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추투힐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투힐어는 과테말라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이다. 음운론적으로는 유기음과 성문음화 파열음 및 파찰음을 구별하며, 5개의 단모음과 5개의 장모음 음소를 가진다. 문법적으로는 능격 언어이며, 교착어로서 다양한 접사를 활용한다. 주로 아티틀란 호수 주변의 솔롤라 주와 수치테페케스 주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힙합 음악 등 현대 문화에서도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테말라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과테말라의 언어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마야어족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마야어족 - 모판어
    모판어는 과테말라 페텐 주 일부와 벨리즈 남부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유카테코어군과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며 성을 나타내는 분류사를 사용하는 특징이 있고, 라틴 문자로 표기되며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에 의해 표준화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추투힐어
지도 정보
언어 정보
이름추투힐어
고유 이름Tzʼutujiil
국가과테말라
지역서부 고원 지대
민족추투힐족
화자 수 (2019년 인구 조사)72,400명
화자 수 (2001년)47,669명
화자 수 (2002년)60,000명
인구 (2019년 인구 조사)106,000명
소수 언어 인정 국가과테말라
언어 기관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 (ALMG)
위협 정도취약 (UNESCO)
언어학적 분류
어족마야어족
어파키체-맘어군
어군대키체어군
어 branch키체어 branch
언어 코드
ISO 639-3tzj
Glottologtzut1248
음운 정보
방언 정보
Etymonlinee16: tzj (동부 추투힐어)
e16: tzt (서부 추투힐어)
참고자료
추가 정보Library as a Starting Point to Revitalize Tzʼutujil Language
http://www.unesco.org/culture/languages-atlas/en/atlasmap/language-id-1831.html
스페인어 이름
스페인어 이름Tzʼutujil, Zutuhil

2. 음운론

아래는 추투힐어 음소를 나타낸 표이다. 각 음소는 과테말라 마야어 학술원(ALMG)에서 개발하고 과테말라 정부가 승인한 정서법에 따라 굵은 글씨로 표기하고, 옆에 국제 음성 기호를 병기했다.

고유어 단어의 강세는 항상 마지막 음절에 온다. 단, 특정 환경의 형용사 모음 접미사는 제외된다.[31]

다음 표에서 각 추투힐어 음소는 과테말라 마야 언어 학술원(ALMG)에서 개발하고 과테말라 정부가 승인한 표준 표기법에서 해당 음소를 나타내는 문자 또는 문자 집합으로 표시된다.

다른 경우에는 국제 음성 기호에 해당하는 기호가 괄호 안에 나타난다.

강세는 특정 환경에서의 형용사 모음 접미사를 제외하고 고유어의 마지막 음절에 항상 주어진다.[5]

다른 마야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추투힐어는 유성음과 무성 파열음파찰음을 구별하지 않고, 대신 유기음성문음화 파열음과 파찰음을 구별한다.[5][31]



그 외에 유성 파열음 b, d, g가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새로운 차용어에 나타난다.[11]

후두화되지 않은 파열음・파찰음(p, t, tz, ch, k, q)은 어말 또는 다른 자음 앞에서 강한 유기음이 된다.[12] 데일리에 따르면 후두화 자음은 원칙적으로 방출음이지만, bʼ, tʼ는 모음 앞에서 내파음이 된다. qʼ도 모음 앞에서 내파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13] 베넷도 모음 앞에서 bʼ는 거의 항상 유성 내파음, qʼ는 내파음 또는 방출음임을 확인했지만, tʼ는 내파음이 아닌 방출음이라고 한다.[14]

성문화 파열음 'kʼ'와 파찰음 'chʼ', 'tzʼ'는 방출음이며, 'bʼ', 'tʼ'는 모음 앞에서 유성 내파음이고, 다른 위치(자음 앞과 단어 끝)에서는 방출음이다. 'qʼ'는 모음 앞에서는 방출음 또는 내파음일 수 있고, 다른 위치에서는 방출음이다.[5]

연구개음 'k, kʼ'는 'i' 앞에서 구개음화되며, 또한 후두개음(''q, qʼ, j'')이 뒤따르는 비후설 모음(''i, e, a'') 앞에서도 보통 구개음화되지만, 이 후자의 이화 현상은 완전히 생산적이지 않다.[5]

'w'는 전설 모음(''i, e'') 앞에서는 이고, 비전설 모음(''a, o, u'') 앞에서는 이다.[5]

