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칸라온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칸라온산은 필리핀 비사야스 지역에 위치한 활화산으로, 해발 2,465m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다. '칸라온'은 비사야 신화 속 여신 라온의 장소를 의미하며,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잠시 말라스피나로 불리기도 했다. 1819년 이후 30번의 분화 기록이 있으며, 1996년 등산객 사망 사고, 2024년 6월과 12월의 분화로 인해 대피령이 내려지는 등 활발한 화산 활동을 보이고 있다. 칸라온산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등산객들에게 인기 있는 장소이며, 체코 등산 마커 시스템을 통해 등산로를 관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화산 - 빌리란섬
    필리핀 동부의 화산섬인 빌리란섬은 빌리란 화산을 중심으로 지열 지대와 온천이 분포하며 각섬석 안산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과거 분출 기록을 가지며, 주변에는 여러 화산체와 도시, 읍이 위치한다.
  • 성층 화산 - 타우포호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타우포호는 약 2만 5600년 전 오루아누이 화산 폭발로 만들어진 뉴질랜드 최대의 칼데라 호수로, 현재 활화산이며 지열 활동이 활발하고 마오리족에게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지닌 관광지이다.
  • 성층 화산 - 울릉도
    울릉도는 동해에 위치한 화산섬으로, 신라에 정복된 후 공도 정책과 어업권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어업과 관광이 주요 산업이고, 독도를 포함한 해양 생태 보호를 위해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2025년 울릉공항 개항을 목표로 건설이 진행 중이다.
  • 활화산 - 훙가통가섬
    훙가 통가-훙가 하파이는 통가 하파이 제도에 있는 해저 화산으로, 2022년 대규모 분화로 섬 대부분이 파괴되고 두 개의 섬으로 분리되었으며, 과거 분화로 형성된 칼데라와 구아노 매장량을 가진 화산이다.
  • 활화산 - 타라웨라산
    타라웨라 산은 뉴질랜드 북섬 오카타이나 칼데라 내에 위치한 유문암질 활화산으로, 1886년 대분출로 핑크 앤드 화이트 테라스를 파괴하고 와이망구 화산을 형성했으며, 15km에 달하는 현무암질 절리와 타우포 열곡과의 연관성을 가진다.
칸라온산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칸라온산
다른 이름칸라온 화산
힐리가이논어볼캉 강라온
세부아노어볼캉 강라온
필리핀어불캉 칸라온
2009년의 칸라온산
2009년의 칸라온산
위치필리핀 네그로스섬
지리
높이2465m
중요도섬 최고점 43위
필리핀 최고봉 27위
필리핀 울트라 봉우리 7위
비사야 제도 최고봉
활화산
위치칸라온
라칼로타
라카스텔라나
무르시아
산카를로스
좌표10.4111° N, 123.1318° E
산맥네그로스 화산대
종류성층 화산
지질
화산대네그로스 화산대
분화 정보
마지막 분화2024년 12월 9일
등반 정보
첫 등정알려진 바 없음
가장 쉬운 경로알려진 바 없음

2. 어원

"칸라온(Kanlaon)"은 식민지 시대 이전의 비스야의 창조, 농업, 정의의 여신인 라온의 "[장소]"를 의미한다.[2] 라온(Laon)이라는 이름 자체는 "고대인"을 의미하며, 이는 "고대" 또는 "오래된"을 뜻하는 비스야어 laon|라온ceb에서 유래되었다.[3]

필리핀의 스페인 식민지 시대 말기에, 이 화산은 말라스피나 탐험대 (1789–1794)를 이끌었던 스페인 탐험가 알레한드로 말라스피나를 기려 스페인에 의해 잠시 '''말라스피나'''로 개명되었다.[4][5]

3. 지리 및 지질

칸라온산은 해발 2465m의 봉우리를 가지고 있으며, 일부 자료에서는 2435m로 보고되기도 한다. 기저 직경은 30km이며, 북북서쪽으로 늘어선 화산쇄설구와 사화산 분화구들이 점점이 흩어져 있다. 정상 바로 아래 북쪽에는 활화산인 루구드 분화구가 있다. 루구드 북쪽에는 2km x 0.8km 크기의 칼데라인 마르가야 계곡이 있으며, 작고 종종 계절성 분화구 호수가 있다.[6] 화산의 면적은 약 24557.6ha로 추정된다.[7]

화산에는 세 개의 온천이 있다. 북서쪽의 맘부칼 온천, 부칼란 온천, 붕골 온천이 있다. 칸라온산 북쪽에는 인접한 화산 구조물인 실라이 산과 만다라간 산이 있다.

