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꼬리마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짧은꼬리마카크는 꼬리가 짧고 암갈색 털이 덮여 있으며, 얼굴과 꼬리에는 털이 없는 영장류이다. 수컷은 암컷보다 송곳니가 길고, 볼주머니가 있으며, 일본원숭이와 형태적으로 유사하다. 수컷은 51.7-65cm, 암컷은 48.5-58.5cm의 체장을 가지며, 인도 북동부, 중국 남부, 말레이시아,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베트남 등 아열대 및 열대 지역의 상록수림에 분포한다. 무리 생활을 하며, 과일, 잎, 곤충 등을 먹고, 표범과 구름표범이 천적이다. 사회 구조는 마카크 종과 유사하지만, 화해 전술을 통해 무리 내 평화를 유지하며, 난혼을 한다. 인간과의 관계에서는 식용, 약용으로 사용되거나 농작물 피해를 입히기도 하며,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31년 기재된 포유류 - 서부바위코끼리땃쥐
서부바위코끼리땃쥐는 코끼리땃쥐과에 속하며, 건조한 서식지에 서식하며 곤충을 먹고 바위 틈새나 덤불 속에 숨어 생활하는 포유류이다. - 1831년 기재된 포유류 - 긴꼬리족제비
긴꼬리족제비는 북미에서 처음 나타나 굴을 파는 설치류 사냥에 유리하게 진화한 족제비과의 동물로, 현재 42종의 아종이 서식 환경에 따라 나뉜다. - 마카크속 - 보닛마카크
보닛마카크는 인도 남부와 서부에 서식하며 난혼을 하고 선형적인 계층 구조를 가지는 마카크의 일종이다. - 마카크속 - 필리핀원숭이
필리핀원숭이(Macaca fascicularis)는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마카크원숭이의 일종으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며 잡식성 생활을 하고, 사회적 상호작용과 번식 행동을 보이며, 서식지 파괴와 인간-원숭이 갈등, 생명공학 연구에 사용되면서 개체 수 감소와 윤리적 문제에 직면해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캄보디아의 포유류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캄보디아의 포유류 - 이라와디돌고래
이라와디돌고래는 짧은 부리와 둥근 머리, 작은 삼각형 등지느러미가 특징인 참돌고래과의 돌고래로 동남아시아 하천 하구와 해안가에 주로 서식하며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가 시급하다.
짧은꼬리마카크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영장목 |
아목 | 직비원아목 |
하목 | 원숭이하목 |
소목 | 협비원류 |
상과 | 긴꼬리원숭이과 |
과 | 긴꼬리원숭이과 |
아과 | 긴꼬리원숭이아과 |
속 | 마카크속 |
종 | 베니가오자루 (M. arctoides) |
일반 정보 | |
이름 | 베니가오자루 |
학명 | Macaca arctoides |
명명자 | I. Geoffroy, 1831 |
영어 이름 | Bear macaque |
영어 이름 (다른 표기) | Red-faced macaque |
영어 이름 (다른 표기) | Stump-tail macaque |
영어 이름 (다른 표기) | Stump-tailed macaque |
![]() | |
![]() | |
보존 상태 | |
IUCN Red List | 취약종 (VU) |
CITES | 부록 II |
동의어 | |
동의어 | Macaca brunneus (Anderson, 1871) |
동의어 | Macaca harmandi (Trouessart, 1897) |
동의어 | Macaca melanotus (Ogilby, 1839) |
동의어 | Macaca melli (Matschie, 1912) |
동의어 | Macaca rufescens (Anderson, 1872) |
동의어 | Macaca speciosus (Murie, 1875) |
동의어 | Macaca ursinus (Gervais, 1854) |
2. 신체적 특징
짧은꼬리마카크는 일본원숭이와 형태적으로 비슷한 점이 많다.
