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19세기 미국에서 시작된 개신교의 한 분파로, 윌리엄 밀러의 재림주의 운동을 모태로 한다. 1860년 명칭이 정해지고 1863년 교단 조직이 공식 출범했으며, 토요일을 안식일로 지키고 엘렌 G. 화이트의 계시를 중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209개국에서 2천만 명 이상의 신도를 보유하고 있으며, 교육, 의료, 출판,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다. 교리는 성경을 중심으로 하며, 삼위일체, 재림, 심판, 안식일 준수 등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3년 설립된 종교 단체 - 새사도교회
새사도교회는 1863년 독일에서 가톨릭 사도 교회로부터 분리되어 설립된 기독교 교파로, 사도 직분을 강조하며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을 준비하고, 계층적 조직 구조를 갖는다. - 미국의 기독교 교파 - 크리스천 사이언스
크리스천 사이언스는 메리 베이커 에디가 설립한 종교 운동으로, 영적 이해를 통한 질병 치유를 주장하며 신앙 치료를 강조하고 의학적 치료를 거부하는 경향을 보인다. - 미국의 기독교 교파 - 커뮤니티 오브 크라이스트
커뮤니티 오브 크라이스트는 1830년 조셉 스미스에 의해 설립된 종교 단체로, 삼위일체 교리를 수용하고 여성의 사제직을 인정하며 개방적인 특징을 보이고, 전 세계 59개국에 25만 명의 회원을 두고 있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
---|---|
구글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
로마자 표기 | Seventh-day Adventist Church |
약칭 | SDA |
분류 | 프로테스탄트, 재림교 |
신학 | 제칠일안식일교회 신학 |
정치 체제 | 장로교/감독제 |
창립자 | 조지프 베이츠 제임스 화이트 엘렌 화이트 J. N. 앤드루스 |
지도자 직책 | 총회장 |
현재 지도자 | 테드 N. C. 윌슨 |
창립일 | 1863년 5월 21일 |
창립 장소 | 미국 미시간주 배틀크릭 |
분리된 그룹 | 제칠일안식일 재림교회 개혁 운동 및 진실하고 자유로운 제칠일안식일교인 (1925년 분리, 소수) 양치기의 지팡이 (1929년 분리, 소수) 연합 안식일 재림교회 (1929년 분리, 소수) 약속의 재림교회 (1932년 분리, 소수) 아바지리 (1992년 분리, 다수) |
활동 지역 | 전 세계 |
병원 | 229개 |
요양원 | 129개 |
구호 단체 | 재림교 개발 구호기구 |
교회 수 | 97,811개 |
기업체 수 | 73,886개 |
신도 수 | 22,234,406명 |
목사 수 | 20,924명 |
초등학교 | 6,623개 |
중등학교 | 2,640개 |
대학교 | 118개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한국어 웹사이트 | 일본어 웹사이트 |
이미지 | |
![]() | |
역사 | |
기원 | 밀러주의 |
주요 사건 | 대실망 1888년 미니애폴리스 총회 |
신학 | |
핵심 교리 | 28가지 기본 신조 |
주요 교리 | 재림교 기둥 세 천사의 기별 제칠일안식일교회 안식일 제칠일안식일교회 종말론 재림 전 심판 전천년설 조건부 불멸설 남은 자 |
조직 | |
상위 기관 | 제칠일안식일교회 총회 |
산하 기관 | 동중앙 아프리카 지회 유라시아 지회 미주 지회 유럽 지회 북미 지회 북아시아 태평양 지회 남아프리카 인도양 지회 남미 지회 남태평양 지회 남아시아 지회 남아시아 태평양 지회 범유럽 지회 서중앙 아프리카 지회 |
간행물 | |
정기 간행물 | 애드벤티스트 리뷰 시대의 징조 (잡지) |
기타 간행물 | 엘렌 화이트 저서 목록 |
사회 활동 | |
구호 단체 | 재림교 개발 구호기구 |
봉사 단체 | 마라나타 자원봉사단 |
청소년 단체 | 패스파인더 어드벤처러 |
기타 | 의료 사관 학교 제칠일안식일교회 교육 중등학교 대학교 및 대학 병원 |
미디어 | |
방송 네트워크 | 호프 채널 로마 린다 방송 네트워크 그것은 기록되어 있다 예언의 음성 세 천사 방송 네트워크 놀라운 사실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엘렌 G. 화이트 제임스 S. 화이트 조지프 베이츠 J. N. 앤드루스 유라이아 스미스 존 하비 켈로그 제임스 칼렙 잭슨 W. C. 화이트 F. D. 니콜 M. L. 안드레아센 르로이 프룸 아서 L. 화이트 조지 반데만 H. M. S. 리처즈 에드워드 헤펜스탈 허버트 E. 더글러스 모리스 벤든 사무엘 바치오치 E. E. 클리블랜드 월터 베이트 마크 핀리 |
2. 역사
19세기 초 미국에서 일어난 재림주의 운동은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설립의 모체가 되었다. 윌리엄 밀러는 그리스도가 1844년 10월 22일에 재림할 것이라고 예언했지만, 재림은 일어나지 않았고, 이를 '대실망'이라고 한다. 이후 엘렌 화이트를 중심으로 한 소수의 사람들이 1844년이 재림의 날이 아닌 하늘 성소 정결의 날이며,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이 하늘 성소에서 지성소로 들어가 죄를 없애는 사역을 시작했고, 그 끝에 성도들을 데리러 다시 오실 것이라고 주장하며, 1863년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라는 이름으로 공식 출범하였다.[272]
일본에서의 공식적인 활동은 1896년에 윌리엄 C. 그랜저에 의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치안유지법에 저촉되어 종교 탄압을 받았고, 1943년 모든 목사와 유력 신도가 체포되었으며, 1944년 교회는 해산되었다.[175] 전후 회복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2. 1. 창립 과정과 초기 역사
19세기 초 미국 개신교계는 교회의 세속화와 여러 사회불안 속에서 청교도들의 열렬한 신앙을 재건하고자 하는 대각성 운동이 일어났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재림주의 운동이 일어났으며, 이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설립의 모체가 되었다.침례교 평신도였던 윌리엄 밀러는 다니엘서와 요한계시록 등 성경 예언을 연구하던 중, 그리스도가 1844년 10월 22일에 재림할 것이라고 확신하고 이를 설파하기 시작했다. 당시 자유주의 신학의 영향으로 후천년설이 널리 퍼져 있었고, 재림을 영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밀러의 주장은 많은 사람들에게 종말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북아메리카 전역과 유럽 일부에서 수십만 명이 이 재림주의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예수 그리스도의 재림은 일어나지 않았다. 이를 '대실망'이라고 부른다.
대실망 이후 많은 추종자들이 신앙을 떠났지만, 일부는 성경 해석의 잘못을 찾고자 다시 모였다. 이들은 윌리엄 밀러의 시한부 종말론이 잘못된 성경 해석임을 깨달았다.
재림 운동에 참여했던 엘렌 화이트는 히브리서 등을 토대로 1844년이 재림의 날이 아닌 하늘 성소 정결의 날이며, 대제사장이신 예수님이 하늘 성소에서 지성소로 들어가 죄를 없애는 사역을 시작했고, 그 끝에 성도들을 데리러 다시 오실 것이라고 주장했다. 엘런 화이트는 이 주장을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신 계시라고 하며, '예언의 신'이라는 저작물을 집필했다. 당시 밀러주의 운동에 참여했던 소수 중 엘런 화이트의 계시를 지지하는 사람들이 모여 재림교회를 결성하였다.

제임스 화이트, 엘런 화이트, [https://en.m.wikipedia.org/wiki/Joseph_Bates_(Adventist) 조지프 베이츠], [https://en.m.wikipedia.org/wiki/J._N._Andrews J. N 앤드루스] 등 여러 교파 출신의 개신교 목사들과 평신도 지도자들이 모여 성경의 정통적 교리라고 판단되는 교리들을 비교 연구하여 삼위일체, 다섯 솔라, 이신칭의 등 여러 보편적인 개신교 교리들과 제칠일안식일, 예언의 은사, 성소기별, 조건적 영혼불멸 등 재림교회 특유의 교리를 확정하여 새 교파를 탄생시켰다. 이 과정에서 엘렌 화이트의 성경해석과 계시가 최종 결정에 있어서 성경의 영감과 유일성을 확증하고, 성령을 통한 일치로 인도하는 역할을 하였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라는 명칭은 1860년에 정해졌으며, 교단 조직은 1863년에 공식 출범하였다.[272]
2. 2. 대한민국에서의 역사
한국에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전래 초기에는 찬송가 및 성경 편찬 작업에 협력하는 등 다른 교파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그러나 1915년 조선예수교장로회에서 조선인 목사들이 이단으로 결의했고, 1995년에는 탁명환 등의 견해를 참고하여 율법주의, 엘런 화이트의 선지성 등의 교리적 이유로 예장통합 교단에서 다시 공식적으로 이단으로 결의했다. 이로 인해 재림교회가 20여 년간 이사직을 맡았던 기독교방송에서 갑자기 제명되었다.[276]장로교회 외에 감리교회, 성결교회, 루터교회, 침례교회 등에서는 해외에서의 일반적인 경향과 같이 재림교를 이단으로 규정하지 않았으나, 대한민국 최대 교단인 예장통합의 이단 재결의 이후 이단이라는 견해가 교계 전체에 정착하게 되었고 점차 이단 결의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전국신학대학협의회에는 1965년 창립 당시부터 재림교 산하의 삼육대학교 신학과가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 외에도 한국구약학회, 한국신약학회 등 신학 단체에는 교단의 이단 결의와 상관없이 정통으로 수용되어 교류가 이루어지고 있다.[277]
미국에서는 버락 오바마와 도널드 트럼프 취임식에 재림교회 목사가 안수기도를 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2021년 국가 조찬기도회에 베리 블랙 백악관 원목이 미국 대표로 기도했다.[278]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기독교 교파 중에서 천주교, 장로교, 감리교, 동양선교회, 대한기독교, 플리머스 형제단, 러시아 정교회 다음으로 한국에 전해졌다.[282] 1904년 5월 이응현이 일본 고베에서 하와이주로 가는 배를 기다리던 중 동료 손흥조와 함께 고베 안식일교 전도사였던 쿠니야 히데(國谷秀일본어)에게서 재림교의 복음을 듣고 침례를 받아 최초의 한국인 재림교인이 되었다. 그 후 손흥조는 이민 수속 서류를 갖추지 못해 귀국하던 중 배에서 독립운동가 임기반을 만나 전도했다.
재림교회 전통에 익숙하지 않았던 이들은 처음에는 일본의 쿠니야 전도사를 초청해 전도에 도움을 받았고, 1904년 여름에는 일본 선교부 책임자인 필드(F. W. Field) 목사가 한국을 방문했다. 그는 모두 71명에게 침례를 베풀었으며, 이후 평안남도 용강, 강서 지역에 네 곳의 교회가 설립되었다. 1915년에 조선 장로교회가 행정적인 이단 규정을 하기 전에는 찬송가 및 성경 편찬 작업에서 협력하고 서로의 교회 및 사업체 설립 행사 때 축하하기 위해 참석하는 등 사회적으로나 교계에서나 다른 교파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일제강점기에 재림교회는 복음 전파와 함께 독립운동에도 열정을 쏟았다.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정재용은 후에 재림교회 신자가 되었으며,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의정원 의장을 지낸 김붕준, 독립유공자 이병훈 박사 등 여러 신자들이 광복을 위해 앞장섰다.
신사참배 거부로 인해 한국 최초로 순교한 최태현 목사가 재림교회 소속이었으며, 일제의 침략전쟁 당시 많은 재림교회 청년들이 병역거부 및 집총거부로 인해 처벌받았고, 일본과 조선에서 재림교회 교단은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283]
3. 교리와 신앙
초기 재림교회는 "오직 성경만이 신앙의 신조"임을 표명하며 신앙고백 문서 작성에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교세 확장에 따라 타 교파의 오해를 해소하고 교회 내 이설에 대응할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세계대총회는 20세기에 "[https://www.adventist.kr/wp-content/uploads/2020/10/ADV-28Beliefs2018KR.pdf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기본교리]"를 공식 교리서로 작성했다. 단, 이 교리서는 "절대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27]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공식 가르침은 28개 기본 신앙으로 요약된다.[17][41] 이 신앙 선언은 1980년 총회에서 채택되었고, 2005년에 신앙 하나(11번)가 추가되었다.[42]
멸절론적 지옥관, 조사 심판(및 관련 속죄론 관점), 안식일 등 일부 교리는 비판받기도 했다.[133] 그러나 1950년대 복음주의자들과의 대화 이후,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개신교 주류에 더 가깝게 받아들여졌다.[134] 빌리 그레이엄은 재림교인들을 자신의 전도 운동에 초청했고,[135] 월터 마틴은 "안식일 예수 재림교의 진실"(1960)을 저술해 교단에 대한 인식 전환에 기여했다.[136][137]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자신들의 예언 해석에 따라 현재가 종말의 때라고 믿는다. 성경 예언에 근거해 그리스도 재림 직전 지구가 전례 없는 혼란에 직면하고, 이때 제칠일 안식일이 쟁점이 될 것이라 본다. 또, 여러 종교들이 중심 역할을 하며 주요 기독교 단체들과 함께 하나님과 안식일 가르침에 반대하는 세력과 연합할 것이라고 예상한다.[179]
3. 1. 계시론•신론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성경 66권(구약과 신약)을 하나님의 영감으로 쓰여진, 오류가 없고 유일한 신앙 규범으로 믿는다.[27] 특히 "오직 성경으로"와 "모든 성경으로"를 강조하며, 초기에는 킹제임스 성경을 기준으로 교리를 확립했다.또한, 삼위일체 신관을 고백한다.[34] 초기에는 가톨릭적 표현으로 여겨 교리로 확립하지 않았으나, 성경 연구를 통해 사회적 삼위일체론적, 또는 반(半)아리우스주의적 관점에서 삼위의 존재를 인식하고, 기존 기독교회의 삼위일체 교리가 성경적으로 입증 가능함을 확인 후 교리로 확정하였다.