네그로스 옥시덴탈 주 측에는 라 카를로타, 라 카스텔라나, 무르시아, 산 카를로스가 위치해 있으며, 네그로스 오리엔탈 주 측의 관할 도시인 칸라온은 정상에서 동남동쪽으로 약 8.5km 떨어진 하단 경사면에 위치해 있다.[6]

4. 화산 활동

Visayas에서 가장 활발한 화산인 칸라온산은 1819년 이후 30번의 분화를 겪었다. 분화는 일반적으로 화산 주변에 경미한 화산재 낙하를 일으키는 소규모 또는 중규모의 프레아틱 분화이다. 1902년의 분화는 스트롬볼리식으로 분류되었으며, 백열 부석, 라필리, 용암탄 및 가스 연기의 분출이 특징이었다.[6] 그러나 아직까지 분화 기록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으며, 이 성층 화산에서 발생한 대규모 베수비오식 분화는 아직 알려진 바 없다.

칸라온산의 화산 활동은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에서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있다. 이 연구소는 필리핀 정부 산하 기관으로, 전국 화산과 지진을 감시한다. 하지만 마욘산이나 피나투보산과는 달리, 칸라온산은 심층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고, 정확한 연대도 아직 계산되지 않았다. 칸라온산 화산 관측소는 네그로스옥시덴탈주, 라칼로타의 바랑가이 쿠바이에 있는 라칼로타 시립 대학교 캠퍼스에 위치해 있다.[6]

1996년 이후 칸라온산에서는 여러 차례 분화가 있었다. 2024년에는 6월 3일과 12월 9일에 큰 규모의 폭발적인 분출이 발생하여 많은 피해를 야기했다.

4. 1. 주요 분화 기록

1996년 8월 10일, 칸라온산에서 예고되지 않은 화산 폭발이 발생하여 영국인필리핀인 등반객 3명이 사망하고 다수가 부상을 입었다.[8][9]

2001년부터 2016년까지 칸라온산에서는 간헐적으로 소규모 분화 및 화산재 분출이 있었다. PHIVOLCS는 지진 활동, 화산재 기둥 높이, 화산재 낙하 지역 등을 관측하며 경보 단계를 조정하고 주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2024년에는 6월 3일과 12월 9일에 큰 규모의 폭발적인 분출이 발생했다. 6월 3일 분출로 5000m 높이의 연기 기둥과 화쇄류가 발생했으며, 인근 지역에 화산재가 떨어지고 유황 냄새가 관측되었다. 이로 인해 대피령이 내려지고 항공편이 취소되었으며, 농작물에도 피해가 발생했다. 12월 9일 분출은 3000m 높이의 연기 기둥을 발생시켰고, 파나이와 기마라스까지 화산재가 확산되어 87,000명이 대피했다. 7월과 9월에는 화산 융기와 이산화황 배출량 증가가 관측되어 추가 분출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4. 1. 1. 1996년 분화

1996년 8월 10일, 24명의 등산객이 칸라온산을 등반하던 중 예고 없이 화산이 폭발하여, 정상 근처 분화구 부근에 갇힌 영국인 학생 줄리안 그린과 필리핀인 잠레인 트라지코, 닐 페레즈가 사망했다.[8][9] 현지 당국은 벨기에인 10명, 다른 영국인 등반가 1명, 필리핀인 6명 등 17명을 구조했다. 네그로스 산악 클럽의 회원인 에드윈 에마통은 사촌 닐 페레즈와 함께 영국 국적 등반가들을 안내했는데, 일행보다 먼저 산을 내려와 폭발에서 살아남았다.

