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라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와라이족은 필리핀의 동사마르, 북사마르, 사마르 주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2010년 인구 조사에서 약 366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를 사용하며, 철기 시대에 필리핀으로 이주해 온 이들의 후손이다. 와라이족은 가톨릭 신자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기독교로 개종한 최초의 필리핀 원주민 중 하나이기도 하다. 와라이족은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며, 코코넛을 주요 작물로 재배한다. 그들의 문화는 음악과 춤에 대한 사랑으로 특징지어지며, 특히 쿠라차 춤이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민족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필리핀의 민족 - 네그리토
네그리토는 동남아시아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검은 피부와 작은 키를 공유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로, 유전적으로는 동아시아계와 파푸아계의 경계에 위치한 여러 분리된 집단으로 구성되어 있고 수렵채집 생활을 해왔으나 현재 어려움을 겪고 있다.
와라이족 | |
---|---|
기본 정보 | |
집단명 | 와라이족 |
다른 이름 | 와라이-와라이 |
![]() | |
인구 | 4,106,539 (2020년) |
인구 비율 | 필리핀 인구의 3.8% |
주요 거주 지역 | 동비사야 지방 마스바테 주 동부 카라가 지방 소르소곤 주 메트로 마닐라 |
종교 | 주로 기독교 (로마 가톨릭교회) |
언어 | 와라이어 세부아노어 타갈로그어 필리핀 영어 |
관련 민족 | 다른 비사야족 및 필리핀의 민족 |
기타 정보 | |
관련 인물 | 이멜다 마르코스 |
2. 인구
와라이족은 동사마르 주, 북사마르 주, 사마르 주에서 다수를 차지하며, 레이테 주, 남레이테 주, 빌리란, 소르소곤과 민다나오의 일부 지역에서도 상당한 인구를 구성한다. 2010년 필리핀 인구 조사에 따르면 와라이족의 인구는 3,660,645명이다.[4]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은 와라이족의 인구가 21세기 초에 420만 명에 달한 것으로 추정한다.[5] 하지만 2020년 필리핀 인구 조사에 따르면 와라이족은 약 410만 명으로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추정치보다 약 10만 명 적다.[1]
와라이족 사람들은 동사마르주, 북사마르주, 서사마르주에서 다수를 형성하고 있으며, 레이테주와 소르소곤주에서도 중요한 인구집단을 형성하고 있다.[4] 또한 남레이테주, 빌리란, 민다나오의 일부 지역에서도 상당한 인구를 구성한다.[4]
필리핀 국가 창설과 비사야 제도의 타갈로그화로 인해,[10] 와라이족 및 기타 비사얀 민족을 필리핀 국가에 동화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와라이와라이어는 사마르와 레이테 섬을 제외하고는 필리핀에서 전국적으로 언어가 아닌 방언으로 간주된다.[11]
대부분의 와라이족은 가톨릭교 신자이며, 소수는 개신교, 이슬람교, 전통적인 와라이 신념을 따르거나 무교이다.
3. 지역
4. 역사
4. 1. 초기 역사
철기시대에 필리핀으로 건너 온 와라이족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이민자들의 후손들이다. 1521년, 와라이족들은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유럽인들을 목격한 최초의 필리핀 원주민들이다.[8] 그리하여 와라이족들은 기독교로 개종한 최초의 원주민들이기도 하다. 역설적으로, 그들은 또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통적 관점에서도 다소 이교도적인 풍습을 유지하고 있는 최후의 필리핀 민족이기도 하다.
역사학자이자 필리핀 학자인 윌리엄 헨리 스콧에 따르면, 동부 비사야 지역에 최초의 인간이 살았다는 증거는 기원전 8,550년경의 바세이 사마르에 있는 소호톤 동굴에서 발견할 수 있다.[6][7][18] 당시 인간의 존재를 증명하는 석재 플레이크 도구가 바세이 강을 따라 있는 동굴에서 발견되었다.[18] 이러한 도구는 13세기까지 수렵 채집인들이 사용했다.[18]
와라이족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사용하는 해양 민족의 후손으로, 철기 시대부터 필리핀 제도에 정착했다.[8] 스페인인들이 이 지역에 오기 전에, 와라이족은 이미 복잡한 문화적, 사회 정치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고, 중국, 보르네오, 말레이족과 교역을 했다.[18] 1521년, 스스로를 "이바바논"[9]이라고 부르는 사마르 동해안의 와라이족은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끈 원정대에서 유럽인들이 처음으로 만난 필리핀 섬의 사람들이었다.[8] 마젤란의 기록자인 안토니오 피가페타에 따르면, 그들은 처음으로 술루안 섬 근처 바다에서 이 원주민 집단을 만났다.[18]
와라이족은 기독교로 개종한 필리핀 제도의 최초의 원주민 집단 중 하나였다. 역설적이게도, 그들은 로마 가톨릭과 함께 필리핀 토속 신앙을 유지하는 마지막 필리핀 민족 중 하나이기도 하다.
