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 (기독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국(기독교)은 기독교 신학에서 사후 세계, 즉 하나님과 함께하는 영원한 삶의 장소를 의미한다. 성경은 천국에 대한 구체적인 묘사를 거의 제공하지 않지만, 요한 계시록에서는 새 예루살렘이 천국에서 지구로 내려온다고 묘사한다. 천국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논의는 자유 의지, 지옥과의 관계, 그리고 니체의 비판과 같은 주제를 다룬다. 기독교 신학은 천국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제시하며, 초기 기독교, 정교회, 로마 가톨릭, 개신교, 감리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그리스도 아델피안, 여호와의 증인, 후기 성도 운동 등 각 교파는 천국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우주론 - 낙원
낙원은 여러 종교와 문화에서 이상적인 장소를 의미하며, 고대 이란어에서 유래하여 에덴동산, 천국, 정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기독교 우주론 - 영생 (기독교)
영생은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를 아는 것이며 믿음을 통해 얻는 하나님의 선물로, 다양한 교파들이 각기 다른 교리를 가지고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천국 (기독교) | |
---|---|
기본 정보 | |
![]() | |
다른 이름 | 낙원 천국 신의 나라 신의 왕국 영원한 생명 |
유형 | 종교적 개념 |
기독교적 관점 | |
관련 종교 | 기독교 |
신학적 분류 | 종말론 |
설명 | 신과 함께 하는 영원한 생명 의로운 자들의 영원한 안식처 신의 임재를 경험하는 곳 구원받은 자들의 최종 목적지 신의 사랑과 은총이 충만한 곳 완벽한 평화와 기쁨이 있는 곳 |
성경적 묘사 | |
구약성경 | "높은 곳" (시편 103:19) "주의 얼굴 앞의 기쁨" (시편 16:11) "아브라함의 품" (예수님의 비유, 누가복음 16:22) |
신약성경 | "아버지 집" (요한복음 14:2) "새 예루살렘" (요한의 묵시록) "영원한 집" (고린도후서 5:1) "하늘에 있는 상" (마태복음 5:12) "생명의 면류관" (요한 묵시록 2:10) "영광스러운 유산" (베드로전서 1:4) |
교파별 관점 | |
가톨릭 교회 | 천국은 하느님과의 완전한 친교를 이루는 상태 정화가 필요한 경우 연옥을 거침 성인들은 이미 천국에 들어감 |
정교회 | 천국은 하느님의 영광에 참여하는 것 죽은 자들을 위한 기도와 기억이 중요 천국의 구체적인 모습은 신비로 남아 있음 |
개신교 | 천국은 믿음을 통해 즉시 들어갈 수 있음 성경에 근거한 개인의 믿음을 강조 천국의 삶은 하느님과의 직접적인 교제 |
윤리적 의미 | |
세상에 대한 영향 | 천국에 대한 소망은 기독교인들에게 현재의 삶을 긍정적으로 살아가도록 동기를 부여함 이웃 사랑, 정의 추구, 평화 건설 등의 실천을 장려함 고통과 고난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도록 지지함 |
문화적 영향 | |
예술 | 미술, 음악, 문학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천국을 묘사함 천사의 이미지, 낙원의 풍경, 신과의 만남 등을 표현함 |
대중문화 | 영화, 드라마, 소설 등에서 천국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많음 천국과 지옥, 천사와 악마 등의 대립 구도를 활용한 이야기가 많음 |
2. 성경에서의 천국
성경은 천국이 어떤 곳인지에 대한 정보를 많이 제공하지 않는다.[4] 따라서 기독교 신학자들은 천국을 묘사할 때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는다.[4]
2. 1. 요한 계시록
요한 계시록은 사람들이 천국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새 예루살렘이 천국에서 지구로 옮겨질 것이라고 말한다.[6] 요한 계시록 21장 21절에 나오는 새 예루살렘의 문에 대한 묘사는 일부 기독교 교파에 따르면 천국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비공식적인 이름인 진주문이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했다.[5]3. 철학적 논의
천국의 본질에 대한 논의는 주로 자유 의지와 행복, 그리고 지옥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천국에서 사람들이 더 이상 유혹받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고,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는 누군가의 고통을 아는 것이 구원과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전통적 신학자들은 저주받은 자의 고통을 아는 것이 오히려 천국의 기쁨을 증가시킨다고 보았지만, 현대에는 천국의 행복이 이러한 지식을 압도할 것이라는 견해도 제시된다.[6]