구분 | 수컷 | 암컷 |
---|---|---|
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체장) | 51.7cm | 48.5cm |
꼬리 길이 | 0.3cm ~ 1.3cm | 1.5cm ~ 6.9cm |
체중 | 9.9kg | 7.5kg |
어두운 갈색 털로 덮여 있으며,[13][14] 얼굴과 엉덩이는 붉은 피부가 드러나 있다.[13] 나이가 들면서 얼굴에 검은 반점이 증가하여 검은색으로 변하기도 한다.[13][14] 어린 개체는 흰색 털로 덮여 있다.[13][14]
2. 1. 형태
짧은꼬리마카크는 몸에 가늘고 긴 암갈색 털이 덮여 있지만, 얼굴과 꼬리에는 털이 없으며, 꼬리 길이는 32mm에서 69mm 사이이다.[21] 새끼는 태어날 때 흰색이고, 나이를 먹으면서 어두운 색깔을 띤다.[21] 나이가 들면서, 이들의 밝은 연분홍빛 또는 붉은빛의 얼굴은 갈색 또는 검은색에 가깝게 어두워지고, 상당수의 머리털이 빠진다.[21] 수컷이 암컷보다 키가 커서 51.7cm 사이고, 몸무게는 9.7kg 사이인 반면에, 암컷의 키는48.5cm이고 몸무게는 7.5kg이다.[21] 생활 집단 내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중요한, 수컷 짧은꼬리마카크의 송곳니는 암컷의 송곳니보다 더 길게 앞으로 나와 있다.[21] 다른 모든 마카크 원숭이들과 같이, 이 종도 짧은 기간 동안에 많은 양의 먹이를 보관하기 위해 입에 볼주머니가 있다.[21] 일본원숭이와 형태적으로도 비슷한 점이 많다.머리부터 몸통까지의 길이(체장)는 수컷 51.7cm, 암컷 48.5cm이다.[14] 꼬리 길이는 수컷 0.3cm에서 1.3cm, 암컷 1.5cm에서 6.9cm이다.[14] 체중은 수컷 9.9kg, 암컷 7.5kg이다.[14] 어두운 갈색의 털로 덮여 있으며,[13][14] 얼굴은 붉은 피부가 드러나 있다. 나이가 들면서 검은 반점이 증가하여 얼굴이 검은색으로 변하는 개체도 있다.[13][14] 엉덩이도 붉은 피부가 드러난다.[13] 어린 개체는 흰색 털로 덮여 있다.[13][14]
3. 분포 및 서식지
짧은꼬리마카크는 구세계원숭이의 일종으로, 땅 위에서 사족보행을 하는 경우가 많다.[5] 이들은 주로 지역의 강수량에 따라 고도가 다른 상록수림이나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에서 서식한다.[5] 1974년에는 베라크루스 카테마코 호수의 무인도인 타나스필로에 연구를 위해 도입되기도 했다.[5] 그러나 야생 개체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5] 전 세계적인 개체수 추정치는 없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7][8]
3. 1. 구체적인 분포 지역
일반적으로 아열대와 열대 지방의 넓은 잎의 상록수 숲에서 발견되며, 해당 지역의 강수량에 따라서 분포하는 지역의 고도가 다르다.[21] 상록수림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에서 발견된다.[5] 음식과 쉼터를 위해 열대 우림에 의존하며, 인도의 히말라야 지역에서 서식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건조한 숲에서는 발견되지 않으며, 성숙림 열대 우림과 인접한 경우에만 2차림에서 시간을 보낸다.[5] 두꺼운 털을 가진 짧은꼬리마카크는 4000m까지의 고도에서 추운 기후에서도 살 수 있다.[6]이 종은 인도 북동부와 중국 남부에서 말레이 반도의 서북단 말레이시아까지 분포한다.[2][5] 또한 미얀마, 태국, 라오스, 캄보디아 및 베트남에서도 발견된다.[1][5] 방글라데시에서는 멸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 캄보디아 케오 세이마 야생 동물 보호 구역에서는 개체 수가 230마리로 감소했다는 보고가 있다.[7][8] 홍콩에는 도입되었다.[11]
4. 생태
짧은꼬리마카크는 아열대와 열대 지방의 넓은 잎 상록수 숲이나 열대 지역의 상록수림, 낙엽수림에서 주로 발견되며, 서식 지역의 강수량에 따라 분포 고도가 달라진다.[21][11]
4. 1. 행동 및 습성
