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진계는 지진의 흔들림을 감지하고 기록하는 장치로, 2세기 중국의 장형이 발명한 후풍지동의가 최초의 지진계로 알려져 있다. 이후 18세기 프랑스에서 수은을 이용한 지진계가 고안되었으며, 1880년 존 밀른, 제임스 앨프레드 유잉, 토마스 로마 그레이에 의해 수평 진자 지진계가 개발되면서 근대적인 지진계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현대 지진계는 전자 센서, 증폭기, 기록 장치를 사용하며, 감도, 측정 주파수 대역, 측정 원리,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분류된다. 지진계는 지진의 진원을 찾고,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에 활용되며, 지진 연구, 내진 설계, 지진 피해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최근에는 광섬유 케이블을 이용한 새로운 지진 감지 기술과 딥 러닝을 활용한 지진 신호 분석 기술이 개발되는 등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구의 구조 - 대륙 지각
대륙 지각은 해양 지각보다 두껍고 밀도가 낮은 지구 지각의 일부로, 지구 표면적의 약 41%를 차지하며, 맨틀 유래 용융체의 분별 결정 작용과 기존 지각의 재용융을 통해 형성되어 육지 환경과 생물 진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였다. - 지구의 구조 - 맨틀
맨틀은 지구 내부의 지각과 핵 사이에 위치하며, 온도와 압력에 따라 물리적 성질이 변하고 맨틀 대류를 통해 판 이동을 일으키는 층상 구조를 이룬다. - 중국의 발명품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중국의 발명품 - 마작
마작은 4명이 144개의 패, 칩, 주사위 등을 사용하여 4개의 조와 1개의 머리로 14개의 패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게임이며, 19세기 중국에서 시작되어 현재 다양한 국가에서 즐기는 보드 게임이다. - 계측기 -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3차원 형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코라이더 시스템에서 유래되어 자율주행차, 지형 측량, 대기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반사된 빛의 비행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 계측기 - 점도계
점도계는 유체의 점도를 측정하는 장치로, 오스트왈트 점도계, 낙하구 점도계, U자관 점도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측정 대상 유체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점도계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진계 | |
---|---|
개요 | |
종류 | 측정 기기 |
측정 대상 | 지진파 |
작동 원리 | 관성 |
활용 | 지진 연구 지구물리학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
역사 | |
최초의 지진계 | 장형의 후풍지동의 (132년) |
최초의 전자식 지진계 | 1880년, 필리포 체르체 |
현대적인 광대역 지진계 | 1980년대 |
작동 원리 | |
기본 원리 | 관성 기준틀 |
주요 구성 요소 | 추 (관성 질량) 스프링 또는 힌지 댐퍼 |
작동 방식 | 지반 운동에 대한 추의 상대적인 움직임 측정 |
유형 | |
수평 지진계 | 수평 방향의 지반 운동 측정 |
수직 지진계 | 수직 방향의 지반 운동 측정 |
단주기 지진계 | 고주파수 지진파에 민감 |
광대역 지진계 | 넓은 범위의 주파수 지진파 측정 |
강진계 | 강한 지진에 의해 발생하는 강력한 지반 가속도 측정 |
응용 분야 | |
지진학 | 지진 위치 결정 지진파 속도 모델 구축 지진 메커니즘 연구 |
지구물리학 | 지각 구조 연구 화산 활동 모니터링 지하 자원 탐사 |
구조 공학 | 건물 및 교량의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지진 발생 시 구조물의 반응 연구 |
기타 | |
관련 용어 | 지진 관측소 지진계 네트워크 지진파형 |
2. 역사
지진계의 어원은 흔들림을 의미하는 그리스어 "세이스모스(σεισμός)"와 측정을 의미하는 "메트론(μέτρον)"에서 유래되었으며, 1841년 데이비드 밀른-홈이 스코틀랜드 물리학자 제임스 데이비드 포브스가 설계한 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었다.[3] ''Seismograph''(지진 기록계)는 ''seismós''(지진)와 γράφω(gráphō, 그리다)에서 유래된 단어로, 지면 운동의 측정과 기록이 결합된 구형 기기보다는 이러한 기능이 분리된 현대 시스템에 더 적합하다.
