년 5월 14일 |
출생지 | 청나라 쓰촨성 장진구 |
사망지 |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시 |
직업 | 장군 군사 교관 정치인 작가 |
정치 |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1923년 가입) |
군사 | |
복무 기간 | 1923년–1987년 |
소속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
최종 계급 |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
지휘 | 제115사단 사령관, 팔로군 화북군구 야전군 사령관 |
참전 | 북벌 중국 국공 내전 대장정 중일 전쟁 백단대전 |
상훈 | [[File:中国人民解放军一级八一勋章的略章.png|50px]] 팔일훈장 (1급 훈장) [[File:Order of Independence and Freedom 1st Class.svg|50px]] 독립자유훈장 (1급 훈장) [[File:中国人民解放军一级解放勋章的略章.PNG|50px]] 해방훈장 (1급 훈장) |
경력 | |
임기 시작 | 1959년 9월 10일 |
임기 종료 | 1987년 1월 8일 |
주요 경력 | 중국공산당 당무위원 중국공산당 명예고문위원 |
직책 | 중화인민공화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총리 | 저우언라이 중공 총리 린뱌오 중공 총리 권한대행 저우언라이 중공 총리 덩샤오핑 중공 총리 권한대행 저우언라이 중공 총리 장춘차오 중공 총리 권한대행 화궈펑 중공 총리 자오쯔양 중공 총리 |
배우자 | 룽성셴(龍升賢, 재결합) 장루이화(張瑞華, 이혼) |
자녀 | 딸 녜리(聂力) |
군복무 |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원수 전역 |
지휘 |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 |
참전 | 2차 대전 국공 내전 한국전 |
2. 생애
녜룽전은 청나라 말기 쓰촨성 장진 현(현재 충칭시 장진구)의 비교적 유복한 가정에서 태어났다.[4] 5·4 운동에 참여했으며, 1919년 말 프랑스로 근공검학[4] 유학을 떠나 샤를루아 등지에서 공부하며 저우언라이 등과 교류했다. 1922년 벨기에에서 유럽 중국 소년 공산당에 가입했고, 1923년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 1924년 소련으로 건너가 동방 노동자 공산 대학과 적군 학교에서 군사학을 공부했다.[4]
1925년 귀국 후 황포 군관 학교 정치부 교관으로 활동했으며,[4] 1927년 국공 합작 결렬 이후 난창 봉기를 시작으로 공산당의 무장 투쟁에 본격적으로 참여했다. 광저우 봉기 등 여러 봉기와 중국 공산당 중앙 특과 활동을 거쳐 홍군 제1군단 정치위원으로서[5] 대장정에 참여, 쭨이 회의에서 마오쩌둥을 지지하고 주요 전투를 지휘했다.
중일 전쟁 시기에는 팔로군 제115사단 부사단장으로 핑싱관 전투[6] 등에 참여했으며, 이후 진차지 군구 사령관 겸 정치위원으로서 진차지 변구 항일 근거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고 백단대전 등 주요 작전을 이끌었다. 제2차 국공 내전에서는 화북 군구 사령관으로서 핑진 전투를 지휘하여 베이핑(현 베이징)과 톈진 해방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 초대 베이징 시장(1949-1951)과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후에 총참모장 대리)을 역임하며 한국 전쟁 당시 중국인민지원군 파병 조직에 관여했다.[6]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받았고, 국무원 부총리 겸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주임 등을 맡아 중국의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을 주도했다.[7]
문화 대혁명 시기 2월 역류 사건으로 박해를 받았으나 이후 복권되어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등 고위직을 역임했다. 1987년 은퇴 후 1992년 5월 14일 베이징에서 94세(만 92세)로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으로 중화인민공화국 10대 원수는 모두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쓰촨성 장진 현(현재 충칭시 장진구)에서 태어났다.[4] 5·4 운동 당시 현지 학생들의 애국 투쟁에 참여했으며, 1919년 말 프랑스로 근공검학[4]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유학길에 올랐다. 이 시기 프랑스에서 함께 유학 온 저우언라이와 교류하게 되었다. 1922년 여름에는 벨기에로 건너가 샤를루아의 노동 대학교(''Université du Travail'')에서 공학과 과학을 공부했다. 같은 해 8월, 유럽 중국 소년 공산당(이후 중국 사회주의 청년단 유럽 지부로 개칭)에 가입했으며, 1923년 봄에는 중국 공산당에 정식으로 입당하여 유럽 사회주의 청년단 집행위원회 위원과 훈련부 부주임을 맡았다. 제1차 국공 합작 시기에는 국민당의 주파리 통신처 처장으로 활동하기도 했다.1924년 9월, 모스크바로 이동하여 동방 노동자 공산 대학에 입학[4]했고, 1925년 2월부터는 소련 적군 학교 중국반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다.
