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점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근선은 함수 그래프가 무한대로 뻗어갈 때 한없이 가까워지는 직선을 의미하며, 수평, 수직, 사선 점근선으로 분류된다. 수직 점근선은 x가 특정 값에 접근할 때, 함수의 값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에 나타나며, 수평 점근선은 x가 무한대로 갈 때 함수 값이 특정 값에 수렴하는 경우에 존재한다. 사선 점근선은 x가 무한대로 갈 때 함수와 직선 간의 차이가 0으로 수렴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점근선은 함수의 극한을 이용하여 찾을 수 있으며, 유리 함수의 경우 분자와 분모의 차수에 따라 수평 또는 사선 점근선이 결정된다. 점근선은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대수 곡선 및 매개변수로 표현된 곡선의 점근선 정의가 존재한다. 점근선은 곡선의 개형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석기하학 - 회전 (벡터)
    회전(벡터)은 벡터장의 국소적인 회전 정도를 나타내는 벡터량으로, 벡터장을 선적분한 값과 폐곡선이 둘러싸는 면적의 비의 극한으로 정의되며, 물리적 현상 기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해석기하학 - 이심률
    이심률은 원뿔곡선의 형태를 결정하는 값으로, 초점과 준선으로부터의 거리 비율로 정의되며, 값에 따라 원, 타원, 포물선, 쌍곡선으로 구분되고, 타원과 쌍곡선의 경우 중심과 초점 사이의 거리와 반장축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심률이 같은 원뿔곡선은 서로 닮음이다.
  • 해석학 (수학) - 수학적 최적화
    수학적 최적화는 주어진 집합에서 실수 또는 정수 변수를 갖는 함수의 최댓값이나 최솟값을 찾는 문제로, 변수 종류, 제약 조건, 목적 함수 개수에 따라 다양한 분야로 나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활용된다.
  • 해석학 (수학) - 라플라스 변환
    라플라스 변환은 함수 f(t)를 복소수 s를 사용하여 적분을 통해 다른 함수 F(s)로 변환하는 적분 변환이며, 선형성을 가지고 미분방정식 풀이 등 공학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점근선
수학적 정의
정의함수 그래프에서 곡선이 점근적으로 접근하는 직선.
수식lim x→a f(x) = ±∞ 또는 lim x→±∞ f(x) = L
유형
수직 점근선곡선이 특정 x 값에 접근할 때 y 값이 무한대로 발산하는 경우.
수평 점근선x 값이 무한대로 발산할 때 곡선이 특정 y 값에 접근하는 경우.
사선 점근선 (기울어진 점근선)x 값이 무한대로 발산할 때 곡선이 y = mx + b 형태의 직선에 접근하는 경우 (m ≠ 0).
함수 예시
예시y = 1/x (x=0에서 수직 점근선, y=0에서 수평 점근선)
활용
활용 분야그래프 개형 분석
함수의 극한 연구
특이점 분석
최적화 문제
참고 사항
주의사항곡선이 점근선을 교차할 수 있음.
관련 개념
관련 개념극한
미분
그래프
함수

2. 함수의 점근선

미적분학에서 다루는 점근선은 주로 y = f(x) 형태의 함수 그래프에서 나타나며, 극한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점근선은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사선 점근선으로 분류된다.


  • 수평 점근선: ''x''가 +∞ 또는 −∞로 갈 때 함수의 그래프가 접근하는 수평선이다. X축과 평행하다.
  • 수직 점근선: 함수가 경계 없이 증가하는 수직선이다(''x''축에 수직).
  • 사선 점근선: ''x''가 +∞ 또는 −∞로 갈 때 곡선과 선의 차이가 0에 접근하는 대각선이다.


상수 함수, 다항 함수의 그래프에는 점근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점근선이 존재하는 가장 간단한 예는 함수 f(x) = \frac{1}{x}의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x = 0과 직선 y = 0이다.

좌표 평면상의 함수와 그 점근선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좌표 평면상의 함수와 그 점근선
함수명함수식점근선의 방정식
탄젠트 함수y = \tan xx = \frac{\pi}{2} + n\pi (n은 정수)
지수 함수y = a^x (a > 0, a ≠ 1)y = 0
로그 함수y = \log_a x (a > 0, a ≠ 1)x = 0
쌍곡선\frac{x^2}{a^2} -\frac{y^2}{b^2} =\pm 1 (a > 0, b > 0)y = \pm\frac{b}{a}x
쌍곡선 탄젠트 함수y=\tanh x=\frac{e^x -e^{-x}}{e^x +e^{-x}}y = \pm 1
역 탄젠트 함수y = \arctan xy = \pm\frac{\pi}{2}
역쌍곡선 탄젠트 함수y = \tanh^{-1} x = \frac{1}{2} \log \frac{1 + x}{1 - x}x = \pm 1



분수 함수에서는 분모가 0이 되는 지점에서 점근선이 나타날 수 있으며, x가 ±∞로 갈 때 점근선이 존재할 수도 있고,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2. 1. 수직 점근선

미적분학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접하는 점근선은 y = f(x) 형태의 곡선이다. 수직 점근선은 함수가 경계 없이 증가하는 수직선(''x''축에 수직)이다.

직선 ''x'' = ''a''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일 경우 함수 y = f(x) 그래프의 ''세로 점근선''이다.[6]

# \lim_{x \to a^{-}} f(x)=\pm\infty,

# \lim_{x \to a^{+}} f(x)=\pm\infty,

여기서 \lim_{x\to a^-}는 ''x''가 왼쪽에서 (더 작은 값에서) 값 ''a''로 접근할 때의 극한이고, \lim_{x\to a^+}는 ''x''가 오른쪽에서 ''a''로 접근할 때의 극한이다.