- '''성부 하나님''': 창조주 하나님을 믿는다.
- '''성자 하나님''': 영원한 하나님의 아들인 로고스가 예수 그리스도로 성육신하신 하나님을 믿는다.
- '''성령 하나님''': 성부와 성자의 창조와 구속 사업에서 능력으로 활동하시는 하나님을 믿는다.
이러한 신앙은 28개의 기본 신앙으로 요약되어 있으며,[17],[41] 1980년 총회에서 채택되었고, 2005년에 하나의 신앙(11번)이 추가되었다.[42]
3. 2. 창조론•인간론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문자적인 6일 동안의 천지 만물 창조를 믿는다. 창조과학과 젊은 지구설은 재림교 출신 과학자들에게서 유래하였다. 재림교회는 7일째 제정된 제칠일안식일이 창조의 기념일임을 강조한다.[43][44]인간의 본질에 대해서는, 인간 시조인 아담과 하와에게 자유의지가 주어졌으나, 사탄의 꾐에 넘어가 타락하여 선악을 스스로 결정하게 됨으로써 하나님께 의존하는 상태에서 단절되었고, 생명에서 떨어져 나가 원죄와 죽음에 예속되었다고 믿는다.
3. 3. 구원론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구원에 대해 다음과 같이 믿는다.- 대쟁투: 요한계시록 12장에 나타난 것처럼, 태초에 하늘에서 예수 그리스도와 사탄 사이에 하나님의 통치권과 율법의 정당성을 두고 큰 전쟁이 시작되었고,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이 전쟁에 관여되어 있다고 믿는다. 이 교회의 역사관을 "대쟁투 사관"이라 하며, 모든 성경 해석의 기초로 삼는다.[172]
- 그리스도의 생애와 죽음과 부활: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 생애는 인류를 위한 속죄와 모범으로서의 33년이었다고 믿는다. 특히 십자가에서의 죽음은 예수 생애의 목적이자 절정으로서 하나님의 공의와 자비를 온 세상에 증거하였다고 믿는다. 믿음으로 속죄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영원한 생명을 회복하게 됨을 부활을 통해 확증하였고, 죄와 죽음과 사탄이 정복될 것임을 선포한 것이라 믿는다.[44]
- 구원의 경험: 성령의 역사로 회개를 통하여 자신의 죄인됨과 예수 그리스도의 속죄를 받아들이고 그리스도를 자신의 대속물과 구주와 주인임을 믿음으로 고백하는 사람에게 은혜의 선물로서 칭의의 구원이 주어진다고 믿는다. 하나님의 양자가 됨으로 죄의 노예에서 구원되어 죄와 죽음에 승리하는 능력을 주심으로 신의 성품으로 성장해 나가는 성화를 믿는다.[44]
- 그리스도 안에서 자라남: 그리스도 안에서의 성화의 삶을 강조한다.
3. 4. 교회론
- '''교회''':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와 주인으로 믿는 사람들의 공동체인 교회를 고백한다. 예배와 친교, 말씀의 선포와 성례전의 거행, 전인류에 대한 사랑의 실천과 선교 등의 사명이 주어졌다고 믿는다. 교회의 권위는 성육신한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와 문자로 기록된 말씀인 성경에서 나온다. 구약시대 이스라엘을 대신하여 예수의 피로 인한 새 언약 속에 하나님의 백성이자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설립되었다고 믿는다. 이 개념 속엔 역사적인 모든 그리스도인이 포함된다.
- '''남은 자손과 그 사명''': 보편적인 교회는,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여러 개신교회들 등 수많은 조직 안의 신실한 그리스도인들로 구성되었지만, 마지막 시대에 남은 백성으로서 한 무리를 특별하게 일으킬 것을 예언 속에 약속하셨다고 믿는다. 모든 교회 안에 속한 그리스도인들과 예수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바르고 영원한 복음, 심판이 진행중이고 재림이 가까움과 구원이 예수께 있음을 선포하고 마지막 날에 혼란과 배교 속에서 하나님의 계명과 예수 믿음을 수호하며 개혁과 회복의 사업을 완수하여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증거할 한 무리로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가 섭리 중에 전 그리스도교계 안에 특별한 지체로서 사명을 갖고 설립되었다고 믿는다.
-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의 연합''': 그리스도 안에 새로운 피조물이 된 신자들의 모임인 교회에는, 진리의 성령으로 인해 원래 하나되지 못했을 여러 지체들이 하나된 모습이 나타난다. 남녀, 지위, 민족, 언어 등 모든 차별이 그리스도 안에 극복되어야 한다.
- '''침례''': 그리스도와 함께 죄인이 죽고(물에 잠김) 성도로서 다시 사는(물에서 나옴) 것을 고백하는 입교예식으로서 침례를 행한다. 자기의지로 믿음을 선택하여야 함을 믿으며, 유아세례를 부정한다.
- '''성만찬''': 예수그리스도의 살과 피를 상징하는 빵과 포도즙을 함께 나누며 십자가 희생을 기억하고 부활을 기념하며 재림을 갈망하는 고백으로서 성만찬을 성례전으로 행한다. "겸손예식"이라 불리는 "세족례"를 함께 행한다.
- '''영적 은사와 봉사의 직무들''': 예언하는 일, 복음전도, 가르치는 일, 다스리는 일, 화목시키는 일, 동정을 베푸는 일, 백성들을 도와주고 격려하기 위한 자기 희생적 봉사와 사랑 등 여러 은사가 성령에 의해 교회 안에 각 지체에게 맞게 주어졌음을 믿으며, 사랑이 기초되어야 하며, 진리 안에서의 하나됩에 도움이 됨을 믿는다.
3. 5. 율법론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하나님의 율법의 대원칙이 십계명에 구체화되어 있으며, 그리스도의 삶에 분명히 나타나 있다고 믿는다.[177] 십계명은 인간의 행동과 관계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과 뜻과 목적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든 시대의 모든 사람이 지켜야 하는 것이다. 이 계명들은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계약의 기초이며, 하나님의 심판의 기준이다. 성령의 역사를 통해 십계명은 죄를 지적하고, 구세주의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구원은 행위에 의한 것이 아니라 전적으로 은혜에 의한 것이며, 계명에 대한 순종은 구원의 열매이다. 이 순종은 그리스도인의 품성을 발전시키고, 행복감을 가져온다. 그것은 주에 대한 사랑과 이웃에 대한 관심의 표현이다. 믿음의 순종은 우리의 삶을 변화시키는 그리스도의 능력을 보여주고, 그리스도인의 증거를 강력하게 한다(출애굽기 20:1-17, 신명기 28:1-14, 시편 19:8-15, 40:8, 9, 마태복음 5:17-20, 22:36-40, 요한복음 14:15, 15:7-10, 로마서 8:3, 4, 에베소서 2:8-10, 히브리서 8:8-10, 요한일서 2:3, 5:3, 요한계시록 12:17, 14:12).[177]자비로운 창조주는 엿새 동안의 창조의 역사를 마치고 제칠일에 쉬시며, 창조의 기념으로 모든 사람을 위해 안식일을 제정하였다. 하나님의 불변의 율법 제4조는 이 제칠일 안식일을 휴식과 예배와 봉사의 날로 지키라고 요구한다. 그것은 안식일의 주이신 예수께서 가르치시고, 실천하신 것과 일치한다. 안식일은 하나님과 사람 사이의 기쁨에 찬 교제의 날이다. 안식일은 그리스도 안에서의 속죄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우리 안에서의 성화와 충성의 표이며, 하나님 나라에서의 영원한 세계의 예표이기도 하다. 안식일은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영원한 계약의 변치 않는 표이다. 이 거룩한 시간을 저녁부터 저녁까지, 즉 해질녘부터 해질녘까지 기쁨에 차서 지키는 것은 하나님의 창조와 속죄의 역사를 축하하는 것이다(창세기 2:1-3, 출애굽기 20:8-11, 31:13-17, 레위기 23:32, 신명기 5:12-15, 이사).[177]
초기 재림운동이 신앙을 정립해 나가면서 성경의 안식일과 예배에 대한 질문이 제기되었다. 초기 재림교인들 사이에서 안식일 준수의 가장 중요한 옹호자는 조셉 베이츠(Joseph Bates)였다. 베이츠는 밀러파 설교자 토마스 M. 프레블(T. M. Preble)이 쓴 소책자를 통해 안식일 교리에 대해 알게 되었는데, 프레블은 다시 젊은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 레이첼 오크스 프레스턴(Rachel Oakes Preston)의 영향을 받았다. 이 메시지는 점차 받아들여져 1849년 7월에 발행된 교회 간행물인 『현재 진리(The Present Truth)』 초판의 주제가 되었다.[21]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토요일 안식일 준수를 위해 직장, 공립학교 수업 및 시험도 결석하도록 지도한다.[207]
3. 6. 종말론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종말론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믿음을 가지고 있다.- '''하늘에서의 그리스도의 봉사''': 예수 그리스도가 승천 후 대제사장으로 즉위하여 신자들을 위해 중보 사역을 하고 있다고 믿는다. 특히 1844년부터는 대속죄일에 예표된, 죄를 완전히 없애고 그리스도인들의 구원을 확증하기 위한 사역(조사심판, 재림전심판)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사역이 끝나면 재림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믿는다.[27]
- 그리스도의 재림
- 죽음과 부활
- 천년기와 죄악의 종말
- 새 땅
이러한 믿음들은 28개의 기본 신앙에 공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17] [41]
4. 타 교파와의 관계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일치운동에 대해 일반적으로 반대하지만, 그 목표 중 일부는 지지한다.[130] 세계교회협의회 회원은 아니지만, 참관인 자격으로 총회에 참석한다.[131] 일부 비평가들은 재림교회가 "남은 교회"라고 주장하고, 전통적인 개신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를 "바벨론"과 연관 짓는 것을 비판한다.[156][157][158] 그러나 재림교 신학자들은 이러한 주장이 다른 교파에 진정한 기독교인이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말한다.[159]
1950년대 미국의 침례교 신학자 [https://en.m.wikipedia.org/wiki/Walter_Ralston_Martin#/languages 월터 마틴]은 7년간의 연구 끝에 재림교회가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따르는 보편적인 기독교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275] 그는 재림교회를 종교개혁 정신을 계승한 '정통 복음주의'로 분류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보았다.[275] 이후 세계교회협의회, 세계복음연맹 등 대부분의 세계적인 교계 연합기관들과 주요 정통 개신교 교단들이 재림교회를 복음주의 및 개신교 형제 교단으로 인정하고 교류를 시작했다.[275]
한국에서는 전래 초기에 타 교파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1915년 조선예수교장로회에서 이단으로 결의되었고, 1995년 예장통합 교단에서 재차 이단으로 결의되었다.[276] 이로 인해 재림교회가 20여년간 이사직을 맡았던 기독교방송에서 제명되었다.[276] 장로교회 외 감리교회, 성결교회, 루터교회, 침례교회 등에서는 원래 재림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하지 않았으나, 예장통합의 이단 재결의 이후 이단이라는 견해가 교계 전체에 정착하게 되었다.
전국신학대학협의회에는 1965년 창립시부터 재림교 산하의 삼육대학교 신학과가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277] 이외에도 한국구약학회, 한국신약학회 등 신학 단체에는 교단의 이단 결의와 상관없이 정통으로 수용되어 교류가 이루어진다.[277] 미국에서는 버락 오바마와 도널드 트럼프 취임식에 재림교회 목사가 안수기도를 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2021년 국가 조찬기도회에 베리 블랙 백악관 원목이 미국 대표로 기도했다.[278]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세계복음주의연맹과의 대화를 통해 서로 공통된 신앙 내용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점을 확인하고, 향후 협력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합의했다.[261][262][263]
기독교계에서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를 “이단(혹은 기독교계 신흥종교)”으로 분류할지 여부에 대한 견해가 엇갈린다.
4. 1. 신학적 견해
초기 재림교회는 "오직 성경만이 신앙의 신조"임을 표명하여 신앙고백 문서를 성문화하는 일에 소극적이었다. 당시 미국 내 여러 교단 출신의 목회자들과 평신도들이 모여, 성경만으로 입증될 수 있는 신앙을 정리해나가자는 취지로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재림교회 신학에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점진적 진리 이해"인데, 이는 성경을 통해 입증되는 진리가 종교개혁 이후 점진적으로 밝혀져 왔고, 마지막 때까지 하나님이 자신을 점진적으로 나타내실 것이기에 성경 외에 정리된 교리적 규범이나 권위는 불필요하다는 입장이다.하지만 교회가 확대되면서 타 교파 신도들의 오해를 해결하고 교회 내 이설에 대처할 필요가 생겨,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세계대총회는 20세기에 "[https://www.adventist.kr/wp-content/uploads/2020/10/ADV-28Beliefs2018KR.pdf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기본교리]"를 공식적이지만 "절대적이지 않은" 교리서로 작성했다.