짧은꼬리마카크는 일반적으로 모든 마카크 종과 동일한 사회 구조를 공유하며, 이는 암컷에게는 고정되고 유전적이지만 수컷에게는 싸움 능력과 사회적 기동에 따라 변동하는 선형 지배 계층을 갖는다. 하지만 짧은꼬리마카크를 진정으로 독특하게 만드는 것은 놀랍도록 풍부한 화해 전술 덕분에 격렬한 대립을 완화하고 무리 내에서 높은 수준의 평화주의와 조화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이다.[9] 이 종은 지속적인 짝 결합이 없으며, 마카크의 특징인 진정한 난혼을 한다. 신체적 폭력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며, 사소한 싸움이 종종 일어나고 신체적 위협이 나타나기도 하지만, 빠르게 해결되는 경향이 있어 이 종은 평화로운 것으로 여겨진다.짧은꼬리마카크는 식습관에 있어서 놀라울 정도로 까다롭지 않지만, 과일은 일반적으로 그들 식단의 주요 부분이다. 크고, 육중하며, 근육질의 체격에 두껍고 단단한 사지를 가지고 있어 육상에서는 매우 민첩하지만 나무에서는 꽤 어색하며, 이러한 마카크로서는 특이한 체격은 이 종이 다른 마카크 종보다 더 많은 양의 고기를 소비하는 독특한 경향의 원인일 수 있다. 짧은꼬리마카크는 매우 많은 양의 곤충, 작은 동물, 알을 먹는다. 20~30마리 무리를 이루어 생활한다.[14]
식물의 잎, 열매, 죽순, 곤충, 조류의 알 등을 먹는다.[11][14] 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어린 개체 때부터 배란하지 않는 개체나, 동성 간에도 빈번하게 성교를 한다.[14] 무리 내 경쟁 개체가 많은 경우, 여러 수컷이 연합하여 협력하여 암컷을 점유하는 행동을 한다.[16] 수컷에게 연합에 의한 번식은, 단독으로 경쟁하는 것보다 교미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에 전략상 유리하다고 생각된다.[16]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4] 천적으로 표범, 구름표범이 있다.
4. 2. 번식
암컷 짧은꼬리마카크 연구 집단에서는 스테로이드 성 호르몬, 특히 17β-에스트라디올과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β-에스트라디올 수치는 여름과 가을에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프로게스테론 수치는 여름, 가을, 겨울에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는 짧은꼬리마카크가 연간 두 번의 번식기, 즉 여름(7~8월)과 가을(11월)을 갖는 이유를 설명하며, 짧은꼬리마카크의 출산 빈도 분포에 의해 뒷받침된다.[11]번식 방식은 태생이다. 어린 개체 때부터 배란하지 않는 개체나, 동성 간에도 빈번하게 성교를 한다.[14] 무리 내 경쟁 개체가 많은 경우, 여러 수컷이 연합하여 협력하여 암컷을 점유하는 행동을 한다.[16] 수컷에게 연합에 의한 번식은 단독으로 경쟁하는 것보다 교미 기회가 늘어나기 때문에 전략상 유리하다고 생각된다.[16] 한 번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14]
4. 3. 사생관
2023년 1월, 태국에서 사회적 지위가 낮은 수컷 야생 짧은꼬리원숭이 3마리가 죽은 암컷 성체와 교미하는 모습이 4건 기록되었다. 교토 대학 연구팀은 2024년 5월에 이 사실을 발표하면서, 짧은꼬리원숭이가 죽음이라는 상황을 이해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17]5. 분류
종소명 ''arctoides''는 라틴어로 "곰과 같은"이라는 뜻이다.[13] 과거 종명은 ''Macaca speciosa''였지만, 이는 원래 일본원숭이를 가리키는 학명으로 현재는 어느 종에도 사용되지 않는다.[13]
생식기 형태로는 마카크속 내에서 이 종만으로 구성되는 ''arctoides'' 종군으로 구별되지만, 분자 계통 분석 결과 ''sinica'' 종군에 포함시키기도 한다.[16] Y 염색체와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 결과 ''sinica'' 종군과 ''fascicularis'' 종군의 잡종에서 기인하는 계통이라는 것이 밝혀졌으며, ''sinica'' 종군에서 분기한 후 붉은털원숭이의 조상종으로부터 유전자 흐름이 일어났다고 추정된다.[16]