예를 들어, f(x) = x/(x-1)인 경우, ''x''가 1로 접근할 때 분자는 1에 접근하고 분모는 0에 접근한다. 따라서

:\lim_{x\to 1^{+}}\frac{x}{x-1}=+\infty

:\lim_{x\to 1^{-}}\frac{x}{x-1}=-\infty

이고 곡선은 세로 점근선 ''x'' = 1을 갖는다.

함수 ''f''(''x'')는 ''a''에서 정의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점 ''x'' = ''a''에서의 정확한 값은 점근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함수

:f(x) = \begin{cases} \frac{1}{x} & \text{if } x > 0, \\ 5 & \text{if } x \le 0. \end{cases}

x \to 0^{+}일 때 +∞의 극한을 가지므로 ''f''(''x'')는 세로 점근선 x = 0을 가지며, f''(0) = 5임에도 불구하고 그렇다. 이 함수의 그래프는 (0, 5)에서 세로 점근선과 한 번 교차한다. 함수의 그래프가 둘 이상의 점에서 세로 점근선 (또는 일반적으로 세로선)과 교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함수가 정의된 각 점에서 연속이면 그래프가 세로 점근선과 교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세로 점근선의 일반적인 예는 분모가 0이고 분자가 0이 아닌 점 x에서의 유리 함수의 경우이다.

유리 함수는 여러 개의 수직 점근선을 가질 수 있다. 분자 차수와 분모 차수는 수직 점근선의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 수직 점근선은 분모가 0일 때만 발생한다(분자와 분모가 모두 0인 경우, 0의 중복도를 비교한다). 예를 들어, 다음 함수는 ''x'' = 0과 ''x'' = 1에서 수직 점근선을 가지지만, ''x'' = 2에서는 갖지 않는다.

:f(x)=\frac{x^2-5x+6}{x^3-3x^2+2x}=\frac{(x-2)(x-3)}{x(x-1)(x-2)}

어떤 함수가 점근선을 갖는다면 (예: f(x) = e^x의 경우 y=0), 이 함수의 평행이동 역시 점근선을 갖는다.

  • 만약 x=af(x)의 수직 점근선이라면, x=a+hf(x-h)의 수직 점근선이다.

2. 2. 수평 점근선

''수평 점근선''은 함수 그래프가 x \rightarrow \pm\infty로 다가갈 때 근접하는 수평선이다. 수평선 ''y'' = ''c''는 함수 ''y'' = ''ƒ''(''x'')의 수평 점근선이며, 다음을 만족한다.

:\lim_{x\rightarrow -\infty}f(x)=c 또는 \lim_{x\rightarrow +\infty}f(x)=c.

첫 번째 경우, ''ƒ''(''x'')는 ''x''가 -\infty로 향할 때 ''y'' = ''c''를 점근선으로 가지며, 두 번째 경우 ''x''가 +\infty로 향할 때 ''ƒ''(''x'')는 ''y'' = ''c''를 점근선으로 가진다.

예를 들어, 아크탄젠트 함수는 다음을 만족한다.

:\lim_{x\rightarrow -\infty}\arctan(x)=-\frac{\pi}{2} and \lim_{x\rightarrow+\infty}\arctan(x)=\frac{\pi}{2}.

따라서 선 y = -\frac{\pi}{2}는 ''x''가 –\infty로 향할 때 아크탄젠트의 수평 점근선이며, y = \frac{\pi}{2}는 ''x''가 +\infty로 향할 때 아크탄젠트의 수평 점근선이다.

함수는 양쪽 또는 양쪽 모두에서 수평 점근선이 없을 수 있으며, 양쪽 방향에서 동일한 하나의 수평 점근선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함수 f(x) = \frac{1}{x^2 + 1}는 ''x''가 -\infty+\infty로 모두 향할 때 ''y'' = 0에서 수평 점근선을 갖는다. 왜냐하면 다음과 같기 때문이다.

:\lim_{x\to -\infty}\frac{1}{x^2+1}=\lim_{x\to +\infty}\frac{1}{x^2+1}=0.

하나 또는 두 개의 수평 점근선을 갖는 다른 일반적인 함수로는 x \mapsto \frac{1}{x} (그래프가 쌍곡선인 함수), 가우스 함수 x\mapsto \exp(-x^2),, 오차 함수, 로지스틱 함수가 있다.

아크탄젠트 함수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점근선을 갖는다.


유리 함수는 최대 하나의 수평 점근선 또는 사선(기울어진) 점근선을 가지며, 여러 개의 수직 점근선을 가질 수 있다.

분자 차수와 분모 차수는 수평 또는 사선 점근선의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 다음 표는 deg(분자)는 분자의 차수, deg(분모)는 분모의 차수를 나타낸다.

유리 함수의 수평 및 사선 점근선의 경우
deg(분자)−deg(분모)일반적인 점근선예시예시의 점근선
< 0y= 0f(x)=\frac{1}{x^2+1}y=0
= 0y = 최고차항 계수의 비f(x)=\frac{2x^2+7}{3x^2+x+12}y=\frac{2}{3}
= 1y = 분자를 분모로 유클리드 나눗셈한 몫f(x)=\frac{2x^2+3x+5}{x}=2x+3+\frac{5}{x}y=2x+3
> 1없음f(x)=\frac{2x^4}{3x^2+1}곡선 점근선은 존재하지만 선형 점근선은 없음


2. 3. 사선 점근선

oblique asymptote|사선 점근선영어은 x축이나 y축에 평행하지 않은 점근선을 말한다. 함수 ''ƒ''(''x'')가 직선 (''m'' ≠ 0)에 점근한다는 것은 다음을 의미한다.

:\lim_{x \to +\infty}\left[ f(x)-(mx+n)\right] = 0 \, \mbox{ or } \lim_{x \to -\infty}\left[ f(x)-(mx+n)\right] = 0.

첫 번째 경우, 직선 은 ''x''가 +∞로 갈 때 ''ƒ''(''x'')의 사선 점근선이다. 두 번째 경우, 직선 은 ''x''가 −∞로 갈 때 ''ƒ''(''x'')의 사선 점근선이다.