하나님, 창조, 죄, 구원 등 신앙의 본질적인 부분에 관한 교리는 장로교, 루터교, 감리교 등 다른 전통적 개신교 교파들과 대부분 일치한다. 그러나 제칠일안식일, 예언의 은사의 지속성(엘렌 화이트 등), 재림 후 천년기설(전 천년설), 그리스도의 하늘성소 봉사, 재림 전 심판(조사심판), 채식주의, 조건적 영혼불멸[273] 등은 재림교회의 독특한 교리이거나 개신교 및 기독교 전체 신학계에서 소수의 견해이다. 구원론에 있어서는 칼뱅주의보다 아르미니우스주의나 웨슬리주의에 더 가깝다.[274]
기독교 복음에 대한 이해와 본질적인 교리의 일치로 인해 정통 기독교로 여기는 견해와, 역대 공의회나 신앙고백들로 정립된 전통적인 교리와의 일부 차이로 인해 이단으로 보는 견해가 공존한다.
"때와 법을 변경할" 적그리스도에 관한 예언을 로마 교황에 적용하므로 일요일 예배 및 미사를 부정하고 제칠일안식일을 주장하는 것이 타 교파 교인들과의 가장 표면적인 차이이다.
"정통" 견해가 다수임에도 "이단" 시비가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스스로 "보편교회와 종교개혁가들의 후손이며 그들에게 빚진 자"로 여긴다는 점에서, 여호와의 증인이나 몰몬교 등 동시대 신흥 교파들과는 대조적이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1872년 미시간주 배틀크릭에서 "우리 신앙의 개요(A Synopsis of Our Faith)"라는 성명서를 통해 신앙과 교리들을 발표했다.[27] 초기 재림주의 지도자들 중 상당수가 아리우스파 신앙을 가진 교회 출신이었기 때문에, 핵심 신앙과 교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다.[28] 이러한 사실과 이 운동의 다른 신학적 견해들로 인해 보수적인 복음주의 개신교인들은 이 교회를 이단으로 간주했다.[29][30][31][32] 재림교 학자들에 따르면, 화이트의 가르침과 저술은 결국 이 교회를 반아리우스적[33] 뿌리에서 삼위일체론으로 이동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34] 재림교인들은 대부분 1890년대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가 신성에 대한 더 포괄적인 인식을 갖게 된 데 대해 그녀에게 공을 돌린다. 재림교회는 20세기 초에 삼위일체 신학을 채택했고, 20세기 중반부터 다른 개신교 단체들과 대화를 시작하여 결국 개신교 교회로서 널리 인정받게 되었다. ''크리스채너티 투데이''는 2015년 1월 22일 자 호에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를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큰 기독교 공동체"로 인정했다.[35]
비록 엘렌 화이트의 남편은 그녀의 환상이 삼위일체 신조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지만,[38] 그녀의 글은 "신성의 신비"에 대한 점점 더 커지는 인식을 보여준다.[36] 지속적인 성경 연구와 수십 년간의 논쟁 끝에, 이 교단은 결국 성경이 삼위일체 하나님의 존재에 대한 믿음을 명시적으로 가르치고 있다고 결론짓고, 28개의 기본 신앙에서 그 성경적 견해를 확인했다.[37]
그러나 주류 학자들은 여전히 엘렌 화이트가 니케아 신조의 삼위일체론자였다는 사실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고 있다.[38][39] 그녀의 글에서 그녀는 예수께서 천군 천사 앞에서 아버지와 동등함을 인정받은 하늘의 의식을 언급하는데, 사탄은 이를 반대했다 (그녀의 책 ''예언의 영(Spirit of Prophecy Vol. 1)''에 설명되어 있음).[40]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의 공식적인 가르침은 28개의 기본 신앙에 표현되어 있다.[17][41] 이 신앙 선언은 원래 1980년 총회에 의해 채택되었고, 2005년에 하나의 신앙(11번)이 추가되었다.[42] 28개의 기본 신앙 중 거의 대부분은 다른 복음주의 개신교 교파들과 동일하다. 복음주의자들이 이설로 간주하는 재림교의 신앙은 하나님을 토요일에 예배하는 것, 엘렌 G. 화이트에 의한 예언의 은사, 그리고 성소 교리이다.[18]
이 교회는 하나님이 지구를 6일 동안 창조하시고 일곱째 날인 토요일에 쉬셨다고 믿는다.[43][44]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침례를 통해 새로운 회원들을 세례를 받게 한다고 믿는다.[18][25] 이 교회는 성경이 가장 중요한 책이라고 믿는다.[18] 그들은 인간이 죽으면 다시 살아날 때까지 잠들어 있다고 믿는다. 영생은 예수를 자신의 구세주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 주어집니다. 이 교회는 오직 예수를 통해 구원을 받는다고 믿는다.[44] 이 교회는 예수께서 지구로 돌아오시기 전에 하늘에서 심판이 있을 것이라고 믿는다.[44] 이 교회는 예수의 재림을 가져올 요한계시록을 믿는다.[45]
금요일의 일부는 안식일을 준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를 준비하고 집을 정리하는 것이다. 재림교인들은 안식일을 맞이하기 위해 금요일 저녁 예배에 모일 수 있는데, 이는 종종 종야예배로 알려져 있다.[46]
안식교 교회에서는 일반적으로 1년에 네 번 공개적으로 성찬식을 거행한다. 요한복음 13장에 나오는 예수의 발씻김 사건을 근거로 한 “겸손의 예식”이라 불리는 발씻김 예식으로 시작한다. 겸손의 예식은 최후의 만찬에서 예수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기신 것을 본받고 서로 겸손하게 섬길 필요성을 참여자들에게 상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참여자들은 이 의식을 거행하기 위해 남녀가 다른 방으로 나뉘어 진행되지만, 일부 교회에서는 부부가 서로에게 이 의식을 행하도록 허용하며 가족들이 함께 참여하도록 권장하는 경우가 많다. 예식이 끝나면 참여자들은 무교병과 무알코올 포도주스로 구성된 성찬식(주님의 만찬)을 위해 본당으로 돌아온다.[49]
안식교는 결혼을 남녀 사이의 법적으로 구속력 있는 평생 약속으로 정의한다. 교회 교본은 결혼이 아담과 이브의 성경 이야기에서 비롯된 제도라는 믿음을 표명하며, 그들의 결합이 다른 모든 결혼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70]
안식교인들은 결혼이 하나님이 에덴동산에서 아담과 이브가 쫓겨나기 전 창세기 사건 중에 세우신 신성한 제도라고 믿는다. 그들은 하나님이 아담과 이브의 결합을 축하하셨고, 결혼의 개념이 하나님이 인간에게 주신 최초의 선물 중 하나이며, “타락 후 아담이 낙원의 문 너머로 가져온 두 제도 중 하나”라고 믿는다.[71]
구약과 신약 성경 본문은 일부 안식교인들에 의해 결혼에서 아내가 남편에게 복종해야 한다고 가르치는 것으로 해석된다.[72]
안식교인들은 이성애 결혼만이 성경적으로 허락된 성적 친밀함의 근거라고 믿는다. 안식교는 동성 결혼을 집례하지 않으며,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인 사람은 안수받을 수 없지만, 동성 관계를 적극적으로 추구하지 않는다면 교회 직책을 맡고 회원이 될 수 있다. 현재 교회 정책은 공개적으로 동성애자인(그리고 “실천하는”) 사람들을 교회 예배에 환영하고 모든 사람에게 베푸는 사랑과 친절로 대해야 한다고 규정한다.[73][74]
재림교인들은 전통적으로 복장과 오락에 대해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해 왔다. 이러한 태도는 교회의 기본 신앙 중 하나에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재림교인들은 보디피어싱과 문신과 같은 행위에 반대하며, 귀걸이와 팔찌와 같은 장신구를 착용하지 않는다. 결혼반지를 과시하는 것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결혼반지를 금지하는 것은 총회의 입장이 아니다.[83] 1986년 북미 사단은 결혼반지 착용을 허용했다.[84] 그 이전에는 재림교인들이 해외에서 수십 년 동안 결혼반지를 착용해 왔기 때문에 마찰의 원인이 되었다.[5][85]
보수적인 재림교인들은 춤, 록 음악, 세속적인 연극 등 영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 특정한 오락 활동을 피한다.[86][87] 그러나 1989년 이후 실시된 주요 연구에 따르면 북미 교회 청년 대다수가 이러한 기준 중 일부를 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8]
2000년 6월 29일,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총회는 도박에 관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교회는 교인들에게 도박을 하지 말 것을 권장하며, 도박으로부터 자금을 받지 않을 것이다.[89]
몇몇 교리들은 비판의 대상이 되어 왔는데, 그중에는 멸절론적인 지옥관, 조사 심판(그리고 관련된 속죄론 관점), 그리고 안식일이 포함된다. 복음주의자 앤서니 호에케마(안식교도들이 아르미니우스주의와 더 일치한다고 생각했던)와 같은 비평가들은 일부 안식교 교리가 이단적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호에케마는 안식교 교리가 율법주의에 빠져 있다고 주장했다.[133]
호에케마와 같은 비평가들이 안식교의 특이한 교리들을 근거로 안식교를 종파적 집단으로 분류했지만,[29][30] 1950년대 복음주의자들과의 만남과 논의 이후, 개신교 복음주의자들 사이에서 안식교는 더 주류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다.[134] 빌리 그레이엄은 도널드 바른하우스가 편집한 보수적인 기독교 잡지인 ''이터니티''가 1956년 안식교도들이 기독교인이라고 주장한 후, 안식교도들을 그의 전도 운동에 참여하도록 초청했다. 그는 나중에 "그들은 은혜와 예수 그리스도의 대속적 희생을 통한 구속을 포함한 신약의 중요한 교리들에 대해 옳은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찍이 영원히'"라고 말했다.[135] 많은 사람들이 복음주의 내 반이단 변증 운동의 아버지로 여기는 월터 마틴은 안식교에 대한 시각에 전환점을 마련한 "안식일 예수 재림교의 진실"(1960)을 저술했다.[136][137] "이단적 개념에도 불구하고 안식일 예수 재림교인이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진정한 추종자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완전히 가능하다".[138]
나중에 마틴은 케네스 R. 샘플스의 도움을 받아 안식일 예수 재림교에 관한 새로운 책을 쓰려고 계획했다.[139] 샘플스는 그 후 "논쟁에서 위기로: 안식일 예수 재림교에 대한 업데이트된 평가"를 저술했는데, 이 책에서는 QOD에 명시된 입장과 지난 수십 년 동안의 복음주의적 안식교 운동에서 더욱 표현된 입장을 가진 안식교의 일부에 대해 마틴의 견해를 옹호하고 있다. 그러나 샘플스는 "전통적인 안식교"가 "QOD에서 취한 여러 입장에서 더 멀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주장했고, 적어도 글레이셔 뷰에서는 "많은 관리자와 지도자들의 지지를 얻은 것 같다"고 했다.[140]

엘렌 G. 화이트(Ellen G. White)가 현대의 예언자라는 주장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교리에 관한 질문들"(Questions on Doctrine) 시대에 복음주의자들은 화이트의 저술과 영감받은 성경 정경과의 관계에 대한 재림교의 이해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29] 재림교의 기본 신앙은 "모든 가르침과 경험은 성경으로 시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41]
월터 T. 리어(Walter T. Rea), 로널드 넘버스(Ronald Numbers) 등에 의해 널리 알려진 엘렌 화이트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은 다른 저자들의 저작물을 표절했다는 주장이다.[142][143][144] 표절 전문 독립 변호사인 빈센트 L. 라믹(Vincent L. Ramik)은 1980년대 초 엘렌 G. 화이트의 저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결정적으로 표절이 아니었다"는 결론을 내렸다.[145]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 표절 혐의가 큰 논쟁을 불러일으키자, 재림교 총회는 프레드 벨트먼(Fred Veltman) 박사에게 주요 연구를 의뢰했다. 이후 프로젝트는 "그리스도의 생애" 연구 프로젝트로 알려지게 되었다.[146] 벨트먼은 문학적 의존성의 증거를 찾기 위해 무작위로 선택한 그리스도의 생애(The Desire of Ages)의 15개 장을 조사하여 "평균적으로 DA 텍스트의 31.4%가 어느 정도 문학적 출처에 의존한다"고 결론지었다.[147] 그 결과는 총회 기록 보관소에서 확인할 수 있다.[148] 로저 W. 쿤(Roger W. Coon)[149], 데이비드 J. 콘클린(David J. Conklin)[150], 드니 포르탱(Denis Fortin)[151][152], 킹과 모건(King and Morgan)[153], 모건(Morgan)[154] 등은 표절 혐의에 대한 반박을 시도했다. 라믹은 보고서의 결론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그녀의 저술과 그 안에 담긴 의심할 여지 없이 엄청난 노력을 반영했을 때, 엘렌 G. 화이트의 의도가 성경적 진리에 대한 이해를 모든 사람이 보고 이해할 수 있도록 일관된 형태로 제시하려는 진심으로 동기가 부여되고 이타적인 노력 외의 어떤 것이었다고 상상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확실히 그녀의 저술의 본질과 내용은 하나의 희망과 의도, 즉 인류의 하나님의 말씀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데 있었다. 이 문제에 대한 정당한 결론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모든 요소를 고려해 볼 때, 엘렌 G. 화이트의 저술은 결정적으로 표절이 아니었다고 제출된다.[155]
일부 비평가들은 특정 재림교 신앙과 관행이 배타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고 주장하며, 재림교가 "남은 교회"라고 주장하는 것과 전통적인 개신교에서 로마 가톨릭교회를 "바벨론"과 연관짓는 것을 지적한다.[156][157][158] 이러한 태도는 다른 교파의 기독교인들을 개종시키는 것을 정당화한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재림교 신학자들은 남은 자 교리 때문에 다른 교파에 진정한 기독교인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제도와 관련이 있다고 말한다.[159]
세븐스데이어드벤티스트교회는 신앙의 요약으로 28개 항목을 선포하고 있다.[177]
세븐스데이어드벤티스트는 성경을 유일한 신조로 받아들이고, 일정한 기본적인 신앙 요약을 성경의 가르침으로 고수하고 있다. 여기에 공개적으로 제시된 "신앙의 요약"은 교회가 이해하고 표현한 성경의 가르침이다. 이 선언의 개정은 교회가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성경 진리에 대한 더 풍부한 이해와 하나님의 거룩한 말씀에 대한 더 적절한 표현에 도달할 때, 세계 총회 본회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 하나님의 말씀
- :구신약 성경은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 하나님의 영감으로 주어진 말씀이다. 영감을 받은 저자는 성령에 감동을 받은 대로 말하고 썼다. 이 말씀을 통해 하나님은 구원에 필요한 지식을 인간에게 주셨다. 성경은 최고의 계시, 권위 있는 계시, 하나님의 마음의 틀림없는 계시이다. 성경은 품성의 표준을 보여주고, 인간의 경험을 검토하며, 명확하게 교리를 계시한다. 성경은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행하심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기록이다(시편 119:105, 잠언 30:5-6, 이사야 8:20, 요한복음 17:17, 데살로니가전서 2:13, 디모데후서 3:16-17, 히브리서 4:12, 베드로후서 1:20-21).
