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갓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쑥갓은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독특한 향기와 깃꼴로 갈라진 잎이 특징이다. 8월에 황색 또는 백색의 꽃이 피며, 잎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 대엽종, 중엽종, 소엽종으로 나뉜다. 쑥갓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며, 칼륨, 카로틴,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여 건강에 이점을 제공한다. 봄, 가을에 파종하여 재배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중엽종이 주로 재배된다. 쑥갓은 쌈 채소, 나물, 국, 찌개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되며, 일본,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요리에서도 널리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화속 - 국화 (식물)
국화는 중국에서 약용 및 관상용으로 재배되기 시작하여 현재는 2만 종에서 3만 종에 달하는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꽃의 형태와 색상이 다양하고 공기 정화 능력이 뛰어나 실내 화분식물로 인기가 높고 경제적 가치가 높아 세계적으로 중요한 화훼 작물이다. - 국화속 - 구절초
- 나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나물 - 미나리
미나리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예로부터 식용으로 재배되어 온 여러해살이풀로,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특한 향을 지니며 습한 토양에서 영양번식으로 재배되고 수경재배도 활발하다. - 초본식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초본식물 - 앵초
앵초는 얕은 뿌리줄기로 번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4~5월에 홍자색 꽃을 피우며 긴암술대꽃과 짧은암술대꽃의 이형화주성을 가지고, 동아시아 지역의 습지와 숲에서 자생하며 다양한 원예품종이 개발되었다.
쑥갓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Glebionis coronaria |
이명 | Buphthalmum oleraceum Lour. Chamaemelum coronarium (L.) E.H.L.Krause Chrysanthemum breviradiatum Hort. ex DC. Chrysanthemum coronarium L. Chrysanthemum coronatum Dum.Cours. Chrysanthemum merinoanum Pau Chrysanthemum roxburghii Desf. ex Cass. Chrysanthemum senecioides Dunal ex DC. Chrysanthemum spatiosum (L.H.Bailey) L.H.Bailey Chrysanthemum speciosum Brouss. ex Pers. Dendranthema coronarium (L.) M.R.Almeida Glebionis coronaria (L.) Tzvelev Glebionis roxburghii (Desf. ex Cass.) Tzvelev Matricaria coronaria (L.) Desr. Pinardia coronaria (L.) Less. Pinardia roxburghii (Desf. ex Cass.) Less. Pyrethrum indicum Roxb. Pyrethrum roxburghii Desf. Xanthophthalmum coronarium (L.) P.D.Sell Xanthophthalmum coronarium (L.) Trehane ex Cullen |
학명 명명자 | (L.) Cass. ex Spach |
슈ンギク 일본어 표기 | 春菊 |
영어 이름 | crown daisy Garland chrysanthemum chop suey green Japanese-green |
중국어 이름 | 茼蒿 tong hao |
한국어 이름 | 쑥갓 |
분류 | |
계 | 식물계 |
문 | 속씨식물군 |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목 | 국화목 |
과 | 국화과 |
속 | 국화속 |
분포 | |
자생지 | 지중해 지역 |
재배 지역 | 동아시아 |
특징 | |
용도 | 식용 (잎, 줄기) |
맛 | 독특한 향과 쌉쌀한 맛 |
2. 특징
전체적으로 털이 없고 독특한 향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지며 잎자루가 없다. 꽃은 8월에 피고 황색 또는 백색이며, 가지와 원줄기 끝에 두화가 1개씩 달리고 지름 3cm 내외이다. 가장자리에 암꽃의 설상화가 달리고 중앙에 양성 통상화가 달린다.[9]
쑥갓의 품종은 잎의 크기와 잎새 모양에 따라 대엽종, 중엽종, 소엽종으로 나뉜다. 대한민국에서는 분지가 많고 생육이 왕성하며 추위에 강한 중엽종이 주로 재배된다.
쑥갓은 봄(3~5월)과 가을(9월 하순~10월)에 파종하여 연중 재배가 가능하다.[9] 밭에 이랑을 만들고 얕게 고랑을 내어 씨앗을 뿌리는 줄뿌림을 하거나 흩어뿌림(산파)을 할 수 있다. 씨앗은 빛이 닿아야 발아하는 호광성이므로 흙을 아주 얇게 덮어야 하며, 발아할 때까지 흙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충분히 주어야 한다. 발아 및 생육 적온은 15°C~20°C이다.
쑥갓은 비타민 A, B, C, 칼슘, 철분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한 채소이다. 10여 종 이상의 아미노산이 들어 있으며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감마부티린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 건강에 유익하다.[25] 특히 β-카로틴 함량이 높아 항산화 작용, 눈 건강, 점막 보호 등에 도움을 준다.