예를 들어 함수 ''ƒ''(''x'') = ''x'' + 1/''x''는 사선 점근선 ''y'' = ''x'' (즉, ''m'' = 1, ''n'' = 0)을 갖는다. 이는 다음 극한에서 확인할 수 있다.

:\lim_{x\to\pm\infty}\left[f(x)-x\right] = \lim_{x\to\pm\infty}\left[\left(x+\frac{1}{x}\right)-x\right] = \lim_{x\to\pm\infty}\frac{1}{x}=0.

함수 ''f''(''x'')의 사선 점근선은 방정식 ''y'' = ''mx'' + ''n''으로 표현된다. ''m''의 값은 먼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m\;\stackrel{\text{def}}{=}\,\lim_{x\rightarrow a}f(x)/x

여기서 ''a''는 -\infty 또는 +\infty이다. 두 경우를 각각 따로 계산해야 한다. 이 극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방향으로는 사선 점근선이 없는 것이다.

''m''을 구한 후에는 ''n''의 값을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n\;\stackrel{\text{def}}{=}\,\lim_{x\rightarrow a}(f(x)-mx)

여기서 ''a''는 앞서 사용한 값과 같아야 한다. 이 극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m''을 정의하는 극한이 존재하더라도 해당 방향으로 사선 점근선이 없다. 그렇지 않으면 는 ''x''가 ''a''로 갈 때 ''ƒ''(''x'')의 사선 점근선이다.

예를 들어, 함수 는

:m=\lim_{x\rightarrow+\infty}f(x)/x=\lim_{x\rightarrow+\infty}\frac{2x^2+3x+1}{x^2}=2 이고,

:n=\lim_{x\rightarrow+\infty}(f(x)-mx)=\lim_{x\rightarrow+\infty}\left(\frac{2x^2+3x+1}{x}-2x\right)=3 이므로,

은 ''x''가 +∞로 갈 때 ''ƒ''(''x'')의 점근선이다.

함수 는

:m=\lim_{x\rightarrow+\infty}f(x)/x=\lim_{x\rightarrow+\infty}\frac{\ln x}{x}=0 이고,

:n=\lim_{x\rightarrow+\infty}(f(x)-mx)=\lim_{x\rightarrow+\infty}\ln x이며, 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는 ''x''가 +∞로 갈 때 점근선이 없다.

유리 함수는 최대 하나의 수평 점근선 또는 사선 점근선을 가질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수직 점근선을 가질 수 있다.

분자 차수와 분모 차수는 수평 또는 사선 점근선의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 다음 표는 deg(분자)는 분자의 차수, deg(분모)는 분모의 차수를 나타낸다.

유리 함수의 수평 및 사선 점근선의 경우
deg(분자)−deg(분모)일반적인 점근선예시예시의 점근선
< 0y= 0f(x)=\frac{1}{x^2+1}y=0
= 0y = 최고차항 계수의 비f(x)=\frac{2x^2+7}{3x^2+x+12}y=\frac{2}{3}
= 1y = 분자를 분모로 유클리드 나눗셈한 몫f(x)=\frac{2x^2+3x+5}{x}=2x+3+\frac{5}{x}y=2x+3
> 1없음f(x)=\frac{2x^4}{3x^2+1}곡선 점근선은 존재하지만 선형 점근선은 없음



분자의 유리 함수의 차수가 분모보다 정확히 1 더 클 때, 함수는 기울어진 (사선) 점근선을 갖는다. 점근선은 분자와 분모를 나누기한 후의 다항식 항이다. 예를 들어,

:f(x)=\frac{x^2+x+1}{x+1}=x+\frac{1}{x+1}

와 같은 함수에서 ''x''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f''는 점근선 ''y'' = ''x''에 접근한다. 이는 다른 항 1/(''x''+1)이 0에 접근하기 때문이다.


3. 점근선 판별 방법

Asymptote영어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접하는 점근선은 y = f(x) 형태의 곡선이다. 이는 극한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기울어진'' 점근선으로 분류된다.

직선 ''x'' = ''a''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일 경우 함수 y = f(x)의 그래프의 ''세로 점근선''이다.[6]

# \lim_{x \to a^{-}} f(x)=\pm\infty,

# \lim_{x \to a^{+}} f(x)=\pm\infty,

여기서 \lim_{x\to a^-}는 ''x''가 왼쪽에서 (더 작은 값에서) 값 ''a''로 접근할 때의 극한이고, \lim_{x\to a^+}는 ''x''가 오른쪽에서 ''a''로 접근할 때의 극한이다.

함수 ''ƒ''(''x'')는 ''a''에서 정의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점 ''x'' = ''a''에서의 정확한 값은 점근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함수의 그래프가 둘 이상의 점에서 세로 점근선 (또는 일반적으로 세로선)과 교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함수가 정의된 각 점에서 연속이면 그래프가 세로 점근선과 교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세로 점근선의 일반적인 예는 분모가 0이고 분자가 0이 아닌 점 x에서의 유리 함수의 경우이다.

''수평 점근선''은 함수 그래프가 x \to \pm\infty로 다가갈 때 근접하는 수평선이다. 수평선 ''y'' = ''c''는 함수 ''y'' = ''ƒ''(''x'')의 수평 점근선이며, 다음을 만족한다.

:\lim_{x\rightarrow -\infty}f(x)=c 또는 \lim_{x\rightarrow +\infty}f(x)=c.

첫 번째 경우, ''ƒ''(''x'')는 ''x''가 -\infty로 향할 때 ''y'' = ''c''를 점근선으로 가지며, 두 번째 경우 ''x''가 +\infty로 향할 때 ''ƒ''(''x'')는 ''y'' = ''c''를 점근선으로 가진다.