- 삼위일체
-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영원히 공존하는 세 위격으로 이루어진 한 분 하나님이 계신다. 하나님은 썩지 않고, 전지전능하며, 모든 것을 초월하고, 항상 변함없이 존재하신다. 하나님은 인간의 이해를 초월하는 무한하신 분이시지만, 자신을 계시하심으로써 인간에게 알려지는 분이시다. 사랑이신 하나님은 모든 피조물의 경배와 존숭과 봉사를 영원히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분이시다(창세기 1:26, 신명기 6:4, 이사야 6:8, 마태복음 28:19, 요한복음 3:16, 고린도후서 1:21-22, 13:13, 에베소서 4:4-6, 베드로전서 1:2).
- 성부 하나님
- :성부 하나님은 만물의 창조주이시며, 모든 피조물의 근원이시자, 그것들을 보존하고, 다스리시는 분이시다. 성부 하나님은 의롭고 거룩하신 분, 자비와 은혜가 풍부하고, 노하기를 더디하시며, 변치 않는 사랑과 진실이 충만하신 분이시다. 아들과 성령에게서 보이는 성품과 능력도 성부 하나님의 것이다(창세기 1:1, 신명기 4:35, 시편 110:1, 4, 요한복음 3:16, 14:9, 고린도전서 15:28, 디모데전서 1:17, 요한일서 4:8, 요한계시록 4:11).
- 성자 하나님
- :성자 하나님은 인간의 육신의 모습을 취하여 예수 그리스도가 되셨다. 만물은 아들을 통해 창조되었다. 또한 아들을 통해 하나님의 성품이 분명히 드러나고, 인간의 구원이 완성되며, 세상이 심판받는다. 영원부터 참 하나님이셨던 아들은 구주 예수로서 참 인간이 되셨다. 아들은 성령으로 잉태되어 동정녀 마리아에게서 나셨다. 아들은 인간으로 살면서 시험을 받았지만, 하나님의 의와 사랑을 완전히 나타내셨다. 기적으로 아들은 하나님의 능력을 나타내시고, 자신이 하나님의 약속의 구세주임을 증명하셨다. 아들은 우리 죄를 위해 우리를 대신하여 고난을 받고, 스스로 십자가에 달리시고,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시고, 우리를 위해 천상 성소에서 봉사하기 위해 하늘로 승천하셨다. 아들은 자신의 백성을 최종적으로 구원하고, 모든 것을 회복하기 위해 영광 중에 다시 오실 것이다(이사야 53:4-6, 다니엘 9:25-27, 누가복음 1:35, 요한복음 1:1-2, 14, 5:22, 10:30, 14:1-3, 9, 13, 로마서 6:23, 고린도전서 15:3, 4, 고린도후서 3:18, 5:17-19, 빌립보서 2:5-11, 골로새서 1:15-19, 히브리서 2:9-18, 8:1, 2).
- 성령 하나님
- :성령 하나님은 창조와 성육신과 속죄의 역사에서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과 함께 일하셨다. 성령은 성부 하나님, 성자 하나님과 마찬가지로 한 위격이시다. 성령은 성경 저자들에게 영감을 주셨다. 성령은 그리스도의 삶을 능력으로 채우셨다. 성령은 인간을 끌어들이고, 그 죄를 지적하신다. 그리고 그것에 응답하는 자를 새롭게 하시고, 하나님의 형상으로 변화시키신다.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에게서 보내어져 항상 하나님의 자녀들과 함께 계시며, 교회에 성령의 은사를 주시고, 그리스도를 증거하도록 교회를 격려하시고, 성경에 따라 교회를 모든 진리로 인도하신다(창세기 1:1, 2, 사무엘하 23:2, 시편 51:11, 이사야 61:1, 누가복음 1:35, 4:18, 요한복음 14:16-18, 26, 15:26, 16:7-13, 사도행전 1:8, 5:3, 10:38, 로마서 5:5, 고린도전서 12:7-11, 고린도후서 3:18, 베드로후서 1:21).
- 창조
- :하나님은 창조의 역사에 관한 확실하고 역사적인 기록을 성경에 계시하셨다. 주는 우주를 창조하시고, 현재의 엿새 동안에 "천지 만물"을 지으시고, 제칠일에 쉬셨다. 이렇게 하나님은 문자 그대로 엿새 동안에 완성하신 창조의 역사를 끊임없이 마음에 새기는 기념으로 안식일을 제정하셨다. 그 엿새는 우리가 현재 안식일과 함께 일주일이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기간이다. 첫 남자와 여자는 창조의 정점으로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았다. 그들에게는 세상을 다스리는 주권이 주어졌고, 세상을 보호할 책임이 주어졌다. 세상이 완성되었을 때,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내고 있었고, "심히 좋았더라"(창세기 1장, 2장, 3장, 11장, 출애굽기 20:8-11, 시편 19:2-7, 33:6, 9, 104, 이사야 45:12, 18, 사도행전 17:24, 골로새서 1:16, 히브리서 1:2, 11:3, 요한계시록 10:6, 14:7).
- 인간의 본성
- :인간은 개성을 갖추고, 생각하고, 행동할 능력과 자유를 가진 하나님의 형상대로 지음을 받았다. 인간은 자유로운 존재로 지음을 받았지만, 육체와 정신과 영혼의 나눌 수 없는 통일체로서, 생명과 호흡과 그 외 모든 것을 하나님께 의존하고 있다. 아담과 이브가 하나님께 순종하지 않았을 때, 그들은 하나님을 의지하는 것을 거부하고, 높은 지위에서 타락하였다. 그들 안에 있는 하나님의 형상은 상하게 되었고, 그들은 죽을 존재가 되었다. 자손들은 이 타락한 성품과 그 결과를 물려받았다. 그들은 연약함과 악에 대한 경향을 가지고 태어난다. 그러나 하나님은 그리스도 안에서 세상을 자신과 화해시키시고, 성령으로 회개하는 자들 안에서 창조주의 형상을 회복시키신다. 인간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지음을 받았고, 하나님과 사람을 사랑하고, 그 주위의 것을 관리하도록 부르심을 받았다(창세기 1:26-28, 2:7, 15, 3장, 시편 8:5-9, 51:7, 12, 58:4, 예레미야 17:9, 사도행전 17:24-28, 로마서 5:12-17, 고린도후서 5:19, 20, 에베소서 2:3, 데살로니가전서 5:23, 요한일서 3:4, 4:7, 8, 11, 20).
- 큰 투쟁
- :모든 인간은 그리스도와 사탄의 큰 투쟁에 휘말려 있다. 그것은 하나님의 성품과 율법 및 우주에 대한 주권을 둘러싼 투쟁이다. 이 투쟁은 하늘에서, 선택의 자유를 받고 지음을 받은 존재가, 자신을 높임으로써 하나님의 원수 사탄이 되고, 일부 천사들을 반역으로 이끌어 냈을 때 시작되었다. 사탄은 아담과 이브로 하여금 죄를 짓게 하여, 세상에 반역의 정신을 가져왔다. 이 인간의 죄는 인간 안에 있는 하나님의 형상을 왜곡시키고, 피조 세계의 질서를 어지럽혔다. 그리고 마침내 창세기 1장부터 11장의 역사적 기록에 기록되어 있듯이, 지구 규모의 홍수가 발생하여 황폐한 상태를 초래하게 되었다. 세상은 피조물 모두가 주목하는 우주적인 전투의 무대가 되었다. 이 투쟁을 통해 하나님은 사랑이심이 궁극적으로 옹호된다. 그리스도는 이 투쟁 속에 있는 자신의 백성을 위해 성령과 충실한 천사들을 보내어, 구원의 길을 걷는 그들을 인도하고, 보호하고, 돕는다(창세기 3장, 6-8장, 욥기 1:6-12, 이사야 14:12-14, 에스겔 28:12-18, 로마서 1:19-32, 3:4, 5:12-21, 8:19-22, 고린도전서 4:9, 히브리서 1:14, 베드로전서 5:8, 베드로후서 3:6, 요한계시록 12:4-9).
- 그리스도의 삶과 죽음과 부활
- :하나님은 하나님의 뜻에 온전히 순종하신 그리스도의 삶과 그 고난, 죽음, 부활을 통해 인간의 죄를 속죄하는 유일한 방법을 제공하셨다. 그것은 믿음으로 속죄를 받아들이는 자가 영생을 받고, 모든 피조물이 창조주의 무한한 거룩한 사랑을 더 잘 이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완전한 속죄는 하나님의 율법이 의로우며, 하나님의 성품이 자비로움을 옹호한다. 하나님의 의와 자비는 우리를 죄에 정죄하면서 동시에 우리에게 용서를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그리스도의 죽음은 대속의 죽음으로서, 우리에게 속죄와 화해와 변혁을 가져다준다. 눈에 보이는 그리스도의 부활은 악의 세력에 대한 하나님의 승리를 선포하고, 속죄를 받아들인 자에게는 죄와 죽음에 대한 궁극적인 승리를 확신시킨다. 부활은 예수 그리스도가 주임을 보여준다. 하늘과 땅에 있는 모든 자는 그 앞에 엎드릴 것이다(창세기 3:15, 시편 22:2, 이사야 53장, 요한복음 3:16, 14:30, 로마서 1:4, 3:25, 4:25, 8:3, 4, 고린도전서 15:3, 4, 20-22, 고린도후서 5:14, 15, 19-21, 빌립보서 2:6-11, 골로새서 2:15, 베드로전서 2:21, 22, 요한일서 2:2, 4:10).
- 구원의 경험
- :하나님은 무한한 사랑과 자비로 죄를 알지 못하시는 그리스도를 우리를 위해 죄로 삼으셨다. 그것은 우리가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의로 여김을 받기 위함이다. 우리는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자신의 필요를 깨닫고, 자신의 죄됨을 인정하고, 예수에 대한 믿음을 행한다. 예수는 구세주이시며 주
4. 2. 교계 기관들의 입장
1950년대에 미국의 침례교 신학자이자 이단 연구단체 기독교리서치연구소(CRI) 대표인 [https://en.m.wikipedia.org/wiki/Walter_Ralston_Martin#/languages 월터 마틴]은 7년간의 교류와 연구, 검증 끝에 재림교회가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따르는 보편적인 기독교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결론 내렸다.[275] 그는 재림교회가 몰몬교, 여호와의 증인 등과는 달리 폐쇄적인 구원관을 주장하지 않고 성경적인 교회관을 견지하며, 스스로 보편교회와 개신교 개혁가들의 후예임을 정체성으로 삼는다고 평가했다. 마틴은 재림교회를 종교개혁 정신을 계승한 '정통 복음주의'로 분류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보았다.[275]이후 세계교회협의회, 세계복음연맹, 세계개혁교회연합 등 대부분의 세계적인 교계 연합기관들과 개혁교회, 루터교회, 침례교회, 성공회 등의 주요 정통 개신교 교단들이 재림교회를 복음주의 및 개신교 형제 교단으로 인정하고 교류를 시작했다.[275]
한국에서는 전래 초기에 타 교파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으나, 1915년 조선예수교장로회에서 이단으로 결의되었고, 1995년 예장통합 교단에서 탁명환, 훼케마 등의 견해를 참조하여 율법주의, 엘런 화이트의 선지성 등의 교리적 이유로 재차 이단으로 결의되었다.[276] 이로 인해 재림교회가 20여년간 이사직을 맡았던 기독교방송에서 제명되었다.[276]
장로교회 외 감리교회, 성결교회, 루터교회, 침례교회 등에서는 원래 재림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하지 않았으나, 예장통합의 이단 재결의 이후 이단이라는 견해가 교계 전체에 정착하게 되었다.
