찐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찐딱은 1606년 찐씨 가문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1682년 사망한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정치적 실세였다. 1645년 국정을 장악한 그는 응우옌씨와의 전쟁에서 여러 차례 공방전을 벌였으며, 막 왕조 잔당을 소탕하는 데 기여했다. 내치에서는 도량형을 개정하고 기독교를 불법화하는 등 정책을 펼쳤으며, 외교적으로는 네덜란드와 프랑스와의 관계를 맺으려 했다. 찐딱은 사망 후 '홍조'라는 묘호와 함께 '양왕'으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찐 주 - 찐장
찐장은 1711년에 태어나 1761년에 사망한 베트남 찐 주의 군주이며, 레조를 폐위하고 레 순종을 옹립한 후 대원수총국정, 상사, 태부, 정왕으로 진봉되었고, 농민들의 어려움과 자연재해 속에서 통치하다 동생에게 전위하고 태상왕으로 물러났다. - 찐 주 - 찐똥
찐똥은 후 레 왕조 찐 주의 제12대 군주로, 삼부군의 반란을 틈타 권력을 장악했으나 정국 혼란과 떠이선 왕조의 침공에 패배하여 자결했다. - 1682년 사망 -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
알레산드로 스트라델라는 바로크 시대 이탈리아 작곡가로, 오페라, 칸타타, 오라토리오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으며 콘체르토 그로소 형식의 선구자로 여겨지지만, 방탕한 사생활과 갈등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하여 그의 삶은 여러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1682년 사망 -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
바르톨로메 에스테반 무리요는 17세기 스페인 바로크 화가로, 세비야에서 활동하며 종교화와 풍속화 등 다양한 장르에서 뛰어난 솜씨를 보였고, 특히 어린이와 성모 마리아를 묘사한 작품으로 유명하며, 그의 작품은 세계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 1606년 출생 - 샤쿠샤인
샤쿠샤인은 17세기 중반 홋카이도 히다카 지방의 메나시쿨 집단 소을명으로, 마쓰마에 번의 착취에 저항하여 1669년 봉기를 일으켰으나 진압되었고, 그의 봉기는 아이누 민족 저항과 마쓰마에 번의 억압적 지배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념되고 있다. - 1606년 출생 - 윤문거
윤문거는 조선 시대 문신이자 학자로,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역임했으나 효종 때 관직을 사양하고 학문 연구에 전념하며 성리학에 비판적인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한 인물이다.
찐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찐 주의 군주, 통킹의 군주 |
본명 | 찐 딱 (Trịnh Tạc, 鄭柞, 정작) |
시호 | 양왕 (Dương Vương, 陽王) |
묘호 | 홍조 (Hoằng Tổ, 弘祖) |
능호 | 알 수 없음 |
통치 정보 | |
재위 기간 | 1657년 – 1682년 |
전임 군주 | 찐 짱 |
후임 군주 | 찐 깐 |
봉작 | 영군공 (Vinh Quận Công, 榮郡公), 서군공 (Tây Quận Công, 西郡公), 서국공 (Tây Quốc Công, 西國公), 서정왕 (Tây Định Vương, 西定王) |
생애 | |
출생일 | 1606년 4월 11일 |
출생지 | 동경, 당 ngoài |
사망일 | 1682년 9월 24일 (76세) |
사망지 | 동경, 당 ngoài |
매장지 | 알 수 없음 |
종교 | 불교 |
가족 관계 | |
부친 | 찐 짱 |
모친 | 쩐 티 응옥 다이 |
배우자 | 부 티 응옥 레, 찐 티 응옥 룽, 마이 티 응옥 띠엔 |
자녀 | 찐 깐, 더 많은 아들과 딸 |
왕조 | |
가문 | 찐 주 |
기타 정보 | |
시대 | 레 중흥조 |
휘 | 찐 딱(Trịnh Tạc) |
존호 | 양왕(Dương Vương) |
2. 생애
찐딱은 1606년 찐짱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1657년 아버지가 사망하자 찐씨 정권의 지도자 자리를 계승했다.[2] 찐딱은 응우옌 주(응우옌씨)와의 전쟁, 막 왕조 잔당 소탕, 내치 및 외교 등 여러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찐딱의 생애는 크게 초기 생애 및 권력 장악, 응우옌씨와의 전쟁, 막 왕조 잔당 소탕, 내치 및 외교, 사망으로 나눌 수 있다.
- 초기 생애 및 권력 장악: 찐딱은 여러 관직을 거치며 점차 권력을 장악했고, 아버지 찐짱이 사망한 후 찐씨 정권의 지도자가 되었다.
