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린은 명나라의 무관으로, 정유재란 당시 조선에 파견되어 이순신과 함께 활약했다. 1543년 광동성에서 태어나 1562년 관직에 진출했으며, 이후 광동 지역의 반란을 진압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정유재란 때 명나라 수군을 이끌고 조선에 파견되어 이순신과 함께 일본군에 맞서 싸웠지만, 이순신과의 갈등과 작전 수행의 문제점도 보였다. 노량 해전에서 시마즈 요시히로의 수군을 격퇴했으나, 이순신을 잃었다. 전란 후 호광총병을 거쳐 양응룡의 난을 진압했으며, 사후 태자소보에 추증되었다. 그의 후손들은 한국에 정착하여 광동 진씨를 이루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백작 - 왕통 (명나라)
    왕통은 명나라의 무장으로, 요동 원정 등에서 활약하다가 베트남 원정에서 패배하여 투옥되었으나, 이후 북경을 지키는 데 공을 세우고 1452년에 사망했다.
진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존칭 접두사광동백(廣東伯)
이름진린
다른 이름조작(朝爵)
본명진린(陳璘)
출생1543년
출생지중국 광둥성 사오관 시
사망1607년 (64세)
군사 정보
소속명나라
복무 기간1562년 ~ 1598년
최종 계급해군 제독
주요 참전 전투/전쟁임진왜란, 정유재란
지휘명 수군
친인척손자 진영소(陳泳素)
서훈사후 태자소보(太子少保) 추증
기타 정보
린(璘)
조작(朝爵)

2. 생애

1543년 명나라 광동성(廣東省) 소주부(韶州府) 옹원현(翁源縣) 용전포(龍田鋪)(현재 광둥성 샤오관시 웡위엔현 저우피진 룽톈촌)에서 태어나, 1562년 명나라 관직에 진출했다.

가정 41년(1562년) 광동성 조주(潮州)와 영덕 등지에서 일어난 수만 명 규모의 평민 봉기를 진압하고 광동수비(廣東守備)로 승진하는 등, 만력 초기까지 여러 반란을 진압하며 공을 세웠다. 그러나 만력 9년(1581년)만력 11년(1583년)에는 탄핵을 받기도 했지만, 만력 12년(1584년) 원직에 복귀하였다. 이후 파직되었다가 만력 13년(1585년)에 다시 탄핵을 받고 파면되어 7년간 은거하였다.

1592년 일본의 조선 침략이 일어나자, 일본 정세에 정통하다는 이유로 남오도 주둔 부총병에 임명되었다. 1597년 일본군이 정유재란을 일으키자 명나라 조정은 진린에게 1만 3천 명의 병력과 550여 척의 군선을 거느리고 조선을 구원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1598년 순천왜성 전투에서 큰 피해를 보기도 했지만, 이후 일본군 철수 소식을 듣고 봉쇄를 강화했다. 노량 해전에서는 이순신과 협력하여 일본군을 격퇴했으나, 이 과정에서 이순신이 전사하는 아픔을 겪었다.

일본군 철수 후 남해도에 입성하여 잔적을 소탕하고 1599년 1월 귀국했다. 사천 파주양응룡의 난을 진압하는 공을 세웠으나, 1607년 재임 중 병사했다.

2. 1. 초기 생애 및 중국 내 활동

1543년 명나라 광동성(廣東省) 소주부(韶州府) 옹원현(翁源縣) 용전포(龍田鋪)(현재 광둥성 샤오관시 웡위엔현 저우피진 룽톈촌)에서 태어났다.[23] 1562년 명나라 관직에 출사하였다.[23] 부농 집안 출신으로, 젊은 시절부터 큰 뜻을 품고 가사를 돌보지 않았으며, 엄청난 힘과 의협심을 지니고 현명하고 훌륭한 인물들과 교류하며 검술과 병법을 즐기는 등 호걸의 기풍을 지녔다고 한다.[19]

가정 41년(1562년), 광동성 조주(潮州)와 영덕(英德) 등지에서 수만 명 규모의 평민이 반란을 일으키자 진린이 진압하였고, 광동수비(廣東守備)로 승진하였다.[23] 만력(萬曆) 초기, 광동성 고요(高要)와 게양(揭陽) 및 산인(山人) 종월천(鍾月泉)의 반란을 진압하였다. 만력 3년(1575년), 광동도사첨서서도지휘첨사(廣東都司僉書署都指揮僉事)에서 광동조경유격장군(廣東肇慶遊擊將軍)으로 승진하였다.[23] 그해 8월, 조주(潮州) 해적 제량보(誅良寶 혹은 주량보朱良寶) 등을 토벌한 공으로 승진하고 포상받았다.[24] 만력 4년(1576년) 2월, 광동 고주참장(高州參將)에 임명되었다.[25] 만력 5년(1577년) 5월, 나방(羅旁)을 평정한 공으로 부총병(副總兵) 관함(官銜)이 더해졌다.[26]