구조된 벨기에인 중 한 명인 캐롤라인 베린데는 자신과 일행이 분화구 가장자리 근처의 지점을 떠나려 할 때 갑자기 화산이 화산재, 돌, 뜨거운 가스를 분출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나무 아래로 피신했고, 친구들이 뜨거운 테프라에 맞는 것을 보았다. 그녀는 필리핀인 가이드가 분화구에서 솟아오르는 연기에 대해 "그냥 평범한 연기"라고 말했다고 전했다.[8][9]

4. 1. 2. 2001년 ~ 2016년 분화

PHIVOLCS는 2001년 1월부터 화산 주변 지진 감시망을 통해 지진이 기록되었다고 보고했다. 3월 22일 보고서에서 이러한 지진은 깊은 곳에서 화산 시스템이 재활성화되는 것을 의미하며, 화산재 폭발과 같은 더 격렬한 활동의 전조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1996년 분화 이전에 나타난 유사한 지진을 기반으로 분석한 결과였다. PHIVOLCS는 화산재 분출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상 분화구로의 등반을 즉시 중단할 것을 권고했다.[10] 2월부터 4월까지 지진 활동이 증가한 후 화산 경보가 발령되었고, 11월 28일에는 화산재 분출이 발생했다.

2003년 3월 17일, 칸라온산 상공에서 회색 기둥이 관측되었다. 소규모 분화로 인해 화구 위로 100m 높이의 기둥이 발생했다. 총 46건의 소규모 화산재 분출이 기록되었다. 7월 23일 이후에는 약한 분출만 관찰되었고, 지진 활동은 정상 수준으로 돌아왔다.

2005년 1월 21일, 짧은 규모의 분화구 폭발로 500m 높이의 화산재 기둥이 만들어졌다. 미세한 화산재 층이 분화구에서 5.5km 떨어진 남서쪽의 카바그나안에 떨어졌다. 3월 20일에 화산재 분출이 다시 시작되어 화산에서 서쪽으로 5km 떨어진 곳에 소규모 화산재가 떨어졌다. 4월 4일까지 간헐적인 화산재 분출로 화산 상공 1km까지 화산재가 도달했고, 라 카스텔라나(분화구에서 16km 떨어진 남서쪽), 어퍼 사그-앙, 유보 (5km 떨어진 남서쪽), 그리고 긴투브단 (5km 떨어진 서북서쪽)에서 소규모 화산재 낙하가 보고되었다. 5월 25일 이후 화산재 분출은 멈췄다.

2006년 6월 3일, 칸라온산은 다시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며 증기와 화산재를 분출했다. 6월 12일 경계 레벨 1이 발령되었다. 7월 25일까지 총 23차례의 화산재 분출이 보고되었다. 모든 분출은 수증기 폭발(신선한 마그마는 분출되지 않음)이었으며, 분화구 상공 2km까지 화산재와 증기를 분출했다. 화산재 분출 전후로 특별한 지진 활동은 없었으며, 이는 폭발이 얕은 깊이의 열수 현상임을 나타냈다.

2008년 2월 10일, 필리핀 화산·지진 연구소(PHIVOLCS)는 칸라온산의 지진 네트워크가 지난 24시간 동안 총 21개의 저주파 화산 지진(LFVQ)을 기록했다고 경고하며 칸라온 화산의 경보 단계를 경계 레벨 0에서 경계 레벨 1으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화산 활동이 약간 증가했으며 화산 활동이 증기 및 화산재 분출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10] 예고 없이 갑작스런 폭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화산 주변에 4km의 영구 위험 구역(PDZ)이 유지되었지만, 분화는 발생하지 않았다.

2009년 8월 23일부터 9월 1일까지 257회의 화산 지진이 기록되었다. 기록된 지진의 진앙은 북서쪽 사면에 집중되었으며, 이는 화산 아래 압력에 의해 유발된 사면의 활성 국부 단층의 움직임을 나타낼 수 있다. 표면 관측에서는 분화구에서 증기 배출의 유의미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PHIVOLCS는 경보 단계를 레벨 0으로 유지했다.

2015년 11월 23일, 칸라온산에서 작은 증기 폭발이 일어났다.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경보 단계를 1단계(약간의 불안정)로 격상시켰다. 12월 12일, 칸라온산에서 두 차례의 낮은 에너지 화산재 분출이 있었다. 이 소규모 화산재 분출의 화산재 기둥은 약 299.92m 높이까지 도달했다. 12월 27일, 칸라온산의 활화구에서 화산재 분출이 발생했다. 분출 기둥은 약 1000.05m 높이까지 도달했다. 칸라온 화산 인근 일부 바랑가이에서 가벼운 화산재 낙하가 보고되었다.

