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수부 (일본 제국 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수부는 1876년 일본 제국 해군이 일본 연안을 방위하기 위해 설치한 해군 기지이다. 요코스카, 구레, 사세보, 마이즈루 등에 설치되었으며, 1945년 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함께 폐지되었다. 이후 해상자위대가 진수부의 역할을 계승하여 지방대를 설치했고, 2016년에는 진수부 관련 시설이 일본유산으로 지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부대 - 해군총대
해군총대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일본 해군이 해상 전력 통합 지휘를 위해 창설한 부대였으나, 지휘관 임명 및 통신 문제로 실질적인 전력 운용에 기여하지 못하고 폐지되었다. - 1886년 설립된 단체 - 일본건축학회
일본건축학회는 1886년 설립되어 학술 연구 발표와 정보 교류를 하는 건축 분야의 학술 단체로서, 학회지 발행, 논문집 발표, 학술대회 개최 등을 통해 건축 분야 발전에 기여한다. - 1886년 설립된 단체 - 세계 럭비 연맹
세계 럭비 연맹(World Rugby)은 럭비 유니언을 관장하는 국제 기구로, 1886년 설립되어 럭비 월드컵 등 15인제 및 7인제 럭비 대회를 주관하며, 선수 안전을 위해 노력한다. - 폐지된 일본의 국가기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 폐지된 일본의 국가기관 - 대만총독부
대만총독부는 1895년 시모노세키 조약 이후 일본이 대만을 통치하기 위해 설립한 기관으로, 행정, 입법, 사법 권한을 가졌으며, 초기에는 강경 통치를, 이후에는 경제 발전을 통한 사회 안정에 중점을 둔 통치를 펼쳤다.
진수부 (일본 제국 해군)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진수부 (鎮守府) |
영문 명칭 | Naval Station |
역할 | 해군 근거지 |
설치 목적 | 해군의 작전 지원, 관할 해역 경비, 해군 시설 유지 및 관리 |
주요 임무 | 군항 유지, 경비, 관할 해역 경비, 해군 시설 유지 및 관리, 병참 지원 |
역사 | |
기원 | 병부성 해군제독부 |
설립 배경 | 청일 전쟁 이후 해군력 강화 필요성 증대 |
설립 연도 | 1886년 |
폐지 연도 | 1945년 11월 |
폐지 이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연합군에 의해 해체 |
후신 | 지방총감부 |
조직 | |
사령부 | 각 진수부에 사령부 설치 |
사령관 | 해군 중장이 보임 |
주요 부서 | 경리부, 군의부, 법무부, 기술부, 인사부, 항만부 |
관할 구역 | |
일본 본토 | 각 진수부별로 관할 해역 설정 |
해외 | 필요에 따라 해외에도 설치 (예: 조선의 진해) |
주요 시설 | |
군항 | 함선 수리 및 보급 시설 |
탄약고 | 탄약 저장 시설 |
병원 | 해군 병원 |
통신 시설 | 통신소, 전파 기지 등 |
기상 관측소 | 해상 기상 관측 |
기능 | |
군사적 기능 | 관할 해역 방어, 함대 지원 |
행정적 기능 | 해군 인사 관리, 군수 보급 |
사법적 기능 | 군법 재판소 운영 |
주요 진수부 | |
요코스카 진수부 | 수도권 방어 |
구레 진수부 | 세토 내해 방어 |
사세보 진수부 | 규슈 방어 |
마이즈루 진수부 | 동해 방어 |
오미나토 경비부 | 쓰가루 해협 방어 (진수부 대우) |
기타 | |
관련 항목 | 해군 , 일본 제국 해군 , 군항 |
2. 역사
각 진수부에는 관할 해군 관구의 방어 준비, 소속 함정의 지휘, 보급, 출동 준비, 군대의 징집, 훈련, 시정 운영, 감독 등의 임무가 주어졌다. 진수부 사령장관(대장, 중장)은 군정에 관해서는 해군 장관의, 작전 계획에 관해서는 해군군령부장(군령부 총장)의 지시를 받았다. 오미나토는 진수부가 있는 군항보다 한 단계 아래의 요항으로 정해져 ‘요항부’가 설치되었다. 요항부는 1941년 11월에 진수부와 동격인 경비부로 변경되었으나, 진수부와 같은 고유의 함정은 보유하지 않아 경비전대, 방비전대는 편제되지 않았다.
1905년에는 뤼순 진수부가 설치되었으며, 1906년 ‘여순 진수부’라고 개칭하였다가 1914년에 폐지되었다. 마이즈루는 1923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의 여파로 일시 중단되었으나(요항부로 격하), 1939년에 부활했다.
원래 진수부는 프랑스의 해방사상의 잔재인 대서양과 지중해의 두 개 방면 대응을 위한 지역 방어가 기원이었다.[3] 다만 프랑스에서는 메이지 시대 말기에는 거의 불필요해졌다.[3]
2. 1. 초기
1875년 일본 연안을 동서 두 해역으로 나누어 동서 지휘관의 지휘 아래 두게 하였고, 1876년 동해와 서해 두 곳에 진수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동해 진수부가 먼저 요코하마에 가설되었고(서해 진수부는 아직 개설되지 않았고), 1884년에는 요코스카로 이전되어 요코스카 진수부라고 개칭되었다.[4]1886년 해군 조례 제정으로 일본의 연안 해면을 5해군구로 나누고 각 해군구에 진수부와 군항을 설치하게 되었다. 요코스카 진수부 외에, 1889년에 구레 진수부와 사세보 진수부, 1901년에는 마이즈루 진수부가 개청했다. 그러나 당초 예정되어 있던 무로란의 설치는 1903년에 중단되었다.