'j'는 대부분의 위치에서 후두개 이지만, 두 자음 앞이나 단어 종결 자음 앞에서는 이다.[5]

공명음(m, n, l, r, w, y)은 어말에서 무성음화(비음 m, n은 부분적으로 무성음화)한다. m, n 이외는 자음 앞에서도 무성음화한다. 하지만 산티아고 방언에서는 스페인어에서 유래된 차용어의 경우 무성음화하지 않는다.[11]

형태소의 시작 부분에서 성문 파열음과 0의 구별은 없다. 단음절 형태는 항상 성문 파열음을 가지고 있으며, 몇몇 문법적 형태는 그렇지 않으며, 접두사가 붙으면 성문 파열음이 유지된다. 다음절 형태의 경우 성문 파열음은 선택 사항이며, 접두사가 붙으면 유지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초기 성문 파열음은 형태론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일부 단어에서는 자음으로 취급된다.[5]

추투힐어에는 5개의 단모음과 5개의 장모음 음소가 있다.



'''ee'''와 '''oo'''는 성문 파열음 앞에서 더욱 저모음화되는 경향이 있다.[31][5]

많은 단어에서 '''a'''와 '''e'''를 교체해도 무방하며, '''a'''만을 허용하는 단어도 많지만 '''e'''만을 허용하는 단어는 적다. 이는 가 가 합류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일 수 있다. 이보다 적은 수이지만 '''a'''와 '''o'''를 교체해도 무방한 단어들도 있다.[31][5]

추투힐어에서 강세는 원칙적으로 마지막 음절에 온다.[21] 차용어를 제외하고, 단음절 형용사가 뒤따르는 명사를 수식할 때 붙는 접미사 -V는 강세를 갖지 않는 유일한 예외이다.[21]

2. 1. 모음

추투힐어에는 5개의 단모음과 5개의 장모음 음소가 있다.



'''ee'''와 '''oo'''는 성문 파열음 앞에서 더욱 저모음화되는() 경향이 있다.[31][5]

많은 단어에서 '''a'''와 '''e'''를 교체해도 무방하며, '''a'''만을 허용하는 단어도 많지만 '''e'''만을 허용하는 단어는 적다. 이는 가 가 합류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일 수 있다. 이보다 적은 수이지만 '''a'''와 '''o'''를 교체해도 무방한 단어들도 있다.[31][5]

2. 2. 자음

다른 마야어족 언어와 마찬가지로 추투힐어는 유성음과 무성 파열음파찰음을 구별하지 않고, 대신 유기음성문음화 파열음과 파찰음을 구별한다.[5][31]



그 외에 유성 파열음 b, d, g가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새로운 차용어에 나타난다.[11]

후두화되지 않은 파열음・파찰음(p, t, tz, ch, k, q)은 어말 또는 다른 자음 앞에서 강한 유기음이 된다.[12] 데일리에 따르면 후두화 자음은 원칙적으로 방출음이지만, bʼ, tʼ는 모음 앞에서 내파음이 된다. qʼ도 모음 앞에서 내파음이 되는 경우가 있다.[13] 베넷도 모음 앞에서 bʼ는 거의 항상 유성 내파음, qʼ는 내파음 또는 방출음임을 확인했지만, tʼ는 내파음이 아닌 방출음이라고 한다.[14]

성문화 파열음 'kʼ'와 파찰음 'chʼ', 'tzʼ'는 방출음이며, 'bʼ', 'tʼ'는 모음 앞에서 유성 내파음이고, 다른 위치(자음 앞과 단어 끝)에서는 방출음()이다. 'qʼ'는 모음 앞에서는 방출음 또는 내파음일 수 있고, 다른 위치에서는 방출음이다.[5]

연구개음 'k, kʼ'는 'i' 앞에서 구개음화되며, 또한 후두개음(''q, qʼ, j'')이 뒤따르는 비후설 모음(''i, e, a'') 앞에서도 보통 구개음화되지만, 이 후자의 이화 현상은 완전히 생산적이지 않다.[5]

'w'는 전설 모음(''i, e'') 앞에서는 이고, 비전설 모음(''a, o, u'') 앞에서는 이다.[5]

'j'는 대부분의 위치에서 후두개 이지만, 두 자음 앞이나 단어 종결 자음 앞에서는 이다.[5]