프리드리히 니체는 천국 개념이 의심스러운 동기를 가진 이들이 개발한 교리라고 비판하며, 종교적 강요의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6]
3. 1. 자유 의지와 행복
천국에 있는 사람이 죄를 지을 자유를 포함한 자유 의지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4] 이 문제는 논의되는 자유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4][6] 아우구스티누스는 천국에 있는 사람들은 더 이상 하나님께 순종하지 않도록 유혹받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6]사랑하는 사람이 지옥에서 영원히 고통받는다는 것을 알면서 어떻게 행복이 가능한지에 대한 문제도 제기되었다.[4] 1800년대 초 신학자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는 누군가의 고통을 아는 것은 구원과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영원한 지옥 교리와 천국 개념에 대한 반박으로 간주될 수 있다.[6] 전통적으로 신학자들은 저주받은 자의 고통을 아는 것이 실제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천국의 기쁨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말했다.[6] 더 현대적인 반응으로는 천국의 행복이 이 지식을 압도할 것이고, 사람들이 영원한 고통에 대해 평화를 느낄 것이고, 또는 그들이 지옥에 대해 아무것도 모를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6]
프리드리히 니체와 같은 철학자들은 천국 개념을 의심스러운 동기를 가진 사람들이 개발한 교리로 비판했다. 이들은 하나님이 다른 사람들을 희생하여 자신의 집단을 선호한다는 것을 증명하거나, 종종 조작과 위협을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종교나 도덕에 대한 자신들의 개념을 강요하려 했다고 주장했다.[6]
3. 2. 지옥과의 관계
천국에 있는 사람이 죄를 지을 자유를 포함한 자유 의지를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가 제기된다.[4] 이 문제는 논의되는 자유의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4][6] 아우구스티누스(Augustine)는 천국에 있는 사람들은 더 이상 하나님께 순종하지 않도록 유혹받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6]사랑하는 사람이 지옥에서 영원히 고통받고 있다는 것을 알면서 어떻게 행복이 가능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도 제기된다.[4] 1800년대 초 신학자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는 누군가의 고통에 대한 지식은 구원과 양립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는 영원한 지옥 교리와 천국의 개념에 대한 반박으로 간주될 수 있다.[6] 전통적으로 신학자들은 저주받은 자의 고통을 아는 것이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고 천국의 기쁨을 증가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6] 더 현대적인 반응으로는 천국의 행복이 이 지식을 압도할 것이고, 사람들이 영원한 고통에 대해 평화를 느낄 것이고, 또는 그들이 지옥에 대해 아무것도 모를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6]
프리드리히 니체와 같은 철학자들은 천국의 개념을 의심스러운 동기를 가진 사람들이 개발한 교리로 비판했다. 이들은 하나님이 다른 사람들을 희생하여 자신의 집단을 선호한다는 것을 증명하거나, 종종 조작과 위협을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종교나 도덕에 대한 자신들의 개념을 강요하려 했다고 주장한다.[6]
3. 3. 니체의 비판
프리드리히 니체와 같은 철학자들은 천국의 개념을 의심스러운 동기를 가진 사람들이 개발한 교리로 비판했는데, 그들은 하느님이 다른 사람들을 희생하여 자신의 집단을 선호한다는 것을 증명하거나, 종종 조작과 위협을 포함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종교나 도덕에 대한 자신들의 개념을 강요하려 했다.[6]4. 기독교 신학
기독교 신학에서 천국에 대한 개념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의 왕국이 이 땅에 곧 도래할 것이라고 믿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천국에 대한 이해는 점차 발전하였다.