잎이 많은 허브인 쑥갓은 한해살이풀이다. 씨앗은 늑골 모양이며 날개가 달린 수과이다.[9] 이 채소는 온화하거나 약간 서늘한 기후에서 매우 잘 자라지만, 따뜻한 여름 조건에서는 조기에 개화한다.
이 식물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며 식용 부분의 칼륨 농도는 610mg/100g, 카로틴은 3.4g/100g이다. 또한, 이 식물은 다양한 항산화 물질(줄기, 잎, 뿌리 조직)을 함유하고 있어 인체 건강에 장기적인 잠재적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독성(다이옥신) 특성도 관찰되었다. ''C. coronarium'' var. ''spatiosum''의 추출물은 인체에 유익한 장내 세균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3. 품종
품종 특징 재배 지역 기타 중엽종 잎의 굴곡이 많고 가늘다. 향이 강하여 나베 요리에 많이 사용된다. 간토 지방 (주로 잎을 따서 수확), 간사이 지방 ("국화"라고 불리며, 뿌리째 수확) 대엽종 잎의 굴곡이 얕고, 크고 둥글며 두껍다. 향은 약하고 맛에 개성이 없으며 부드럽다. 규슈, 시코쿠, 주고쿠 지방 (주로 줄기째 수확), 간사이 지방 ("국화 잎"이라고 불림) 소엽종 잎의 굴곡이 깊고 향이 강함. 재배량이 적음
4. 재배
본잎이 1~2장일 때 솎아내기를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포기 사이 간격이 10cm~20cm가 되도록 한다. 솎아낸 잎은 샐러드로 먹을 수 있다. 초장이 10cm 정도 되면 덧거름(추비)을 주고, 포기가 쓰러지지 않도록 흙을 북돋아 준다.
쑥갓은 비교적 추위에 약하므로, 가을 파종 시에는 한랭사 등으로 터널 덮개를 하여 보온에 신경 써야 한다. 병충해로는 밤나방, 진딧물, 굴파리가 생기거나, 탄저병, 노균병에 걸릴 수 있다.
2019년 일본의 쑥갓 생산량은 29,900톤, 출하량은 21,800톤, 재배 면적은 1830ha이었다.[20] 주요 생산지는 이바라키현, 군마현, 지바현, 오사카부, 후쿠오카현 등이다.[20]
5. 영양 성분
쑥갓은 녹황색 채소로, 식용 부분 100g당 4500μg의 카로틴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는 시금치보다 많은 양이다. 카로틴은 체내에서 비타민 A로 변환되어 눈 건강과 점막을 튼튼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비타민 A로 변환되지 않는 카로틴은 항산화 물질로 작용하여 동맥 경화와 암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타민 B군은 당질, 지질,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도록 돕고, 비타민 C는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고 스트레스 내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미네랄 중에서는 칼슘이 특히 풍부하여 갓과 거의 같은 수준이며, 우유보다도 많은 양을 함유하고 있다. 삶은 후의 칼슘 함유량은 오히려 쑥갓이 더 많아 칼슘 공급원으로서 갓보다 더 우수하다고 한다.
쑥갓 특유의 향기 성분은 리모넨으로, 정장 작용, 식욕 증진, 기침 완화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쓴맛의 원인이 되는 수산은 적기 때문에 부드러운 잎 끝은 생으로 먹을 수도 있다.
쑥갓은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하며 식용 부분의 칼륨 농도는 610mg/100 g, 카로틴은 3.4 g/100 g이다. 또한, 다양한 항산화 물질(줄기, 잎, 뿌리 조직)을 함유하고 있어 인체 건강에 장기적인 잠재적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독성(다이옥신) 특성도 관찰되었다. ''C. coronarium'' var. ''spatiosum''의 추출물은 인체에 유익한 장내 세균인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다음은 쑥갓(생것) 100g에 들어있는 영양 성분표이다.[22]영양소 함량 영양소 함량 에너지 92kJ 비타민 B6 0.13mg 물 91.8 g 엽산 190μg 단백질 2.3 g 판토텐산 0.23mg 지방 0.3 g 비오틴(B7) 3.5 μg 포화지방산 0.02 g 비타민 C 19mg 단일불포화지방산 0.01 g 질산 이온 0.3 g 다중불포화지방산 0.10 g 나트륨 73mg 탄수화물 3.9 g 칼륨 460mg 수용성 식이 섬유 0.8 g 칼슘 120mg 불용성 식이 섬유 2.4 g 마그네슘 26mg 총 식이 섬유 3.2 g 인 44mg 베타카로틴 4500μg 철분 1.7mg 비타민 A 380μg 아연 0.2mg 비타민 E 1.7mg 구리 0.1mg 비타민 K 250μg 망간 0.4mg 티아민 0.1mg 셀레늄 2μg 리보플라빈 0.16mg 니아신 0.8mg
6. 용도
대한민국에서는 쌈 채소, 나물, 국, 찌개(매운탕 등), 우동 등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일본에서는 나베 요리(스키야키 등), 밥, 반찬 등에 사용된다.[12] 중국에서는 볶음 요리, 스튜, 캐서롤, 훠궈 등에 사용되며,[11] 베트남에서는 수프, 국수 요리, 핫팟 등에 사용된다. 서양에서는 관상용으로 재배되기도 하며, 최근에는 요리에 활용되는 경우도 있다.