2016년 3월 29일 오후 6시 20분에 칸라온산이 12분간 분화하여 분화구 위로 1500m 높이의 화산 기둥을 뿜어냈으며, 화산 인근 일부 바랑가이에서 "우르릉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칸라온 경찰서에 따르면, 우르릉거리는 소리에 이어 화산 분화구에서 여러 개의 불덩이가 흘러나와 덤불 화재를 일으켰다. 필리핀 화산 및 지진 연구소(PHIVOLCS)는 경보 레벨 1을 발령했다. 사상자는 보고되지 않았다.[12]

2017년 3월 11일, 필리핀 화산지진연구소(PHIVOLCS)는 3월 9일부터의 비정상적인 활동으로 인해 화산 경보 단계를 0단계에서 1단계로 상향했다. 이후 80건의 화산 지진이 기록되었다.[13]

2020년 6월 21일, 화산은 불안정한 징후를 보이기 시작했다. 6월 22일까지 화산 활동이 계속되었으며, 규모 3.2에서 4.7에 이르는 일련의 지각 지진이 발생했다. 72시간(6월 21일 오전 8시 ~ 6월 24일 오전 8시) 동안 총 278건의 지진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화산 아래의 마그마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지진이 계속되었고, 증기와 푸마롤 활동은 200~300미터 위로 솟아올랐다. 필리핀 화산지진연구소는 이상 징후와 갑작스러운 수증기 폭발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대중에게 화산 주변 4km PDZ(영구 위험 구역)에 접근하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했다.[14][15][16]

4. 1. 3. 2024년 분화

243x243px


2024년 6월 3일, 필리핀 화산 지진 연구소(PHIVOLCS)는 칸라온 화산의 경보 단계를 1단계에서 2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이는 같은 날 오후 6시 51분(PST) 화산 정상 분화구에서 발생한 폭발적인 분출로 인해 화산 활동이 불안정해졌기 때문이다. 폭발로 인해 분화구 위로 5000m 높이의 뜨거운 연기 기둥이 솟아올랐고, 화산 남쪽 및 남동쪽 경사면으로 약 2~3km를 흘러내린 짧은 화쇄류(PDC)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 폭발은 6분간 지속되었으며, 이후 비교적 강한 화산 지진이 뒤따랐다.[17]

화산 서쪽 사면의 바고, 라 카를로타, 라 카스텔라나, 칸라온[21] 등지에서는 유황 냄새와 화산재 낙하가 보고되었고, 85km 떨어진 바콜로드에서도 관측되었다.[18] 화산재 입자는 연무 형태로 비콜 지방까지 확산되었으며,[19] 6월 5일에는 라 카스텔라나에서 비로 인한 라하르가 발생했다.[20]

칸라온에서는 화산 인근 5개 바랑가이[21] 및 화산에서 흘러나오는 강을 따라 위치한 지역[22][23], 라 카를로타와 라 카스텔라나에 대피령이 내려졌다. 산 카를로스에서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가 시행되었다.[24] 최소 4,752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25] 6월 4일 칸라온의 사무실은 폐쇄되었다.[26] 네그로스 옥시덴탈 당국은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칸라온, 라 카를로타, 라 카스텔라나에 화산재 경보를 발령했다.[27]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을 비롯해 일로일로, 세부, 칼리보, 바콜로드, 다바오, 카가얀 데 오로, 제너럴 산토스, 산호세 공항에서 최소 29편의 항공편이 취소되었다.[28][29] 6월 4일에는 더 많은 항공편이 취소되고, 화산 반경 3km 이내 지역에 비상 대피가 의무화되었다.[30] 칸라온 시장 호세 추바스코 카데나스는 5개 바랑가이 주민 23,622명이 피해를 입었다고 밝혔다.[31] 칸라온과 라 카스텔라나에는 재난 상태가 선포되었다.[32]

네그로스 섬의 약 23,000헥타르에 달하는 사탕수수 밭이 피해를 입었고, 라 카를로타와 라 카스텔라나에서는 일반 수원지의 유황 오염으로 인해 통행 금지 및 물 배급제가 시행되었다.[18][33] 농업 피해액은 1억 480만 페소로 추산되며, 3,890.5톤의 작물이 손실되고[34] 최소 3,421마리의 가축이 폐사했다.[35]