1925년 9월 중국으로 귀국한 녜룽전은 황푸 군관 학교 정치부 비서 겸 정치 교관으로 임명되어[4] 국민 혁명군 내에서 정치 공작을 담당했다. 당시 황푸 군관 학교 정치부 부국장은 저우언라이였다. 1926년 3월, 장제스가 일으킨 '중산함 사건'이 발생하자 저우언라이 등과 함께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주장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중공 광둥 구위 군위 특파원으로 임명되어 북벌 전쟁에 참여했으며, 북벌군이 우창을 점령한 후에는 중공 후베이 성위 군위 서기를 맡았다. 1927년 5월, 후베이 성위 군위가 중공 중앙 군사부에 편입되면서 중앙 군사부에서 활동했다.
국공 합작이 결렬된 후, 1927년 7월 중순 저우언라이의 지명으로 중공 전적 군위 서기가 되어 주장(九江)에서 무장 봉기를 준비했다. 8월 1일 난창 봉기가 발발하자 마후이링 지구에서 장파이 부대의 봉기를 조직했으며, 봉기군 제11군 당대표로 활동했다. 봉기군이 광둥 차오산 지구에서 패배한 후에는 홍콩으로 피신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광저우 봉기에 참여했고, 봉기가 실패로 돌아가자 예팅과 함께 철수를 결정하며 혁명 무장 역량을 보존하는 데 기여했다.
이후 1928년 중공 광둥 성위 군위 서기와 중공 순즈 성위 조직부 부장을 역임했다. 1930년 5월에는 상하이로 활동 무대를 옮겨 중국 공산당 중앙 특과와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에서 활동했다. 1931년 1월에는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1931년 말 중앙 소비에트 구에 진입한 후에는 중국 공농 홍군 총정치부 부주임[5]과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중앙 집행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32년 3월, 중국 공농 홍군 제1군단 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같은 달 마오쩌둥이 주장한 홍군 주력의 간둥 북동 지역 전개 전략을 지지하는 전보를 중앙 혁명 군사 위원회에 보냈다. 4월에는 장저우 전투를 성공적으로 지휘했으며, 점령 기간 동안 마오쩌둥이 제정한 도시 정책과 군율을 엄격히 시행하여 홍군의 정치적 영향력을 넓혔다. 그해 겨울에는 군단장 린뱌오와 함께 제4차 및 제5차 국민당군의 '포위 섬멸' 작전에 맞서 싸웠다.
1934년 10월, 녜룽전은 대장정에 참여했다. 샹장 전투에서는 린뱌오와 함께 수적으로 우세한 적의 공격을 막아내며 중앙 군사 위원회 종대 등 홍군 주력 부대의 강 도하를 엄호했다. 1935년 1월 열린 쭨이 회의(중공 중앙 정치국 확대 회의)에서는 마오쩌둥의 노선을 지지했다. 진사 강을 건넌 후에는 중앙 홍군 선견대의 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어 사령원 류보청과 함께 다량산 이족 거주 지역을 통과하고 강을 건너는 작전을 수행했으며, 서안 홍군의 루딩차오 점령 작전에 협력했다. 이후 린뱌오와 함께 홍1군단을 이끌고 험준한 라즈커우를 점령하여 홍군 주력의 북상 경로를 확보했다. 홍군 제1방면군과 제4방면군이 합류한 후에는 장궈타오의 분열 시도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샨베이에 도착한 후에는 뤄전과 함께 동정 및 서정 전역에 참여했으며, 1936년 11월에는 산청바오 전투를 지휘했다. 같은 해 12월, 중공 중앙 혁명 군사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 2. 군사 경력
녜룽전은 1924년 소비에트 연방에서 군사학을 공부하고 귀국 후 황푸군관학교 교관으로 군 경력을 시작했다.[4] 1927년 국공 합작 결렬 후 국민당군을 떠나 난창 봉기에 참여하며 본격적인 중국 공산당의 군사 활동에 투신했다. 이후 각지의 봉기에 참여하다 마오쩌둥과 주더의 홍군 제1방면군에 가담하여 제1군단 정치위원 등을 역임하며[5] 대장정에도 참여했다.중일 전쟁 기간에는 팔로군 제115사단 부사단장 및 정치위원, 진차지 군구 사령관 겸 정치위원을 맡아 핑싱관 전투[6] 등 주요 전투를 지휘하고 적 후방에서 항일 근거지를 개척하고 유격전을 이끌었다. 진차지 변구는 그의 지휘 아래 모범적인 항일 근거지로 평가받았다.