함수는 양쪽 또는 양쪽 모두에서 수평 점근선이 없을 수 있으며, 양쪽 방향에서 동일한 하나의 수평 점근선을 가질 수도 있다.

선형 점근선이 ''x''축 또는 ''y''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이를 ''기울어진 점근선'' 또는 ''사선 점근선''이라고 부른다. 함수 ''ƒ''(''x'')가 직선 y = mx + n (''m'' ≠ 0)에 점근한다는 것은

:\lim_{x \to +\infty}\left[ f(x)-(mx+n)\right] = 0 \, \mbox{ or } \lim_{x \to -\infty}\left[ f(x)-(mx+n)\right] = 0.

첫 번째 경우, 직선 y = mx + n은 ''x''가 +∞로 향할 때 ''ƒ''(''x'')의 기울어진 점근선이며, 두 번째 경우, 직선 y = mx + n은 ''x''가 −∞로 향할 때 ''ƒ''(''x'')의 기울어진 점근선이다.

대부분의 초등 함수의 점근선은 극한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찾을 수 있다(비록 이러한 방법의 유도 과정은 일반적으로 극한을 사용하지만).

함수 ''f''(''x'')의 기울어진 점근선은 방정식 ''y'' = ''mx'' + ''n''으로 주어집니다. ''m''의 값은 먼저 계산되며 다음과 같이 주어집니다.

:m\;\stackrel{\text{def}}{=}\,\lim_{x\rightarrow a}f(x)/x

여기서 ''a''는 연구 중인 경우에 따라 -\infty 또는 +\infty이다. 두 경우를 개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 극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해당 방향으로 기울어진 점근선이 없다.

''m''을 구한 다음에는 ''n''의 값을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n\;\stackrel{\text{def}}{=}\,\lim_{x\rightarrow a}(f(x)-mx)

여기서 ''a''는 이전에 사용한 것과 동일한 값이어야 한다. 이 극한이 존재하지 않으면 ''m''을 정의하는 극한이 존재하더라도 해당 방향으로 기울어진 점근선이 없다. 그렇지 않으면 y = mx + n는 ''x''가 ''a''로 향할 때 ''ƒ''(''x'')의 기울어진 점근선이다.

분수 함수의 점근선 방정식은 다른 방법을 통해서도 구할 수 있다.

분수 함수의 식을 y = \frac{g(x)}{h(x)} (기약 분수식)으로 한다.

; ''y''축 평행 점근선

:h(a_i) = 0을 만족하는 a_i를 구한다. (i = 1, 2, \dots, n). 기약식이므로 g(a_i) \neq 0이고, x = a_i가 점근선이다.

; 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

: 존재할 필요 충분 조건은 \deg g - \deg h \le 1이다. 이 때, g(x) \div h(x)의 몫 q(x), 나머지 r(x)를 구한다. \deg q \le 1이며, 직선 y = q(x)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이다.

\deg g - \deg h의 값에 따라 점근선의 위치가 분류된다.

분수 함수의 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
\deg g - \deg h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분수 함수, 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의 예
< 0y = 0\frac{1}{x^2+1} ,\, y=0
= 0y = q (q \neq 0)\frac{2x^2+7}{3x^2+x+12} ,\, y=\frac{2}{3}
= 1y = ax + b (a \neq 0)\frac{x^2+x+1}{x} ,\, y=x+1
> 1존재하지 않음\frac{2x^4}{3x^2+1}, 없음


4. 여러 가지 함수의 점근선

미적분학 연구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접하는 점근선은 형태의 곡선이다. 이는 극한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으며, 방향에 따라 ''수평'', ''수직'', ''기울어진'' 점근선으로 분류된다.


  • 수평 점근선: ''x''가 +∞ 또는 −∞로 갈 때 함수의 그래프가 접근하는 수평선이다. ''x''축과 평행하다.
  • 수직 점근선: 함수가 경계 없이 증가하는 수직선(''x''축에 수직)이다.
  • 기울어진 점근선: ''x''가 +∞ 또는 −∞로 갈 때 곡선과 선의 차이가 0에 접근하는 대각선이다.


상수 함수, 다항 함수의 그래프에는 점근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점근선이 존재하는 가장 간단한 예는 함수 의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과 직선 이다.

점근선이 존재하는 함수는 이 외에도 몇 가지가 있다. 대표적인 함수와 그 점근선은 다음과 같다.

좌표 평면상의 함수와 그 점근선
함수명함수식점근선의 방정식
탄젠트 함수
(정수)
지수 함수
로그 함수
쌍곡선\frac{x^2}{a^2} -\frac{y^2}{b^2} =\pm 1
쌍곡선 탄젠트 함수
역 탄젠트 함수
역쌍곡선 탄젠트 함수



그래프와 점근선이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무한히 교차하는 예도 있다. 감쇠 곡선 (나 등)과 축이 그 예이다.

4. 1. 유리 함수

Rational function|유리 함수영어는 분모가 0이 되는 x 값에서 수직 점근선을 가질 수 있으며, 분자와 분모의 차수에 따라 수평, 수직 또는 사선 점근선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f(x) = \tfrac{1}{x}는 x = 0 (y축)과 y = 0 (x축)을 점근선으로 갖는다.

300px

  • f(x) = \frac{1}{x}의 그래프에서 곡선 위의 점의 좌표는 x가 0이 아닐 때 \left(x, \frac{1}{x}\right) 형태이다.
  • x의 값이 커질수록 해당 y 값은 0에 가까워지지만, \frac{1}{x}는 0이 되지 않으므로 곡선은 ''x''축에 닿지 않는다.
  • x의 값이 작아질수록 해당 y 값은 점점 더 커지므로, 곡선은 ''y''축에 가까워진다.
  • 따라서 ''x''축과 ''y''축 모두 곡선의 점근선이다.


함수 그래프에서 직선 ''x'' = ''a''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이 참일 때 ''세로 점근선''이다.