7월 15일, PHIVOLCS는 6월 중순부터 칸라온 화산의 융기 현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발표했다.[36] 이러한 지반 변형은 마그마 관입을 나타낼 수 있으며, 분출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37]

9월 9일, PHIVOLCS는 화산에서 일련의 화산-구조 지진을 보고했다.[38] 9월 10일에는 2009년 이후 최고치인 9,985톤의 이산화황 배출량을 기록하며, 1902년 이후 첫 마그마 폭발 가능성을 경고했다.[39] 이로 인해 칸라온에서 최소 248명이 대피했다.[40] 다음 날인 9월 11일에는 이산화황 배출량이 11,556톤으로 더 증가했다.[41]

12월 9일, PHIVOLCS는 오후 3시 3분 정상 분화구에서 폭발적인 분출이 발생하여 칸라온에 경보 3단계를 발령했다. 폭발로 3000m 높이의 거대한 연기 기둥이 발생하여 서남서 방향으로 이동했고, 화산 남동쪽으로 화쇄류가 흘러내렸다.[42] 파나이와 기마라스까지 화산재가 확산되었으며,[43] 약 87,000명이 대피했고, 그 중 46,900명은 라 카스텔라나에서 대피했다.[44]

5. 신화

칸라온(Kanlaon)은 식민지 시대 이전 비스야인의 창조, 농업, 정의의 여신인 라온의 "장소"를 의미한다.[2] 라온(Laon)이라는 이름 자체는 "고대인"을 의미하며, 이는 "고대" 또는 "오래된"을 뜻하는 비스야어 laonceb에서 유래되었다.[3]

필리핀의 스페인 식민지 시대 말기에, 이 화산은 말라스피나 탐험대 (1789–1794)를 이끌었던 스페인 탐험가 알레한드로 말라스피나를 기려 스페인에 의해 잠시 '''말라스피나'''로 개명되었다.[4][5]

식민지 시대 이전의 다양한 비사야족애니미즘 아니토 신앙에서, 칸라온은 대부분의 비사야족의 최고 창조신으로 여겨지던 라온(Laon, "고대인"을 의미)이라는 강력한 여성 정령의 영역으로 여겨졌다. 그녀는 아클라논족, 카피즈논족, 세부아노족, 힐리가이논족, 카라야족, 술루드논족, 와라이족 등 여러 집단의 식민지 이전 신앙에 등장한다.

정복자 미겔 데 로아르카는 ''필리핀 제도 관계'' (1582)에서 라온을 "라라혼" 또는 "라혼"으로 처음 기록했다. 데 로아르카는 라라혼이 풍작을 위해 원주민들이 부르던 농업 신이며, 그녀가 불쾌하면 메뚜기를 보내 작물을 망쳤다고 기록했다. 또한 그녀가 칸라온 화산에 산다고 구체적으로 언급했다.

6. 등산

칸라온산은 등산객들이 즐겨 찾는 곳이며, 1934년 8월 8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칸라온 산 자연 공원의 중심지이다.[49][50]

등산로는 보통 바랑가이 긴투브단에서 시작한다. 현지에서는 필리핀 최초의 내륙 관광지 조성을 위해 여러 유럽 기관과 협력하여 통합 등산 마커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는 여러 국가에서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으로, 생태학적으로 책임감 있는 방식으로 산을 관광객들에게 더욱 매력적으로 만들고 있다.

6. 1. 등산로

기본 표지 - 난이도가 높거나 정상 등반 코스에 사용되는 빨간색


60px


2016년에 처음으로 3개의 등산로가 표시되었으며, 2017년에는 구인투브단 중심부에서 정상까지의 등산로를 포함하여 추가적이고 더 광범위한 등산로가 추가되었다. 이는 멘델 대학교가 세인트 라 살 대학교 및 환경천연자원부와 협력하여 시행한 것으로, 체코 개발 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주 필리핀 체코 대사관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51] 필리핀 국기의 색상을 사용한 3가지 색상으로 구분된 등산로가 개통되었다.