공명음(m, n, l, r, w, y)은 어말에서 무성음화(비음 m, n은 부분적으로 무성음화)한다. m, n 이외는 자음 앞에서도 무성음화한다. 하지만 산티아고 방언에서는 스페인어에서 유래된 차용어의 경우 무성음화하지 않는다.[11]

형태소의 시작 부분에서 성문 파열음과 0의 구별은 없다. 단음절 형태는 항상 성문 파열음을 가지고 있으며, 몇몇 문법적 형태는 그렇지 않으며, 접두사가 붙으면 성문 파열음이 유지된다. 다음절 형태의 경우 성문 파열음은 선택 사항이며, 접두사가 붙으면 유지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초기 성문 파열음은 형태론적으로 보이지 않지만, 일부 단어에서는 자음으로 취급된다.[5]

2. 3. 강세

추투힐어에서 강세는 원칙적으로 마지막 음절에 온다.[21] 차용어를 제외하고, 단음절 형용사가 뒤따르는 명사를 수식할 때 붙는 접미사 -V는 강세를 갖지 않는 유일한 예외이다.[21]

3. 문법

추투힐어는 다른 마야어족과 마찬가지로 능격 언어이며, 인칭 접사에 A형 (능격)과 B형 (절대격)이 있다. 역수동태를 2종류나 가지고 있다[23]

추투힐어는 교착어이며, 많은 접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x-in-war-i inin''「나는 잠들었다」라는 문장에서는, x-가 완료상을 나타내는 접두사, in-이 B형 1인칭 단수 인칭 접사, war가 자동사 어근 「잠들다」, -i가 동사 술어 뒤에 붙는 접미사, inin이 1인칭 단수 대명사이다[24]。 접두사·접미사 외에 접중사도 있으며, 수동태를 나타내는 j가 ''x-choy-i ja nim cheeʼ''「그 큰 나무는 잘렸다」와 같이 사용된다[25]

기본적인 어순은 VOS 어순이다[26]。 하지만, 주제화나 초점화에 의해 실제로는 5종류의 어순이 나타난다[27]

3. 1. 어순

추투힐어는 다른 마야어족과 마찬가지로 능격 언어이며, 인칭 접사에 A형 (능격)과 B형 (절대격)이 있다. 역수동태를 2종류나 가지고 있다[23]

추투힐어는 교착어이며, 많은 접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x-in-war-i inin''「나는 잠들었다」라는 문장에서는, x-가 완료상을 나타내는 접두사, in-이 B형 1인칭 단수 인칭 접사, war가 자동사 어근 「잠들다」, -i가 동사 술어 뒤에 붙는 접미사, inin이 1인칭 단수 대명사이다[24]。 접두사·접미사 외에 접중사도 있으며, 수동태를 나타내는 j가 ''x-choy-i ja nim cheeʼ''「그 큰 나무는 잘렸다」와 같이 사용된다[25]

기본적인 어순은 VOS 어순이다[26]。 하지만, 주제화나 초점화에 의해 실제로는 5종류의 어순이 나타난다[27]

3. 2. 인칭 접사

추투힐어는 다른 마야어족과 마찬가지로 능격 언어이며, 인칭 접사에 A형 (능격)과 B형 (절대격)이 있다. 역수동태를 2종류나 가지고 있다.[23]

추투힐어는 교착어이며, 많은 접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x-in-war-i inin''「나는 잠들었다」라는 문장에서는, x-가 완료상을 나타내는 접두사, in-이 B형 1인칭 단수 인칭 접사, war가 자동사 어근 「잠들다」, -i가 동사 술어 뒤에 붙는 접미사, inin이 1인칭 단수 대명사이다.[24] 접두사·접미사 외에 접중사도 있으며, 수동태를 나타내는 j가 ''x-choy-i ja nim cheeʼ''「그 큰 나무는 잘렸다」와 같이 사용된다.[25]

기본적인 어순은 VOS 어순이다.[26] 하지만, 주제화나 초점화에 의해 실제로는 5종류의 어순이 나타난다.[27]

3. 3. 태

추투힐어는 다른 마야어족과 마찬가지로 능격 언어이며, 인칭 접사에 A형 (능격)과 B형 (절대격)이 있다. 역수동태를 2종류나 가지고 있다[23]