최초의 지진계는 2세기에 중국에서 장형이 만들었다.[10] 1703년 프랑스 물리학자이자 사제인 장 드 오트푀유가 이 기기에 대한 최초의 서양식 설명을 기록했다.[8]
그 후 18세기 초 프랑스에서 고안된 지진계는 홈이 파인 접시에 수은을 채워 흔들림에 의해 넘쳐흐른 수은의 양으로 지진의 유무와 크기를 추정하려는 것이었다.[31] 초기의 지진계는 지진의 흔들림을 시시각각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일정 규모 이상의 흔들림이 발생했는지를 알기 위한 도구였다.[31]
19세기에는 일본에서 근대적인 지진계가 발명되었다.[31] 도쿄 대학 이학부에 초빙된 제임스 앨프레드 유잉은 존 밀른 등과 함께 1880년에 수평 진자를 사용한 수평동 2성분 원반 기록식 지진계를 제작하여 실용적인 지진계를 완성했다.[32]
2. 1. 초기 지진계
2세기경 고대 중국의 장형은 최초의 지진계를 발명했다.[10] 132년 후한 시대에 발명된 이 지진계는 ''후풍지동의''라고 불렸으며, 청동 용기 위에 8개의 용머리가 구슬을 물고 있고, 지진이 발생하면 해당 방향의 용이 구슬을 떨어뜨려 아래에 있는 두꺼비가 받는 구조였다. 지진 발생 시 용의 입에서 구슬이 떨어져 지진의 방향을 알리는 원리였다.[10][11]18세기 초 프랑스에서는 수은을 이용한 지진계가 고안되었으나,[31] 이는 지진의 발생 여부와 크기를 추정하는 수준이었다.[31]
2. 2. 근대 지진계
132년 중국 후한의 장형이 최초의 지진계(''후풍지동의'')를 발명하였다.[10] 근대적인 지진계는 19세기에 개발되었는데, 일본에서 개발되었다.[31] 도쿄 대학 이학부에 초빙된 제임스 앨프레드 유잉(James Alfred Ewing, 1855–1935)은 존 밀른 등과 함께 1880년에 수평 진자를 사용한 수평동 2성분 원반 기록식 지진계를 제작하여 실용적인 지진계를 완성했다.[32] 1893년 일본의 지진계가 시카고 만국 박람회 (1893년)에 출품되어 그 선진성이 높이 평가되었다. 지진 기기 발명은 유잉과 밀른, 지진 모형 발명은 세키야 키요카게, 양질의 제작은 야이 타쿠에 의한 것이었다.[33]현역에서 은퇴한 지진계를 포함하여, 근대 지진계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지진계 종류 | 개발자 및 개발 시기, 특징 |
---|---|
밀른(Milne)식 지진계 | 존 밀른이 1894년경 일본에서 개발. 기계식, 광학식 기록, 제진기 없음. |
오모리식 지진계 | 오모리 후사키치가 1898년경 개발. 변위계, 매설식 기록, 고유 주기 10초, 배율 20배. 국립과학박물관 등에 현존. |
다나카테이트식 지진계 | 다나카테이트 아이키치가 1900년경 개발. 저배율(등배), 증기기관 평행 운동 장치와 태엽 스프링 사용. 중앙기상대에서 사용.[45][46] |
비헤르트(Wiechert)식 지진계 | 에밀 비헤르트가 1904년 개발. 변위계, 매설식 기록. 추 질량에 따라 대형(1t)과 소형(200kg, 80kg)으로 나뉨. |
갈리친(Galitzin)식 지진계 | 보리스 갈리친이 1907년 개발. 세계 최초의 전자기식 지진계(속도계), 광학식 기록, 배율 1000배 이상. |
오모리식 강진계 | 오모리 후사키치 개발. |
이마무라식 강진계 | 이마무라 아키츠네 개발. 저감도(2배), 매설식 기록. 간토 대지진 기록. |
사사식 대진계 | 사사 켄조가 1934년 개발. 변위계, 매설식 기록, 장주기(24~27초). 돗토리 지진, 후쿠이 지진 기록.[47] |
이시모토식 가속도계 | 이시모토 미시오가 1931년(수평동용)과 1933년(상하동용)에 개발. 가속도계, 단주기(0.1초). |
간이 미동계 | 기상대와 측후소에 배치. |
프레스 유잉식 지진계 | |
기상청 50형 강진계 | 1950년 개발. 변위계, 매설식 또는 펜 기록식, 고유 주기 6초(수평동용), 5초(상하동용), 배율 1배. |
기상청 59형 지진계 | 1959년 개발. 광학 전자기식, 펜 기록식 또는 매설식, 배율 100배. |
기상청 61형 지진계 | 1961년 개발. 전자기식, 펜 기록식, 배율 200배. |
기상청 67형 지진계 | 1961년 개발. 전자기식, 가속도계, 광학식 기록. |
SMAC형 강진계 | 1953년 강진 측정 위원회 개발. 가속도계, 펜 기록식, 최대 1G까지 측정 가능. |