파란색 등산로의 좌회전 표지 - 등산로의 방향 전환을 보여주는 표지


등산로 색상등산로표시 년도
빨간색구인투브단에서 부슬루간 폭포까지2016년
노란색구인투브단에서 오로 폭포까지2016년
파란색구인투브단에서 살라스 공원 신규 파빌리온까지2016년
빨간색구인투브단에서 칸라온산 정상까지2017년
해당사항 없음어드벤처 등산로 및 추가 신규 등산로2017년



이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흰색 막대 2개 사이에 한 가지 색상이 있는 3개의 막대를 사용하며,[52] 색상에 따라 다른 의미가 부여된다. 빨간색은 가장 어렵거나 정상 등반 코스를 나타내고,[53] 파란색은 난이도가 있는 등산로, 노란색과 녹색은 쉽거나 상호 연결되는 등산로를 나타낸다. 이러한 표시는 나무판이나 금속판에 게시될 수 있다.

기본 등산로 표지는 정사각형이며 크기는 10cm이다. 등산로 표시 자원봉사자들은 표지판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해 판금 또는 골판지 매트릭스를 준비한다. 방향 변경은 동일한 색상과 유사한 디자인의 화살표로 표시된다.

참조

[1] 웹사이트 Report on Kanlaon (Philippines) https://volcano.si.e[...] Smithsonian Institution and US Geological Survey 2023-04-26
[2] 논문 A rough survey of the pre-historic legislation of the Philippines 1914-08
[3] 서적 The Soul Book: Introduction to Philippine Pagan Religion https://archive.org/[...] GCF Books 1991
[4] 서적 An Official Guide to Eastern Asia: East Indies Imperial Japanese Government Railways 1917
[5] 서적 Diccionario Mitologico de Filipinas https://www.academia[...] 1895
[6]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Page http://volcano.phivo[...] 2012-02-18
[7] 뉴스 FAST FACTS: What you need to know about Kanlaon Volcano https://www.rappler.[...] 2024-06-04
[8] 웹사이트 Canlaon Volcano Eruption http://www.aenet.org[...] 2015-12-13
[9] 서적 The Kanlaon Volcano unrest, 10 August-14 October 1996.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10]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BULLETIN 10 February 2008 8:00 AM http://volcano.phivo[...] 2008-02-10
[11]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ADVISORY Released: 01 September 2009, 9:00 A.M. https://phivolcs.dos[...] 2023-01-14
[12] 웹사이트 Phivolcs: Kanlaon Volcano erupts, remains under alert level 1 http://cnnphilippine[...] Cnnphilippines.com 2020-01-15
[13]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BULLETIN: 11 March 2020 10:00 A.M. – Alert Level 0 (normal) to Alert Level 1 (abnormal) https://www.phivolcs[...] Phivolcs.dost.gov.ph 2022-03-16
[14]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BULLETIN 22 June 2020 08:00 A.M https://www.phivolcs[...] Phivolcs.dost.gov.ph 2022-03-16
[15] 웹사이트 Philippine Institute of Volcanology and Seismology (PHIVOLCS-DOST) – KANLAON VOLCANO BULLETIN 23 June 2020 08:00 A.M. https://m.facebook.c[...] Phivolcs.dost.gov.ph 2022-03-16
[16]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BULLETIN: 24 June 2020 08:00 A.M https://www.phivolcs[...] Phivolcs.dost.gov.ph 2022-03-16
[17]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BULLETIN 03 June 2024 8:00 PM https://www.phivolcs[...] Phivolcs.dost.gov.ph 2024-06-03
[18] 뉴스 Sulfur from Kanlaon Volcano eruption renders water unsafe in La Carlota villages https://www.rappler.[...] 2024-06-05
[19] 뉴스 Volcanic haze from Kanlaon Volcano reaches Bicol https://www.gmanetwo[...] 2024-06-07
[20] 뉴스 LOOK: ‘Muddy stream flow’ hits 2 villages in La Castellana, Negros Occidental https://www.rappler.[...] 2024-06-05
[21] 뉴스 Phivolcs records 43 volcanic earthquakes; 5 Canlaon City villages forced to flee https://news.abs-cbn[...] 2024-06-04
[22] 뉴스 Canlaon City orders evacuation after eruption of Mount Kanlaon https://news.abs-cbn[...] 2024-06-03
[23] 뉴스 Mandatory evacuation ordered amid Kanlaon Volcano eruption https://www.gmanetwo[...] 2024-06-03
