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는 카렐리야 공화국의 공식적인 국가이다. 이 국가는 러시아어, 핀란드어, 카렐리아어로 가사가 있으며, 각 언어는 카렐리야의 자연, 역사, 문화적 가치를 노래한다. 러시아어 버전은 공식 가사로 지정되었으며, 핀란드어 가사는 핀란드와의 역사적, 문화적 연관성을 보여준다. 카렐리아어 가사는 카렐리야인들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렐리야 공화국 - 스비리강
    오네가 호에서 발원하여 라도가 호로 흘러드는 러시아의 스비리 강은 과거 수상 교역로의 일부였으나, 현재는 수력발전소 건설과 특정 구간의 좁은 강폭으로 인해 선박 통항에 어려움이 있으며, 람사르 협약 등록지인 삼각주와 역사적 장소를 포함하고 있는 격동의 역사를 지닌 강이다.
  • 카렐리야 공화국 -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카렐리야-핀란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이 핀란드 영토를 기반으로 카렐리야 지역에 수립한 공화국이며, 핀란드 공산주의자들이 설립 기반을 마련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핀란드에 점령당했다가 재점령되어 러시아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 러시아의 음악 - 슬라브 행진곡
    슬라브 행진곡은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세르비아-오스만 전쟁 당시 러시아의 세르비아 지지를 배경으로 세르비아 민요와 러시아 제국 국가 등을 인용하여 세르비아인의 억압, 러시아인의 결집, 전투를 묘사하는 약 10~11분 길이의 곡이다.
  • 러시아의 음악 - 러시아 음악
    러시아 음악은 비잔틴 문화의 영향에서 시작하여 서유럽 고전 음악의 유입, 민족주의 음악의 개화,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제약을 거쳐 현대에는 다양한 장르와 민속 음악으로 발전해 온 음악의 역사를 포괄한다.
  • 국가 - 국가 (노래)
    국가는 국민 통합을 위해 한 나라를 상징하는 공식적인 노래로, 근대 초기 유럽 왕가 국가에서 기원하여 국민 국가 발흥과 함께 채택이 일반화되었고, 국제 스포츠 행사와 탈식민화 시대에 중요성이 더욱 커졌으며, 법적 지위와 가사는 국가마다 상이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되며, 정치적 변화에 따라 변경되기도 한다.
  • 국가 - 남오세티야의 국가
    남오세티야의 국가인 《남오세티야 공화국의 국가》는 조국 오세티야에 대한 사랑과 헌신, 평화와 번영에 대한 염원을 담은 오세티야어 노래로, 신과 조상, 땅에 대한 찬양과 미래를 향한 오세티야 국민의 의지를 표현한다.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
일반 정보
카렐리야 공화국의 문장
카렐리야 공화국의 문장
명칭러시아어:
핀란드어:
한국어: 카렐리야 공화국 국가
영어 명칭State Anthem of the Republic of Karelia
국가 정보
국가카렐리야 공화국
채택일1993년 4월 6일
작사 정보
러시아어 작사아르마스 마신, 이반 코스틴
핀란드어 작사아르마스 미신
카렐리야어 작사알렉산더 볼코프
작곡가알렉산드르 벨로보로도프
음원 정보

2. 가사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는 러시아어, 핀란드어, 카렐리아어 등 여러 언어로 불린다. 러시아어 가사가 공식 국가 가사로 지정되어 있다.[5] 하지만 핀란드와의 역사적, 문화적 관계를 고려하여 핀란드어 가사 또한 공식적으로 함께 사용된다.[6] 이 외에도 카렐리아어 버전의 가사가 존재한다.[7]

2. 1. 러시아어 가사 (공식)

러시아어 원문[5]한국어 번역


2. 2. 핀란드어 가사

핀란드어 가사는 러시아어 가사와 함께 카렐리야 공화국의 공식 국가 가사로 채택되어 있다.[6] 이는 핀란드와의 역사적, 문화적 연관성을 보여준다.

'''핀란드어 원문'''



'''I'''

Kotimaamme Karjala!

Ikivanha kaunis maa.

Veljeskansat yhteen saa

Karjala!

