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지리나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리나베는 생선과 채소를 물에 넣어 끓여 먹는 일본의 냄비 요리이다.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생선 이름 뒤에 '지리'를 붙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 대구지리, 도미지리, 복어지리 등이 대표적이며, 복어지리는 '텟치리'라고도 불린다. 나가사키현에서는 자바리 살점을 사용하기도 하며, 닭고기나 돼지고기를 넣은 변형된 형태도 존재한다. 지리나베는 폰즈 소스에 찍어 먹으며, 고명으로 실파, 무즙, 고춧가루 등을 곁들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베모노 - 이시카리나베
    이시카리나베는 홋카이도 이시카리강에서 유래한 향토 요리로, 연어와 채소를 된장국에 넣어 끓인 것이며, 2007년 향토 음식으로 선정되었고 9월 15일은 기념일이다.
  • 나베모노 - 스키야키
    스키야키는 일본의 대표적인 냄비 요리로, 얇게 썬 고기, 채소, 두부 등을 얕은 냄비에 끓여 먹으며 간토식과 간사이식 조리법의 차이와 날달걀을 풀어 만든 달걀물에 찍어 먹는 특징이 있고, 해외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즐겨 먹으며 특히 대만과 태국에서는 독자적인 스타일로 발전했다.
지리나베
요리 정보
종류냄비 요리
기원일본
주재료생선
두부
채소
변형미즈타키
유도후
명칭
일본어ちり鍋 (지리나베)
로마자 표기Chirinabe
영어Fish and vegetable hot pot

2. 역사

지리나베라는 이름은 신선한 생선 살점을 뜨거운 물에 넣으면 쪼그라드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 흰살 생선 등을 찜으로 만든 것은 같은 이유로 "지리찜"이라고 부른다[2].

2. 1. 일본

역사적으로 생선과 채소를 물에 넣어 끓인 요리는 중국 지방과 시코쿠에서 오래전부터 볼 수 있었다. 도쿄에서 냄비 요리로 널리 퍼진 것은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이다[1] . 또한, 생선을 먹지 않는 서양인이 나온 생선회를 냄비에 넣어 불에 익혀 먹은 것이 시작이라는 설도 있다[2] .

"지리나베"라는 이름의 유래는 신선한 생선 살점을 뜨거운 물에 넣으면 쪼그라드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흰살 생선 살점 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찜으로 만든 요리는 같은 이유로 "지리찜"이라고 부른다[2] .

중심이 되는 생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어종 이름의 꼬리에 "지리"를 붙인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대구를 사용한 "대구지리", 도미를 사용한 "도미지리", 복어를 사용한 "복어지리"가 있다. 복어지리는 별명 "텟치리"라고도 불리며, 이는 복어의 속칭 "뎃포"(독이 있어서 맞으면 죽는다는 데서 유래)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3] . 나가사키현에서는 자바리 (아라)의 살점도 사용되어 왔다. 또한 흰살 생선뿐만 아니라 닭고기 등의 육류를 사용한 냄비 요리도 물에 삶는 방식이라면 "지리나베"로 취급하게 되었으며, 그중에서도 돼지고기 얇게 썬 것을 사용한 "돼지 지리"는 상야나베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생선 살점 외에 곁들여지는 재료로는 배추, 쑥갓 등의 잎채소가 사용된다. 뿌리채소류는 당근을 얇게 썰어 넣는 경우가 있다.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도 사용한다. 또한 두부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당면을 넣기도 한다. 물에 삶는 것이 기본이지만, 풍미를 보충하기 위해 다시마를 넣기도 한다.

먹을 때는 개인 접시에 폰즈를 찍어 간을 한다. 고명으로는 실파나 모미지오로시, 고춧가루 등이 사용된다. 각자가 고명 등으로 즐길 수 있는 자유로운 간 맞춤이 매력 중 하나이다.

3. 종류

지리나베는 중심 재료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며, 재료 이름에 "지리"를 붙여 부른다. 대구를 사용한 "대구지리", 도미를 사용한 "도미지리", 복어를 사용한 "복어지리"(텟치리)[3]가 대표적이다. 나가사키현에서는 자바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흰살생선 외에 닭고기, 돼지고기를 사용한 것도 지리나베로 취급되며, 돼지고기를 얇게 썬 "돼지지리"는 상야나베라고도 불린다.

3. 1. 일본

역사적으로 생선과 채소를 물에 넣어 끓인 요리는 중국 지방과 시코쿠에서 오래전부터 볼 수 있었다. 도쿄에서 냄비 요리로 널리 퍼진 것은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이다[1] . 또한, 생선을 먹지 않는 서양인이 나온 생선회를 냄비에 넣어 불에 익혀 먹은 것이 시작이라는 설도 있다[2] .

"지리나베"라는 이름의 유래는 신선한 생선 살점을 뜨거운 물에 넣으면 쪼그라드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흰살 생선 살점 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찜으로 만든 요리는 같은 이유로 "지리찜"이라고 부른다[2] .