추투힐어는 교착어이며, 많은 접사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x-in-war-i inin''「나는 잠들었다」라는 문장에서는, x-가 완료상을 나타내는 접두사, in-이 B형 1인칭 단수 인칭 접사, war가 자동사 어근 「잠들다」, -i가 동사 술어 뒤에 붙는 접미사, inin이 1인칭 단수 대명사이다[24]。 접두사·접미사 외에 접중사도 있으며, 수동태를 나타내는 j가 ''x-choy-i ja nim cheeʼ''「그 큰 나무는 잘렸다」와 같이 사용된다[25]

기본적인 어순은 VOS 어순이다[26]。 하지만, 주제화나 초점화에 의해 실제로는 5종류의 어순이 나타난다[27]

4. 사용 지역

추투힐어는 주로 아티틀란 호수의 남쪽과 서쪽, 솔롤라 주의 6개 마을(산티아고 아티틀란 포함)과 수치테페케스 주의 2개 마을에서 사용된다. 서쪽에는 키체어, 동쪽과 남쪽에는 카크치켈어 사용 지역이 접해 있다.[6][8]

추투 박툰 칸(Tzʼutu Baktun Kan)은 추투힐 래퍼로 알려져 있으며, 추투힐어로 많은 힙합 곡을 만들고 있다.[9]

5. 현대 문화

6. 회화


  • maltyoox - 안녕하세요?
  • saqari - 아침인사
  • xqa'j q'iij - 낮인사
  • xok aaq'a' - 밤인사
  • na'an - 안녕히 가세요.
  • jo' - 가자!
  • utz aawach - 잘 지냈어요?
  • jee' - 네
  • mani' - 아니오
  • maltyooxtzj 또는 mal dioxtzj – '감사합니다'
  • menuc xubentzj – '천만에요' (또한 매 식사 후에 말함)
  • saqaritzj – '안녕'
  • xqaʼj qʼiijtzj – '안녕'
  • xok aaqʼaʼtzj – '안녕히 주무세요'
  • naʼantzj – '안녕'
  • joʼtzj – '가자!'
  • utz aawachtzj – '어떻게 지내세요?'
  • jeeʼtzj – '예'
  • maniʼtzj 또는 majontzj – '아니요'

참조

[1] 웹사이트 Decreto Número 19-2003. Ley de Idiomas Nacionales http://www.congreso.[...] 2009-12-14
[2] 문서 Eastern Tzutujil
[3] 문서 Western Tzutujil
[4] 웹사이트 Library as a Starting Point to Revitalize Tzʼutujil Language http://rising.global[...] 2012-11-17
[5] 문서 Daley 1985
[6] 문서 Richards (2003) p.84
[7] 간행물 Tz'utujil http://www.unesco.or[...]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8] 문서 Dayley (1985) p.1
[9] 뉴스 Guatemalan rappers promote Mayan language, stories to youth https://www.theday.c[...] The Day 2015-02-24
[10] 문서 Dayley (1985) p.13
[11] 문서 Dayley (1985) pp.22-23
[12] 문서 Dayley (1985) pp.14-15
[13] 문서 Dayley (1985) pp.15-16
[14] 문서 Bennett (2010) pp.101-102
[15] 문서 Dayley (1985) pp.16-17
[16] 문서 Dayley (1985) p.21
[17] 문서 Dayley (1985) pp.30-31
[18] 문서 Dayley (1985) pp.19-20
[19] 문서 Dayley (1985) pp.25-28
[20] 문서 Bennett (2016) p.473
[21] 문서 Dayley (1985) pp.29-30
[22] 문서 Bennett (2016) p.494
[23] 문서 Dayley (1985) pp.7-8
[24] 문서 Dayley (1985) p.10
[25] 문서 Dayley (1985) p.341
[26] 문서 八杉(1992) pp.120-121
[27] 문서 Dayley (1985) p.304
[28] 웹인용 XI Censo Nacional de Población y VI de Habitación (Censo 2002) – Idioma o lengua en que aprendió a hablar https://web.archive.[...] Instituto Nacional de Estadística 2009-12-14
[29] 웹인용 Decreto Número 19-2003. Ley de Idiomas Nacionales http://www.congreso.[...] 2009-12-14
[30] 웹인용 Library as a Starting Point to Revitalize Tzʼutujil Language http://rising.global[...] 2012-10-31
[31] 문서 Daley 198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