2. 2. 발전
1875년 일본 연안을 동서 두 바닷면으로 나누어 동서 지휘관의 지휘 하에 두게 하였고, 1876년에 동해, 서해 두 곳에 진수부를 설치하기로 했다. 동해 진수부가 먼저 요코하마에 가설되었고(서해 진수부는 아직 개설되지 않았고), 1884년에는 요코스카로 이전되어 요코스카 진수부라고 개칭되었다.[4]1886년 해군 조례 제정으로 일본의 연안 해면을 5해군구로 나누고 각 해군구에 진수부와 군항을 설치하게 되었다. 요코스카 외에 1889년에 구레 진수부와 사세보 진수부, 1901년에는 마이즈루 진수부가 개청했다. 그러나 당초 예정되어 있던 무로란의 설치는 1903년에 중단되었다.
1905년에는 뤼순 진수부가 설치되었으며, 1906년 ‘여순 진수부’라고 개칭하였다가 1914년에 폐지된다. 또한 마이즈루는 1923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의 여파로 일시 중단되었으나(요항로로 격하), 1939년에 부활했다.
진수부는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5년 11월에 폐지되었다. 1952년에 발족한 ‘경비대’, 1954년에 발족한 해상자위대는 과거 해군구, 진수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지방대, 지방총감부를 두었다. 현재는 요코스카, 마이즈루, 오미나토, 사세보, 구레에 지방대가 설치되어 있다.
2016년 4월에 일본 국내의 진수부 관련 시설은 "진수부 요코스카・구레・사세보・마이즈루 ~일본 근대화의 약동을 체감할 수 있는 거리~"로서 일본유산으로 인정되었다[5]。
2. 3. 종말
진수부는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5년 11월에 폐지되었다.[3] 1952년 발족한 경비대와 1954년 발족한 해상자위대는 과거 해군구, 진수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지방대, 지방총감부를 두었다.[3] 현재는 요코스카 지방대, 마이즈루 지방대, 오미나토 지방대, 사세보 지방대, 구레 지방대에 지방대가 설치되어 있다.[3] 오미나토만이 경비부에서 승격했고, 그 외는 진수부에서 계승했다.[4]2016년 4월, 일본 국내의 진수부 관련 시설은 "진수부 요코스카·구레·사세보·마이즈루 ~일본 근대화의 약동을 체감할 수 있는 거리~"로서 일본유산으로 인정되었다.[5]
3. 목록
4. 문화유산
2016년 4월, 일본 국내의 진수부 관련 시설은 "진수부 요코스카·구레·사세보·마이즈루 ~일본 근대화의 약동을 체감할 수 있는 거리~"(鎮守府 横須賀・呉・佐世保・舞鶴 ~日本近代化の躍動を体感できる街~일본어)로서 일본유산으로 인정되었다.[5]
5. 해상자위대와의 관계
1952년 경비대가 발족하고, 1954년 해상자위대가 발족하면서 과거 일본 제국 해군의 해군구·진수부에 해당하는 지방대·지방총감부를 두었다. 현재 요코스카 지방대, 사세보 지방대, 구레 지방대, 마이즈루 지방대, 오미나토 지방대가 설치되어 있는데, 오미나토만 경비부에서 승격되었고 나머지는 진수부에서 계승했다.
5. 1. 지방대 목록
1886년 일본은 해군 조례를 제정하여 일본 연안의 해면을 5개의 해군구로 나누고 각 해군구에 진수부와 군항 설치를 정했다. 요코스카 외에 1889년에 '''구레 진수부'''와 '''사세보 진수부''', 1901년에 '''마이즈루 진수부'''를 개청했다.[4]1905년 뤼순 진수부가 설치되었고 1906년 뤼순 진수부로 개칭했다가 1914년에 폐지했다. 마이즈루는 1923년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의 여파로 진수부를 폐지하고 요항부로 격하했으나 1939년에 부활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45년 11월에 진수부는 폐지되었다. 1952년 발족한 경비대와 1954년 발족한 해상자위대는 과거의 해군구・진수부에 상당하는 지방대・지방총감부를 두었다. 현재는 요코스카 지방대・사세보 지방대・구레 지방대・마이즈루 지방대・오미나토 지방대를 두고 있다. 오미나토만 경비부에서 승격했고, 그 외는 진수부에서 계승했다.
2016년 4월, 일본 국내의 진수부 관련 시설은 "진수부 요코스카・구레・사세보・마이즈루 ~일본 근대화의 약동을 체감할 수 있는 거리~"로서 일본유산으로 인정되었다.[5]
참조
[1]
서적
単行書・大政紀要・下編・第六十六巻
JACAR(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
간행물
防衛費倍増前にすべきは組織の整理
[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
웹사이트
日本遺産 - 平和産業港湾都市 旧軍港4市
http://www.kyugun.jp[...]
2017-10-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