제2차 국공 내전 시기에는 화북 군구 사령관으로서 여러 전역을 성공적으로 지휘했으며, 특히 린뱌오, 뤄룽환과 함께 핑진 전투를 지휘하여 베이징과 톈진 지역의 국민당군 주력을 격파하고 베이핑(현 베이징)의 평화적 해방에 기여했다.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후에는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후에 총참모장 대리)을 역임하며 군 현대화에 기여했으며, 한국 전쟁 발발 시 고위 지휘 결정, 군사 작전 계획 수립, 중국인민지원군의 파병 조직 및 전시 동원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6]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수여받았으며, 이후 국무원 부총리 겸 국방과학기술위원회 주임 등을 맡아 중국의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을 주도했다.[7] 그는 문화 대혁명 중 2월 역류 사건으로 박해를 받기도 했으나 이후 복권되어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등을 역임했다.
2. 2. 1. 초기 경력
청나라 말기 쓰촨 성 장진 현(현재의 충칭 시 장진 구) 우탄의 가난한 농가에서 태어났다.[4] 5·4 운동 당시 현지 학생 운동에 참여하며 사회 활동을 시작했다. 1919년 말, 일하며 공부하는 근공검학 프로그램[4]의 일환으로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고, 그곳에서 저우언라이 등 미래의 혁명 동지들과 교류했다. 1922년 여름에는 벨기에 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했으며, 같은 해 8월 유럽 중국 소년 공산당(후에 중국 사회주의 청년단 유럽 지부로 개칭)에 가입했다. 이듬해인 1923년 봄, 중국 공산당에 정식으로 입당하여 유럽 사회주의 청년단 집행위원회 위원 및 훈련부 부주임을 맡아 활동했다. 제1차 국공 합작 시기에는 국민당의 주파리 통신처 처장을 지내기도 했다.1924년 9월, 혁명가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고 모스크바로 이동하여 동방 노동자 공산 대학에 입학[4]했으며, 1925년 2월부터는 소련 적군 학교 중국반에서 본격적인 군사 교육을 받았다.
1925년 9월 귀국하여 황푸군관학교 정치부 비서 겸 정치 교관으로 임명되어[4] 국민 혁명군 내에서 정치 공작을 담당했다. 당시 정치부 부국장은 저우언라이였다. 1926년 3월, 장제스가 일으킨 '중산함 사건'이 발생하자 저우언라이 등과 함께 이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같은 해 7월, 중국공산당 광둥 구역 위원회 군사위원회 특파원으로 임명되어 북벌 전쟁에 참전했다. 북벌군이 우창을 점령한 후에는 중국공산당 후베이 성 위원회 군사위원회 서기를 맡았다. 1927년 5월, 후베이 성위 군사위원회가 중공 중앙 군사부로 편입되면서 중앙 군사부에서 활동을 이어갔다.
1927년 국공 합작이 결렬되자 국민당군을 떠나 본격적인 무장 투쟁에 나섰다. 7월 중순, 저우언라이의 지시로 중국공산당 전적(前敵) 군사위원회 서기로 임명되어 주장(九江)에서 무장 봉기를 준비했다. 8월 1일 난창 봉기가 발발하자 마후이링 지구에서 장파이 휘하의 제25사단 2개 연대를 이끌고 봉기에 참여했으며, 봉기군 제11군 당대표를 맡았다. 봉기군이 광둥 차오산 지구에서 패배한 후 홍콩으로 피신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광저우 봉기에도 참가했으며, 봉기가 실패하자 예팅과 함께 병력을 보존하며 철수하는 결정을 내렸다.
이후에도 혁명 활동을 지속하여 1928년에는 중국공산당 광둥 성 위원회 군사위원회 서기, 중국공산당 순즈 성위원회 조직부 부장 등을 역임했다. 1930년 5월 상하이로 활동 무대를 옮겨 중국 공산당 중앙 특과와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31년 1월에는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1931년 말, 마오쩌둥 등이 있는 중앙 소비에트 구(中央蘇區)에 합류하여 중국 공농 홍군 총정치부 부주임으로 임명되었고[5],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중앙 집행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32년 3월, 중국 공농 홍군 제1군단 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어 군단장 린뱌오와 함께 활동했다. 같은 해 3월 21일, 중앙 혁명 군사 위원회에 전문을 보내 마오쩌둥의 주장대로 홍군 주력을 국민당의 통제력이 약한 간둥 북동 지역으로 이동시키자는 의견을 지지했다. 4월에는 장저우 전투를 성공적으로 지휘했으며, 점령 기간 동안 마오쩌둥이 제정한 도시 정책과 군율을 엄격히 시행하여 홍군의 정치적 영향력을 넓혔다. 그해 겨울에는 린뱌오와 함께 국민당군의 제4차, 제5차 '포위 섬멸' 작전에 맞서 싸웠다.