DC형 강진계 | 구 건설성 개발. |
기상청 87형 강진계 | 전자기식, 가속도계, 측정 범위 0.1~10Hz, 플로피 디스크 기록, 최대 1G까지 측정 가능. |
기상청 95형 진도계 | 가속도계, 측정 범위 DC~41Hz, IC 메모리 카드 기록, 최대 2048gal까지 측정 가능, 계측 진도 계산 기능. 1996년 운용 개시. |
K-NET95형 강진계 | 구 과학기술청 개발, 가속도계, 내장 메모리 기록, 최대 2000gal까지 측정 가능. 1996년 10월 운용 개시. |
K-NET02형 강진계 | K-NET95형 차세대 버전, 힘 평형식, 가속도계, 내장 메모리 기록, 최대 4000gal까지 측정 가능. 2004년 6월 운용 개시. |
K-NET11형 강진계 | K-NET02형 후속기, 최대 약 7800gal까지 측정 가능. |
KiK-net11형 강진계 | KiK-net02형 후속기, 지표 설치 타입에서 최대 약 7800gal까지 측정 가능. |
STS-1형 지진계 | 스트레카이센 등이 1982년 개발. 부귀환식 광대역 지진계(속도계), 고유 주기 360초. |
STS-2형 지진계 | 부귀환식 광대역 지진계(속도계), 고유 주기 120초, 측정 범위 0.008~10Hz, 최대 0.014m/s까지 측정 가능. |
자기 부상식 해저 지진계 | OBS(Ocean Bottom Seismograph), 해저 지진 관측용, 수심 6,000m까지 설치 가능. |
2. 3. 현대 지진계
20세기 후반 전자 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자식 지진계가 개발되어 더욱 정밀한 지진 관측이 가능해졌으며, 이는 지진 연구와 방재에 큰 기여를 하였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부터 기상청을 중심으로 전국적인 지진 관측망이 구축되었으며, 1996년부터는 모든 지진 관측이 진도계로 전환되었다.3. 원리와 구성
지진계는 지진에 의해 발생한 지진동(지면의 움직임)을 계측하고 기록하는 기기이다. 지진계는 기본적으로 진자 운동 원리를 이용한다. 지면에 설치된 지진계는 지진동에 의해 흔들리지만, 내부에 매달린 추는 관성에 의해 정지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진다. 이 추와 지면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측정하여 지진동을 기록한다.
지진계는 지진동을 계측하는 센서와 그것들을 기록하는 계측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센서는 속도계와 속도계에 시간 요소를 더한 가속도계가 있는데 용도에 따라 사용한다. 보통 지진학 연구에는 속도계를 사용하고, 지진공학에는 가속도 센서를 사용한다.[54] 기록 방식은 초기에 종이 위에 철필이나 잉크로 기록하는 방법에서, 거울을 달아 빛을 쏘아보내 사진 건판에 감광시키는 좀 더 세밀한 방법으로 바뀌었고, 최근에는 전기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한다.[52]
지진계는 3차원 공간의 XYZ 3성분 센서를 갖추고, 그것들을 직교하는 남북·동서·상하 각 방향으로 정렬하여 설치함으로써 지면의 3차원적인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관측 목적에 따라 1개 또는 2개의 성분만 계측하거나, 남북이나 동서와는 다른 방위에 센서를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
3. 1. 기본 원리
지진계는 관성, 감쇠, 증폭의 세 가지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작동한다. 지진계의 원리는 모두 진자 운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 지진동으로 지면이 진동해도 추는 관성 때문에 정지하려고 한다. 이 추에 펜을 달아 지면에 놓은 종이에 진동을 기록할 수 있다. 하지만 결국 진자도 움직이므로, 진자의 고유진동 주기를 크게 하면 지진동과 진자의 진동을 구별할 수 있다.[51] 이것이 역학적 방식의 지진계이다.