육체의 부활과 영혼의 불멸이라는 두 가지 주요 개념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종종 이중 심판 교리로 결합되어 영혼이 죽을 때 한 번, 그리고 최후의 심판 때 또 한 번 심판을 받는다고 설명된다. 일부 교파에서는 사람이 죽는 즉시 천국에 들어간다고 믿는 반면, 다른 교파에서는 최후의 심판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고 가르친다.
일부에서는 아담과 이브의 불순종으로 인해 죽음이 허용되었으며, 이는 인류가 죄의 상태에서 영원히 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한다.[45][46][47] 천국은 지복 직관을 누리는 곳으로 묘사되지만, 너무나 거룩하고 완벽하여 인간이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렵다고 여겨진다.[14]
4. 1. 초기 기독교
세속 학자들은 기독교가 이방인 종교로 발전한 1세기 초기 유대계 기독교인들이 자신들의 생애 안에 하나님의 왕국이 이 땅에 임할 것이라고 믿었으며, 이 땅에서의 신성한 미래를 고대했다고 주장한다.[3] 이 주제에 대한 가장 초기의 기독교 저술은 바울의 저작, 예를 들어 죽은 자들이 잠든 것으로 묘사된 데살로니가전서 4–5장이다. 바울은 재림이 "밤의 도둑"처럼 예고 없이 올 것이며, 잠든 신자들이 먼저 부활하고 그 다음 살아있는 자들이 부활할 것이라고 말한다. 마찬가지로, 교부 중 가장 초기의 인물인 교황 클레멘스 1세는 죽음 이후 천국에 들어가는 것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대신 재림 시에 "잠듦"의 기간 후에 부활에 대한 믿음을 표현했다.[7][8]2세기경, 이레네오 (그리스 주교)는 구원받은 모든 자들이 천국 자체에 거할 자격을 얻는 것은 아니라고 말하는 장로들의 말을 인용했다. "천국에 거할 자격을 얻은 자들은 그곳으로 갈 것이고, 다른 자들은 낙원의 즐거움을 누릴 것이며, 또 다른 자들은 도시의 영광을 소유할 것이다. 구원자는 그를 볼 자격이 있는 자들에 따라 모든 곳에서 보일 것이다."[9]
4. 2. 정교회

동방 정교회는 다양한 성인들이 천국에 대한 환상을 경험했다고 믿는다.[10] 동방 정교회에서 천국은 신성화(테오시스)의 일부로, 신성을 얻고 그리스도와 같은 행동을 통해 자신의 위격을 완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예수께서 성육신을 통해 인간의 천국 진입을 가능하게 하셨기 때문이다.[11][12]
4. 2. 1. 동방 정교회 우주론
다양한 성인들이 천국에 대한 환상을 경험했다. 정교회의 천국에서의 삶에 대한 개념은 죽은 자를 위한 기도 중 하나에 "…빛의 장소, 푸른 목초지, 안식의 장소, 모든 질병, 슬픔, 탄식이 사라진 곳"으로 묘사되어 있다.[10] 동방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에서는 오직 하느님만이 누가 천국에 들어갈 수 있는지에 대한 최종적인 결정을 내린다.동방 정교회에서 천국은 신성화(테오시스)의 일부로, 신성을 얻고 그리스도와 같은영어 행동을 통해 자신의 위격을 완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예수께서 성육신을 통해 인간의 천국 진입을 가능하게 하셨기 때문이며, 따라서 신성의 증거는 보통 그리스도의 기적과 유사한 기적이다.[11][12]
러시아 정교회 배경의 철학자인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1853–1900)는 "창조주의 신인 목표, 즉 땅이 하늘과 하나가 되도록"이라고 썼다.[13]
4. 3. 로마 가톨릭