1934년 10월, 대장정에 참여했다. 대장정 과정에서 국민당군의 제4 방어선을 돌파할 때 린뱌오와 함께 압도적인 적의 공격을 막아내며 중앙 군사 위원회 종대 등 홍군 주력 부대가 샹장 강을 건너는 것을 엄호했다. 1935년 1월 열린 중공 중앙 정치국 확대 회의(쭨이 회의)에서는 마오쩌둥의 노선을 지지했다. 진사 강을 건넌 후에는 중앙 홍군 선견대의 정치 위원을 맡아 사령원 류보청과 함께 다량산 이족 거주 지역을 통과하고 강을 건너는 작전을 성공시켜, 서쪽으로 이동하던 홍군의 루딩차오(瀘定橋) 점령 작전을 지원했다. 이후 린뱌오와 함께 홍1군단을 이끌고 험준한 라즈커우(臘子口)를 점령하여 홍군 주력 부대의 북상 경로를 확보했다. 홍군 제1방면군과 제4방면군이 합류한 후에는 장궈타오의 분열 시도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최종 목적지인 산베이(陝北)에 도착한 후에는 동정(東征)과 서정(西征) 전역에 참가했다. 1936년 11월에는 산청바오 전투를 지휘했으며, 12월 중공 중앙 혁명 군사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 2. 2. 중일 전쟁
중일 전쟁이 발발하자 처음에는 린뱌오가 지휘하는 팔로군 제115사단의 부사단장 겸 정치위원으로 임명되었다. 사령관 린뱌오와 함께 핑싱관 전투를 지휘하여[6] 일본군 북지나 방면군 제5사단의 일부를 격파하는 성과를 거두었다.1937년 11월, 진차지 군구 사령관 겸 정치위원으로 임명되어 제115사 주력 부대와 당정 간부 약 3천 명을 이끌고 우타이 산으로 이동하여 진차지 변구를 건설했다. 이는 팔로군이 옌시산의 산시성 거점 인근에 게릴라 기지를 건설하기 위한 초기 활동 중 하나였다. 녜룽전 휘하의 약 2,000명 규모 부대는 이곳을 거점으로 적 후방 항일 근거지를 확립하고 유격전을 전개했다. 같은 해 11월 하순, 약 2만 명의 일본군이 진차지 변구를 포위 공격해왔으나, 유격전을 통해 이를 격퇴하고 부대를 약 2만 명까지 발전시켰다.


1938년 2월부터 7월까지 핑한(베이핑-한커우), 핑수이(베이핑-구이수이), 정타이(정딩-타이위안) 철도에 대해 세 차례의 습격전을 지휘했다. 이 시기 지둥(허베이 동부), 핑시(베이핑 서부), 핑베이(베이핑 북부) 등 항일 근거지에 부대를 파견하여 활동 범위를 넓혔다. 같은 해 10월, 중국 공산당 제6기 중앙위원회 제6차 전체회의(육중전회) 주석단은 진차지 변구를 "모범 항일 근거지와 통일 전선의 모범구"라고 높이 평가했다.
1939년 4월, 팔로군 제120사의 협력을 받아 주력 부대를 지휘하여 다룽화, 옌수야, 황투링 전투 및 진차지 변구 동계 반소탕 작전에서 승리했다. 특히 옌수야, 황투링 전투에서는 일본군 독립혼성 제2여단장 아베 노리히데 중장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렸다. 같은 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항일 모범 근거지 진차지 변구"라는 글을 집필했다. 1939년까지 진차지 변구는 72개 현, 인구 1,200만 명에 달하는 지역으로 성장했으며, 휘하 부대는 31개 연대, 약 10만 명을 보유했고, 민병 등 지방 무장 세력은 수십만 명에 이르렀다.
1940년 8월, 팔로군 총부의 명령에 따라 백단대전에 참가했다. 39개 연대와 지방 무장 세력을 동원하여 정타이, 징푸(베이징-푸커우), 핑한, 베이닝(베이징-선양), 창스(창즈-스자좡), 창바오(창즈-바오딩) 등 철도와 도로에 대한 대규모 습격을 지휘했으며, 화베이의 중요 연료 기지인 징싱 탄광을 파괴했다.