지면의 움직임은 프레임을 움직이지만, 질량(추)은 관성 때문에 움직이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프레임과 질량 사이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지면의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 초기 지진계는 광학 레버나 기계적 연결을 사용하여 작은 움직임을 증폭, 그을음으로 덮인 종이나 사진 용지에 기록했다. 현대 기기는 전자를 사용한다.
전자기식 지진계는 자기장 속에 코일을 놓고 자석과 코일의 상대적인 운동으로 유도되는 기전력 변화를 기록하는 방식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추-땅에 고정된 종이'와 유사한 원리이다. 코일이나 자석 중 하나를 기기에 고정하고, 다른 하나는 진동하도록 스프링에 달아 둔다.[52]
지진계의 기본적인 작동 원리는 지진계 내부의 추를 부동점으로 가정하고, 지표면의 흔들림을 상대 변위로 측정하는 것이다.
지진계는 단순한 진자 구조로 설명되지만, 주기가 짧은 단진자는 짧은 주기의 지진동만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주기를 늘린다. 단순한 방법으로는 진자를 수평에 가깝게 하는 것이 있다.[37]
또한, 미세한 지진동을 감지하기 위해 배율을 높이고, 지진동 감지 후에는 신속하게 흔들림을 감쇠시키도록 적절한 감쇠 계수를 갖도록 설계된다.[38][39]
수평 방향의 흔들림은 같은 구조의 지진계를 남북과 동서 방향으로 배치하여 감지한다. 상하 방향의 흔들림은 추를 용수철로 매달아 용수철의 늘어남과 줄어듦을 이용하여 감지한다.
3. 2. 구성 요소
현대 지진계는 크게 센서, 기록계, 통신 장치 등으로 구성된다.[52]지진계의 센서는 지진동을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속도계와 가속도계로 나뉜다. 속도계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단주기, 광대역, 초광대역 지진계로 구분된다.[54] 단주기 지진계는 국지지진 관측에 용이하지만, 원거리지진은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한다. 광대역 지진계는 국지지진 및 원거리지진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 초광대역 지진계는 원거리지진과 표면파를 관측하여 지구의 자유진동 연구에 사용된다.[55]
기록계는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초기에는 종이에 잉크로 기록하는 방식이었으나, 최근에는 전기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저장한다.[52] 간단한 지진계의 경우 기록계 없이 신호를 바로 컴퓨터로 보내기도 한다.[53]
상시 관측용 지진계는 기록계의 정보를 멀리 떨어진 통제 센터의 컴퓨터로 전송하며, 지진 발생 시 즉시 경보할 수 있는 지진스위치(seismic switch) 시스템을 갖추기도 한다.[56]
4. 지진계의 종류
지진계는 감도, 측정 주파수 대역, 측정 원리, 설치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지진의 흔들림은 진폭이 마이크로미터 수준에서 장주기 대진폭에 이르는 등 다양하다. 예를 들어, 사람이 알아차리지 못하는 미세 지진에서는 진폭이 수 nm(나노미터)이고 진동수는 수십 Hz이며, 땅이 갈라지는 듯한 거대 지진에서는 진폭이 수 m, 주기는 수십 초에서 300초를 넘는 정도에 이른다.[40][41]
강진계는 지진동의 폭이 큰 진동을 기록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된 지진계이다.[57][58]
해저지진계는 해저에 설치하여 지진을 관측하는 지진계이다.
4. 1. 감도 및 측정 주파수 대역에 따른 분류
지진계는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감도 및 측정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도 분류할 수 있다.- 고감도 지진계: 미세한 지진에 의한 진폭을 감지한다. 무감 지진 등 미세 지진은 세계 각지에서 많이 발생하며, 이러한 정보를 축적하여 지각 구조 분석에 사용된다. 미소 지진 활동 연구는 지진의 중장기적인 예측에도 기여하고 있다.[40][41]
- 기상청: 진원 결정 및 규모 산출을 위해 전국에 고감도 지진계를 설치.
- 방재과학기술연구소: 전국 규모의 고감도 지진 관측망(Hi-net)을 통해 지진계를 설치.