만력 9년(1581년), 남경병과급사중(南京兵科給事中) 이국관(李國觀)과 어사(御史) 장일곤(張一鯤) 등이 군정 업무에 관하여 진린 등의 군관들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렸지만, 진린은 유임되었다.[27] 만력 11년(1583년) 4월, 순안광동어사(巡按廣東御史) 나응학(羅應鶴)이 3개월치 병향(兵餉)을 삭감하고 병사 300명을 뽑아서 묘당과 사찰을 지어서 병사들의 원한을 사게 한 죄로, 분수동산부총병 관참장사(分守東山副總兵管參將事) 직에 있던 진린을 탄핵했다. 만력제는 진린을 혁직시키고 관장하는 일을 그대로 유지시켜서 공을 세워 속죄할 것을 명령하였다.[28] 이후 만력 12년(1584년) 원직에 복귀하였다.[29] 그해 9월, 좌부총병(左副總兵)에서 제독낭산등처지방부총병(提督狼山等處地方副總兵)로 승진하였으나 이후 파직되었다.[30] 만력 13년(1585년)에 탄핵을 받고 파면되어 그의 재능을 아는 사람들의 아쉬움 속에 이후 7년간 야인으로 은거하게 된다.[20]

2. 2. 임진왜란 참전

1592년(선조 25년) 6월, 진린은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신기칠영연용참장(神機七營練勇參將)에 임명되었고,[31] 같은 해 10월 신추우부장(神樞右副將) 혹은 신기영우부장(神機營右副將)이 되었다.[32]

1593년(선조 26년) 정월, 협수계진부총병서도독첨사(恊守薊鎮副總兵署都督僉事)에서 계료보정산동등처방해어왜부총병(薊遼保定山東等處防海禦倭副總兵)으로 임명되었다.[33] 일본군이 잠시 물러나고 전쟁에 지친 조정은 그해 6월 17일, 진린을 협수조장등처(恊守潮漳等處)로 전근시켰다.[34]

1597년(선조 30년) 9월 9일, 부총병(副總兵)으로 광동영(廣東營) 병사 5천 명을 이끌고 조선을 구원하라는 지시를 받았다.[35] 같은 해 10월 17일, 광서(廣西) 잠계(岑溪) 이민족 토벌 공으로 서도독첨사(署都督僉事)에서 도독첨사(都督僉事)로 정식 임명되었다.[36]

1598년(선조 31년) 2월 23일, 명 조정은 부총병도독첨사(副總兵都督僉事) 진린을 어왜총병관(禦倭總兵官)에 임명하고 관인(官印)인 관방(關防)을 주조하여 지급하였다.[37]

정유재란 당시 진린은 이순신과 초기에는 전공과 작전 수행 문제로 불화가 있었으나, 노량 해전을 거치면서 서로 협력하는 관계로 발전했다.

2. 2. 1. 노량 해전

정유재란 시기인 1597년(선조 30년), 진린은 어위도총관 및 전군도독부도독으로서 5천 명의 수군을 이끌고 조선에 들어왔다. 그는 전라도 완도군 고금도에서 이순신과 함께 일본군에 맞서 싸웠다.[35] 초기에는 전공과 작전 수행 문제로 이순신과 불화가 있었는데, 조선 수군이 획득한 수급을 강탈하고 이순신에게 거짓 장계를 강요하기도 했다. 또한 사로병진 당시 다른 명나라 장수들처럼 출병에 소극적이었으며, 조선 수군의 출병도 막았다. 이순신은 이 문제를 조선 조정에 알렸고, 선조와 비변사는 명나라 지휘부에 수군 도독 교체를 건의할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하지만, 17세기 명나라 멸망 이후에는 이순신이 진린에게 공을 양보하고 이순신의 영웅적인 모습을 보면서 점차 감복하여 진심으로 존경하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퍼졌다. 이와 비슷하게 명나라 조정에 이순신의 전공을 상세히 보고하여 만력제가 이순신에게 8가지 선물을 보내도록 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역사적 근거는 없다.

노량 해전에서 진린과 이순신은 서로 돕고 구출하는 동맹 관계였다. 진린이 이순신에게 감사를 표하려 했을 때, 이순신의 조카 이완으로부터 이순신의 전사 소식을 듣고 세 번이나 땅에 엎드려 가슴을 치며 울었다고 한다.[14][15] 이순신의 죽음은 연합 함대 전체에 퍼져 조선과 명나라의 모든 이들이 슬퍼했다.[14] 진린은 이순신의 죽음을 만력제에게 보고했고, 만력제는 진린과 이순신에게 선물과 찬사를 내렸다. 이후 이순신과 진린은 한국에서 국민 영웅으로 기념되었으며, 진린의 후손들은 광동 진씨의 시조가 되었다.

1598년(선조 31년) 9월부터 10월에 걸쳐, 진린은 명나라와 조선 수군을 이끌고 순천왜성을 포위 공격했으나 큰 피해를 입고 일시 후퇴했다. 이후 일본군 철수 소식을 듣고 다시 봉쇄했다. 소서행장은 명나라 육군 류제에게 인질, 재물, 적의 목을 내주는 조건으로 무혈 철수 협상을 맺고 배로 철수하려 했다. 그러나 진린이 봉쇄를 계속하자, 소서행장은 순천왜성의 이중환과 남해왜성의 인도를 조건으로 인질 교환을 했다. 협상이 성립되었음에도 진린의 수군이 철수하지 않아 소서행장 등은 철수하지 못하고 있었다.