1941년 가을, 약 7만 명의 일본군이 북악, 핑시 근거지에 대한 대규모 소탕 작전을 전개하자, 당, 정, 군 기관의 약 1만 명을 이끌고 포위망에서 성공적으로 탈출했다. 1942년, 근거지가 점차 축소되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적 후방의 적 후방으로 돌진"이라는 투쟁 방침을 제시하며 끈질기게 유격전을 전개했다. 1943년까지 6년간 일본군의 10차례 포위 및 소탕 작전과 5차례의 치안 강화 운동을 좌절시키는 데 기여했다.
1943년 가을, 옌안으로 이동하여 정풍 운동에 참가했다. 1945년 4월, 중국 공산당 제7기 중앙위원으로 선출되었다[6]. 같은 해 8월 11일, 중공 중앙의 전면 반격 지시에 따라 진차지 군구 부대의 대일 반격 작전을 지휘하여 차하얼성(현재의 허베이성과 내몽골 자치구), 러허성(현재의 랴오닝성, 허베이성, 내몽골 자치구) 전역, 허베이성의 대부분, 산시성, 쑤이위안성(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의 일부를 해방시켰다.
2. 2. 3. 국공 내전
중국 내전 시기 녜룽전은 화북 군구를 지휘했다. 제2차 국공 내전 초기, 그는 항일 전쟁 승리 후에도 계속해서 진차지군구 사령원 겸 정치위원, 중국 공산당 진차지중앙국 서기를 맡았다. 중국 공산당 중앙의 지시에 따라 진차지 지역의 부대와 간부들을 동북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했다.1947년 4월에는 정태전역을 지휘하여 국민당군 약 3만 5천 명을 격멸하고, 정태 철도 노선 주변의 7개 도시와 징싱 등 중요 광구를 점령했다. 이를 통해 진차지 해방구와 진기로예 해방구를 연결하는 데 성공했다. 같은 해 바이이 학교를 설립하기도 했다.[1] 11월에는 청풍점전역에서 승리한 후 스자좡전역을 개시했다.
1948년 5월, 화북군구 사령원과 중국 공산당 중앙 화북국 제3서기로 임명되었다. 그해 3월부터 9월까지 차난, 수이둥, 러시, 지둥, 바오베이, 수이위안 등 여러 전역을 조직하여 국민당군 약 5만 6천 명을 추가로 격멸했으며, 이는 동북인민해방군의 작전을 지원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핑진 전투가 발발하자, 1949년 1월 중국 공산당 중앙의 결정에 따라 린뱌오, 뤄룽환과 함께 평진전선 총전적위원회를 조직하여 동북야전군과 화북군구 부대의 작전을 통일적으로 지휘했다. 베이징 근처 톈진에서 푸쭤이가 이끄는 국민당군을 격파하는 등, 국민당군 약 52만 명을 격멸했다. 이 과정에서 평화 협상에 참여하여 베이핑(현 베이징)의 평화적 해방에 기여했다.
1949년 2월에는 평진 위수 사령을 겸임했으며, 9월에는 베이핑 시 시장 겸 군사관제위원회 주임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베이핑 지역의 사회 질서를 신속히 안정시키고, 국민당군 화북총사령부 소속 병력 25만 명을 인민해방군으로 편입하는 임무를 완수했다.
2. 2. 4. 한국 전쟁
1950년 초, 쉬샹첸 총참모장이 병 치료를 위해 모스크바로 떠나자 총참모장 대리를 맡았다. 이 시기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중국인민지원군의 파병을 조직하는 역할을 수행했다.[6] 녜룽전은 총참모장으로서 전쟁 기간 동안 공산군 측의 작전을 입안하고 고위 지휘 결정과 군사 작전 계획 수립에 참여했으며, 전시 동원 책임도 분담했다.2. 3. 정치 경력
1919년 말 프랑스로 근공검학[4]을 떠나 샤를루아에서 저우언라이를 만났다. 그는 저우언라이의 권유로 워크 스터디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공학을 공부했고, 1922년 여름 벨기에 대학에서 화학을 공부하던 중 유럽 중국 소년 공산당(후에 중국 사회주의 청년단 유럽 지부로 개칭)에 참가했다. 1923년 봄 중국 공산당에 입당하여 유럽 사회주의 청년단 집행위원회 위원, 훈련부 부주임을 맡았다. 제1차 국공 합작 후에는 국민당의 주파리 통신처 처장을 지냈다.1924년 9월 모스크바로 건너가 동방 노동자 공산 대학에 입학[4]했고, 1925년 2월 소련 적군 학교 중국반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다. 같은 해 9월 귀국하여 황포 군관 학교 정치부 비서 겸 정치 교관이 되어[4] 국민 혁명군의 정치 공작을 담당했다. 당시 정치부 부국장은 저우언라이였다. 1926년 3월 '중산함 사건' 발생 후 저우언라이 등과 함께 장제스에 대한 대항을 주장했다. 7월에는 중공 광둥 구위 군위 특파원으로 임명되어 북벌 전쟁에 종군했고, 북벌군이 우창을 점령한 후 중공 후베이 성위 군위 서기로 임명되었다. 1927년 5월 중공 후베이 성위 군위가 중공 중앙 군사부에 편입되자 군사부에서 근무했다.