Nuo järvet ja vaarat ja hongikot-

ne huomisen kutsua kuunnelkoot!

Seisoin vaaran harjalla paljain päin

ja suljin syliini mitä näin.

'''II'''

Kotimaamme Karjala!

Ikivanha laulumaa.

Työllään etsii kunniaa

Karjala!

Ne urhot ja sankarit laulujen-

ne asuvat täällä entiselleen.

Soita, soma kantele, jatku, työ!

Soi, laulu, sydämen liekki, lyö.

'''III'''

Kotimaamme Karjala!

Rahvas rehti, ahkera

töin ja lauluin ikuistaa

Karjalaa!

Töin ja lauluin ylistää

Karjalaa!



'''한국어 번역'''



'''I'''

우리의 고향, 카렐리야!

옛날부터 아름다운 나라.

형제와 같은 백성이 모이는

카렐리야!

호수와 언덕과 소나무 숲의

내일로 이끄는 소리를 들으리!

나는 언덕 위에 서서

그 풍경을 팔 안에 안으리라.

'''II'''

우리의 고향, 카렐리야!

옛 노래의 나라.

노동으로 영광을 가져오리라

카렐리야!

노래의 용사와 영웅은

옛날과 변함없이 지금도 여기에 살아있다.

울려 퍼져라, 화려한 칸텔레여, 끊임없이!

울려 퍼져라, 노랫소리, 불타는 마음이여, 고동쳐라!

'''III'''

우리의 고향, 카렐리야!

인민은 정직하고, 근면하며

노동과 노래로 불멸하리라

카렐리야!

노동과 노래로 찬양하리라

카렐리야!


2. 3. 카렐리야어 가사

러시아어 가사가 공식 국가이며[5], 아래는 카렐리야어 버전의 가사이다.[7]

:'''I'''

:고향 – 카르자루여!

:영원한 우리의 아름다운 땅.

:부족들을 하나로 묶네,

:카르자루여!

:

:호수와 숲, 늪을 들어라

:마음속에 고향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저 언덕 위에서 더 잘 볼 수 있네 –

:우리 땅이 모든 것을 더 잘 만들고 있네.

:'''II'''

:고향 – 카르자루여!

:운명의 한 조각처럼 살아.

:우리 옆구리에는 하나뿐 –

:카르자루여!

:

:노래의 용감한 소년들은

:숲과 호수에서 여전히 살고 있네.

:노래가 날고, 칸텔레가 더 크게 울리네,

:카렐리야의 모든 땅을 기뻐하네.

:'''III'''

:고향 – 카르자루여!

:룬과 노래는 살아있다.

:저기 아침 해가 보이고,

:카르자루여!

:

:해의 떠오름을 저기서 보네,

:카르자루여!

2. 4. 한국어 번역

러시아어 가사 (공식)[5]핀란드어 버전[6]카렐리아어 버전[7]


3. 역사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는 1950년대에 작곡되었다. 소련 시절에는 러시아어 가사만이 공식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는 당시 소련의 언어 정책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소련 붕괴 이후 카렐리야의 고유한 정체성을 반영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면서 국가 가사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 결과, 1993년에 핀란드어 가사가 공식적으로 추가되었다. 이로써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는 러시아어핀란드어 두 가지 언어의 가사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카렐리야 지역의 역사적, 문화적 배경을 보여준다.

국가 가사에는 카렐리야의 자연 환경인 호수타이가, 그리고 이나 빌리나와 같은 전통 서사시, 민족 악기인 칸텔레 등이 언급되어 지역의 특성과 주민들의 자긍심을 표현하고 있다.

4. 상징

카렐리야 공화국국가는 지역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상징적 요소들을 담고 있다. 가사에는 카렐리야의 아름다운 자연 환경, 여러 민족이 함께 살아온 역사와 고유한 문화, 그리고 희망찬 미래에 대한 염원이 표현되어 있다.