- 국립대학법인: 지역 한정 미소 지진 관측 네트워크
- 광대역 지진계: 측정 주파수 범위가 넓어 대지진 감지 및 멀리 떨어진 진원에서 전파되는 느린 흔들림까지 감지하며, 주로 지구의 심부 구조인 지각 연구 및 진원 메커니즘 분석에 사용된다.[55] 이 종류의 지진계에서는 STS-1 또는 STS-2 지진계가 주력이다. 온도 변화 및 기압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지하 갱도의 깊숙한 곳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 IRIS라는 국제 기구가 전 세계적인 광대역 지진계 관측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 일본에서는 방재과학기술연구소가 F-net을 운영하고 있다.
- 강진계: 고유 진동수가 낮은 추를 사용하여 강한 흔들림을 기록한다. [57][58]
- 진도계: 강진계의 일종으로, 지진동의 폭이 큰 진동을 기록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만들어졌다. 일본의 지진 진도 관측과 발표는 메이지 17년(1884년) 이래 100년 이상 모두 직원의 체감으로 이루어졌다. 진도계는 기상청이 헤이세이 3년 (1991년)에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헤이세이 8년 (1996년) 4월부터 모든 관측을 진도계로 전환하고 체감 관측을 폐지했다.[42]
일본에서는 국가 기관 (기상청, 방재과학기술연구소, 국토교통성) 및 지자체, 대학, 민간 기업(고속도로 회사, 철도 사업자, NTT, 가스 회사, 전력 회사, 건설 회사)가 독자적으로 지진 관측을 실시하고 있다. 현재 이들 각 기관의 강진계 설치 대수를 종합하면 전국적으로 10,000대를 넘는다고 한다.
- 기상청: 전국 약 600곳에 기상청 95형 진도계를 설치.
- 구 자치성(현 총무성) 소방청: 지자체 진도 정보 네트워크로 기상청의 계측 진도계가 설치되지 않은 시정촌에 진도계를 설치.
- 국토교통성: 소관 하천, 댐, 도로 등의 공공 토목 시설에 강진계를 설치.
- 요코하마시: 자체적으로 요코하마 시내 150곳에 강진계를 설치.
- 방재과학기술연구소: 강진 관측망(K-NET, KiK-net)이 전국에 1735대(2012년 2월 현재)를 설치.
진도 정보는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지진파를 계측하는 지진계(강진계)도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주변 구조물에 피해를 입히는 고유 주기가 0.5초-2초의 "다소 단주기" 지진파에 감도의 피크를 설정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보다 장대한 구조물이 증가하여, 고유 주기가 2초-20초의 "다소 장주기"까지 감도의 피크를 넓혀 설계하고 있다. 대규모 재해로 이어지는 단층 지진에서는 더욱 20초-200초의 장주기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를 관측하는 강진계도 설계되고 있다.[43]
4. 2. 측정 원리에 따른 분류
지진계는 측정 원리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사이즈모 계 지진계: 지진동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지진계이다. 기계식 센서와 전기식 센서를 모두 포함한다.
- 기계식 센서: 진자의 움직임을 직접 기록하는 방식으로, 초기 지진계에 주로 사용되었다.
- 비헤르트식 지진계
- 이시모토-하기와라식 가속도계
- 기계식 SMAC형 강진계
- 전기식 센서: 진자의 움직임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기록하는 방식으로, 현대 지진계의 주류를 이룬다.
- 도전형
- 압전형
- 귀환형 (서보형)
- 부귀환식 (피드백식)
- 힘 평형식 (포스 밸런스식)
- 변형률 게이지형
- 용량형
- 차동 트랜스형
- 비사이즈모 계 지진계: 지진 발생 여부나 간단한 흔들림 정도를 감지하는 장치이다.
- 기계식 센서
- 낙구식 감진기
- 전도봉식 감진기
- 마찰식 감진기
- 전기식 센서
- 광학식 진동 센서
- 과전류식 센서
- 용량형 센서
현대 광대역 지진계는 매우 넓은 범위의 주파수를 기록할 수 있다. 작은 "검증 질량"이 전기력에 의해 제한되고 정교한 전자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구조이다. 지구가 움직일 때 전자 장치는 피드백 회로를 통해 질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고 시도하며, 이 과정에 필요한 힘의 양이 기록된다.[52]
대부분 설계에서 전자 장치는 질량을 프레임에 상대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 장치는 "힘 균형 가속도계"라고 불리며, 지면 움직임의 속도 대신 가속도를 측정한다. 질량과 프레임 일부 사이의 거리는 선형 가변 차동 변압기로 매우 정확하게 측정되며, 일부 장치는 선형 가변 차동 커패시터를 사용한다.[52]
이 측정값은 전자 부궤환 루프의 일부에 부착된 전자 증폭기에 의해 증폭된다. 부궤환 루프에서 증폭된 전류 중 하나는 스피커와 매우 유사한 코일을 구동한다. 결과적으로 질량은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대부분 장치는 거리 센서를 사용하여 지반의 움직임을 직접 측정한다. 자석에 의한 질량 위 감지 코일에 생성된 전압은 지면의 순간 속도를, 구동 코일로 흐르는 전류는 질량과 프레임 사이의 힘을 나타내어 지반 가속도를 측정한다(f=ma, f=힘, m=질량, a=가속도).