1927년 7월 중순, 저우언라이에 의해 중공 전적 군위 서기로 지명되어 주장(九江)에서 무장 봉기를 준비했다. 8월 1일 난창 봉기 당시 마후이링 지구에서 봉기를 조직하고 봉기군 제11군 당대표로 임명되었다. 봉기군이 광둥 차오산 지구에서 실패한 후 홍콩으로 이동했으며, 같은 해 12월 광저우 봉기에 참가했다. 봉기 실패 후 예팅과 함께 철수를 결정하여 혁명 무장 세력을 보존했다. 1928년 중공 광둥 성위 군위 서기, 중공 순즈 성위 조직부 부장으로 임명되었다. 1930년 5월 상하이로 옮겨 중국 공산당 중앙 특과와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의 공작을 담당했으며, 1931년 1월 중국 공산당 중앙 군사 위원회 참모장이 되었다.
1931년 말 중앙 소비에트 구에 들어간 후, 중국 공농 홍군 총정치부 부주임으로 임명되었고[5],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 중앙 집행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1932년 3월 중국 공농 홍군 제1군단 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같은 해 3월 21일 중앙 혁명 군사 위원회에 전보를 보내 마오쩌둥의 홍군 주력을 국민당의 지배가 약한 간둥 북동 지역에 전개하자는 의견을 지지했다. 4월 장저우 전투를 지휘하여 승리했으며, 장저우 주둔 기간 동안 마오쩌둥이 제정한 도시 정책과 기율을 집행하여 홍군의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같은 해 겨울 군단장 린뱌오와 함께 제4차, 제5차 반 '포위 섬멸' 작전에 참가했다.
1934년 10월 대장정에 참가했다. 대장정 중 적의 제4차 봉쇄선 돌파 시 린뱌오와 함께 중앙 군사 위원회 종대 등 홍군의 샹장 도하를 지원했다. 1935년 1월 중공 중앙 정치국 확대 회의 (쭨이 회의)에서 마오쩌둥의 주장을 지지했다. 진사 강 통과 후 중앙 홍군 선견대 정치 위원으로 임명되어 사령원 류보청과 함께 다량산 이족 거주 구역 통과 및 강행 도하를 지휘했다. 이후 린뱌오와 함께 홍1군단을 이끌고 라즈커우를 점령하여 홍군 주력의 전진로를 열었다. 홍1, 4방면군 회합 후 장궈타오의 분열 활동에 반대했으며, 샨베이 도착 후 뤄전과 동정·서정 전역에 참가했다. 1936년 11월 산청바오 전역을 지휘했고, 12월 중공 중앙 혁명 군사 위원회 위원으로 임명되었다.
1949년 6월,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에 임명되었다. 1950년 초 쉬샹첸 총참모장이 병 치료차 모스크바로 떠나자 총참모장 대리가 되어 인민해방군의 서남 지역 및 동남 해안 도서 해방, 국민당 잔여 세력 및 토비 숙청, 중국인민지원군의 한국 전쟁 파병 등을 조직했다. 1952년에는 초이발상의 장례식에 우란푸와 함께 참석했다. 그러나 같은 해 9월 과로로 쓰러져 1953년 총참모장 대리직을 사임하고 휴양했다.[6] 1954년 중앙인민정부 인민혁명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임명되어 군의 무기·장비 업무를 주관했다.
1955년 인민해방군에 장성 계급 제도가 도입되면서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과 1급 8.1 훈장, 1급 독립자유 훈장, 1급 해방 훈장을 수여받았다. 같은 해 7월 중공 중앙에 의해 원자력 사업을 지도하는 3인 소조의 성원으로 지정되었다. 1956년 4월 국무원 항공공업위원회 주임, 같은 해 10월 국무원 부총리 및 과학계획위원회 당조 서기에 임명되어 과학기술 업무를 총괄했다.[7] 1958년에는 국방과학기술위원회 주임과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주임을 겸임했다. 그는 인민해방군의 무기 현대화에 공헌했고, 중국의 핵무기 개발을 주도했다.