주요 상징으로는 울창한 타이가호수로 대표되는 자연 경관, 다양한 민족의 조화를 의미하는 '형제 부족', 전통 악기 칸텔레와 구전 문학인 및 서사시로 상징되는 문화유산, 그리고 '빛나는 새벽'으로 묘사되는 미래에 대한 기대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카렐리야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아우르며 지역의 특징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4. 1. 자연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 가사에는 카렐리야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상징하는 요소들이 다수 등장한다. 대표적으로 호수, , 타이가, 언덕, 등이 언급된다.[5]

러시아어 공식 가사에서는 Звените, озёра, и пой, тайга!|즈베니쩨, 아죠라, 이 뽀이, 따이가!ru (울려라, 호수여, 노래하라, 타이가여!)[5], Высоко на сопках твоих стою|비소코 나 솝카흐 뜨보이흐 스또유ru (나는 그대의 언덕 위에 서 있다네)[5], Герои былин средь лесов и гор|게로이 빌린 스례치 레소프 이 고르ru (서사시(빌리나)의 영웅들이 속에)[5] 와 같이 노래하여 카렐리야의 자연을 묘사한다.

핀란드어 버전 가사에서도 Nuo järvet ja vaarat ja hongikot-|누오 얘르베트 야 바-라트 야 홍기코트-fi (저 호수언덕소나무 은)[6], Seisoin vaaran harjalla paljain päin|세이소인 바-란 하르얄라 팔랴인 패인fi (언덕 꼭대기에 맨발로 서서)[6] 등의 구절을 통해 유사한 자연 환경을 그리고 있다.

이처럼 가사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호수, 타이가, 숲, 언덕, 산 등은 카렐리야를 대표하는 자연환경이며, 국가(國歌)는 이를 통해 그 아름다움과 장엄함을 표현하고 있다.

4. 2. 역사와 문화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는 그 가사를 통해 지역의 유구한 역사와 다채로운 문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노랫말 곳곳에 담긴 여러 문화적 요소는 카렐리야의 정체성을 드러낸다.

가사에 등장하는 "형제 부족들의 하나의 가족"[5](Братских племён одна семьяru) 또는 "형제 민족들을 하나로 묶네"[6](Veljeskansat yhteen saafi)라는 표현은 카렐리야 공화국 내에 거주하는 카렐리야인, 러시아인, 핀란드인 등 다양한 민족들의 화합과 공존을 의미한다. 이는 여러 민족이 함께 살아온 카렐리야의 역사적 특성을 반영한다.

또한, "칸텔레여, 더 크게 노래하라"[5](Кантеле, звонче пойru)라는 구절은 카렐리야의 대표적인 전통 현악기인 칸텔레를 언급하며 민족의 음악과 정서를 나타낸다. 칸텔레는 카렐리야 문화에서 중요한 악기이다.

"과 서사시의 생생한 노래"[5](Рун и былин напев живойru)나 "서사시의 영웅들이 [...] 오늘날까지 우리 땅에 살고 있네"[5](Герои былин [...] Живут на земле нашей до сих порru)와 같은 가사는 카렐리야 지역의 풍부한 구전 문학 전통과 신화적 세계관을 보여준다. 룬은 고대 문자이자 시가를, 빌리나는 영웅담을 담은 러시아 전통 서사시를 의미한다. 이러한 표현은 카렐리야의 오랜 역사와 이야기가 현대까지 이어짐을 강조한다.

이처럼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는 지역의 자연 환경(타이가, 호수)뿐만 아니라 다민족 공동체의 조화, 전통 음악, 구전 문학 등 핵심적인 역사·문화적 요소를 함축적으로 담아낸다.

4. 3. 미래

카렐리야 공화국 국가의 가사는 카렐리야의 밝은 미래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다. 특히 국가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희망찬 미래를 상징하는 '빛나는 새벽'이 강조된다. 러시아어 가사 3절은 다음과 같다.[5]

> Край родной — Карелия!|크라이 로드노이 — 카렐리야!ru

> Рун и былин напев живой.|룬 이 빌린 나페프 쥐보이.ru

> Вижу рассвет лучистый твой,|비주 라스벳 루치스티 트보이,ru

> Карелия!|카렐리야!ru

> Вижу рассвет лучезарный твой,|비주 라스벳 루체자르니 트보이,ru

> Карелия!|카렐리야!ru

>

> (번역: 나의 고향 – 카렐리야여! / 과 서사시의 생생한 노래. / 그대의 빛나는 새벽을 보네, / 카렐리야여! / 그대의 빛나는 새벽을 보네, / 카렐리야여!)