지복 직관을 누리는 곳이기에 천국은 너무나 황홀하고, 거룩하며, 완벽하여 완전히 이해하거나 묘사하기 어렵다. 따라서 천국은 하느님께서 신앙 유산과 교도권을 통해 계시하신 것을 제외하고는 알 수 없다.[14]4. 4. 개신교
개신교에서는 사람이 죽는 순간 천국에 들어간다고 믿는 교파와 최후의 심판 때 들어간다고 믿는 교파 등 다양한 견해가 있다. 일부 기독교인은 천국 입성이 "이 세상의 모습이 사라질 때"를 기다린다고 주장한다.[44]기독교의 천국 개념은 육체의 부활과 영혼의 불멸 두 가지로 설명된다. 육체의 부활은 영혼이 최후의 심판 또는 종말에 육체와 함께 부활하여 심판을 받는다는 개념이다. 영혼의 불멸은 영혼이 죽은 직후 다른 차원의 천국으로 간다는 개념이다. 이 두 개념은 이중 심판 교리에서 결합되기도 하는데, 영혼은 죽을 때 한 번 심판을 받고 임시 천국으로 가서 두 번째이자 최종 심판을 기다린다.[44]
일부에서는 아담과 이브의 불순종으로 인해 죽음이 허용되었으며, 이는 인류가 죄의 상태에서 영원히 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가르친다.[45][46][47]
4. 4. 1. 감리교
감리교는 천국이 신실한 사람들이 하나님과 함께 영원한 행복을 누리는 상태라고 가르친다.[48]>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구원하는 지식을 가진 모든 사람은 이 세상을 떠날 때 그분과 함께 행복하게 지내며, 그분의 영원한 왕국의 영원한 영광을 누릴 것입니다. 최종 심판까지 더 풍성한 보상과 더 큰 영광이 보류됩니다. Matthew|마태복음영어 25:34, 46; John|요한복음영어 14:2, 3; Corinthians|고린도후서영어 5:6, 8, 19; Philippians|빌립보서영어 1:23, 24 —복음주의 감리교회 훈련 (¶24)[48]
4. 4. 2.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천국에 대한 이해는 다음과 같다.- 천국은 하나님이 거하시는 곳이다. 요한계시록 11장 12절에서 "그들이 구름에 싸여 하늘로 올라갔다..."라고 묘사되어 있다.[49]
- 하나님은 그의 아들 예수를 인간으로 이 땅에 보내셨다(마태복음 2장 10절 예수의 탄생). 예수는 "그의 기적을 통해 나타난 하나님의 의와 사랑을 완벽하게 보여주었으며,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고 하나님의 약속된 메시아로 증명되었다. 그는 우리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자발적으로 고난을 받고 죽었으며, 우리의 자리를 대신했으며,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여 우리를 위해 하늘 성소에서 봉사하기 위해 승천하셨다."[49]
- 그리스도는 구세주로서 다시 오실 것을 약속하며, 그때 그는 의로운 죽은 자들을 부활시키고, 의로운 산 자들과 함께 천국으로 데려갈 것이다. 불의한 자들은 그리스도의 재림 때 죽을 것이다.[50]
- 그리스도의 재림 이후에는 천년이라고 알려진 기간이 존재하며, 이 기간 동안 그리스도와 그의 의로운 성도들이 통치하고 불의한 자들은 심판을 받는다. 천년이 끝나면 그리스도와 그의 천사들이 남은 죽은 자들을 부활시키고 심판을 내리며 죄와 죄인들을 영원히 우주에서 제거하기 위해 지구로 돌아온다.[51]
- "의가 거하는 새 땅에서 하나님은 구원받은 자들을 위한 영원한 집과 그의 임재 안에서 영원한 생명, 사랑, 기쁨, 그리고 배움을 위한 완벽한 환경을 제공하실 것이다. 여기서 하나님 자신이 그의 백성과 함께 거하실 것이며, 고통과 죽음은 사라질 것이다. 큰 싸움은 끝날 것이며, 죄는 더 이상 없을 것이다. 모든 것, 생물과 무생물이 하나님이 사랑이심을 선포할 것이며, 그는 영원히 통치하실 것이다."[52] 바로 이 시점에서 천국은 새 땅에 세워진다.