1959년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이 되어 첨단 병기 연구 개발을 주관했다. 1956년 "1956-1967년 과학기술 발전 원경 기획 요강(초안)" 제정을 주도하고 국방 수요에 맞춘 연구 목표를 명확히 했다. 1960년대 초 중소 분쟁으로 소련의 기술 지원이 중단되자, 1960년 7월과 1961년 8월 두 차례에 걸쳐 독자적인 기술력으로 미사일과 원자폭탄 개발을 지속할 것을 중공 중앙과 마오쩌둥에게 보고하고 이를 관철시켰다.
문화 대혁명 중에는 린뱌오·장칭 반혁명 집단과 투쟁했으나, 2월 역류의 성원으로 지목되어 박해를 받았다. 1969년 여름,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의 위탁을 받아 천이의 주재 하에 예젠잉, 쉬샹첸 등과 함께 국내외 정세를 연구하고 대외 관계 개선을 위한 전략적 의견과 건의를 제출했다.
녜룽전은 중공 제7차부터 제12차까지 중앙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 제8차(11중전회 보선), 제11차, 제12차 중앙정치국 위원이었다. 또한 제4차, 제5차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제1차부터 제3차까지 국방위원회 부주석을 지냈다.
1983년 6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에 임명되었고, 1987년 11월 당내외의 모든 직무에서 물러났다.
아래는 녜룽전의 주요 정치 경력을 요약한 표이다.
연도 | 주요 경력 |
---|---|
1919년 | 프랑스에서 근공검학 |
1922년 | 중국 공산당 입당 |
1924년 | 소비에트 연방 유학 |
1925년 | 황포군관학교 교관 |
1927년 | 난창 봉기 참가 |
1937년 | 진차지 군구 사령원 겸 정치위원 |
1949년 |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 베이징 시장 |
1955년 | 원수 |
1956년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부총리 |
1959년 |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2. 4. 문화대혁명과 그 이후
문화대혁명 기간 동안 녜룽전은 복잡한 상황에 처했다. 그는 반대자들로부터 파벌주의라는 비판을 받았고, 중국 군사 기술 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 정치적 노력을 기울여야 했다. 이 시기 그는 린뱌오·장칭 반혁명 집단과 투쟁했으나, 2월 역류 사건에 연루되어 박해를 받기도 했다. 또한 문화대혁명 중에 중화인민공화국 국방위원장 자리를 잃었다.하지만 1969년 봄까지 중국의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 전체를 제7기계공업부 수장으로서 관할했으며,[2] 같은 해 여름에는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의 지시로 천이의 주재 하에 예젠잉, 쉬샹첸 등과 함께 국제 정세를 분석하고 대외 정책 방향을 제안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문화대혁명이 끝난 후, 마오쩌둥 사후에는 사인방 체포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1959년 9월 10일부터 1987년 1월 8일까지 중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직책을 역임했으며, 1983년 6월에는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도 지냈다. 그는 중공 제7기부터 제12기까지 중앙위원이었고, 제8기(11중전회 보선), 제11기, 제12기 중앙정치국 위원을 역임했다.
1987년 11월 모든 공직에서 은퇴했으며, 1992년 5월 14일 베이징에서 향년 94세(만 92세)로 사망했다. 그의 죽음으로 중화인민공화국 10대 원수는 모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3. 최후
문화대혁명 기간 중에 중화인민공화국 공산당 국방위원장 자리를 잃었으나, 마오쩌둥 사후 사인방의 체포에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다른 한편 1959년 9월 10일부터 1987년 1월 8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 직책을 역임했다.
4. 개인사
녜는 1930년 장루이화(张瑞华)와 결혼하여 딸 녜리를 낳았다. 그러나 1934년, 중국 국민당은 리와 장루이화를 투옥시켰고, 녜는 1945년에야 가족과 재회할 수 있었다. 녜리는 중국 인민해방군에서 최초의 여성 중장이 되었다.[3]
1940년 8월 20일, 백단대전 중 징싱 탄광 습격 당시, 녜룽전은 둥왕서촌에서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일본인 소녀 가키 미호코(당시 4세)와 루미코(당시 1세) 자매를 발견하고 보호했다. 루미코는 이후 일본군에게 인계된 후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녜룽전은 미호코 자매를 정성껏 돌보았으며, 같은 해 10월 친필 편지와 함께 일본군에게 안전하게 돌려보냈다. 이러한 인도적인 행동은 훗날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40년이 지난 1980년, 녜룽전과 가키 미호코는 베이징에서 감동적으로 재회했다.[8][9] 이 인연을 계기로 가키 자매의 고향인 일본 미야자키현 미야코노조시와 녜룽전의 고향인 중국 충칭시 장진구는 1999년 우호 교류 도시 관계를 맺었다. 또한, 2007년 당시 중국 총리였던 원자바오가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이 일화를 "중일 우호의 모범"으로 소개하기도 했다.[10]
딸 녜리는 국방과학기술공업위원회 주임을 역임한 딩헝가오 상장과 결혼했으며, 중국 인민해방군 여성 군인으로서 최고 계급인 중장까지 진급했다.