민감한 수직 지진계의 문제는 질량의 부력이다. 열린 창으로 인한 불균등한 압력 변화는 실내 공기 밀도를 변화시켜 수직 지진계에 가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 전문 지진계는 견고한 기밀 인클로저에 밀봉되어 있다.
무거운 자석을 질량으로 사용하면 지구 자기장 변화가 지진계에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진계의 움직이는 부품은 자기장과 상호작용을 최소화하는 재료로 구성된다. 또한, 온도 변화에 민감하므로 많은 장치가 비자성 인바와 같이 팽창이 적은 재료로 만들어진다.
지진계 전달 함수의 정확한 특성화는 주파수 응답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며, 이는 전문 장치와 아마추어 장치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이다. 대부분 가변 주파수 진동대에서 특성화된다.
4. 3. 설치 장소에 따른 분류
해저지진계는 해저에 설치하여 지진을 관측하기 위한 지진계이다.[40][41] 해저 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형식, 초음파로 데이터를 해상의 선박으로 전송하는 기종, 반도체 기록 장치를 갖추고 부상 시에 관측 장비와 함께 데이터를 회수하는 기종이 있다. 해저 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종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관측과 병행하여 쓰나미 경보 발령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4. 4. 한국에서 사용되는 주요 지진계
한국에서 사용되는 주요 지진계는 다음과 같다.
5. 지진 관측과 활용
지진계는 지진에 의해 발생한 지면의 움직임(지진동)을 계측하고 기록하는 기기이다. 지진동을 계측하는 센서와 그것을 기록하는 계측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3차원 공간의 XYZ 3성분 센서를 갖추고, 남북, 동서, 상하 각 방향으로 정렬하여 설치함으로써 지면의 3차원적인 움직임을 파악할 수 있다.[30]
기상청에서는 각지에 설치된 지진계의 정보를 활용하여 지진 발생 시각, 진원, 규모 등을 파악하고, 쓰나미 발생을 예측한다.
5. 1. 지진 조기 경보
지진계는 지진 조기 경보 시스템에 사용된다. 지진계는 지진 발생 초기에 P파를 감지하여 S파 도달 전에 경보를 발령하는 데 사용된다.[24] 기상청에서는 각지에 설치된 지진계의 정보를 수집하여 발진 시각과 진원지를 결정하고 규모를 산출하며, 쓰나미 발생을 예측한다. 또한 진도계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진도 정보로 발표한다.5. 2. 지진 피해 평가
기상청에서는 각지에 설치된 지진계의 정보를 수집하여 지진 발생 시각과 진원지를 결정하고 규모를 산출한다.[30] 이와 함께 쓰나미 발생 여부를 예측한다. 또한 진도계의 정보도 실시간으로 수집하여 진도 정보로 발표한다.6. 설치 환경의 영향
지진계의 설치 환경에 따라서는 본래 지반의 응답을 정확하게 기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에서도 진도계가 주변보다 눈에 띄게 높은 결과를 내는 경우가 있다. 그 이유로는 지진계가 설치된 지반이나 노반에 의한 것(절벽 주변이나 흙탕물 지대에 설치 등)과 지진계 자체의 설치 상황에 의한 것(지진계와 토대 사이에 틈이 있거나, 지진계가 기울어져 있는 등)이 있다.
- 1995년 1월 17일 - 효고현 남부 지진: 효고현 고베시 등에서 최대 진도 7을 관측했다.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에 있는 진도계는 진도 4를 나타냈지만, 진원에서 먼 교토부 교토시의 진도계는 진도 5를 나타냈다. 이는 기상청이 설치한 진도계가 지반이 견고한 우에마치 대지에 있어 실제보다 진도가 낮게 나왔기 때문이다. 일본도로공단이 한신 고속 11호 이케다선에 설치한 진도계는 진도 7을 나타냈다.