[24] 뉴스 Negros Occidental under Blue Alert, 3 towns on Negros Island begin evacuation after Kanlaon eruption https://www.gmanetwo[...] 2024-06-03
[25] 뉴스 DSWD: 4,000 individuals still in evacuation centers after Kanlaon eruption https://mb.com.ph/20[...] 2024-06-10
[26] 뉴스 Work in government, private offices in Canlaon City suspended after volcanic eruption https://www.gmanetwo[...] 2024-06-03
[27] 뉴스 Kanlaon Volcano erupts, emits 5,000-meter tall plumes — PHIVOLCS https://www.gmanetwo[...] 2024-06-03
[28] 뉴스 29 domestic flights canceled due to Mt. Kanlaon eruption https://www.pna.gov.[...] 2024-06-04
[29] 뉴스 Kanlaon Volcano eruption prompts flight cancellations https://www.rappler.[...] 2024-06-04
[30] 뉴스 Mount Kanlaon volcano erupts sending 3-mile ash plume into the sky https://edition.cnn.[...] CNN International 2024-06-04
[31] 뉴스 Over 23K residents affected by Mt. Kanlaon eruption: mayor https://www.pna.gov.[...] 2024-06-04
[32] 뉴스 2 areas under state of calamity due to Kanlaon Volcano eruption https://www.rappler.[...] 2024-06-04
[33] 뉴스 La Castellana under curfew amid water shortage after Kanlaon Volcano eruption https://www.rappler.[...] 2024-06-07
[34] 뉴스 Agri damage from Kanlaon Volcano eruption now at P104.8M — OCD https://www.gmanetwo[...] 2024-06-13
[35] 뉴스 Kanlaon Volcano eruption killed over 3,000 farm animals in 2 cities alone https://www.rappler.[...] 2024-06-25
[36] 뉴스 Kanlaon volcano edifice swells, 'increased chances' of eruptive activity https://news.abs-cbn[...] 2024-07-15
[37] 웹사이트 Phivolcs: Kanlaon Volcano increasingly swollen since mid-June https://www.rappler.[...] 2024-07-15
[38] 웹사이트 Series of volcanic-tectonic earthquakes recorded in Kanlaon on Sept.9 https://www.gmanetwo[...] 2024-09-09
[39] 웹사이트 ‘First time since 1902’: Phivolcs warns of possible magmatic eruption in Mt. Kanlaon https://news.abs-cbn[...] 2024-09-11
[40] 웹사이트 Over 200 individuals evacuated due to Mt. Kanlaon volcanic unrest https://www.gmanetwo[...] 2024-09-11
[41]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sulfur dioxide reaches record high for second straight day https://www.rappler.[...] 2024-09-11
[42] 웹사이트 Kanlaon Volcano erupts, Alert Level raised to 3 https://www.philstar[...] 2024-12-09
[43] 웹사이트 Ashfall after Kanlaon’s eruption affects 26 areas https://cebudailynew[...] 2024-12-10
[44] 뉴스 87,000 people to be evacuated after Kanlaon Volcano eruption https://www.rappler.[...] 2024-12-09
[45] 논문 "Capiznon" 2018
[46] 서적 Ciencia Y Cultura entre Dos Mundos: Segundo Simposio Fundación Canaria Orotava 2010
[47] 웹사이트 Tungkung Langit & Alunsina: The 'Other' Visayan Creation Story https://www.aswangpr[...] 2016-12-30
[48] 서적 The Philippine Islands, 1493–1803 https://en.m.wikisou[...] The Arthur H. Clark Company 1903
[49] 간행물 "NIPAS's 202 Initial list of components" http://pawb.gov.ph/i[...] Protected Areas and Wildlife Bureau 2011-08-13
[50] 간행물 "Protected Areas of Region 6" http://pawb.gov.ph/i[...] Protected Areas and Wildlife Bureau 2011-08-13
[51] 뉴스 "New Hiking Markers in Negros Occidental" http://www.eaglenews[...] Eagle News PH 2016-12-02
[52] 웹사이트 Czech Tourist Klub https://www.kct.cz/c[...] 2017-03-25
[53] 웹사이트 Hiking in the Czech Republic https://www.expats.c[...] 2016-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