6. 인간과의 관계
짧은꼬리마카크는 생존지에서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전통적으로 약용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1] 쌀, 고구마, 감자 등 농작물을 해치는 일도 있다.[11]
목재 및 땔감 채취를 위한 산림 벌채, 도로 및 댐 건설, 농지 개발, 플랜테이션 전환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토양 유출, 그리고 식용, 약용, 애완용, 스포츠 사냥 등으로 인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11] 1977년 영장목 단위로 워싱턴 조약 부속서 II에 게재되었다.[12]
일본에서는 2021년 시점에서 마카크속(마카쿠속) 단위로 특정 동물로 지정되었으며, 2019년 6월에는 애완 목적의 사육이 금지되었다(2020년 6월 시행).[18]
참조
[1]
간행물
Macaca arctoides
2020
[2]
서적
MSW3 Groves
[3]
논문
Priority ratings for conservation of Indian primates
[4]
논문
Status and conservation of the stump-tailed macaque Macaca arctoides in India
[5]
웹사이트
Primate Factsheets: Stump-tailed macaque (Macaca arctoides) Taxonomy, Morphology, & Ecology
http://pin.primate.w[...]
2005
[6]
서적
Animals of Asia
Hamlyn Publishing Group
1983
[7]
논문
Long-term monitoring of wildlife populations for protected area management in Southeast Asia
[8]
논문
Status of Key Species in Keo Seima Wildlife Sanctuary 2010-2020
https://library.wcs.[...]
2020-12-04
[9]
논문
Reconciliation patterns among stumptailed macaques: a multivariate approach
http://www.sciencedi[...]
1999
[10]
논문
Annual variations in sexual hormones and births' frequency in female stump-tailed macaques (Macaca arctoides)
[11]
간행물
Macaca arctoides
https://doi.org/10.2[...]
2020
[12]
웹사이트
Macaca arctoides
https://www.speciesp[...]
UNEP
2021
[13]
논문
サルの分類名(その1:マカク)
https://doi.org/10.2[...]
日本霊長類学会
1987
[14]
서적
動物世界遺産 レッド・データ・アニマルズ4 インド、インドシナ
講談社
2000
[15]
서적
動植物名よみかた辞典
日外アソシエーツ
[16]
논문
タイ王国に生息する野生ベニガオザルの社会生態学的研究:これまでわかったことと将来への展望
https://doi.org/10.2[...]
日本霊長類学会
2023
[17]
뉴스
“死んだ個体”と交尾するサル 京大が記録 野生霊長類では初 「動物の死生観を理解する重要なデータ」 - ITmedia NEWS
https://www.itmedia.[...]
2024-09-29
[18]
웹사이트
特定動物リスト (動物の愛護と適切な管理)
https://www.env.go.j[...]
環境省
[19]
서적
MSW3 Groves
[20]
간행물
[21]
웹인용
Primate Factsheets: Stump-tailed macaque (Macaca arctoides) Taxonomy, Morphology, & Ecology
http://pin.primate.w[...]
2008-04-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