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축폐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축폐선은 주어진 곡선의 법선들의 포락선이다. 아폴로니우스는 기원전 200년경에 축폐선에 대해 논했고, 크리스티안 호이겐스는 등시곡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폐선 이론을 정립하여 미적분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축폐선은 곡선의 곡률이 극값을 갖는 점(정점)에서 첨점을 가지며, 변곡점에서는 무한대로 발산할 수 있다. 포물선, 타원, 사이클로이드, 로그 나선 등 다양한 곡선들의 축폐선이 존재하며, 각 곡선에 따라 독특한 형태를 나타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 등시 곡선
    등시 곡선은 중력의 영향으로 물체가 곡선을 따라 움직일 때 시작 지점과 관계없이 최하점에 도달하는 데 동일한 시간이 걸리는 곡선이며, 사이클로이드가 등시 곡선임을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증명했다.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 하위헌스 원리
    하위헌스 원리는 파면의 각 점을 새로운 파동의 근원으로 보고 파동의 전파를 설명하는 원리로, 빛의 직진성과 회절 현상 설명에 사용되었으며, 후에 수정되어 하위헌스-프레넬 원리로 발전하고 현대 물리학의 양자장론과도 연관된다.
  • 곡선 - 선적분
    선적분은 스칼라장이나 벡터장의 곡선에 대한 적분으로, 함수의 종류와 곡선의 표현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며, 물리학과 공학 등에서 활용된다.
  • 곡선 - 아스트로이드
    아스트로이드는 별 모양의 곡선으로, `x2/3 + y2/3 = a2/3` (a는 상수)로 표현되는 6차 실수 대수곡선이며, 매개변수 방정식, 페달 방정식 등 다양한 수학적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고, 면적은 (3/8)πa², 둘레는 6a이며, 원 내부에서 작은 원이 구르며 생기는 자취로도 설명된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 곡률
    가우스 곡률은 3차원 유클리드 공간에 놓인 곡면의 두 주곡률의 곱으로, 곡면의 형태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곡면 자체의 길이 측정만으로 결정되는 내재적인 값이다.
  • 미분기하학 -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
    가우스의 빼어난 정리는 곡면의 가우스 곡률이 외부 공간이 아닌 곡면 자체의 리만 계량만으로 결정된다는 정리로, 곡면의 변형 시 가우스 곡률이 보존됨을 의미하며, 지도 제작의 불가능성 증명과 고차원 리만 다양체 일반화에 응용되어 미분기하학과 일반 상대성 이론의 기초가 된다.
축폐선
정의
정의평면 곡선의 축폐선은 원래 곡선의 곡률 중심의 자취이다.
설명원래 곡선은 축폐선의 진개선이다.
개요
설명곡선의 각 점에서의 곡률 중심은 그 점에서 곡선에 가장 가까운 원인 곡률원의 중심이다. 축폐선은 이러한 모든 곡률 중심의 자취이다. 따라서 곡선의 축폐선은 곡률원의 포락선이다.
유도 방법축폐선은 또한 곡선의 법선에 걸쳐 있는 특이점으로 생각할 수 있다. 즉, 곡선의 법선 패밀리의 포락선이다.
파라미터화곡선이 다음과 같이 파라미터화된 경우
r(t) = (x(t), y(t))
그런 다음 축폐선은 다음과 같이 파라미터화된다.
A(t) = ( X(t), Y(t))
여기서
X(t) = x(t) - ((y(t))(x²(t) + y²(t))) / (x(t)y'(t) - x'(t)y(t))
Y(
t) = y(t) + ((x
(t))(x²(t) + y²(t))) / (x(t)y'(t) - x'(t)y(t))
여기서 x(t)와 y(t)는 각각 x(t)와 y(t)의 t에 대한 첫 번째 도함수이고, x'(t)와 y'(t)는 각각 x(t)와 y(t)의 t에 대한 두 번째 도함수이다.
성질
진개선과의 관계축폐선은 원래 곡선의 모든 진개선에 대한 공통적인 직교 궤적이다.
평행 곡선과의 관계곡선의 축폐선은 그 평행 곡선(등거리 곡선)의 첨두(cusp)의 자취이다.
예시
사이클로이드의 축폐선사이클로이드의 축폐선은 합동 사이클로이드이다.
사이클로이드의 축폐선
사이클로이드의 축폐선
포물선의 축폐선포물선의 축폐선은 3/2차의 반입방 포물선이다.
포물선의 축폐선
포물선의 축폐선
타원의 축폐선타원의 축폐선은 아스트로이드와 유사하다.
타원의 축폐선
타원의 축폐선
관련 개념
진개선축폐선의 진개선은 원래 곡선이다.
곡률 중심곡선의 각 점에서의 곡률 중심은 축폐선을 구성하는 점이다.
곡률원축폐선은 곡률원의 포락선이다.