# \lim_{x \to a^{-}} f(x)=\pm\infty,

# \lim_{x \to a^{+}} f(x)=\pm\infty,

(\lim_{x\to a^-}는 ''x''가 왼쪽에서 ''a''로 접근할 때의 극한, \lim_{x\to a^+}는 ''x''가 오른쪽에서 ''a''로 접근할 때의 극한이다.)

예를 들어, ƒ(''x'') = ''x''/(''x''–1)는 ''x''가 1로 접근할 때 분자는 1, 분모는 0에 접근한다.

:\lim_{x\to 1^{+}}\frac{x}{x-1}=+\infty

:\lim_{x\to 1^{-}}\frac{x}{x-1}=-\infty

따라서 곡선은 세로 점근선 ''x'' = 1을 갖는다.

분수 함수에서 분모가 0이고 분자가 0이 아닌 점 x는 세로 점근선의 일반적인 예이다.

''수평 점근선''은 함수 그래프가 x \to \pm\infty로 접근할 때 가까워지는 수평선이다. 수평선 ''y'' = ''c''는 다음을 만족할 때 함수 ''y'' = ''ƒ''(''x'')의 수평 점근선이다.

:\lim_{x\rightarrow -\infty}f(x)=c 또는 \lim_{x\rightarrow +\infty}f(x)=c.

예를 들어, 아크탄젠트 함수는 다음을 만족한다.

:\lim_{x\rightarrow -\infty}\arctan(x)=-\frac{\pi}{2} and \lim_{x\rightarrow+\infty}\arctan(x)=\frac{\pi}{2}.

따라서 y = -\frac{\pi}{2}y = \frac{\pi}{2}는 아크탄젠트의 수평 점근선이다.

함수 f(x) = \frac{1}{x^2 + 1}는 ''x''가 \pm\infty로 향할 때 ''y'' = 0에서 수평 점근선을 갖는다.

:\lim_{x\to -\infty}\frac{1}{x^2+1}=\lim_{x\to +\infty}\frac{1}{x^2+1}=0.

220px


선형 점근선이 ''x''축 또는 ''y''축과 평행하지 않을 때, ''기울어진 점근선'' 또는 ''사선 점근선''이라고 한다. 함수 ''ƒ''(''x'')가 직선 y = mx + n (''m'' ≠ 0)에 점근한다는 것은 다음을 의미한다.

:\lim_{x \to +\infty}\left[ f(x)-(mx+n)\right] = 0 \, \mbox{ or } \lim_{x \to -\infty}\left[ f(x)-(mx+n)\right] = 0.

예를 들어 ƒ(x) = x + \frac{1}{x}는 기울어진 점근선 ''y'' = ''x''를 갖는다.

:\lim_{x\to\pm\infty}\left[f(x)-x\right] = \lim_{x\to\pm\infty}\left[\left(x+\frac{1}{x}\right)-x\right] = \lim_{x\to\pm\infty}\frac{1}{x}=0.

유리 함수는 최대 하나의 수평 점근선 또는 사선 점근선을 가지며, 여러 개의 수직 점근선을 가질 수 있다.

분자 차수와 분모 차수는 수평 또는 사선 점근선의 존재 여부를 결정한다.

유리 함수의 수평 및 사선 점근선
deg(분자)−deg(분모)일반적인 점근선예시예시의 점근선
< 0y= 0f(x)=\frac{1}{x^2+1}y=0
= 0y = 최고차항 계수의 비f(x)=\frac{2x^2+7}{3x^2+x+12}y=\frac{2}{3}
= 1y = 분자를 분모로 나눗셈한 몫f(x)=\frac{2x^2+3x+5}{x}=2x+3+\frac{5}{x}y=2x+3
> 1없음f(x)=\frac{2x^4}{3x^2+1}곡선 점근선은 존재하지만 선형 점근선은 없음



수직 점근선은 분모가 0일 때만 발생한다. 예를 들어, f(x)=\frac{x^2-5x+6}{x^3-3x^2+2x}=\frac{(x-2)(x-3)}{x(x-1)(x-2)}는 ''x'' = 0과 ''x'' = 1에서 수직 점근선을 갖지만, ''x'' = 2에서는 갖지 않는다.

분수 함수에서 분자의 차수가 분모보다 정확히 1 더 클 때, 함수는 기울어진 (사선) 점근선을 갖는다. 점근선은 분자와 분모를 나누기한 후의 다항식 항이다. 예를 들어, f(x)=\frac{x^2+x+1}{x+1}=x+\frac{1}{x+1}에서 ''x''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f''는 점근선 ''y'' = ''x''에 접근한다.

분수 함수의 점근선 방정식은 다음 방법으로 구할 수 있다.

분수 함수의 식을 y = \frac{g(x)}{h(x)} (기약 분수식)으로 한다.

; y축 평행 점근선

h(a_i) = 0을 만족하는 a_i를 구한다. (i = 1, 2, \dots, n). 기약식이므로 g(a_i) \neq 0이고, x = a_i가 점근선이다.

; 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

존재할 필요충분조건은 deg g - deg h \le 1이다. 이 때, g(x) \div h(x)의 몫 q(x), 나머지 r(x)를 구한다. deg q \le 1이며, 직선 y = q(x)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이다.

(예)

:y=\frac{x^3 +2x^2-2x+2}{x^2 -x} =x+3+\frac{x+2}{x(x-1)}

점근선은, y축 평행 점근선은 x = 0, x = 1이고, 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은 y = x + 3이다.

deg g - deg h의 값에 따라 점근선의 위치가 분류된다.