이는 카렐리야의 미래가 밝고 희망찰 것이라는 전망을 보여준다. 카렐리아어 버전에서도 비슷하게 노래한다.[7]

> Kodirandu – Karjalu!|코디란두 – 카르얄루!krl

> Runot da pajot elos piet.|루놋 다 파욧 엘로스 피엣.krl

> Nägyy tiäpäivän nouzu, vois,|냐귀 탸퍄이뱐 노우주, 보이스,krl

> Karjalu!|카르얄루!krl

> Nägyy tiäpäivän nouzu, vois,|냐귀 탸퍄이뱐 노우주, 보이스,krl

> Karjalu!|카르얄루!krl

>

> (번역: 고향 – 카르자루여! / 룬과 노래는 살아있다. / 저기 아침 해가 보이고, / 카르자루여! / 해의 떠오름을 저기서 보네, / 카르자루여!)

핀란드어 버전의 가사는 카렐리야인들이 '노동과 노래'를 통해 미래를 만들어가는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6] 핀란드어 가사 3절에서는 "정직하고 부지런한 사람들"이 "노동과 노래로 영원히" 카렐리야를 만들고 "노동과 노래로 찬양한다"고 노래한다.

> Kotimaamme Karjala!|코티마메 카랼라!fi

> Rahvas rehti, ahkera|라흐바스 레흐티, 아흐케라fi

> töin ja lauluin ikuistaa|퇴인 야 라울루인 이쿠이스타fi

> Karjalaa!|카랼라!fi

> Töin ja lauluin ylistää|퇴인 야 라울루인 윌리스턔fi

> Karjalaa!|카랼라!fi

>

> (번역: 우리 고향 카렐리야여! / 정직하고 부지런한 사람들 / 노동과 노래로 영원히 / 카렐리야여! / 노동과 노래로 찬양하네 / 카렐리야여!)

또한 2절에서는 전통 악기인 칸텔레 연주와 노동이 함께 언급되며("Soita, soma kantele, jatku, työ!|소이타, 소마 칸텔레, 얏쿠, 튀외!fi", 번역: 칸텔레여 연주하고, 일은 계속되네!), 문화적 전통과 근면한 노동을 통해 미래를 개척하려는 카렐리야인들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러한 가사들은 카렐리야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그 미래를 만들어갈 주민들의 자부심과 노력을 강조한다.

5. 비판적 시각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는 핀란드와의 복잡한 역사적 관계 속에서 그 상징성과 관련하여 비판적인 시각이 존재한다. 이는 과거 핀란드 영토였던 지역의 역사와 카렐리야인의 정체성 문제와 얽혀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5. 1. 카렐리야인의 정체성

현재 카렐리야 공화국의 국가는 러시아어 가사만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카렐리야어 가사는 공식 지위를 갖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카렐리야인의 민족적 정체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카렐리야어의 보존과 부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카렐리야인 사회 일각에서는 국가(國歌)에 카렐리야어 가사를 공식적으로 포함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는 민족 언어와 문화를 국가 상징에 반영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еспублики Карелия http://gov.karelia.r[...]
[2] 법령 Закон Республики Карелия от 6 апреля 1993 г. N XII-16/494 «Об изменениях и дополнениях Конституции (Основного Закона) Республики Карелия» regzakon.fpa.su/kare[...]
[3] 법령 Закон Республики Карелия "О внесении изменений в Закон Республики Карелия «О текст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гимна Республики Карелия»" http://www.karelia-z[...]
[4] 뉴스 Карельский гимн будут петь только по-русски. ИА «Росбалт» http://www.businessp[...] ИА «Росбалт» 2001-08-12
[5] 웹사이트 Гимн Республики Карелия http://www.gov.karel[...]
[6] 웹사이트 Karjalan Tasavallan valtiohymni http://old.gov.karel[...]
[7] 서적 Mua Karjala Petroskoi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