- 응우옌씨와의 전쟁: 찐딱은 남쪽의 응우옌씨와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으며, 초기에는 고전했으나 결국 린강(𤅷江)을 경계로 휴전 협정을 맺었다.
- 막 왕조 잔당 소탕: 찐딱은 북쪽의 막 왕조 잔당을 소탕하고, 청나라와의 외교를 통해 막 왕조의 재기를 막았다.
- 내치 및 외교: 찐딱은 도량형을 정비하고, 문관 관료 정부를 재건하는 등 내치를 다졌다. 또한, 네덜란드, 영국과의 교역을 추진하고, 기독교를 탄압하는 등 외교 정책을 펼쳤다.
- 사망: 찐딱은 1682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찐깐이 뒤를 이었다.
각 시기별 주요 내용은 하위 섹션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권력 장악
호앙딘 7년 3월 5일(1606년 4월 11일)에 찐짱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2] 호앙딘 5년(1614년) 6월, '''영군공'''(榮郡公)에 봉해졌다.[2]득롱 3년(1631년) 11월, 북군좌도독부장(北軍左都督副將) 겸 태보(太保) 겸 '''서군공'''(西郡公)으로 진봉되었고, 예안처(乂安處)로 나가 진수하였다.[2] 이듬해(1632년) 3월, 소부(少傅)가 가봉되었다.[2]
푹타이 3년 4월 19일(1645년 5월 14일), 흠차절제각처수보제영(欽差節制各處水步諸營) 겸 장국권병좌상(掌國權柄左相) 겸 태위(太尉) 겸 '''서국공'''(西國公)으로 진봉되었고, 겸정부(謙定府)를 설치하니 나라의 정치가 대개 찐딱에 의해 결정되었다.[2]
1648년, 아버지 찐짱의 건강이 악화되면서 찐딱은 조정에서 더 많은 정치적 권력을 얻었다.[2]
2. 2. 응우옌씨와의 전쟁
1652년 8월, 원수장국정(元帥掌國政) 겸 서정왕(西定王)으로 진봉되었다.[2]1655년 9월, 응우옌 주(응우옌씨)가 북쪽으로 찐 주(찐씨)를 침공하여 찐 주의 군대를 여러 차례 패배시키자 전선이 예안(乂安)처의 람강(藍江) 일대로 밀리게 되었다. 찐딱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남하하여 응우옌군을 자잉강(Gianh River) 이남으로 몰아냈다.[2]
1656년 6월, 찐딱은 아들 찐깐에게 군사를 이끌고 예안을 지원하도록 했다.[2]
1657년 찐짱이 사망하고 찐딱이 그 뒤를 이었다. 찐씨 군사와 응우옌씨 군사는 람강 일대에서 대치하였다.[2]
1659년 9월 2일, 대원수장국정(大元帥掌國政) 겸 상사(尙師) 겸 서왕(西王)으로 진봉되었다.[2]
1660년 응우옌씨 군대에 내분이 발생하여 철군하자, 찐딱은 병사를 파견해 응우옌씨가 점령했던 7개 현과 1개 주를 수복하였다.[2]
1661년 윤 10월, 군사를 이끌고 남하하여 응우옌씨를 멸망시키려 하였으나, 응우옌씨 군대의 방어를 뚫지 못했다.[2]
1662년 10월, 철군하여 탕롱(Thăng Long, 하노이)으로 돌아갔다.[2]
1672년 6월, 다시 응우옌씨에 대한 공격을 개시하여 직접 군사를 이끌고 남하하였으나, 응우옌씨 군대에게 격퇴되었다.[2]
1673년 9월, 찐씨와 응우옌씨는 전쟁을 중지하고 린강(Linh River, 𤅷江)을 경계로 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로써 약 100년간 지속된 평화가 찾아왔다.[2]
2. 3. 막 왕조 잔당 소탕
1662년 찐딱이 남부 원정을 떠난 틈을 타 까오방(Cao Bằng)의 막 왕조 잔당 막낀부(막경우)가 남하하여 찐씨를 공격하였으나, 찐딱에게 패배하였다.[2] 이후 찐딱은 까오방의 막 왕조를 공격하였다.1667년 찐딱은 까오방을 공격해 크게 이겼고, 막낀부의 뒤를 이은 막응우옌타인(막경황)은 청나라로 피신하였다.[3] 강희제의 요구에 따라 찐딱은 막응우옌타인이 까오방으로 돌아오는 것을 허락하였으나, 막 왕조의 세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1677년 청나라에서 삼번의 난이 평정되자, 찐딱은 다시 까오방을 공격하여 막 왕조를 완전히 멸망시켰다.[4] 찐딱은 막 왕조가 오삼계를 지지했다는 증거를 청나라에 제시하여, 청나라의 막 왕조 지원을 중단시켰다.