전국신학대학협의회에는 1965년 창립시부터 재림교 산하의 삼육대학교 신학과가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277] 이외에도 한국구약학회, 한국신약학회 등 신학 단체에는 교단의 이단 결의와 상관없이 정통으로 수용되어 교류가 이루어진다.[277]
미국에서는 버락 오바마와 도널드 트럼프 취임식에 재림교회 목사가 안수기도를 했으며, 대한민국에서도 2021년 국가 조찬기도회에 베리 블랙 백악관 원목이 미국 대표로 기도했다.[278] 국제적으로 미국 남침례회, 세계 루터교 연합, 세계 성공회 공동체, 세계 교회 협의회(WCC), 기독교 리서치 연구소(CRI), 미국성서공회, 영국성서공회, 빌리 그래함 복음전도협회, 오스트레일리아 교회 협의회, 스코틀랜드 교회 협의회, 세계 개혁교회 연합(WARC) 등의 대표적인 정통 기독교회 교단 및 연합기관이나 선교단체, 신학단체에서 재림교회를 정통 기독교 교단으로 인정한다.[279]
대한민국에서는 현대종교, 교회와 신앙 등의 이단 관련 언론과 대부분의 장로교 교단들, 기독교대한감리회 등의 교단에서 재림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한다. 한편 신학계에서는 교단의 이단결의와 상관없이 전국신학대학협의회, 한국기독교학회, 한국복음주의신학회, 한국구약학회•신약학회 등 주요 정통 신학기관에서 재림교회 신학자들이 정회원으로 활동한다.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해서 재림교회 내에는, 예언적인 시각에서 부정적으로 보는 견해와, 복음전파를 위한 성경적인 교회연합은 추구되어야 한다는 두 견해가 존재한다. 재림교회 교단은 세계 교회 협의회(WCC)에 가입하지 않았으나, 정통 교단으로 인정되어, 로마 가톨릭교회와 함께 정식 회원은 아니나 참관인(Observer) 자격으로 관여한다.[280][281]
다만 신학연구를 통해 교회의 입장이 변화한다는 특성에 비추어볼 때, 삼육대학교 등 재림교 소속 대학기관은 신학연구의 확장성은 부족하다.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세계복음주의연맹과의 대화를 통해 서로 공통된 신앙 내용과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 점을 확인하고, 향후 협력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합의했다.[261][262][263]
기독교계에서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를 “이단(혹은 기독교계 신흥종교)”으로 분류할지 여부에 대한 견해가 엇갈린다.
5. 조직 및 활동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선교, 교육, 의료, 출판, 사회봉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국제적으로 재림교회는 세계 성공회 공동체, 세계 교회 협의회(WCC) 등 주요 기독교 교단 및 연합기관으로부터 정통 교단으로 인정받고 있다.[279] 그러나 대한민국에서는 현대종교, 교회와 신앙 등 일부 개신교 언론 및 교단에서 재림교회를 이단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한편, 전국신학대학협의회, 한국기독교학회 등 주요 신학 기관에서는 재림교회 신학자들이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279]
에큐메니컬 운동에 대해 재림교회 내에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지만, 교단은 세계 교회 협의회(WCC)에 가입하지 않고 참관인 자격으로 관여하고 있다.[280][281]
교단은 정치적 중립을 원칙으로 하며, 모든 목회자는 월급을 받고 근로소득세를 납부한다. 타 교단의 주일학교에 해당하는 안식일학교를 운영하며,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패스파인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개발도상국 취약 계층을 위한 사회·의료 봉사활동(아드라(ADRA))을 전개한다.
사이비과학 중 하나인 창조과학이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에서 기원했으며, 현재도 한국창조과학회 등에서 해당 내용을 참고하는 경우가 있다는 비판이 있다.
재림교회는 채식 식품 회사를 설립해 판매하는 일이 많은데, 대한민국의 삼육식품[8], 일본의 산이쿠푸즈(三育フーズ),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새니테리엄 헬스 웰빙 컴퍼니(Sanitarium Health and Wellbeing Company) 등이 대표적이다. 삼육대학교 신학과는 전국신학대학협의회에 가입되어 있으며, 미국의 앤드류스 대학(Andrews University) 등 성서주의 신학 교육 기관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운영하고 있다.
1860년대부터 교회는 구성원들에게 채식주의 식단을 권장해 왔으며,[50] 특히 레위기 11장에 나와 있는 코셔 푸드의 섭취,[51][52] 즉 돼지고기, 토끼고기, 조개류 및 기타 “부정한” 것으로 규정된 동물을 금하는 것을 의미한다.[51] 또한, 알코올 음료,[50][53][54] 담배 및 마약을 섭취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으며,[50][53][54] 일부 신자들은 가공식품[55]과 카페인을 피한다.[53][54]
1954년 안식교 신자 2,200명이 군인과 민간인을 생물학적 무기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생물 방어 의료 연구 프로그램인 화이트코트 작전에 인간 피험자로 자원하면서, 안식교 신자들의 청결한 생활 방식은 미국 군에 인정받았다.[68][69]
19세기 후반에 시작된 재림교 선교 사업은 현재 200개가 넘는 국가와 지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14] 재림교 선교사들은 복음 전파, 건강 증진, 개발 프로젝트 운영, 구호 활동 제공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친다.[109] 재림교회는 종교의 자유를 지지하고 증진한다.[110]
북미 지역에서 가장 큰 의과대학과 병원은 로마린다 대학교, 로마린다 대학교 메디컬 센터 및 어드벤트헬스 올랜도이다. 전 세계적으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광범위한 병원, 진료소, 라이프스타일 센터 및 요양원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다.
ADRA는 125개국 및 지역에서 활동하는 구호 기관으로, 유엔 경제사회이사회로부터 일반 자문 지위를 부여받았다.
교회는 환경 보호 및 관리에 대한 공식적인 약속을 옹호하며[114] 기후변화의 위험을 피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115]
5. 1. 조직 구조
세계 교회는 장로교 체제와 유사한 대표 체제로 운영되며, 네 가지 조직 수준이 있다.[92][93]단계 | 설명 |
---|---|
교회 | 조직 구조의 기초 단계이며 교단의 대외적 모습이다. 세례받은 모든 안식교인은 지역 교회의 회원이며 그 교회 내에서 투표권을 갖는다. |
지방 연합회 | 지역 교회 바로 위에 있으며, 주, 도, 또는 지역(또는 그 일부) 내의 교회들의 조직이다. 목사를 임명하고, 교회 토지를 소유하며, 십일조와 목사 봉급 지급을 조직한다. |
연합회 | 지방 연합회보다 상위 조직으로, 더 넓은 지역 내의 여러 지방 연합회를 아우릅니다. |
세계교회(총회) | 교회 구조 내에서 최고 통치 기관이며, 각각 다양한 지역에 배정된 13개의 "지회"로 구성된다. 세계교회는 교회의 최고 권위 기관이며, 논쟁 사항 및 행정 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권을 갖는다. 총회장의 직책이 이끌고 있으며, 본부는 미국 메릴랜드주 실버 스프링에 있다. |
각 조직은 특정 간격으로 열리는 "회의"에 의해 통치된다. 예를 들어, 세계교회 총회장은 세계교회 총회에서 5년마다 선출된다. 회의 대표는 하위 조직에서 임명한다.
교인들로부터 걷은 십일조는 지역 교회에서 직접 사용되지 않고, 지방 연합회로 전달되어 다양한 사역의 필요에 따라 재정을 배분한다.
교회 규정집[92]은 각 정부 수준에서 선교 명령에 따라 교육, 의료, 출판 및 기타 기관을 설립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재림교회의 성직자는 일반적으로 목사 또는 담임목사로 알려져 있다. 목사는 지역 교회에서 선출되거나 고용되지 않고, 지역 연합회에서 임명하여 단일 교회 또는 여러 교회에 대한 책임을 맡긴다.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여성은 "성직 서임"이라는 칭호를 받지 못하지만, 일부는 목회에 종사하며 "위임" 또는 "위임 성직"을 받을 수 있다.[95] 그러나 2012년부터 일부 연합회에서는 성별과 관계없이 성직 서임을 허용하는 정책을 채택했다.
지역 교회 내에는 평신도 직책이 여러 가지 있으며, 여기에는 성직 서임된 장로와 집사 직책이 포함된다.[92] 장로와 집사는 지역 교회 사업 회의의 투표 또는 선출된 위원회에 의해 임명된다. 장로는 주로 행정 및 목회적 역할을 하지만, 종교적 지도력을 제공할 수도 있어야 한다(특히 성직자 목사가 없는 경우). 집사의 역할은 지역 교회의 원활한 기능을 돕고 교회 재산을 유지하는 것이다.
1990년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총회에서 지도자들은 여성 안수를 금지했다. 투표 결과는 반대 1,173표, 찬성 377표였다. 여성 안수를 지지한 사람들은 유럽과 북아메리카 출신이었고, 아프리카, 아시아, 남아메리카 출신들은 강력하게 반대했다.[96]
2015년 7월 8일, 텍사스주 샌안토니오에서 열린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총회에서 여성 목사 안수에 반대하는 투표가 이루어졌다. 반대 1,381표, 찬성 977표였다. 북아메리카, 유럽, 그리고 일부 다른 지역의 재림교인들은 여성을 목사로 안수해 왔다. 여성들은 지역 연합회를 이끄는 것이 금지되어 있으며, 교회를 설립하거나 폐쇄할 수도 없다.[99]
신도 수가 2천만 명을 넘으며,[176] 세계를 13개의 지부로 나누어 209개국에서 732개 언어를 사용하여 활동한다. 일본 교단은 한국, 중국, 대만 등과 함께 55만 명의 회원이 있는 "북아시아태평양 지부"에 속한다.
5. 2. 대한민국에서의 사업 및 활동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대한민국에서 복음 전파와 함께 다양한 사업 및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재림교회는 전인적 건강과 행복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신체적, 정신적, 영적 성숙을 추구하는 "삼육" 이념을 바탕으로 여러 기관을 운영한다.- 선교 초기: 1904년 5월, 이응현과 손흥조가 일본 고베에서 쿠니야 히데 전도사로부터 재림교 복음을 듣고 침례를 받으면서 한국 최초의 재림교인이 되었다.[282] 같은 해 여름, 필드 목사가 내한하여 71명에게 침례를 베풀고 평안남도 용강, 강서 지역에 네 곳의 교회를 설립했다. 초기에는 타 교파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찬송가 및 성경 편찬 작업에 협력했다.[283]
-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정재용, 대한민국 임시 정부 의정원 의장을 지낸 김붕준 등 여러 신자들이 독립운동에 앞장섰다.[283] 신사참배 거부로 한국 최초로 순교한 최태현 목사가 재림교회 소속이었으며, 많은 재림교회 청년들이 병역거부 및 집총거부로 처벌받았다.[283]
- 교단 갈등: 1915년 조선예수교장로회에서 이단으로 결의되었고, 1995년 예장통합 교단에서 재차 이단 결의를 받았다.[276] 이로 인해 재림교회가 20여 년간 이사직을 맡았던 기독교방송에서 제명되었다.[276] 그러나 전국신학대학협의회에는 삼육대학교 신학과가 정회원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여러 신학 단체와 교류하고 있다.[277]
- 사회봉사: 재림교회는 "삼육재단"을 통해 의료, 식품, 교육, 복지 등 다양한 사회봉사 활동을 펼치고 있다.
- 의료: 삼육의료원, 요양병원 등을 운영하며 신체적 건강 증진에 힘쓰고 있다.
- 식품: 삼육식품을 통해 건강한 식품을 제공하고 있다.
- 교육: 삼육대학교를 비롯한 초, 중, 고등학교 및 대학교, 대학원, 삼육영어학원을 운영하며 정신적, 영적 성장을 돕고 있다.
- 복지: 서울역에서 천막 교회를 열고 노숙자와 도시 빈민을 위한 종교 집회를 개최하고 있다.
- 현황: 2009년 기준으로 전국에 900여 교회와 21만 명의 신자가 있다.
5. 3. 청소년 사역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선교 활동으로 어드벤처 클럽과 패스파인더 클럽을 운영한다.[90]어드벤처 클럽은 4세에서 9세 사이의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어린 양, 조숙한 새, 햇살, 건축가, 돕는 손 등 6개의 학년으로 나뉜다. 각 학년은 기본, 나의 하나님, 나 자신, 나의 친구들, 나의 세상의 5가지 부분으로 구성되어 어린이들이 그리스도와 같은 성품을 개발하고, 예수님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며, 하나님이 주신 능력을 발견하고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0]
패스파인더는 5학년부터 10학년(플로리다 컨퍼런스에서는 12학년까지)까지의 남학생과 여학생을 위한 클럽으로, 스카우트 운동과 유사하다. 패스파인더는 캠핑, 지역 사회 봉사, 개인 멘토링, 기술 기반 교육과 같은 활동을 제공하고 교회에서의 리더십을 훈련시킨다. 매년 각 컨퍼런스에서 "캠포리(Camporees)"가 열려 보이스카우트의 잼보리와 유사한 행사를 진행한다.[90]
9학년이 되면 패스파인더 내의 십대 리더십 훈련에 참여할 수 있으며, 11학년에는 클럽 회원이 된 후 패스파인더 또는 어드벤처 직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어드벤처와 패스파인더 모두를 위한 리더를 육성하는 "마스터 가이드(Master Guide)" 프로그램(스카우트 마스터와 유사)을 시작할 수 있다.[91]
5. 4. 기타 특기사항
- 교단과 목회자는 정치적 중립을 원칙으로 한다.
