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갯첨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중해갯첨서는 유럽, 서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는 종이다. 과거에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계통 분석 결과에 따라 이베리아갯첨서와 넓은 지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분류되었다. 해발 1,850미터 이하의 강, 호수, 늪지 주변에 서식하며, 양서류, 작은 물고기, 곤충 등을 먹는다. 서식지 파괴, 수질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7년 기재된 포유류 - 부탄타킨
부탄타킨은 부탄, 중국, 인도에 서식하며 해발 1,000~4,500m 고도의 숲에서 풀, 새싹, 나뭇잎 등을 먹는 주행성 포유류로, 불법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위협받고 있으며 부탄의 국가 동물이다. - 1907년 기재된 포유류 - 동부긴코가시두더지
동부긴코가시두더지는 뉴기니 섬에 서식하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는 야행성 단공류 동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땃쥐과 - 맥아더땃쥐
- 땃쥐과 - 메리엄작은귀땃쥐
메리엄작은귀땃쥐는 멕시코 토착종으로, 땃쥐과에 속하는 포유류의 일종이며, 서식지 감소로 멸종 위협을 받지만 열악한 환경에서도 생존력이 강하다.
지중해갯첨서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Neomys anomalus |
명명자 | Cabrera, 1907 |
기타 이름 | Mediterranean water shrew (지중해 물땃쥐) Miller's water shrew (밀러의 물땃쥐) Southern water shrew (남부 물땃쥐)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하강 | 진수하강 |
상목 | 로라시아상목 |
목 | 진무맹장목 |
과 | 땃쥐과 |
아과 | 붉은이땃쥐아과 |
속 | 미즈토가리네즈미속 |
종 | 미나미미즈토가리네즈미 |
보존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멸종 위기 없음 |
IUCN 평가 버전 | 3.1 |
IUCN 참고 | Hutterer, R., Kryštufek, B., Yigit, N., Mitsain, G., Meinig, H., Bertolino, S. & Palomo, L.J. 2016. Neomys anomalus (errata version published in 2017).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9657A115169785. http://dx.doi.org/10.2305/IUCN.UK.2016-3.RLTS.T29657A22282949.en. Downloaded on 16 August 2018. |
분포 | |
![]() |
2. 분포
지중해갯첨서는 유럽과 서남아시아에 걸쳐 넓게 분포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서식하지 않는다. 발견되는 국가는 다음과 같다. 알바니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체코, 프랑스, 독일, 그리스, 헝가리, 이란, 이탈리아,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북마케도니아, 폴란드, 포르투갈, 루마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스페인, 스위스,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2. 1. 서식 국가
국가 |
---|
알바니아 |
오스트리아 |
벨기에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불가리아 |
크로아티아 |
체코 |
프랑스 |
독일 |
그리스 |
헝가리 |
이란 |
이탈리아 |
리히텐슈타인 |
리투아니아 |
북마케도니아 |
폴란드 |
포르투갈 |
루마니아 |
세르비아 |
몬테네그로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스페인 |
스위스 |
튀르키예 |
우크라이나 |
러시아 (돈 강 서쪽)[4] |
벨라루스 |
몰도바 |
2. 2. 과거 분류
과거에는 지중해갯첨서에 ''Neomys anomalus''라는 학명이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으며, 이 종은 이베리아 반도의 ''Neomys anomalus anomalus''와 서유럽에서 서남아시아까지 넓게 분포하는 ''Neomys anomalus millerii'' 두 아종을 포함했다.[3] 계통 분석 결과에 따라, 두 아종은 별개의 종으로 인식되었으며, 이베리아 종은 ''Neomys anomalus'', 더 넓게 분포하는 종은 ''Neomys milleri''로 분류되었다.[1][2]3. 생태
지중해갯첨서는 해발 1,850미터 이하의 강, 호수, 늪지 주변에 서식한다.[4]
3. 1. 식이 습관
주로 양서류와 작은 물고기를 먹이로 먹지만, 곤충, 벌레, 거미, 지렁이 등도 잡아먹는다.[4] 작은 몸 크기에 비해 체표면적 비율이 높아 체온을 빨리 잃기 때문에, 매일 자기 몸무게의 두세 배에 달하는 먹이를 섭취해야 한다.4. 인간과의 관계
하천 정비, 농지 개발, 도로 건설 등으로 인해 서식지가 파괴되고, 배수 및 농약으로 인한 수질 오염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
참조
[1]
간행물
Neomys anomalus Cabrera, 1907
asm
2023-02-24
[2]
논문
Multilocus species trees and species delimitation in a temporal context: Application to the water shrews of the genus Neomys
[3]
간행물
Neomys anomalus
cite iucn
[4]
간행물
Neomys anomalus
https://doi.org/10.2[...]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12-27
[5]
서적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6]
서적
食虫目・貧歯目・翼手目・有袋目全種名リスト
平凡社
[7]
간행물
Neomys anomalus
http://www.iucnredli[...]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8-08-16
[8]
서적
MSW3 Soricida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