분수 함수의 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
deg g - deg h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분수 함수, x \to \pm\infty에서 점근하는 직선의 예
< 0y = 0\frac{1}{x^2+1} ,\, y=0
= 0y = q (q \neq 0)\frac{2x^2+7}{3x^2+x+12} ,\, y=\frac{2}{3}
= 1y = ax + b (a \neq 0)\frac{x^2+x+1}{x} ,\, y=x+1
> 1존재하지 않음\frac{2x^4}{3x^2+1}, 없음


4. 2. 무리 함수

무리 함수에서 점근선이 존재하는 것은

:y= \textstyle\sum\limits_{i=1}^n k_i \sqrt[p_i]{(x- u_i)^{p_i} \pm {a_i}^{p_i}} +(bx+c) (a|에이영어 > 0)

의 형태에 한정된다(점근선은 y= \textstyle\sum\limits_{i=1}^n k_i (x- u_i ) +bx+c).

4. 3. 삼각 함수

tangent function|탄젠트 함수영어는 (여기서 n은 정수)에서 수직 점근선을 갖는다.

좌표 평면상의 함수와 그 점근선
함수명함수식점근선의 방정식
탄젠트 함수(n은 정수)
지수 함수
로그 함수
쌍곡선\frac{x^2}{a^2} -\frac{y^2}{b^2} =\pm 1 (a > 0, b > 0)
쌍곡선 탄젠트 함수y=\tanh x=\frac{e^x -e^{-x}}{e^x +e^{-x}}
역 탄젠트 함수
역쌍곡선 탄젠트 함수


4. 4. 지수 함수와 로그 함수

Exponential function|지수 함수영어는 x축 (y = 0)을 수평 점근선으로 갖는다. Logarithmic function|로그 함수영어는 y축 (x = 0)을 수직 점근선으로 갖는다.

좌표 평면상의 함수와 그 점근선
함수명함수식점근선의 방정식
지수 함수
로그 함수


4. 5. 쌍곡선 함수

좌표 평면상의 함수와 그 점근선
함수명함수식점근선의 방정식
쌍곡선 탄젠트 함수y=\tanh x=\frac{e^x -e^{-x}}{e^x +e^{-x}}
역쌍곡선 탄젠트 함수


5. 매개변수로 표현된 곡선의 점근선

parameterized curve영어로 표현된 평면 곡선를 생각해 보자. 이 곡선은 좌표로 주어진다. 여기서 는 일 수도 있고 는 일 수도 있다. 곡선 가 무한원점으로 향한다고 가정하면, 즉,

:\lim_{t\rightarrow b}(x^2(t)+y^2(t))=\infty.

이다.

이때, 직선 이 ''A''의 점근선이 되려면, 점 에서 까지의 거리가 로 갈 때 0으로 접근해야 한다.[7] 이 정의에 따르면, 무한 가지를 가지는 열린 곡선만이 점근선을 가질 수 있으며, 닫힌 곡선은 점근선을 가질 수 없다.

예를 들어, 곡선 의 오른쪽 위 가지는 (여기서 ''t'' > 0)로 매개변수화될 수 있다. 일 때 이고, 곡선에서 ''x''축까지의 거리는 인데, 이는 로 갈 때 0으로 접근한다. 그러므로 ''x''축은 곡선의 점근선이다. 또한, 으로 오른쪽에서 갈 때 이고, 곡선과 ''y''축 사이의 거리는 ''t''인데, 이는 으로 갈 때 0으로 접근한다. 따라서 ''y''축도 점근선이다. 유사한 논증을 통해 곡선의 왼쪽 아래 가지도 동일한 두 선을 점근선으로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점근선의 개념은 곡선의 매개변수화에 의존하지 않는다. 실제로, 선의 방정식이 이라면, 점 에서 선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frac

{\sqrt{a^2+b^2}}

만약 가 매개변수화의 변화라면, 거리는 다음과 같아진다.

:\frac

{\sqrt{a^2+b^2}}

이것은 이전 표현식과 동시에 0으로 접근한다.

함수의 그래프인 곡선의 경우, 실수 함수(하나의 실수 변수를 가지며 실수 값을 반환하는 함수)의 그래프를 의미한다. 함수 의 그래프는 좌표 를 갖는 평면의 점들의 집합이다. 이 경우, 매개변수화는 다음과 같다.

:t\mapsto (t,f(t)).

이 매개변수화는 열린 구간에서 고려되며, 여기서 는 −∞가 될 수 있고 는 +∞가 될 수 있다.

점근선은 수직이거나 비수직(기울어진 또는 수평)일 수 있다. 수직 점근선의 방정식은 이며, 여기서 는 어떤 실수이다. 비수직 점근선의 방정식은 이며, 여기서 과 은 실수이다. 세 가지 유형의 점근선 모두 특정 예시에서 동시에 나타날 수 있다. 함수의 그래프인 곡선의 점근선과 달리, 일반적인 곡선은 두 개 이상의 비수직 점근선을 가질 수 있으며, 수직 점근선과 두 번 이상 교차할 수 있다.

직선 이 곡선 의 점근선이라는 것은, 일 때 점 와 직선 의 거리가 으로 수렴하는 것으로 정의된다.[22][23]

일반적으로 점 와 직선 의 거리는

:\frac

{\sqrt{a^2 +b^2}}

로 주어지므로, 직선 이 곡선 의 점근선이라는 것은,

:(**)\quad \lim_{t\to \beta -} (ax(t)+by(t)+c)=0

가 성립하는 것과 같다. 곡선의 매개변수 표시는 유일하지 않지만, 점근선의 정의는 그 선택에 의존하지 않는다.

실수 일변수의 실수값 함수의 그래프는, 매개변수 표시된 평면 곡선의 특별한 경우로 간주할 수 있다. 함수 의 그래프는 점 의 집합이며, 를 매개변수 로 하면, 매개변수화

:(\alpha ,\beta )\rightarrow \mathbb{R}^2 ,\; t\mapsto (t,f(t))

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곡선 의 오른쪽 위 가지는 매개변수 에 의해 로 표시할 수 있다. 일 때 이며, 곡선 위의 점과 축의 거리 는 일 때 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축은 곡선의 점근선이다. 또한, 일 때, 이며, 이때 곡선 위의 점과 축의 거리 는 으로 수렴한다. 따라서 축도 점근선이다.