- 교단의 모든 목회자는 월급을 받으며 근로소득세를 납부한다.
- 타 교단의 주일학교에 해당하는 안식일학교가 있으며,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패스파인더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개발도상국 취약 계층을 위해 아드라(ADRA)라는 사회·의료 선교 및 봉사활동을 전개한다.
- 사이비과학 중 하나인 창조과학이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에서 기원했으며, 현재도 한국창조과학회 등에서 해당 내용을 참고하는 경우가 있다.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목사인 배리 블랙(Barry Black)은 현재 미국 상원 원목이며, 버락 오바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에서 축도를 했다.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는 채식 식품 회사를 설립하여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민국의 삼육식품[8], 일본의 산이쿠푸즈(三育フーズ),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의 새니테리엄 헬스 웰빙 컴퍼니(Sanitarium Health and Wellbeing Company) 등이 있다.
- 삼육대학교 신학과는 전국신학대학협의회에 장로회신학대학교, 성공회대학교, 감리교신학대학교 등과 함께 가입되어 있다.
- 미국의 앤드류스 대학(Andrews University) 등 성서주의 신학 교육 기관을 세계 여러 나라에서 운영하고 있다.
- 금요일 일부는 안식일을 준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사를 준비하고 집을 정리하는 것이다. 재림교인들은 안식일을 맞이하기 위해 금요일 저녁 예배에 모일 수 있는데, 이는 종종 종야예배로 알려져 있다.[46]
- 주요 주간 예배는 토요일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교회에서 소규모 성경 공부 시간인 안식일학교로 시작된다. 재림교인들은 매 분기마다 특정 성경 구절이나 교리를 다루는 공식적으로 제작된 "안식일학교 교재"를 사용한다.[47]
- 짧은 휴식 후, 공동체는 전형적인 복음주의 형식을 따르는 예배에 다시 함께 참여하며, 설교가 중심적인 요소이다. 함께 찬송을 부르고, 성경을 읽고, 기도하며, 헌금(십일조 포함)을 하는 것도 일반적인 요소이다. 악기와 예배 음악의 형태는 세계적인 교회에서 매우 다양하다.[48]
- 재림교인들은 전통적으로 복장과 오락에 대해 사회적으로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해 왔으며, 이는 교회의 기본 신앙 중 하나에 반영되어 있다.[82]
- 재림교인들은 보디피어싱과 문신과 같은 행위에 반대하며, 귀걸이와 팔찌와 같은 장신구를 착용하지 않는다. 결혼반지를 과시하는 것에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결혼반지를 금지하는 것은 총회의 입장이 아니다.[83] 1986년 북미 사단은 결혼반지 착용을 허용했다.[84]
- 보수적인 재림교인들은 춤, 록 음악, 세속적인 연극 등 영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여겨지는 특정한 오락 활동을 피한다.[86][87] 그러나 1989년 이후 실시된 주요 연구에 따르면 북미 교회 청년 대다수가 이러한 기준 중 일부를 거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88]
- 2000년 6월 29일,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총회는 도박에 관한 결의안을 채택했다. 교회는 교인들에게 도박을 하지 말 것을 권장하며, 도박으로부터 자금을 받지 않을 것이다.[89]
- 19세기 후반에 시작된 재림교 선교 사업은 오늘날 200개가 넘는 국가와 지역의 사람들에게 닿고 있다.[14] 재림교 선교사들은 복음을 전파하고, 병원과 진료소를 통해 건강을 증진하며,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개발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재난 발생 시 구호 활동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다.[109]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선교 활동은 비기독교인뿐만 아니라 다른 교파의 기독교인들에게도 목표를 두고 있다. 재림교인들은 그리스도께서 위대한 사명에서 그의 추종자들에게 온 세상에 이르라고 부르셨다고 믿는다. 그러나 재림교인들은 복음 전파가 개인의 기본 권리를 방해하거나 침해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인다. 종교의 자유는 재림교회가 지지하고 증진하는 입장이다.[110]
- 50년 이상, 재림교회는 ADRA의 활동을 통해 인도주의적 지원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왔다. ADRA는 125개국 및 지역에서 종교를 초월한 구호 기관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유엔 경제사회이사회로부터 일반 자문 지위를 부여받았다. 전 세계적으로 ADRA는 4,000명이 넘는 직원을 고용하여 위기 상황에서 구호 활동을 제공하고 빈곤 상황에서 개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 교회는 환경 보호 및 관리에 대한 공식적인 약속을 옹호하며[114] 기후변화의 위험을 피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115]
- 안식교는 오랫동안 미디어 기반 사역을 지지해 왔다. 전통적인 안식교 복음 전파 노력은 거리 전도와 제임스 화이트(James Springer White)가 1849년에 발행한 ''현재 진리(The Present Truth)''와 같은 소책자 배포로 구성되었다.
- 지난 세기 동안 이러한 노력은 라디오와 텔레비전과 같은 미디어를 활용해 왔다. 그중 첫 번째는 H. M. S. 리차드(H. M. S. Richards)의 라디오 프로그램 ''예언의 음성(Voice of Prophecy)''[117] 이었는데, 1929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처음 방송되었다. 그 이후로 안식교는 미디어 복음 전파의 선두에 서 있었다. 조지 반데만(George Vandeman)이 설립한 ''기록된 대로(It Is Written)'',[118]는 1965년 3월 컬러 텔레비전으로 방송된 최초의 종교 프로그램이자 위성 업링크 기술을 활용한 최초의 주요 기독교 사역이었다. 어메이징 팩츠(Amazing Facts)[119]는 1965년 조 크루스(Joe Crews)에 의해 볼티모어에서 라디오 사역으로 설립되었다. 어메이징 팩츠는 매주 일요일 "성경 답변 라이브(Bible Answers Live)"를 방송하며, 청취자들이 전화나 이메일로 성경 질문을 하면 실시간으로 답변한다.[120] 오늘날 2003년 10월에 출범한 교회의 공식 텔레비전 네트워크인 ''희망 채널(Hope Channel)''[121]은 케이블, 위성 및 웹에서 하루 24시간 방송되는 8개 이상의 국제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 1971년 안식교 세계 라디오(Adventist World Radio)가 설립되어 포르투갈에서 첫 번째 단파 라디오 방송국을 임대했다. 나중에 괌에 자체 단파 라디오 방송국을 건설했다. 안식교 세계 라디오는 단파 라디오, 팟캐스트, 1,700개 이상의 AM/FM 라디오 방송국을 통해 100개 이상의 언어로 전 세계를 커버하고 있다.[122][123][124]
- 더그 배첼러(Doug Batchelor), 마크 핀리(Mark Finley), 드와이트 넬슨(Dwight Nelson)과 같은 안식교 복음 전도자들은 여러 차례의 국제 위성 방송 실시간 복음 전도 행사를 진행하여 최대 40개 언어로 동시에 청중에게 연설했다.[125]
- 2016년 교회는 영화 ''세상에 전하라(Tell the World)''를 공개했다.[126]

- 세계적으로 재림교회는 약 136개 언어로 58개의 출판사를 소유하고 운영하고 있다. 대부분은 유럽연합지회(TED)와 유럽간지회(EUD)에 있다.[127] 2014년, 리뷰 앤드 헤럴드 출판 협회(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는 패시픽 프레스 출판 협회(Pacific Press Publishing Association)와 합병하였다.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일반적으로 일치운동에 반대하지만, 일치운동의 다른 목표 중 일부는 지지한다. 총회는 일치운동에 대한 재림교회의 입장에 관한 공식 성명을 발표했다.[130]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세계교회협의회의 회원이 아니지만,[41] 정회원으로 참여하지는 않고 참관인 자격으로 총회에 참석했다.[131]
- 엘렌 G. 화이트(Ellen G. White)가 현대의 예언자라는 주장은 비판을 받기도 했다. "교리에 관한 질문들"(Questions on Doctrine) 시대에 복음주의자들은 화이트의 저술과 영감받은 성경 정경과의 관계에 대한 재림교의 이해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29] 재림교의 기본 신앙은 "모든 가르침과 경험은 성경으로 시험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141]
- 월터 T. 리어(Walter T. Rea), 로널드 넘버스(Ronald Numbers) 등에 의해 널리 알려진 엘렌 화이트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은 다른 저자들의 저작물을 표절했다는 주장이다.[142][143][144]
- 환난 후 휴거설을 채택하고, 환난 전 휴거설을 부정한다.[206]
- 토요일 안식일 준수를 위해 직장, 공립학교 수업 및 시험도 결석하도록 지도한다.[207]
- 음주, 흡연, 마약류 및 자극물(카페인류 및 향신료 포함)을 피하거나, 채식주의 등을 권장한다.[207]
- 정치에 과도하게 관여하지 않는 것과 양심적 병역 거부가 권장되지만, 의무나 교리가 아니며, 어디까지나 개인의 신앙과 양심에 맡긴다.
- 부활절(이스터)을 기념하는 교회는 소수파이다. 최근까지 교회력을 중시하지 않았고, 크리스마스도 기념하지 않았으나, 2012년 현재 전도를 위해 크리스마스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교회는 증가하고 있다.[207]
- 과거에는 십자가를 상징으로 사용하는 것에 소극적이었다.[207]
- 예배에서 성경 외에, 해당 교회가 "주님의 사자"로 여기는 엘렌 구울드 화이트의 저서를 낭독하는 경우가 있다.[207]
- 도쿄 위생 앤드벤티스트 병원(東京衛生アドベンチスト病院)
- 앤드벤티스트 메디컬 센터(AMC)(오키나와)
- 고베 앤드벤티스트 병원(神戸アドベンチスト病院)
6. 문화적 영향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교육과 관련된 문화적 영향은 다음과 같다.
전 세계적으로 재림교회는 7,598개의 학교, 대학 및 대학교를 운영하고 있으며, 총 등록 학생 수는 1,545,000명이 넘고 교직원 수는 약 80,000명이다.[111] 이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학교 시스템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 학교 시스템보다는 규모가 작다.[67]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는 대중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영화 ''핵쏘우 리지''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인이자 양심적 병역 거부자이며 명예 훈장 수상자인 데스먼드 도스의 삶을 묘사한다.[164][165] ''웰빌로 가는 길''은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의사이자 배틀 크릭 요양원 원장인 존 하비 켈로그에 관한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166][167] 아자리아 챔벌린의 죽음을 다룬 영화 ''악의 천사들''에서는 부모가 종교에 대한 잘못된 인식 때문에 직면한 편견을 보여준다.[168][169]
전 세계 여러 국가의 우정청은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또는 개인 교인을 기념하는 우표를 발행했다. 2020년, 이라크 우정청은 이라크의 기독교 교회들을 기념하는 8종의 기념우표를 발행했는데, 이 우표 세트에는 바그다드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사진이 포함되어 있다.[170]
이 외에도 핵소 고지나 전 축구 선수 카를로스 로아와 같이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와 관련된 사례들이 존재한다. 카를로스 로아는 1999년 교회가 예언한 아마겟돈을 이유로 28세에 현역에서 은퇴하고 고향 아르헨티나의 산속에 은둔했으나, 아마겟돈이 일어나지 않자 2000년 4월에 현역으로 복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urrents of Change Roil Seventh-Day Adventists
https://www.latimes.[...]
1998-08-13
[2]
웹사이트
Carson opens up about his membership in Seventh-day Adventist Adventist Church
https://pbs.org/news[...]
2015-10-31
[3]
웹사이트
All Your Questions About Seventh-Day Adventism And Ben Carson Answered
https://www.npr.org/[...]
2015-10-27
[4]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s World Church Statistics 2022
https://documents.ad[...]
2022-03-01
[5]
웹사이트
Seventh Day Adventist Wedding Ceremony
https://oureverydayl[...]
2017-09-28
[6]
백과사전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7]
서적
Handbook of Global Contemporary Christianity: Movements, Institutions, and Allegiance
Brill Publishers
[8]
웹사이트
A closer look at Seventh-day Adventists in America
https://pewresearch.[...]
2015-11-03
[9]
뉴스
News In Brief
https://washingtonpo[...]
1995-07-08
[10]
뉴스
Denominations have differing views about religious holidays
https://www.oklahoma[...]
[11]
서적
Prophetess of Health: A Study of Ellen G. White
[12]
웹사이트
The Holistic Approach to Care in the Adventist Church
https://www.theraviv[...]
2020-03-13
[13]
웹사이트
https://www.adventis[...]
2024-08
[14]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World Church Statistics
http://www.adventist[...]
Office of Archives and Statistics,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2009-12
[15]
웹사이트
Statistical report. Annual council of the General Conference Committee, October 9–14, 2009
http://www.adventist[...]
2009-06-30
[16]
웹사이트
Lifting the lid on Sanitarium – Business News
https://www.nzherald[...]
2012-06-29
[17]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s fit into the rhythms – and faiths – of Israeli life
https://religionnews[...]
2019-05-03
[18]
웹사이트
9 Things Yoy Should Know About Seventh-day Adventism
https://thegospelcoa[...]
2016-03-08
[19]
성경
[20]
학술지
Definite Time
http://www.adventist[...]