4. 4. 3. 기타 교파
그리스도 아델피안은 사람이 죽은 후 바로 천국에 간다고 믿지 않는다. 이들은 예수만이 천국에 가서 여호와와 함께 있다고 믿는다. 대신, 죽은 후 영혼은 무의식 상태에 있다가 마지막 심판 때 부활하거나 멸절된다고 믿는다. 이들은 하나님의 나라가 이스라엘 땅에서 시작되어 지구상에 세워질 것이며, 예수가 천년 동안 다스릴 것이라고 믿는다.[53][54][55]여호와의 증인은 천국이 여호와와 영적 피조물들의 거처라고 믿는다. 이들은 144,000명의 선택된 신자(144,000명("
후기 성도 운동에서 천국에 대한 관점은 교리와 성약 76편과 킹 제임스 성경의 고린도전서 15장에 기반한다. 사후 세계는 마지막 심판 전후 두 단계와 네 단계로 나뉜다. 상위 세 단계는 "영광의 등급"으로 불리며, 태양, 달, 별의 밝기에 비유된다.
마지막 심판 전, 죽은 영혼은 낙원 또는 영옥으로 간다. 낙원은 안식처이며, 영옥은 회개하지 않는 자와 침례받지 않은 자를 위한 배움의 장소이다. 그러나 낙원에서 온 영들의 선교로 영옥에 있는 자들도 회개하고 복음, 속죄를 받아들이며, 죽은 자를 위한 침례를 받을 수 있다.[57]
부활과 마지막 심판 후에는 네 단계로 나뉜다.
단계 | 설명 |
---|---|
해의 왕국 | 가장 높은 단계로, 태양에 비유된다. 그리스도의 충실한 제자, 복음을 받아들이고 언약을 지킨 자들이 가족과 함께 하나님 아버지, 예수 그리스도, 성령과 영원히 함께한다. 원죄가 없다고 믿기에 책임 연령 전 죽은 어린이는 이 영광을 상속받는다. 해의 결혼을 한 남녀는 신과 여신이 될 자격이 있다. |
달의 왕국 | 달에 비유된다. 복음을 거부했지만 선하게 산 자, 복음을 받아들였지만 언약을 지키지 못한 자, 죽음 후 복음을 받아들인 자들을 위해 예비되어 있다. 하나님 아버지는 오지 않지만, 예수 그리스도와 성령이 함께한다. |
별의 왕국 | 별의 영광에 비유된다. 거짓말쟁이, 살인자 등은 죽음 이후 지옥의 고통을 겪지만, 천년기 끝에 구속된다. 현재 지구보다 편안하지만, 하나님과 예수 그리스도의 완전한 기쁨으로부터 영구히 분리되며, 성령이 함께한다. |
바깥 어둠 | 가장 낮은 단계이며 영광이 없다. 사탄, 그의 천사들, 용서받을 수 없는 죄를 범한 자들을 위한 곳이다. 극소수만이 이곳에 이르며, 가인이 대표적인 멸망의 아들이다. |
참조
[1]
서적
Festival icons for the Christian year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21 July 1999 {{!}} John Paul II
http://www.vatican.v[...]
2020-04-29
[3]
서적
Peter, Paul, and Mary Magdalene: The Followers of Jesus in History and Legend
Oxford University Press, USA
[4]
간행물
Heaven and Hell in Christian Thought
https://seop.illc.uv[...]
2021-02-20
[5]
서적
What the Good Book Didn't Say: Popular Myths and Misconceptions About the Bible
Citadel Press
[6]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Philosophy of Religion 2nd edition
https://www.taylorfr[...]
Routledge
[7]
웹사이트
1 Clement
http://www.earlychri[...]
[8]
문서
Primitive Christian Eschatology: The Hulsean Prize Essay for 1908
[9]
웹사이트
Irenaeus of Lyons; Book 5, 36:1
https://www.newadven[...]