중심이 되는 생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어종 이름의 꼬리에 "지리"를 붙인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대구를 사용한 "대구지리", 도미를 사용한 "도미지리", 복어를 사용한 "복어지리"가 있다. 복어지리는 별명 "텟치리"라고도 불리며, 이는 복어의 속칭 "뎃포"(독이 있어서 맞으면 죽는다는 데서 유래)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3] . 나가사키현에서는 자바리 (아라)의 살점도 사용되어 왔다. 또한 흰살 생선뿐만 아니라 닭고기 등의 육류를 사용한 냄비 요리도 물에 삶는 방식이라면 "지리나베"로 취급하게 되었으며, 그중에서도 돼지고기 얇게 썬 것을 사용한 "돼지 지리"는 상야나베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생선 살점 외에 곁들여지는 재료로는 배추, 쑥갓 등의 잎채소가 사용된다. 뿌리채소류는 당근을 얇게 썰어 넣는 경우가 있다.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도 사용한다. 또한 두부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당면을 넣기도 한다. 물에 삶는 것이 기본이지만, 풍미를 보충하기 위해 다시마를 넣기도 한다.

먹을 때는 개인 접시에 폰즈를 찍어 간을 한다. 고명으로는 실파나 모미지오로시, 고춧가루 등이 사용된다. 각자가 고명 등으로 즐길 수 있는 자유로운 간 맞춤이 매력 중 하나이다.

4. 재료 및 조리법

지리나베는 중심 재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어종 이름 뒤에 "지리"를 붙여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구를 사용한 "대구지리", 도미를 사용한 "도미지리", 복어를 사용한 "복어지리"가 대표적이다. 복어지리는 "텟치리"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복어의 속칭인 "뎃포"(독이 있어 맞으면 죽는다는 뜻)에서 유래했다.[3] 나가사키현에서는 자바리를 사용하기도 한다. 흰살생선뿐만 아니라 닭고기돼지고기를 사용한 냄비 요리도 물에 삶는 방식이면 "지리나베"로 취급하며, 특히 얇게 썬 돼지고기를 사용한 "돼지지리"는 상야나베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지리나베는 각자 고명을 곁들여 간을 맞춰 먹는 것이 매력이다.

4. 1. 재료

지리나베에는 흰살 생선, 닭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와 함께 파, 배추, 쑥갓과 같은 잎채소가 사용된다. 뿌리채소류로는 무나 당근을 얇게 썰어 넣으며,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도 사용된다. 두부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고, 당면을 넣기도 한다. 풍미를 더하기 위해 다시마를 넣기도 한다.[2]

먹을 때는 개인 접시에 폰즈를 찍어 간을 맞춘다. 고명으로는 실파나 모미지오로시, 고춧가루 등이 사용된다.[2]

4. 2. 조리법

역사적으로 생선과 채소를 물에 넣어 끓인 요리는 중국 지방과 시코쿠에서 오래전부터 볼 수 있었다. 도쿄에서 냄비 요리로 널리 퍼진 것은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이다[1]. 또한, 생선을 먹지 않는 서양인이 나온 생선회를 냄비에 넣어 불에 익혀 먹은 것이 시작이라는 설도 있다[2].

"지리나베"라는 이름의 유래는 신선한 생선 살점을 뜨거운 물에 넣으면 쪼그라드는 모습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흰살 생선 살점 등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찜으로 만든 요리는 같은 이유로 "지리찜"이라고 부른다[2].

중심이 되는 생선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어종 이름의 꼬리에 "지리"를 붙인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대구를 사용한 "대구지리", 도미를 사용한 "도미지리", 복어를 사용한 "복어지리"가 있다. 복어지리는 별명 "텟치리"라고도 불리며, 이는 복어의 속칭 "뎃포"(독이 있어서 맞으면 죽는다는 데서 유래)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3]. 나가사키현에서는 자바리 (아라)의 살점도 사용되어 왔다. 또한 흰살 생선뿐만 아니라 닭고기 등의 육류를 사용한 냄비 요리도 물에 삶는 방식이라면 "지리나베"로 취급하게 되었으며, 그중에서도 돼지고기 얇게 썬 것을 사용한 "돼지 지리"는 상야나베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생선 살점 외에 곁들여지는 재료로는 배추, 쑥갓 등의 잎채소가 사용된다. 뿌리채소류는 당근을 얇게 썰어 넣는 경우가 있다. 표고버섯 등의 버섯류도 사용한다. 또한 두부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고, 당면을 넣기도 한다. 물에 삶는 것이 기본이지만, 풍미를 보충하기 위해 다시마를 넣기도 한다.

먹을 때는 개인 접시에 폰즈를 찍어 간을 한다. 고명으로는 실파나 모미지오로시, 고춧가루 등이 사용된다. 각자가 고명 등으로 즐길 수 있는 자유로운 간 맞춤이 매력 중 하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さまざまな鍋料理の由来 http://www.kibun.co.[...] 2010-05-26
[2] 서적 暮らしのことば 新 語源辞典 https://books.google[...] 講談社
[3] 서적 暮らしのことば 新 語源辞典 https://books.google[...] 講談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