James White
1855-06-26
[21]
서적
Church Schism & Corruption: Book 6
[22]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s in Alabama
https://encyclopedia[...]
2019-03-06
[23]
뉴스
Adventists Sell Takoma Park Headquarters Near Metro Stop
https://washingtonpo[...]
1985-03-02
[24]
웹사이트
Adventism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Inc.
[25]
웹사이트
The Seventh Day Adventist Church
https://museeprotest[...]
[26]
웹사이트
Statistical Report of Seventh-day Adventist Conferences, Missions, and Institutions. The Eighty-third Annual Report Year Ending December 31, 1945, pp. 2, 4
http://www.adventist[...]
[27]
웹사이트
Foundation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Message and Mission
http://m.egwwritings[...]
Ellen G. White Estate
[28]
학술지
The Adventist Trinity Debate Part 1: Historical Overview
http://www.sdanet.or[...]
Andrews University Press
[29]
학술지
From Controversy to Crisis: An Updated Assessment of Seventh-day Adventism
https://believersweb[...]
Christian Research Institute
[30]
서적
The Four Major Cults
William B. Eerdmans
[31]
학술지
Questions on Doctrine, Annotated Edition
Andrews University Press
[32]
웹사이트
The Questions on Doctrine Saga: Contours and Lessons
http://qod.andrews.e[...]
[33]
웹사이트
Were early Adventists Arians?
http://www.sdanet.or[...]
[34]
웹사이트
The Adventist Trinity Debate Part 1: Historical Overview
http://www.sdanet.or[...]
Andrews University Press
[35]
잡지
The Season of Adventists: Can Ben Carson's Church Stay Separatist amid Booming Growth?
http://www.christian[...]
[36]
웹사이트
E. GANE M.A. Thesis. Ellen G. White A Trinitarian Monotheist
http://www.sdanet.or[...]
[37]
서적
Seventh-day Adventists Answer Questions on Doctrine
Andrews University Press
[38]
서적
Seeking a Sanctuary: Seventh-day Adventism and the American Dream
Indiana University Press
[39]
서적
Ellen Harmon White: American Prophet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4-11
[40]
서적
Seeking a Sanctuary: Seventh-day Adventism and the American Dream
Indiana University Press
2022-03-07
[41]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https://www.oikoumen[...]
2023-06-23
[42]
간행물
World Church: Growing in Christ, New Belief Statement, Voted
https://news.adventi[...]
Adventist News Network
2005-07-03
[43]
뉴스
Seventh-day Adventists reaffirm six-day creation
https://chron.com/li[...]
2022-09-26
[44]
뉴스
Basics on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s://desmoinesreg[...]
2022-09-21
[45]
뉴스
Currents of Change Roil Seventh-Day Adventists
https://latimes.com/[...]
2022-09-23
[46]
웹사이트
Sabbath Vespers – SDA Church
http://www.sdachurch[...]
[47]
웹사이트
- Spectrum Magazine
http://spectrummagaz[...]
[48]
웹사이트
A Seventh-day Adventist Philosophy of Music—Guidelines
http://www.adventist[...]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Annual Council
2007-04-04
[49]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s Believe. . . The Lord's Supper: 27-15.htm
http://www.sdanet.or[...]
[50]
뉴스
Seventh-day Adventists advocate a vegetarian diet-but it's not because of animal ethics
https://abc.net.au/n[...]
2022-09-03
[51]
뉴스
Many Adventists Advocate Rich-Grain, No-Meat Diet
https://orlandosenti[...]
2022-09-09
[52]
뉴스
Kosher Consumers for a New Age
https://jewishjourna[...]
2023-07-11
[53]
뉴스
Adventists Are Gold Mine For Research On Disease
https://nytimes.com/[...]
2023-07-08
[54]
뉴스
Want to live a longer life? Try eating like a centenarian
https://washingtonpo[...]
2023-07-08
[55]
뉴스
Christian Californians may have a solution to America's obesity
https://economist.co[...]
2023-07-08
[56]
뉴스
Fake meat is baked into Battle Creek's history
https://battlecreeke[...]
2022-09-08
[57]
웹사이트
The History of Fake Meat Starts With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s://atlasobscura[...]
2022-09-09
[58]
뉴스
The 20 most fascinating inventions
https://csmonitor.co[...]
2022-09-09
[59]
뉴스
Slingshot wins $14m food giant Sanitarium
https://adnews.com.a[...]
2022-08-31
[60]
잡지
The Secrets of Long Life
http://search.epnet.[...]
2006-06-06
[61]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s and Health
https://pbs.org/wnet[...]
2022-09-21
[62]
뉴스
A Surprising Secret to a Long Life: Stay in School
https://www.nytimes.[...]
2007-01-03
[63]
뉴스
Why Loma Linda residents live longer than the rest of us
https://latimes.com/[...]
2022-08-31
[64]
뉴스
What 'Blue Zone' city Loma Linda, California can teach us about living longer
https://nbcnews.com/[...]
2022-08-31
[65]
뉴스
What sunny, religious town in California teaches us about living-longer
https://www.cnn.com/[...]
CNN health
2022-08-31
[66]
웹사이트
Adventist Health Study-2 {{!}} Adventist Health Study
https://adventisthea[...]
2021-01-05
[67]
웹사이트
The Adventists And What They Mean To You
https://worldlifeexp[...]
2022-09-23
[68]
뉴스
Operation Whitecoat benefits Army research 60 years later
https://fredericknew[...]
2022-09-23
[69]
뉴스
Adventist helped biological weapons study
https://blueridgenow[...]
2022-09-23
[70]
웹사이트
Delegates Reinforce 'Man and Woman' Definition of Marriage
http://www.adventist[...]
2020-08-02
[71]
서적
The Adventist Home
[72]
논문
Submission in the New Testament (Ephesians 5)
https://web.archive.[...]
Biblical Research Institute
[73]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Position Statement on Homosexuality
https://web.archiv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1999-10-03
[74]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Response to Same-Sex Unions—A Reaffirmation of Christian Marriage
https://web.archive.[...]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2004-03-09
[75]
웹사이트
Statement on the Biblical View of Unborn Life and Its Implications for Abortion
https://web.archive.[...]
2019-10-16
[76]
웹사이트
Operating Policy
https://adventistbio[...]
Loma Linda University Medical Center
[77]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Position on COHABITATION
https://web.archive.[...]
[78]
웹사이트
Homosexuality
https://www.adventis[...]
2016-10-04
[79]
웹사이트
A Statement of Consensus on Care for the Dying
https://web.archive.[...]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1992-10-09
[80]
웹사이트
Birth Control: A Seventh-day Adventist Statement of Consensus
https://web.archive.[...]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1999-09-29
[81]
웹사이트
Statement on Ethical Considerations Regarding Human Cloning
https://web.archive.[...]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1998-09-27
[82]
웹사이트
Fundamental Beliefs
https://web.archiv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83]
웹사이트
The Wedding Band, Ellen G. White, and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s://web.archive.[...]
Biblical Research Institute
1987-12-10
[84]
웹사이트
Can Seventh Day Adventists Wear Wedding Rings?
https://web.archive.[...]
2020-04-08
[85]
뉴스
Seventh-Day Adventist's Ring Case Carried to District Agency
https://washingtonpo[...]
1979-03-30
[86]
뉴스
Adventist students sanctioned for attending dance (2001)
http://www.eijkhout.[...]
[87]
웹사이트
Applause, Hand Waiving, Drumming, & Dancing in the Church
https://web.archive.[...]
[88]
웹사이트
Shall We Dance?
https://web.archive.[...]
Dialogue
[89]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Church Position On Gambling
https://stvincenttim[...]
2019-01-28
[90]
웹사이트
Adventurers
https://www.gcyouthm[...]
2020-06-02
[91]
서적
Adventist Manual
[92]
서적
Seventh-day Adventist Church Manual
https://web.archive.[...]
The Secretariat,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93]
웹사이트
World Church Structure and Governance
https://web.archive.[...]
[94]
웹사이트
NORTH AMERICAN DIVISION OF SEVENTH-DAY ADVENTISTS: Remuneration Scale
https://www.nadadven[...]
2018-01-01
[95]
서적
Seventh-day Adventism in Crisis: Gender and Sectarian Change in an Emerging Relig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96]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s Vote To Bar Ordination of Women
https://nytimes.com/[...]
1990-07-12
[97]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s Facing Pressure On Allowing Female Pastors
https://huffpost.com[...]
2012-09-02
[98]
웹사이트
Adventists stay the course, vote to deny women's ordination
https://religionnews[...]
2015-08-07
[99]
뉴스
Seventh-day Adventists vote against female ordination
https://washingtonpo[...]
2015-07-08
[100]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olds First Jewish Friendship Conference Here
https://haaretz.com/[...]
2006-02-10
[101]
뉴스
Adventists' back-to-basics faith is fastest growing U.S. church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1-03-17
[102]
웹사이트
As they turn 150, Adventists still pray for the apocalypse
https://religionnews[...]
2013-04-10
[103]
웹사이트
Adventists Assess Why 1 in 3 Members Leave the Church
https://christianity[...]
2013-12-09
[104]
웹사이트
The most and least racially diverse U.S. religious groups
https://pewresearch.[...]
2015-07-27
[105]
웹사이트
The Ten: Countries or areas with no Adventists
https://record.adven[...]
2019-03-28
[106]
웹사이트
Adventist Church sees rate of growth tumble due to pandemic: Report
https://washingtonti[...]
2021-10-11
[107]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Church experience lowest rate of growth in 16 years
https://christianpos[...]
2021-10-13
[108]
웹사이트
Pastor who approved of marital rape removed from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s://religionnews[...]
2021-11-24
[109]
웹사이트
Adventist Mission
http://www.adventist[...]
2007-01-17
[110]
웹사이트
A Seventh-day Adventist Statement on Religious Liberty, Evangelism, and Proselytism
http://www.adventist[...]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Administrative Committee
[111]
웹사이트
Department of Education,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education.gc.[...]
[112]
웹사이트
Adventist Health Outreach
http://www.adventist[...]
[113]
웹사이트
Are nonprofit hospitals truly not for profit?
https://orlandosenti[...]
2010-07-30
[114]
웹아카이브
A Statement on the Environment and Statement on Stewardship of the Environment
http://www.adventist[...]
2007-04-04
[115]
웹아카이브
The Dangers of Climate Change: A Statement to Governments of Industrialized Countries
http://www.adventist[...]
2007-04-10
[116]
웹아카이브
Statement on Stewardship of the Environment
http://www.adventist[...]
2007-04-05
[117]
웹사이트
Voice of Prophecy
https://channelstore[...]
[118]
웹사이트
It Is Written TV
https://channelstore[...]
[119]
웹사이트
Amazing Facts TV
https://channelstore[...]
[120]
웹사이트
Amazing Facts International reports massive online viewing surge
https://religionnews[...]
2020-04-02
[121]
웹사이트
Hope Channel
http://www.hopetv.or[...]
[122]
웹사이트
Adventist World Radio
https://adventistrev[...]
2010-06-22
[123]
웹사이트
Adventist World Radio
https://chartable.co[...]
[124]
웹사이트
Adventist World Radio Joins AudioNow
https://www.audionow[...]
2014-07-29
[125]
뉴스
Net '98 Finale: Conclusion of Largest-ever Satellite Outreach Program
http://news.adventis[...]
Adventist News Network
1998-11-06
[126]
웹사이트
How Tell the World, the Biggest Adventist Movie Ever, Got Made
https://spectrummaga[...]
[127]
웹사이트
World Publishing Houses
https://www.adventis[...]
2018-03-02
[128]
웹사이트
Review and Herald to close Hagerstown plant
https://www.heraldma[...]
2014-06-18
[129]
웹사이트
Google buys former home of the Pacific Press
https://www.mv-voice[...]
2011-05-26
[130]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s and the Ecumenical Movement
http://www.adventist[...]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1985-06
[131]
뉴스
World Church: Adventists Observe World Council of Churches Assembly
http://news.adventis[...]
Adventist News Network
2006-03-07
[132]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Church profile
http://www.religious[...]
Religious Tolerance.org
[133]
서적
The Four Major Cults
Paternoster Press
[134]
서적
A Search For Identity The Development of Seventh-Day Adventist Beliefs
Review and Herald Publishing Association
[135]
웹사이트
Adventists and Evangelicals: another viewpoint
https://www.ministry[...]
[136]
잡지
Are Seventh-day Adventists Christians?
Eternity
1956-09
[137]
잡지
The Day Adventists Became Christians
Spectrum
2006-11-02
[138]
서적
Kingdom of the Cults
Bethany House
[139]
웹사이트
Evangelical Reflections on Seventh-day Adventism: Yesterday and Today, by Kenneth Richard Samples
http://qod.andrews.e[...]
[140]
간행물
From Controversy to Crisis: An Updated Assessment of Seventh-day Adventism
http://www.iclnet.or[...]
Christian Research Journal
1988
[141]
웹사이트
Fundamental Beliefs #18
https://www.adventis[...]
Seventh-day Adventist Church
2006-11-01
[142]
서적
Life of Mrs. E.G. White, Seventh-day Adventist Prophet: Her False Claims Refuted
http://www.ellenwhit[...]
2006-06-06
[143]
서적
The White Lie
Moore Publishing
1983-02-01
[144]
서적
Prophetess of health: a study of Ellen G. White
https://archive.org/[...]
Harper & Row
[144]
학술지
An Author Replies to His Critics
http://www.spectrumm[...]