2. 4. 내치 및 외교
까인찌 2년(1664년) 찐딱은 팜꽁뜨(Phạm Công Trứ)에게 명하여 도량형을 새로 수정하도록 하여 백성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하였다.[2] 까인찌 6년(1668년) 찐딱은 대원수장국정(大元帥掌國政) 겸 상사(尙師) 겸 태부(太父) 겸 덕공인위명성서왕(德功仁威明聖西王)으로 진봉되었다.빈토 시대(1658년-1662년) 동안, 찐딱은 15세기 레 타인 통 황제가 세운 문관 관료 정부를 재건하고 부활시켰다. 인구 등록을 재설정하고, 세금을 부과하고, 제방과 도로를 재건하고, 국가 지원 학교와 문관 시험을 다시 열었다.
재위 초기에 찐딱은 기독교 선교사들과 기독교 공동체에 우호적인 시각을 유지했다. 그러나 선교사들을 응우옌 주의 스파이로 여긴 관리들의 영향을 받아 기독교를 금지하기 시작했다. 1662년 그는 도교와 불교를 국교로 선포하는 동시에 기독교를 불법화했다. 1663년 예수회는 북부 베트남에서 추방되었다. 1669년 7월 13일 그는 외국 선박이 하노이에 도착하는 것을 금지하고, 대신 홍강을 따라 포히엔에 정박하도록 했다.
1671년 찐딱은 바타비아(Batavia, 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있는 네덜란드 정부에 남부의 응우옌씨에 대한 군사 작전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1672년 그는 영국 동인도 회사가 하노이에 공장을 여는 것을 허락했다.
2. 5. 사망
鄭柞|찐딱중국어은 찐호아 3년 8월 23일(1682년 9월 24일)에 77세(만 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아들인 찐깐이 뒤를 이었다.[2] 시호는 '''총헌'''(聰憲)이며, 묘호는 '''홍조'''(Hoằng Tổ|홍조vi)이고, '''양왕'''(Dương Vương|양왕vi)으로 존봉되었다.[3] 찐 주의 왕들이 대대로 미자(美字)를 더하여 최종적으로 홍모원략안국회강진강흥치웅도영위규문분무돈대명작준덕위공예산신모경광대렬조하조기수휴천범수내양외보화치치양왕(洪謨遠略安國恢疆振綱興治雄度英威揆文奮武惇大明作峻德巍功睿算神謀耿光大烈造夏肇基垂庥闡範修內攘外保和致治陽王)이 되었다.[4]3. 가족 관계
- '''조부''': 성조 철왕(哲王) 찐뚱(Trịnh Tùng)
- '''조모''': 자휘태비(慈徽太妃) 당 티 응옥바오(Đặng Thị Ngọc Bảo)
- '''부친''': 문조 의왕(誼王) 찐짱(Trịnh Tráng)
- '''모친''': 자훤태비(慈萱太妃) 쩐 티 응옥다이(Trần Thị Ngọc Đài)
3. 1. 부인
봉호 | 시호 | 이름 (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국구 (장인/장모) | 비고 |
---|---|---|---|---|---|---|
정비 (正妃) | 자우태비 (Từ Hựu Thái Phi|자우태비중국어) | 부 티 응옥호앙 (Vũ Thị Ngọc Hoàng|무씨옥황중국어) | [5] | |||
정비 (正妃) | 자후정비 (Từ Hậu Chính Phi|자후정비중국어) | 정씨옥룡 (Trịnh Thị Ngọc Lung|정씨옥롱중국어) | 1612년 ~ 1706년 | [7] [6] | ||
소의 (昭儀) | 마이 티 응옥띠엔 (Mai Thị Ngọc Tiến|매씨옥진중국어) | |||||
궁빈 (宮嬪) | 응우옌 티 도안짱 (Nguyễn Thị Đoan Trang|완씨단장중국어) |
- 정실: 정씨옥룡 - 양자로 들였던 가종이 즉위하자 국태모로 칭해졌다.
- 완씨단장 - 조군공 정종과 군주 정씨의 어머니.