시마즈 요시히로와 타치바나 무네시게 등은 고립된 소서행장을 구원하기 위해 1598년 11월 19일 수군을 편성하여 진격하려 했다. 이를 눈치챈 진린은 명나라와 조선 수군으로 매복하여 일본군을 공격했고, 노량 해전이 발발했다. 새벽부터 시작된 해전에서 시마즈 수군은 고전 끝에 후퇴했다. 진린은 시마즈와 타치바나 등의 수군 침공을 저지했지만, 부장 등자룡과 조선 수군 대장 이순신을 잃었고, 순천왜성 봉쇄가 풀려 소서행장 등의 철수를 허용하고 말았다.

일본군 철수 후 진린은 남해도에 입성하여 잔적 소탕을 실시하고 1599년(선조 32년) 1월 귀국했다.

2. 3. 임진왜란 이후

전란이 끝난 후 진린은 호광총병(湖廣總兵)에 임명되었고, 1599년(만력 27년) 명 조정은 진린의 공적을 인정하였다. 이후 만 명의 병사를 이끌고 양응룡의 난을 진압하였다.[3] [4]

사망한 뒤에는 태자소보(太子少保)에 추증되었다. 손자 진영소(陳泳素)는 감국수위사(監國守衛使)를 지내다가 명나라가 멸망하자 벼슬에서 물러나 남경으로부터 배를 타고 조선으로 와서 남해군의 장승포에 표착하였다가 조부인 진린이 공을 세웠던 강진 고금도로 옮겨 살았다. 그 후 다시 해남 내해리로 이거하여 정착하였으므로 광동 진씨(廣東 陳氏)의 뿌리가 내리게 되었다.

3. 후손

진영소(陳泳素)는 명나라가 멸망하자 감국수위사(監國守衛使) 벼슬에서 물러나 남경(南京)에서 배를 타고 조선으로 와서 남해군 장승포에 표착하였다. 이후 조부인 진린이 공을 세웠던 강진(康津) 고금도로 옮겨 살았고, 다시 해남(海南) 내해리로 이주하여 정착하였다. 이로써 광동 진씨(廣東 陳氏)가 조선에 뿌리내리게 되었다.[1]

진린은 조선 광동 진씨(廣東 陳氏)의 시조 중 한 명이며, 그의 손자 진영소(陳泳素)가 조선에 정착했다. 1644년 명나라가 멸망하고 청나라가 건국되던 시기에 진영소는 조선으로 건너와 영웅의 후손으로 따뜻한 환영과 칭송을 받았다. 그는 전라남도에 정착했으며,[1] 현재 광동 진씨는 300여 가구, 1,200~2,000명 이상의 인구를 가지고 있다.[17]

조선에 있는 진린 후손들은 조상의 고향이 중국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정확한 위치는 최근 연구를 통해서야 알게 되었다.[1] 광동 진씨(廣東陳氏) 14세손 진방식(陳邦植)은 진씨종친회 회장을 맡고 있으며,[22] 조선에서의 전승을 기념하는 제사에 다른 명나라 수군의 후손들과 함께 참여하거나,[21] 중국을 방문하여 중국에 남아 있는 진린의 후손들과 재회하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22]

4. 관련 작품

다음은 진린을 다룬 작품들이다.

4. 1. 드라마

참조

[1] 웹사이트 陳璘後裔翁源祭祖宗 http://www.ycwb.com/[...] 2002-12-08
[2] 서적 明實錄·神宗實錄
[3] 웹사이트 陈璘乌江退兵 http://www.zyol.gz.c[...] 2005-10-26
[4] 서적 Ming China 1368–1644 A Concise History of A Resilient Empir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5]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6]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7]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8]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9]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10]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11]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12] 문서 令牌、都督印、鬼刀、斬刀、曲喇叭、督戰旗、紅小令旗、藍小令旗
[13]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웹사이트 명량대첩축제 찾은 명나라 장군 후손 https://www.yna.co.k[...] 2011-10-02
[18] 뉴스 365年夢圓 明代抗倭英雄陳璘後裔雲浮尋根 中國僑界 2004-12-23
[19] 논문 論壬申之役中的陳璘
[20] 서적 明史
[21] 뉴스 <사람들> 명량대첩축제 찾은 명나라 장군 후손 https://www.yna.co.k[...] 2011-10-02
[22] 웹사이트 365年夢圓 明代抗倭英雄陳璘後裔雲浮尋根 http://big5.chinaqw.[...] 中國僑界 2004-12-23
[23]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24]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25]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26]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27]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28]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29]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30]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31]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32]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33]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34]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35]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36]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1597-10-17
[37] 서적 大明神宗顯皇帝實錄 1598-02-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