특유의 향을 가진 잎과 줄기를 식용으로 한다. 쑥갓이 식용으로 사용되는 것은 일본, 중국, 한국 등 동아시아에서만 볼 수 있다. 송 시대에 중국으로 유입되어 채소가 되었다. 식재료로서의 제철은 겨울철(11월 - 3월)이다. 잎의 녹색이 짙고 싱싱하며, 줄기 아래쪽에 잎이 없는 것이 상품 가치가 높고, 줄기가 너무 굵지 않은 편이 부드럽다.
겨울철 잎채소로, 냄비 요리에 빠질 수 없지만, 샐러드나 볶음 요리 등 다양하게 조리된다. 스키야키·복어 냄비 요리 등 냄비 요리 재료 외에도 쓴맛의 원인인 수산이 적어 부드러운 잎 끝은 생식도 가능하다.[19] 무침을 할 경우에는 살짝 데쳐서 사용한다. 튀김이나 국물에도 이용되며, "쑥갓 튀김"은 간토 지역의 입식 국수·우동 가게에서 인기 메뉴 중 하나이다.
일본에서는 지역에 따라 선호하는 품종이 달라서, 동일본에서는 잎의 갈라짐이 크고 쓴맛이 강한 것을 선호하고, 서일본에서는 잎의 갈라짐이 작고 단맛이 강한 것을 선호한다. 쓴맛은 줄기에는 없고, 잎을 가열했을 때 나타난다.
7.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Glebionis coronaria'' (L.) Cass. ex Spach"
http://www.worldflor[...]
The World Flora Online Consortium
2022
[2]
웹사이트
"''Glebionis coronaria'' (L.) Cass. ex Spach"
https://powo.scienc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2
[3]
웹사이트
Altervista Flora Italiana, ''Glebionis coronaria'' (L.) Spach
http://luirig.alterv[...]
[4]
웹사이트
"''Glebionis coronaria'' (Linnaeus) Cassini ex Spach, 1841. 茼蒿 tong hao"
http://www.efloras.o[...]
eFloras
null
[5]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Program 2014 county distribution map
http://bonap.net/Map[...]
[6]
GRIN
"''Glebionis coronaria''"
[7]
웹사이트
쑥갓
http://nature.go.kr/[...]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12-07
[8]
간행물
Unpicking a daisy chain
2018
[9]
웹사이트
"''Glebionis coronaria'' (Linnaeus) Cassini ex Spach, 1841. Crown daisy, garland chrysanthemum"
http://www.efloras.o[...]
eFloras
null
[10]
학술지
Important secondary metabolites and essential oils of species within the Anthemideae (Asteraceae)
[11]
웹사이트
How to Find, Choose, & Use Garland Chrysanthemum
https://www.diversiv[...]
null
[12]
서적
A Cook's Guide to Asian Vegetables
Periplus Editions
2004
[13]
YList
[14]
YList
[15]
YList
[16]
YList
[17]
YList
[18]
YList
[19]
뉴스
【旬菜物語】シュンギク(JA福岡市)癖少なく 生もいける
日本農業新聞
2020-01-11
[20]
웹사이트
春菊(しゅんぎく,シュンギク)農業
https://japancrops.c[...]
アプレス
2021-11-07
[21]
웹사이트
春菊(しゅんぎく,シュンギク)市町村産地
https://japancrops.c[...]
アプレス
2021-11-07
[22]
문서
日本食品標準成分表2015年版(七訂)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3]
문서
日本人の食事摂取基準(2015年版)
https://www.mhlw.go.[...]
厚生労働省
[24]
뉴스
관보 제5734호
http://theme.archive[...]
농촌진흥청
1970-12-26
[25]
참고
(생명자원정보서비스,자원백과검색-쑥갓 Chrysanthemum coronarium L.)
http://www.bris.go.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