- 2008년 5월 8일 - 이바라키현 앞바다 지진: 이바라키현 미토시와 도치기현 모테기마치에서 최대 진도 5약을 관측했다. 모테기마치의 진도계는 1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위치의 것이 진도 3을 나타냈다는 점, 주변 주민들로부터 체감 진도와 다르다는 등의 목소리가 있어 조사했다. 그 결과, 경사면 근처에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1~2단계 높은 진도를 표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2009년에 다른 장소로 이전했다.
- 2008년 6월 14일 - 이와테·미야기 내륙 지진: 고감도 지진 관측망의 간사이 관측 지점(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서는 최대 가속도 4022갈을 관측했지만, 관측 시설의 설계상 문제로 로킹 진동이 발생하여 자유 지반(지표면 그대로)의 가속도를 기록하지 못했다.[50] 2013년 현재, 관측 시설은 휴지 중이다.
- 2008년 7월 24일 - 이와테현 연안 북부 지진: 이와테현 히로노초에서 최대 진도 6강을 관측했다. 그 후, 수백 미터 떨어진 위치에 가설 진도계를 설치한 결과, 기존의 것이 1단계 정도 높은 관측을 한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확인 후 진도 관측을 중단하고, 기상청에서의 사용을 중지했다.
- 2011년 3월 11일 - 동일본 대지진의 여진: 이바라키현 호코타시에 있는 진도계 1곳이 흙을 쌓아 올린 위에 설치되어 있어, 인근의 진도계보다 높은 결과가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 4월 21일에 이 진도계의 사용은 중지되었다.
7. 미래 전망
스탠퍼드 대학교의 연구원들은 도시 지역에서 지진을 감지할 수 있는 딥 러닝 알고리즘인 UrbanDenoiser를 개발했다.[26] 이 알고리즘은 도시의 번잡한 지역에서 수집된 지진 신호에서 배경 잡음을 걸러내어 지진을 감지한다.[26][27]
참조
[1]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Earthquake & Engineering Seismology
[2]
웹사이트
Erhard Wielandt's 'Seismic Sensors and their Calibration'
http://www.geophys.u[...]
2010-09-24
[3]
서적
Historical Encyclopedia of Natural and Mathematical Sciences, Volume 1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08-28
[4]
서적
Elementary Seismology
W.H. Freeman
[5]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Earthquake & Engineering Seismology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3-04-29
[6]
웹사이트
The RF Seismograph
http://www.nsarc.ca/[...]
2018-03-28
[7]
웹사이트
The Singing Sun
http://solar-center.[...]
2018-03-28
[8]
서적
Science and Civilisation in China: Paper and Printing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4-16
[9]
뉴스
NASA's InSight Places First Instrument on Mars
https://www.jpl.nasa[...]
2018-12-19
[10]
간행물
Dragons and toads: the Chinese seismoscope of BC. 132
[11]
서적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ume 3: Mathematics and the Sciences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웹사이트
The invention of the Seismoscope
http://dailyasianage[...]
2022-10-12
[13]
간행물
The Study of Earthquakes in the Hundred Years Following Lisbon Earthquake of 1755
2007-01-01
[14]
간행물
Cultural and scientific value of seismology's heritage in Europe: why and how to preserve
1997-01-01
[15]
서적
Shelley Unbound: Discovering Frankenstein's True Creator
https://books.google[...]
Feral House
2013-07-22
[16]
간행물
A history of British seismology
2013-06-01
[17]
웹사이트
Seismographen
http://www.geophys.u[...]
2011-02-18
[18]
서적
Encyclopedia of Earthquake Engineering
Springer
2022-10-17
[19]
서적
Earthquakes and Engineers: an International History
http://www.asce.org/[...]
ASCE Press
[20]
간행물
John Milne : father of modern seismology
1980
[21]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Seismograph?
http://www.theinvent[...]
2022-10-12
[22]
웹사이트
Physics of the Zero-Length Spring of Geoscience
http://physics.merce[...]
2018-03-28
[23]
웹사이트
A Biography of Lucien LaCoste, inventor of the zero-length spring
http://www.mssu.edu/[...]
[24]
웹사이트
Redwood City Public Seismic Network
http://psn.quake.net[...]