[10]
서적
Book for Commemoration of the Living and the Dead
[11]
웹사이트
CHURCH FATHERS: Against Heresies (St. Irenaeus)
https://www.newadven[...]
2023-11-23
[12]
학술지
Hypostatic union and Monotheletism: The dyothelite christology of St. Maximus the Confessor
https://research.lib[...]
1994-01-01
[13]
서적
The Teachings of Modern Orthodox Christianity on Law, Politics, and Human Natur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24-05-01
[14]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27
http://www.scborrome[...]
[15]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24
http://www.scborrome[...]
[16]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27
http://www.scborrome[...]
[17]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954
http://www.scborrome[...]
[18]
웹사이트
Summa Theologica, Question 50, Article 3
https://www.newadven[...]
[19]
웹사이트
EWTN, Litany of the Saints
https://www.ewtn.com[...]
[20]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478
http://www.scborrome[...]
[21]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257
http://www.scborrome[...]
[22]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30
https://www.vatican.[...]
[23]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24
https://www.vatican.[...]
[24]
웹사이트
CCC 1023
https://www.vatican.[...]
[25]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26
https://www.vatican.[...]
[26]
웹사이트
Roman Catechism, Everlasting Life
https://www.saintsbo[...]
[27]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832
https://www.vatican.[...]
[28]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508
http://www.scborrome[...]
[29]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972
http://www.scborrome[...]
[30]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27
https://www.vatican.[...]
[31]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326
http://www.scborrome[...]
[32]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2550
http://www.scborrome[...]
[33]
웹사이트
Roman Catechism, Beatific Vision
https://www.saintsbo[...]
[34]
웹사이트
Roman Catechism, Accessory Happiness
https://www.saintsbo[...]
[35]
웹사이트
Roman Catechism, Accessory Happiness
https://www.saintsbo[...]
[36]
웹사이트
Council of Trent, Canon XXXI
https://www.capdox.c[...]
[37]
간행물
Our Good Deeds Follow Us: A Reflection on the Secondary Joy of Heaven
https://web.archive.[...]
2020-04-29
[38]
웹사이트
Catholic Answers, Is Heaven a Place or Only a State of Mind?
https://www.catholic[...]
[39]
웹사이트
Vatican.Va, General Audience On Wednesday 21 July 1999
https://www.vatican.[...]
[40]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gels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Incorporated
[41]
웹사이트
The Real Presence, Blessed Ann Schaffer
https://www.therealp[...]
[42]
웹사이트
Divine Mercy In My Soul, 779
https://liturgicalye[...]
[43]
웹사이트
Divine Mercy In My Soul, 31
https://liturgicalye[...]
[44]
웹사이트
JPII
https://www.vatican.[...]
[45]
서적
Heaven
Diggory Press
[46]
서적
The Strait Gate: Great Difficulty of Going to Heaven
Diggory Press
[47]
서적
No Way to Heaven but By Jesus Christ
Diggory Press
[48]
서적
Evangelical Methodist Church Discipline
Evangelical Methodist Church Conference
2017-07-15
[49]
웹사이트
Adventist Fundamental Beliefs, Fundamental Belief # 4: The Son
http://www.adventist[...]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50]
웹사이트
Adventist Fundamental Beliefs, Fundamental Belief # 26: Death and Resurrection
http://www.adventist[...]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2006-03-10
[51]
웹사이트
Adventist Fundamental Beliefs, Fundamental Belief # 27: Millennium and the End of Sin
http://www.adventist[...]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2006-03-10
[52]
웹사이트
Adventist Fundamental Beliefs, Fundamental Belief # 28: New Earth
http://www.adventist[...]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2006-03-10
[53]
서적
The End of the World: Horror Story—or Bible Hope?
http://www.christade[...]
CMPA
[54]
서적
Christ is Coming Again!
http://www.christade[...]
Printland Publishers
[55]
서적
After Death – What?
https://www.thechris[...]
CMPA
[56]
서적
Reasoning From The Scriptures
Watchtower
[57]
문서
Doctrine and Covenants
The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