3. 2. 아들
순번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1 | 무군공 | 찐득 (Trịnh Đức /鄭德 /정덕) | 자우태비 부 티 응옥호앙 | [8] | |||
2 | 소군공 | 찐흐우 (Trịnh Hữu /鄭有 /정유) | 자우태비 부 티 응옥호앙 | [9] | |||
3 | 당군공 | 찐쯔엉 (Trịnh Lương /鄭樑 /정량) | 자우태비 부 티 응옥호앙 | [10] | |||
4 | 정왕 | 융단 (Dung Đoạn /融斷) | 찐깐 (Trịnh Căn /鄭根 /정근) | 1633년 ~ 1709년 | 자우태비 부 티 응옥호앙 | 찐 주의 제6대 군주. [11] | |
5 | 이충공 | 찐동 (Trịnh Đông /鄭棟 /정동) | ? ~ 1681년 | ||||
6 | 전의공 | 찐옥 (Trịnh Ốc /鄭楃 /정악) | ? ~ 1691년 | ||||
7 | 파군공 | 찐주 (Trịnh Du /鄭榆 /정유) | |||||
8 | 조군공 | 찐똥 (Trịnh Tông /鄭棕 /정종) | 궁빈 응우옌 티 도안짱 | ||||
9 | 소군공 | 찐팍 (Trịnh Phác /鄭樸 /정박) | |||||
10 | 무공 | 찐꾸안 (Trịnh Quán /鄭樌 /정관) | |||||
11 | 염군공 | 찐끼엔 (Trịnh Kiền /鄭虔 /정건) | |||||
12 | 다군공 | 찐깜 (Trịnh Cầm /鄭錦 /정금) | |||||
13 | 운군공 | 찐끼엔 (Trịnh Kiền /鄭榩 /정건) | |||||
14 | 수군공 | 찐레 (Trịnh Lệ /鄭欐 /정려) | |||||
15 | 진군공 | 찐뚜 (Trịnh Tu /鄭樇 /정수) |
3. 3. 딸
레 현종의 황후가 된 장녀 찐 티 응옥앙(Trịnh Thị Ngọc Áng, 鄭氏玉𣖮)과, 서군공 완덕충에게 시집간 차녀 찐 티 응옥사인(Trịnh Thị Ngọc Sanh, 鄭氏玉檉)이 있다.[12] 군주(郡主) 찐 티(Trịnh Thị, 鄭氏)는 영군공에게 시집가 도씨를 낳았고, 도씨는 겸군공 정연(정근의 차남)에게 시집갔다.[13]봉호 | 이름 | 비고 | |
---|---|---|---|
1 | 군주 (Quận Chúa) | 찐 티 응옥앙 (Trịnh Thị Ngọc Áng /鄭氏玉𣖮) | 레 현종의 황후 |
2 | 군주 (Quận Chúa) | 찐 티 응옥사인 (Trịnh Thị Ngọc Sanh /鄭氏玉檉) | 서군공 완덕충에게 시집감[12] |
3 | 군주 (Quận Chúa) | 찐 티 (Trịnh Thị /鄭氏) | 영군공에게 시집감[13] |
4. 평가 및 영향
찐딱의 통치는 베트남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그는 장기간에 걸친 내전을 종식시키고 북부 지역의 안정을 확립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잦은 전쟁과 강압적인 통치는 백성들에게 큰 고통을 안겨주었으며, 이는 훗날 농민 반란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특히, 응우옌씨와의 전쟁은 막대한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초래했으며, 백성들의 삶을 피폐하게 만들었다.[2]
찐딱은 대외적으로 청나라와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네덜란드, 영국 등 서양 세력과의 교류를 통해 국익을 추구하려 했다. 이는 당시 동아시아 국제 정세 속에서 베트남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현실적인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3][4]
참조
[1]
서적
[2]
서적
大越史記全書
[3]
서적
大越史記全書
[4]
서적
[5]
문서
홍인공(Hồng Nhân Công/洪仁公)
[6]
문서
국태모(Quốc Thái mẫu/國太母)
[7]
문서
광국공(Quảng Quốc Công/廣國公) 찐 빈 푹(Trịnh Vĩnh Phúc/鄭永福/정영복)
[8]
문서
부군공(Phú Quận Công/富郡公) / 의국공(Nghi Quốc Công/宜國公) / 정남왕(Định Nam Vương/定南王)
[9]
문서
무군공(Vũ Quận Công/武郡公) / 이군공(Lỵ Quận Công/莅郡公)
[10]
문서
전군공(Điện Quận Công/奠郡公)
[11]
문서
선군공(Tuyên Quận Công/宣郡公) / 충선공(Trung Tuyên Công/忠宣公)
[12]
문서
서군공(Thụy Quận Công/瑞郡公) 응우옌 득 쭝(Nguyễn Đức Trung/阮德忠/완덕충)
[13]
문서
영군공(Vĩnh Quận Công/永郡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