함수의 그래프에서는, 수직이 아닌 점근선은 에 각각 최대 1개로 제한되지만, 매개변수 표시로부터 결정되는 일반적인 곡선은, 수직이 아닌 점근선을 3개 이상 가질 수도 있고, 하나의 수직 점근선과 2번 이상 교차하는 경우도 있다.

6. 곡선 점근선

점근선(Asymptote영어)은 직선뿐만 아니라 곡선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y = \frac{x^3+2x^2+3x+4}{x}포물선 y = x^2 + 2x + 3을 점근선으로 갖는다.[9] 이 경우, 직선이 아닌 포물선이 점근선이 되므로 '포물선 점근선'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 A : (a,b) \rarr \mathbb{R}^2를 매개변수 평면 곡선이라고 하고, 좌표를 A(t) = (x(t), y(t))라고 하자. ''B''를 다른 (매개변수화되지 않은) 곡선이라고 할 때, 곡선 ''A''가 무한대로 간다고 가정한다. 점 ''A''(''t'')에서 ''B''상의 점까지의 최단 거리가 t \rightarrow b로 갈 때 0으로 수렴하면 곡선 ''B''는 ''A''의 곡선 점근선이다. 선형 점근선과의 혼동 위험이 없을 때는 때때로 ''B''를 단순히 ''A''의 점근선이라고 한다.[8]

상수 함수, 다항 함수의 그래프에는 점근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음은 곡선 점근선을 갖는 함수의 예시이다.

좌표 평면상의 함수와 그 점근선
함수명함수식점근선의 방정식
탄젠트 함수y = \tan xx = \frac{\pi}{2} + n\pi (n은 정수)
지수 함수y = a^x (a > 0, a ≠ 1)y = 0
로그 함수y = \log_a x (a > 0, a ≠ 1)x = 0
쌍곡선\frac{x^2}{a^2} - \frac{y^2}{b^2} = \pm 1 (a > 0, b > 0)y = \pm \frac{b}{a}x
쌍곡선 탄젠트 함수y = \tanh x = \frac{e^x - e^{-x}}{e^x + e^{-x}}y = \pm 1
역 탄젠트 함수y = \arctan xy = \pm \frac{\pi}{2}
역쌍곡선 탄젠트 함수y = \tanh^{-1} x = \frac{1}{2} \log \frac{1 + x}{1 - x}x = \pm 1



분수 함수에서는 분모가 0이 되는 지점에서 점근선이 되며, x \rightarrow \pm \infty에서 점근선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지만, 각각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y=\frac{x^4 +x^2 +1}{x^2 +1}

와 같은 함수는 x \rightarrow \pm \infty에서 점근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무리 함수에서 점근선이 존재하는 것은

::y= \textstyle\sum\limits_{i=1}^n k_i \sqrt[p_i]{(x- u_i)^{p_i} \pm {a_i}^{p_i}} +(bx+c) (a_i > 0)

의 형태에 한정된다(점근선은 y= \textstyle\sum\limits_{i=1}^n k_i (x- u_i ) +bx+c).

그래프와 점근선이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무한히 교차하는 예도 있다. 감쇠 곡선(y = \frac{\sin x}{x}y = e^{-x}\sin x 등)과 x축이 그 예이다.

7. 대수 곡선의 점근선

3차 곡선인 데카르트의 잎 (실선)과 단일한 실수 점근선 (점선)


아핀 공간에서의 대수 곡선의 점근선은 무한 원점을 통과하는 사영 곡선에 접하는 직선이다.[13] 예를 들어, 이러한 방식으로 단위 쌍곡선의 점근선을 식별할 수 있다. 점근선은 종종 실수 곡선에 대해서만 고려되지만,[14] 임의의 위의 곡선에 대해서도 이러한 방식으로 정의될 때 의미가 있다.[15]

차수 ''n''의 평면 곡선은 베주의 정리에 따라 무한대에서의 교차점이 최소 2의 중복도를 가지므로, 점근선과 최대 ''n''−2개의 다른 점에서 교차한다. 원뿔 곡선의 경우, 원뿔 곡선과 복소수 점에서 교차하지 않는 한 쌍의 직선이 있는데, 이것이 원뿔 곡선의 두 점근선이다.

평면 대수 곡선은 ''P''가 차수 ''n''의 다항식인 ''P''(''x'',''y'') = 0 형태의 방정식으로 정의된다.

:P(x,y) = P_n(x,y) + P_{n-1}(x,y) + \cdots + P_1(x,y) + P_0

여기서 ''P''''k''는 차수가 ''k''인 동차 다항식이다. 최고차 항 ''P''''n''의 선형 인수가 사라지면 곡선의 점근선이 정의된다. P_n(x, y) = (ax - by) Q_{n-1}(x, y)이면, 직선

:Q'_x(b,a)x+Q'_y(b,a)y + P_{n-1}(b,a)=0

Q'_x(b,a)Q'_y(b,a) 가 둘 다 0이 아니면 점근선이다. 만약 Q'_x(b,a)=Q'_y(b,a)=0 이고 P_{n-1}(b,a)\neq 0이면, 점근선은 없지만 곡선은 포물선의 한 갈래와 같은 모양의 가지를 갖는다. 이러한 가지를 '''포물선 가지'''라고 부르며, 곡선 점근선인 포물선이 없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Q'_x(b,a)=Q'_y(b,a)=P_{n-1}(b,a)=0,이면, 곡선은 무한대에서 특이점을 가지며 여러 점근선 또는 포물선 가지를 가질 수 있다.