2. 역사

아폴로니우스는 기원전 200년경 저서 『원뿔 곡선론』(Conics영어) 제5권에서 축폐선(전개선)에 대해 논했다. 그러나 호이겐스가 1673년에 최초로 이를 연구한 사람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호이겐스는 약 1659년경 등시곡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폐선 이론을 정립했으며, 이는 그가 등시성을 가지는 진자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는 등시곡선이 사이클로이드이며, 사이클로이드는 그 축폐선(전개선) 역시 사이클로이드라는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축폐선 이론을 통해 호이겐스는 훗날 미적분학을 사용하여 발견될 많은 결과를 미리 얻을 수 있었다.[3]

3. 정의

평면 곡선 \gamma(s)가 그 호의 길이 변수 s에 의해 매개변수화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곡선의 단위 접벡터는 \mathbf{T}(s) = \gamma'(s)이고, 단위 법선 벡터 \mathbf{N}(s)\mathbf{T}(s)에 수직이며 쌍 (\mathbf{T}, \mathbf{N})이 양의 방향을 갖도록 선택된다.

곡선 \gamma의 '''곡률''' k(s)\mathbf{T}'(s) = k(s)\mathbf{N}(s)로 정의되며, '''곡률 반경''' R(s)는 그 역수 R(s) = \frac{1}{k(s)}이다. 곡률 반경의 절댓값은 곡선 위의 점 \gamma(s)에서 곡선에 가장 잘 맞는 원, 즉 접촉원의 반지름과 같다.

'''곡률의 중심'''은 이 접촉원의 중심을 의미하며, 점 \gamma(s)에서 법선을 따라 거리 R(s)만큼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곡률 중심의 위치 벡터 E(s)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11]

:E(s) = \gamma(s) + R(s)\mathbf{N}(s) = \gamma(s) + \frac{1}{k(s)}\mathbf{N}(s)

매개변수 s가 변함에 따라 곡률 중심 E(s)가 그리는 궤적이 바로 곡선 \gamma의 '''축폐선'''이다.

점 P에서의 법선은 곡률 중심 C에서의 접선이다.


일반적인 매개변수 t를 사용하여 평면 곡선을 \vec c(t)=(x(t),y(t))^\mathsf{T}로 표현하고, 이 곡선이 정칙 곡선이며 곡률이 0이 아니라고 가정하자. 곡률 반지름을 \rho(t), 곡률 중심을 향하는 단위 법선 벡터를 \vec n(t)라고 하면, 축폐선 \vec E(t)=(X(t),Y(t))^\mathsf{T}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vec E(t) = \vec c(t) + \rho (t) \vec n(t)

이를 좌표 성분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12]

X(t) = x(t) - \frac{y'(t) \Big(x'(t)^2+y'(t)^2\Big)}{x'(t) y''(t) - x''(t) y'(t)}

Y(t) = y(t) + \frac{x'(t) \Big(x'(t)^2+y'(t)^2\Big)}{x'(t) y''(t) - x''(t) y'(t)}.

4. 성질



축폐선은 주어진 곡선의 각 점에서의 법선들이 모여 만들어지는 포락선이다. 즉, 곡선의 모든 법선에 접하는 곡선이라고 할 수 있다.

축폐선은 다음과 같은 주요 성질을 가진다.


  • 첨점: 주어진 곡선의 곡률이 극대 또는 극소가 되는 점, 즉 정점에 대응하는 축폐선 위의 점에서는 첨점이 생긴다. 이는 곡률 반지름의 변화율이 0이 되는 지점에서 축폐선이 매끄럽게 이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포물선, 타원, 사이클로이드, 네프로이드 등의 축폐선 그림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 법선과 접선: 0이 아닌 곡률을 가진 점에서, 원래 곡선의 법선은 그 점에 대응하는 축폐선 위의 점에서 축폐선의 접선이 된다. 곡률이 0인 점(예: 변곡점)에서의 법선은 축폐선의 점근선이 될 수 있다. 이 성질 때문에 축폐선을 '법선의 포락선'이라고 부른다.
  • 호 길이: 첨점을 포함하지 않는 축폐선의 한 부분의 길이는, 그 부분에 대응하는 원래 곡선의 양 끝점에서의 곡률 반지름의 절댓값 차이와 같다. 즉, 축폐선의 호 길이는 원래 곡선의 곡률 반지름의 변화율의 절댓값과 관련이 있다.
  • 인볼루트(신개선): 곡률 반지름의 변화율이 0이 아닌 구간에서, 원래 곡선은 그 구간에 해당하는 축폐선의 인볼루트(신개선)가 된다. 즉, 축폐선에 실을 감았다가 팽팽하게 풀 때 실의 끝점이 그리는 궤적이 원래 곡선이 될 수 있다. 반대로, 신개선의 축폐선은 원래 곡선이 된다.
  • 평행 곡선: 서로 평행 관계에 있는 곡선들은 모두 동일한 축폐선을 가진다. 오른쪽 그림에서 여러 평행 곡선(녹색, 노란색 등)이 동일한 파란색 축폐선을 공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평행 곡선들은 축폐선에 닿는 지점에서 첨점을 가진다.
  • 로그 미학 곡선: 어떤 곡선이 로그 미학 곡선이라면, 그 곡선의 축폐선 역시 로그 미학 곡선이다.[7] 오일러 나선의 축폐선도 특정 체사로 방정식을 만족하는 나선 형태가 된다.[8]
  • 변곡점과 첨점: 원곡선의 변곡점에서는 곡률이 0이 되어 곡률 반지름이 무한대가 되므로, 축폐선은 해당 지점에서 무한대로 뻗어 나가며 점근선을 가질 수 있다. 반대로 원곡선이 첨점을 가지면 그 점에서의 곡률 반지름은 0이 되므로, 축폐선은 그 첨점에서 원곡선과 접하게 된다.