5. 평가 및 유산
녜룽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건국과 발전에 기여한 군인이자 정치가로 평가받는다. 특히 중국의 핵무기 개발과 첨단 과학기술 발전을 이끈 핵심 인물로 꼽힌다. 1950년대 후반부터 국무원 부총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주임 등을 역임하며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을 총괄했으며[7], 중소 분쟁으로 소련의 기술 지원이 중단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미사일과 원자폭탄 개발을 강력히 추진하여 성공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1969년까지 중국의 핵무기 프로그램 전체가 그의 관리하에 있었다고 할 정도이다.[2]
군사적으로는 난창 봉기, 대장정, 중일 전쟁, 국공 내전 등 중국 현대사의 주요 혁명 과정에 참여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중일 전쟁 시기에는 팔로군 지휘관으로서 핑싱관 전투를 승리로 이끌고[6], 진차지 항일 근거지를 성공적으로 구축하여 "모범 항일 근거지"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정치적으로는 중국 공산당 초기부터 활동하여 중앙정치국 위원,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등 당과 국가의 최고 지도부에서 활동했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는 린뱌오, 장칭 등 반혁명 집단에 맞서다 '2월 역류' 사건에 연루되어 박해를 받기도 했으나, 이후 복권되어 국가 원로로서 활동을 이어갔다.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 원수 계급을 수여받았으며, 1992년 사망 시까지 중국의 국방 및 과학기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사망으로 중국 공산 혁명 1세대를 상징하는 10대 원수 시대는 막을 내렸다.
5. 1. 중일 관계 관련 일화
1940년 8월 20일, 백단대전의 징싱 탄광 습격 당시, 녜룽전은 둥왕서촌에서 전쟁으로 부모를 잃은 일본인 소녀 가키 미호코(당시 4세)와 루미코(당시 1세) 자매를 발견하고 보호했다. 녜룽전은 자매를 정성껏 돌보았으며, 같은 해 10월에는 직접 쓴 편지와 함께 자매를 일본군에게 안전하게 돌려보냈다. 안타깝게도 동생 루미코는 일본군에게 인계된 후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8][9]
이 사건은 40년이 지난 1980년에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녜룽전과 생존한 언니 가키 미호코는 베이징에서 감동적인 재회를 가졌다.[8][9] 이 만남은 단순한 개인적인 재회를 넘어 중일 관계 개선의 상징적인 일화로 여겨졌다. 이를 계기로 가키 자매의 고향인 일본 미야자키현 미야코노조시와 녜룽전의 고향인 중국 충칭시 장진구는 1999년 우호 교류 도시 협정을 체결했다.
또한, 2007년 중국의 원자바오 총리(당시)가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이 일화를 "중일 우호의 모범" 사례로 언급하며 양국 관계의 긍정적인 측면을 강조하기도 했다.[10]
6. 저작
- 『항일 모범 근거지 진차지 변구』(1939년)
- 『녜룽전 회고록』(1984년)
참조
[1]
웹사이트
What we can learn from Xi's childhood
https://www.chinadai[...]
2018-06-01
[2]
뉴스
The first Western look at the secret H-bomb centre in China
1969-08-09
[3]
웹사이트
http://www.no1story.[...]
2008-04-10
[4]
서적
平松(2002年)、127ページ。
[5]
서적
平松(2002年)、127-128ページ。
[6]
서적
平松(2002年)、128ページ。
[7]
서적
平松(2002年)、129ページ。
[8]
웹사이트
歴史の証人:共産党軍に救出された栫美穂子さん
http://fukuoka.china[...]
[9]
서적
将軍と孤児 : 八路軍聶将軍と美穂子の物語
サイマル出版会
[10]
뉴스
"戦時の恩人・・・日中を結ぶ 中国・故聶将軍生誕110年"
2009-11-11
[11]
웹인용
원로 세대교체 신호탄/이선념 사망이후의 중국
https://www.joongang[...]
1992-06-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