2018-03-28
[25]
간행물
Ultrastable laser interferometry for earthquake detection with terrestrial and submarine cables
2016-08-03
[26]
간행물
Toward improved urban earthquake monitoring through deep-learning-based noise suppression
2022-04-15
[27]
웹사이트
A deep-learning algorithm could detect earthquakes by filtering out city noise
https://www.technolo[...]
2022-04-17
[28]
웹사이트
NEWS FLASH!! SCSN Earthquake Catalog Completed!!
http://www.data.scec[...]
Seismological Laboratory, Caltech
2014-07-04
[29]
보고서
Earthquake Locations Determined by the Southern Alaska Seismograph Network for October 1971 through May 1989
http://pubs.usgs.gov[...]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1993-06
[30]
문서
やや時代が下がるが、[[132年]]には[[張衡 (科学者)|張衡]]が、酒樽のような形の壷のまわりに8つの竜をあしらった地震計、[[地動儀]]を作っている。地震動を検知すると竜の口から玉が落ち、下に置かれた蛙型の容器に落ちて音が鳴る仕組みであった。張衡は[[138年]][[3月1日]]には無感地震を検知している。地震学会(1979)
[31]
웹사이트
地震と私たち(5)
http://www.tohoku-ge[...]
一般社団法人東北地質調査業協会
2019-11-26
[32]
웹사이트
ユーイングの円盤記録式地震計について
https://www.kahaku.g[...]
国立科学博物館
2019-11-29
[33]
문서
震災と復興を巡る一考察
http://library.jsce.[...]
[34]
문서
東京案内. 下巻
https://dl.ndl.go.jp[...]
裳華房
[35]
문서
幻燈使用法
https://dl.ndl.go.jp[...]
教育品製造会社
[36]
서적
屋井の乾電池
https://dl.ndl.go.jp[...]
畝傍書房
1942
[37]
서적
2001
[38]
서적
2001
[39]
서적
2001
[40]
간행물
新潟県中越地震の震源隣接域における微小地震観
https://www.gsj.jp/d[...]
産総研 地質ニュース
2005-03
[41]
웹사이트
平成16年(2004年)新潟県中越地震 -臨時観測点設置後の震源分布-
http://www1.rcep.dpr[...]
京都大学防災研 地震予知研究センター
[42]
웹사이트
1.震度計と震度観測体制 (1)震度の観測について
https://www.data.jma[...]
気象庁
[43]
웹사이트
1.3.1 地震動の周期区分
http://www.kyoshin.b[...]
防災科学研究所 強振動の基礎
[44]
웹사이트
10.今村式2倍強震計
http://www.gifu-kenp[...]
岐阜県博物館
2014-10-06
[45]
웹사이트
田中館の地震計
https://www.kahaku.g[...]
국립과학박물관
2018-08-22
[46]
논문
地震計の写真に見る気象庁の地震観測の歴史
https://web.archive.[...]
気象庁
2018-08-22
[47]
웹사이트
阿武山観測所の地震計
https://www.eonet.ne[...]
関西なまずの会(減災勉強会)
2024-12-15
[48]
웹사이트
沿革
https://www.npo-abuy[...]
阿武山地震・防災サイエンスミュージアム
2024-12-15
[49]
웹사이트
歴代地震計
https://www.npo-abuy[...]
阿武山地震・防災サイエンスミュージアム
2024-12-15
[50]
논문
2008年岩手・宮城内陸地震のKiK-net 一関西における大加速度記録の成因の推定
https://doi.org/10.5[...]
2011
[51]
문서
지진계 - 지 진
글로벌 세계 대백과
[52]
웹인용
지진연구센터:지진 계측 장비 참조
http://quake.kigam.r[...]
2012-10-29
[53]
웹인용
시판중인 간이 전자식 지진계의 예
http://www.koreasci.[...]
2012-10-29
[54]
웹사이트
지진계의 원리 참조
http://eqstory.skku.[...]
[55]
웹사이트
기상청 기상백과: 지진계
http://web.kma.go.kr[...]
기상청
[56]
웹사이트
지진계 제작사 이제이텍의 홍보자료
http://www.ejtech.ne[...]
[57]
웹인용
강진계 정의 _ 강진계 번역 _ 강진계 설명 _ 뭔지는 강진계_온라인 사전 / Online Dictionary
https://ko.oldict.co[...]
2021-07-06
[58]
웹인용
강진계 [strong-motion seismograph, 强震計]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https://www.sciencea[...]
2021-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