5. 예시

포물선의 매개변수 표현 (t,t^2)에 대해, 축폐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X=-4t^3

Y=\frac{1}{2} + 3t^2

이는 반입방 포물선(y=x^{3/2} 형태의 그래프) 또는 준입방 포물선을 나타낸다. 반입방 포물선의 첨점은 포물선의 꼭짓점에서의 곡률 중심과 일치한다.

타원의 매개변수 표현 (a\cos t, b\sin t)에 대해, 축폐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5]

X= \frac{a^2-b^2}{a}\cos ^3t

Y= \frac{b^2-a^2}{b}\sin ^3t \; .

이는 비대칭 아스트로이드(성망형) 또는 라메 곡선의 방정식이다. 매개변수 t를 소거하면 다음과 같은 음함수 표현을 얻는다.

(aX)^{\tfrac{2}{3}} +(bY)^{\tfrac{2}{3}} = (a^2-b^2)^{\tfrac{2}{3}}\ .

타원의 축폐선 (빨간색)


사이클로이드의 매개변수 표현 (r(t - \sin t), r(1 - \cos t))에 대해, 축폐선의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6]

X=r(t + \sin t)

Y=r(\cos t - 1)

이는 원래 사이클로이드와 합동인, 즉 크기가 같은 사이클로이드를 나타낸다.

사이클로이드(파랑), 그 접촉원(빨강) 및 축폐선(녹색).


큰 신장형(파란색)의 축폐선은 작은 신장형(빨간색)이다.


다른 곡선들의 축폐선은 다음과 같다.

6. 방사 곡선

곡선 위의 각 점에서 그 점의 곡률 중심까지의 벡터를 생각하자. 이 벡터들을 각각 원점으로 평행 이동시켰을 때, 벡터들의 끝점이 그리는 자취를 '''방사 곡선'''(radial curve영어)이라고 한다.

방사 곡선의 방정식은 축폐선의 방정식에서 ''x''와 ''y'' 항을 제거하여 얻을 수 있다. 매개변수 ''t''로 표현된 곡선 (x(t), y(t))의 방사 곡선 (X, Y)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x' = \frac{dx}{dt}, y' = \frac{dy}{dt}, x'' = \frac{d^2x}{dt^2}, y'' = \frac{d^2y}{dt^2}이다.)

(X, Y)= \left(-y'\frac{x'^2+y'^2}{x'y''-x''y'},\ x'\frac{x'^2+y'^2}{x'y''-x''y'}\right)

참조

[1] MathWorld Circle Evolute
[2]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Critical Points, Caustics and Wave Fronts: Singularities of Differentiable Maps, Vol 1 Birkhäuser
[3] 서적 Unrolling Time: Christiaan Huygens and the Mathematization of N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4] 간행물 Osculating curves: around the Tait-Kneser theorem
[5] 서적 Vorlesungen über Differential- und Integralrechnung. Springer-Verlag
[6] MathWorld Cycloid Evolute
[7] 간행물 The Evolutes of Log-Aesthetic Planar Curves and the Drawable Boundaries of the Curve Segments
[8] 웹사이트 Evolute of the Euler spiral https://linebender.o[...] 2024-03-11
[9]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Critical Points, Caustics and Wave Fronts: Singularities of Differentiable Maps, Vol 1 Birkhäuser
[10] 서적 미분적분학 연습 도서출판 고섶
[11] 서적 미분기하학 개론 경문사
[12] 문서 앞의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