1977-01-01
[145]
웹사이트
Ellen G. White® Estate: The Ramik Report: Memorandum of Law Literary Propert Rights 1790–1915
https://whiteestate.[...]
2023-09-04
[146]
웹사이트
Life of Christ Research Project
https://documents.ad[...]
[147]
서적
Life of Christ Research Project
[148]
웹사이트
General Conference Archive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www.adventist[...]
[149]
웹사이트
''Ellen G. White as a Writer: Part III – The Issue of Literary Borrowing''
http://www.andrews.e[...]
[150]
웹사이트
INDEX FILES on Charge of Plagiarism against E. G. White
http://dedication.ww[...]
[151]
웹사이트
''Ellen G. White as a Writer: Case Studies in the Issue of Literary Borrowing''
http://www.andrews.e[...]
[152]
웹사이트
Untitled Document
http://www.andrews.e[...]
[153]
서적
More Than Words: A Study of Inspiration and Ellen White's Use of Sources in The Desire of Ages
Honor Him Publishers
[154]
서적
White Lie Soap: For removal of lingering stains on Ellen White's integrity as an inspired writer
Honor Him Publishers
[155]
웹사이트
Ellen G. White® Estate: The Ramik Report: Memorandum of Law Literary Propert Rights 1790–1915
https://whiteestate.[...]
2023-09-04
[156]
웹사이트
How Seventh-day Adventists View Roman Catholicism
http://www.adventist[...]
General Conference of Seventh-day Adventists Administrative Committee
1997-04-15
[157]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m
http://www.catholic.[...]
Catholic Answers
2007-02-05
[158]
서적
The Four Major Cults
Paternoster Press
[159]
웹사이트
The Remnant and the Adventist Church
http://www.adventist[...]
Biblical Research Institute
2007-02-05
[160]
웹사이트
Origin of the SDA Reform Movement
http://www.sdarm.org[...]
[161]
뉴스
Church Leaders Say 'We're Sorry': German and Austrian churches apologize for Holocaust actions
http://archives.adve[...]
[162]
학술지
V. A. Shelkov and the true and free Adventists of the USSR
[163]
웹사이트
Fundamental beliefs of DSDA as compared with the ones of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www.davidians[...]
[164]
웹사이트
Producer David Permut brings a soldier's valor to the screen in 'Hacksaw Ridge'
https://jewishjourna[...]
2022-09-10
[165]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Hacksaw Ridge' and Desmond Doss: the Medal of Honor Winner Who Never Fired a Shot
https://people.com/m[...]
2022-09-12
[166]
웹사이트
Battle Creek reluctant to revisit 'The Road to Wellville' 25 years after film's release
https://battlecreeke[...]
2022-09-10
[167]
웹사이트
There's no cure for 'The Road to Wellville'
https://baltimoresun[...]
2022-09-12
[168]
웹사이트
Evil Angels rewatched-harrowing Meryl Streep triumph still packs a punch
https://theguardian.[...]
2022-09-12
[169]
웹사이트
FILM; Meryl Streep as an Accused Murderer
https://nytimes.com/[...]
2022-09-12
[170]
웹사이트
Iraq Recognizes Adventist Church with New National Stamp
https://adventistrev[...]
2022-09-15
[171]
웹사이트
セブンスデー・アドベンチスト教団とは?
http://adventist.jp/[...]
[172]
서적
宣教ハンドブック Q&A130
共立基督教研究所,いのちのことば社
[173]
웹사이트
2 セブンスデー・アドベンチストの芽生え
http://adventist.jp/[...]
[174]
서적
セブンスデー・アドベンティスト
[175]
웹사이트
近代日本におけるアメリカ人医療宣教師の活動 : ミッション病院の事業とその協力者たち
https://repository.d[...]
東京大学
2023-08-29
[176]
웹사이트
https://adventist.jp[...]
[177]
웹사이트
信仰の大要
http://adventist.jp/[...]
[178]
간행물
預言の声通信講座
セブンスデー・アドベンチスト教会
[179]
웹사이트
セブンスデー・アドベンチストのローマ・カトリック観に関する声明
http://adventist.jp/[...]
[180]
백과사전
アドベンティスト
https://kotobank.jp/[...]
平凡社
1993
[181]
웹사이트
信仰の大要-24.天の聖所におけるキリストの奉仕
http://adventist.jp/[...]
[182]
웹사이트
Jesus the Archangel Michael?
http://ellenwhite.or[...]
[183]
서적
Early Writings
[184]
서적
Ellen G. White:Early Writing
https://text.egwwrit[...]
[185]
서적
The Desire of Ages
[186]
서적
Ellen G. White:The Desire of Ages
http://text.egwwriti[...]
[187]
웹사이트
預言の声聖書講座 第2部 第5課-6.天における戦い
http://www.adventist[...]
[188]
웹사이트
Jesus Was not God Almighty?
http://ellenwhite.or[...]
[189]
서적
Ellen G. White:The Great Controversy
https://text.egwwrit[...]
[190]
서적
Ellen G. White:The Great Controversy
https://text.egwwrit[...]
[191]
서적
Ellen G. White:Testimonies for the Church, Vol5
http://text.egwwriti[...]
[192]
웹사이트
エレン・G・ホワイトの著作の霊感と権威
http://adventist.jp/[...]
セブンスデー・アドベンチスト教会
2020-04-27
[193]
서적
Ellen G. White:Testimonies for the Church, vol. 8
https://text.egwwrit[...]
[194]
서적
Ellen G. White:Testimonies for the Church, vol. 6
https://text.egwwrit[...]
[195]
웹사이트
http://adventist.jp/[...]
[196]
서적
そこが知りたいSDA 57のQ&A - 現代のセブンスデー・アドベンチスト教会
福音社
2007
[197]
서적
The Great Controversy
[198]
서적
Ellen G. White: The Great Controversy
https://text.egwwrit[...]
[199]
서적
Ellen G. White: Early Writings
https://text.egwwrit[...]
[200]
서적
Ellen G. White: Manuscript 27, 1899
https://text.egwwrit[...]
Seventh-day Adventist Bible Commentary, vol. 7
[201]
웹사이트
ミッションステートメント/宣教理念
http://adventist.jp/[...]
[202]
웹사이트
伝道基本方針
http://adventist.jp/[...]
[203]
웹사이트
日本禁煙協会
http://kinnen.jp/
[204]
웹사이트
福音社
https://fukuinsha.co[...]
[205]
웹사이트
ADRA(アドラ)Japan
http://www.adrajpn.o[...]
[206]
웹사이트
The Secret Rapture—Is It True?
http://www.signstime[...]
[207]
서적
なんでもわかるキリスト教大事典
朝日新聞出版
2012
[208]
웹사이트
エレン・ホワイトをどう読むか
http://cm.adventist.[...]
[209]
웹사이트
エレン・ホワイト 『エレン・ホワイト その生涯とメッセージ』山形正男著
http://cm.adventist.[...]
[210]
보고서
JMR調査レポート(2017年4月)
http://www.tci.ac.jp[...]
2017-04
[211]
서적
異端ポケットシリーズ4
オリーブ社
[212]
웹사이트
日本キリスト教連合会加盟団体
http://www.jccc21.co[...]
[213]
서적
異端ポケットシリーズ6/「体験」セブンスデー・アドベンチスト教会
オリーブ社
[214]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www.oikoumene[...]
[215]
서적
現代日本におけるキリスト教の異端
ニューライフ出版社
1976
[216]
웹사이트
Apostolic Journey to the Orient, Homily of John Paul II, 9 May 1984
http://www.vatican.v[...]
[217]
간행물
2012年キリスト教一致祈祷週間小冊子,P51
https://web.archive.[...]
カトリック中央協議会
2015-01-26
[218]
서적
100の質問
コンコーディア社
1963
[219]
뉴스
東京小金井市内11教会が一致祈祷会--クリスマスには共通の教会案内
https://web.archive.[...]
クリスチャン新聞
2010-02-21
[220]
서적
False Doctrines
Sword of the Lord Publishers
1994
[221]
웹사이트
おすすめリンク集
http://www.bible.or.[...]
[222]
웹사이트
「聖書全巻リレー通読」を実施された教会の方々
http://www.bible.or.[...]
[223]
서적
The Four Major Cults:Christian Science, Jehovah's Witnesses, Mormonism, Seventh-day Adventism
Eerdmans
1963
[224]
서적
The Truth About Seventh-Day Adventism
Zondervan
1960
[225]
웹사이트
Life of Mrs. E.G. White - Her Claims Refuted
http://members.tripo[...]
1919
[226]
뉴스
キリスト者の一致「主を喜ばせる大切なこと」 エンパワード21全日本大会
http://www.christian[...]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13-10-14
[227]
뉴스
「ハクソー・リッジ」からひもとく、根本主義的キリスト教の限界性と超越性
http://www.christian[...]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17-06-26
[228]
뉴스
異端・カルトシリーズ(8)異端・カルトに入らせないための最大の予防策とは?
http://www.christian[...]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17-11-03
[229]
뉴스
東京都:スマホ伝道セミナー 2月11日、12日
http://www.christian[...]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
2018-02-06
[230]
서적
クリスチャン情報ブック
いのちのことば社
[231]
서적
キリスト教年鑑
キリスト新聞社
2006
[232]
뉴스
国連人権理事会 「宗教の中傷」反対決議に懸念高まる
https://web.archive.[...]
2009-04-30
[233]
뉴스
北朝鮮に進出する異端者たち
http://www.christian[...]
クリスチャン・トゥデイ(韓国)
[234]
서적
礼拝探訪 神の民のわざ
[235]
서적
カルトの諸相 キリスト教の場合
岩波書店
1997
[236]
논문
キリスト教の基礎知識
KKベストセラーズ
2010
[237]
서적
Encyclopedic Handbook of Cults in America
Garland
1992
[238]
서적
宗教の世界史9 キリスト教の歴史2 宗教改革以降
山川出版社
2009
[239]
서적
基督教全史
聖書図書刊行会
1957
[240]
서적
聖書解釈学概論
聖書図書刊行会
1963
[241]
서적
岩波キリスト教辞典
岩波書店
2002
[242]
서적
組織神学
聖書図書刊行会
1961
[243]
서적
世界宗教大事典
平凡社
1991
[244]
서적
異端の歴史
教文館
1997
[245]
서적
オックスフォードキリスト教辞典
教文館
2017
[246]
서적
The chaos of cults; a study of present-day isms
Eerdmans (Wm.B.) Publishing Co ,U.S.
[247]
서적
世界宗教百科事典
丸善出版
2012
[248]
서적
The Teachings of Seventh-Day Adventism
Baker Pub Group
[249]
서적
世界キリスト教百科事典
教文館
1986
[250]
서적
終末・預言・安息日: 19世紀アメリカとエレン・ホワイトの安息日論
新教出版社
1998
[251]
서적
キリスト教大事典
教文館
1988
[252]
서적
世界の宗教101物語
新書館
1997
[253]
서적
教養としての宗教事件史
河出書房新社
2016
[254]
간행물
海外の宗教事情に関する調査報告書
https://www.bunka.go[...]
文化庁
2012-03
[255]
서적
新宗教教団・人物事典
弘文堂
1996
[256]
서적
宗教の事典
朝倉書店
2012
[257]
서적
現代宗教事典
弘文堂
2005
[258]
서적
なんでもわかるキリスト教大事典
朝日新聞出版
2012
[259]
서적
新宗教辞典
東京堂出版
1984
[260]
서적
世界宗教用語大事典
新人物往来社
2004
[261]
웹사이트
アドベンチストと福音同盟が共通ゴール目指す声明発
http://www.christian[...]
[262]
웹사이트
アドベンチスト教会、WEAと神学的対話 共同声明発表へ
http://www.christian[...]
[263]
웹사이트
Joint Statement of the World Evangelical Alliance and the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www.worldevan[...]
2007-08-09
[264]
웹사이트
Seventh-day Adventist Church
https://www.britanni[...]
[265]
웹사이트
http://protestantism[...]
[266]
웹사이트
재림교회 소개
https://www.adventis[...]
[267]
웹사이트
https://www.adventis[...]
[268]
웹사이트
http://www.hdjongkyo[...]
[269]
웹사이트
http://theologia.kr/[...]
[270]
웹인용
안식교(제칠일안식일 예수재림교)
https://www.kcdc.net[...]
한국교회정보센타
2021-03-03
[271]
웹인용
나는 왜 안식교를 이단이라고 하는가
http://m.amennews.co[...]
교회와신앙
2021-03-03
[272]
웹사이트
재림교회 역사
https://www.adventis[...]
[273]
기타
조건적 영혼불멸
[274]
뉴스
인터뷰[홍명관 한국연합회 회장/ 한국교회의 새로운 변화 ‘제칠일 안식일 예수 재림교회’
https://news.naver.c[...]
헤럴드경제
[275]
웹사이트
재림교회 평가
https://www.adventis[...]
[276]
웹사이트
안식교 대논쟁
http://www.theology.[...]
[277]
웹사이트
https://kaats.or.kr/[...]
[278]
웹사이트
https://www.christia[...]
[279]
서적
진리의 등불은 꺼지지 않는다
여운사
1998-09-15
[280]
웹사이트
https://www.oikoumen[...]
[281]
웹사이트
https://adventist.ne[...]
[282]
웹사이트
http://www.1907reviv[...]
[283]
웹사이트
한국교회 역사
https://www.adventis[...]
2021-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