복소수에서는, ''P''''n''이 선형 인수로 분해되며, 각 선형 인수는 점근선을 정의한다 (또는 중복 인수의 경우 여러 개). 실수에서는, ''P''''n''이 선형 또는 이차 인수로 분해된다. 오직 선형 인수만이 곡선의 무한 (실수) 가지에 해당하지만, 선형 인수의 중복도가 1보다 크면 곡선은 여러 점근선 또는 포물선 가지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중 선형 인수가 두 개의 복소 켤레 가지에 해당하고, 실수 곡선의 무한 가지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곡선 ''x''4 + ''y''2 - 1 = 0은 |x|\leq 1, |y|\leq 1인 정사각형 밖에는 실수점을 갖지 않지만, 최고차 항은 중복도 4를 갖는 선형 인수 ''x''를 제공하며, 이는 유일한 점근선 ''x''=0을 이끈다.

8. 점근 원뿔

쌍곡선

:\frac{x^2}{a^2}-\frac{y^2}{b^2}= 1

은 두 개의 점근선을 갖는다.

:y=\pm\frac{b}{a}x.

이 두 직선의 합집합에 대한 방정식은

:\frac{x^2}{a^2}-\frac{y^2}{b^2}=0.

이다. 마찬가지로, 쌍곡면

:\frac{x^2}{a^2}-\frac{y^2}{b^2}-\frac{z^2}{c^2}=1

은 '''점근 원뿔'''[16][17]을 갖는다고 한다.

:\frac{x^2}{a^2}-\frac{y^2}{b^2}-\frac{z^2}{c^2}=0.

쌍곡면과 원뿔 사이의 거리는 원점에서 거리가 무한대로 갈수록 0에 접근한다.

더 일반적으로, 암시적 방정식이 있는 표면을 고려해 보자.

:P_d(x,y,z)+P_{d-2}(x,y,z) + \cdots P_0=0,

여기서 P_i는 차수 i 의 동차 다항식이고 P_{d-1}=0이다. 그러면 방정식 P_d(x,y,z)=0은 원점을 중심으로 하는 원뿔을 정의한다. 이는 표면 위의 점이 무한대로 갈 때 원뿔까지의 거리가 0에 접근하기 때문에 '''점근 원뿔'''이라고 한다.

9. 점근선과 곡선 개형



곡선 곡선 개형을 그리는 과정에서 점근선은 무한대로 향하는 곡선의 행동을 보여주는 지침선 역할을 한다.[10]

상수 함수, 다항 함수의 그래프에는 점근선이 존재하지 않는다. 점근선이 존재하는 가장 간단한 예는 함수 f(x) = \frac{1}{x}의 그래프이다. 이 그래프의 점근선은 직선 x = 0과 직선 y = 0이다.

다음은 좌표 평면상의 함수와 그 점근선의 예시이다.

좌표 평면상의 함수와 그 점근선
함수명함수식점근선의 방정식
탄젠트 함수y = \tan xx = \frac{\pi}{2} + n\pi (n은 정수)
지수 함수y = a^x (a > 0, a ≠ 1)y = 0
로그 함수y = \log_a x (a > 0, a ≠ 1)x = 0
쌍곡선\frac{x^2}{a^2} - \frac{y^2}{b^2} = \pm 1 (a > 0, b > 0)y = \pm \frac{b}{a}x
쌍곡선 탄젠트 함수y = \tanh x = \frac{e^x - e^{-x}}{e^x + e^{-x}}y = \pm 1
역 탄젠트 함수y = \arctan xy = \pm \frac{\pi}{2}
역쌍곡선 탄젠트 함수y = \tanh^{-1} x = \frac{1}{2} \log \frac{1 + x}{1 - x}x = \pm 1



분수 함수에서는 분모가 0이 되는 지점에서 점근선이 되며, x \rightarrow \pm \infty에서 점근선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지만, 각각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래프와 점근선이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무한히 교차하는 예도 있다. 감쇠 곡선(y = \frac{\sin x}{x}y = e^{-x}\sin x 등)과 x축이 그 예이다.

참조

[1] 서적 An elementary treatise on the differential calculus
[2] 간행물 Asymptotes, Cubic Curves, and the Projective Plane
[3]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4] 서적 History of Mathematics, vol 2 Dover
[5] 서적 Calculus, Vol. 1: One-Variable Calculus with an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6] 웹사이트 Asymptote https://books.google[...] The Penny Cyclopædia
[7] 서적 Differential geometry P. Noordhoff N. V.
[8] 서적 The elementary differential geometry of plane curv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기타 The British enciclopaedia, or dictionary of arts and sciences; comprising an accurate and popular view of the present improved state of human knowledge
[10] 서적 An elementary treatise on curve tracing https://archive.org/[...]
[11] 서적 The elementary differential geometry of plane curve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 서적 An elementary treatise on curve tracing
[13] 서적 Elementary Geometry of Algebraic Cur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서적 A treatise on algebraic plane curves Dover Publications
[15] 서적 Introduction to plane algebraic curves Birkhäuser Boston
[16] 웹사이트 Analytic geometry https://books.google[...]
[17] 웹사이트 Solid geometry https://books.google[...]
[18] 웹사이트 Asymptotes https://web.archive.[...]
[19] PDF 数研通信80号(2014年9月) https://www.chart.co[...]
[20] 서적 An elementary treatise on the differential calculus https://books.google[...]
[21] 간행물 Asymptotes, Cubic Curves, and the Projective Plane
[22] 서적 岩波 数学入門辞典 岩波書店 2005-09-29
[23] 서적 Differential geometry P. Noordhoff N. V.
[24] 서적 An elementary treatise on the differential calculus
[25] 간행물 Asymptotes, Cubic Curves, and the Projective Plane
[26] 사전 Oxford English Dictionary
[27] 서적 History of Mathematics, vol 2 Dover
[28] 서적 Calculus, Vol. 1: One-Variable Calculus with an Introduction to Linear Algebra https://archive.org/[...] John Wiley & S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