4. 2. 스페인 식민 시대
철기시대에 필리핀으로 건너온 와라이족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이민자들의 후손이다. 1521년, 와라이족은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끄는 유럽인들을 목격한 최초의 필리핀 원주민이다. 그리하여 와라이족은 기독교로 개종한 최초의 원주민이기도 하다. 역설적으로, 그들은 또한 로마 가톨릭교회의 전통적 관점에서도 다소 이교도적인 풍습을 유지하고 있는 최후의 필리핀 민족이기도 하다. 스페인 식민지 지배가 지속되면서, 그들은 천덕꾸러기 필리핀 민족으로 간주되어 왔다.[8]
스페인인들이 이 지역에 오기 전에, 와라이족은 이미 복잡한 문화적, 사회 정치적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고, 중국, 보르네오, 말레이족과 교역을 했다.[18] 1521년, 스스로를 "이바바논"[9]이라고 부르는 사마르 동해안의 와라이족은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이끈 원정대에서 유럽인들이 처음으로 만난 필리핀 섬의 사람들이었다.[8] 안토니오 피가페타에 따르면, 그들은 처음으로 술루안 섬 근처 바다에서 이 원주민 집단을 만났다.[18]
와라이족은 기독교로 개종한 필리핀 제도의 최초의 원주민 집단 중 하나였다. 역설적이게도, 그들은 로마 가톨릭과 함께 필리핀 토속 신앙을 유지하는 마지막 필리핀 민족 중 하나이기도 하다.
4. 3. 필리핀 독립 이후
필리핀 국가 창설과 비사야 제도의 타갈로그화로 인해,[10] 와라이족 및 기타 비사얀 민족을 필리핀 국가에 동화시키려는 시도가 있었다. 와라이-와라이어는 사마르와 레이테 섬을 제외하고는 필리핀에서 전국적으로 언어가 아닌 방언으로 간주된다.[11]
5. 문화
와라이족은 용감한 전사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으며, "Basta ang Waray, hindi uurong sa awaytl"라는 대중적인 구절은 "와라이족은 싸움에서 결코 물러서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러한 고정관념은 와라이족을 폭력적이고 냉혹하게 묘사하기도 하는데, 이는 악명 높은 와라이-와라이 갱 때문에 더욱 심화되었다.[13][14]
신인민군 반란의 주요 거점은 북사마르에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식민주의에 저항한 역사와 식민지 시대 이전 전사 문화와의 강한 문화적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많은 NPA 전사들이 주로 와라이족과 세부아노족 출신이다.[15][16]
민요 "와라이 와라이(Waray Waray)"는 후안 실로스 주니어(Juan Silos, Jr.)가 작곡하고 레비 셀레리오(Levi Celerio)가 작사했다. 이 노래는 와라이 여성들을 중심으로 하며, 그들에 대한 고정관념을 영속화한다. "와라이 여성은 죽음 앞에서도 도망가지 않는다"와 "그러나 와라이 여성은 다르다, 우리는 누구도 두려워하지 않는다"와 같은 가사는 와라이 사람들을 강하고 싸움닭 같은 존재로 묘사하는 것을 강화한다. 이 노래는 와라이 여성을 강하고, 난폭하며, 심술궂은 존재로 묘사한다. 1960년대 미국 연예인 어사 키트는 이 노래를 공연하고 녹음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어사 키트는 타갈로그어와 비사야어를 섞어 부르며, 중간중간 영어 구절을 넣었다. 어사 키트의 "와라이-와라이" 버전은 프랑스어와 스페인어 등 다른 언어로 부른 노래와 크게 다르다. 그녀의 해석에는 눈에 띄는 발음 오류, 특정 단어에 잘못된 강세, 그리고 몇몇 창작 단어의 포함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거친 전달 방식은 그녀가 다른 비영어 노래에서 일반적으로 보여주는 부드러운 공연과는 대조적이다. 어사 키트는 필리핀을 포함한 국제 무대에서 "와라이 와라이"를 공연했으며, 이 곡은 필리핀 여성 정체성에 대한 광범위한 담론의 일부가 되었다.
5. 1. 언어
와라이족은 비사야어 계열인 와라이와라이어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2 언어로 세부아노어를 말하기도 한다. 메트로 마닐라와 다른 지역 또는 국가로 이주한 어떤 와라이족 후손들은 또한 와라이와라이어를 제2언어 또는 제3언어로도 말하기도 한다. 지역 사회에서 통용되는 다른 외국어는 영어와 스페인어, 중국어, 그리고 일본어가 있다.[17]와라이족은 주요 비사야어인 와라이어를 사용한다. 많은 사람들이 또한 제2 언어로서 영어, 타갈로그어, 비콜어 및/또는 세부아노어를 구사한다. 특히 메트로 마닐라, 필리핀의 다른 지역(특히 민다나오) 및 전 세계로 이주한 이들 사이에서, 와라이족 출신 중 일부는 와라이어를 제2 또는 제3 언어로 사용한다.
"와라이"라는 용어는 사마르와 레이테의 사람과 언어를 모두 지칭하며,[17] 와라이어로 "없음"을 의미한다. 이것이 어떻게 언어의 이름이 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18] 상기란 상 비니사야(Visayan Language Council)에 따르면, 언어의 공식 명칭은 리네이테-사마르논 또는 비사야어이다.[18] 그러나 구어체 용어인 "와라이"가 결국 공식 용어가 되었다.[18]
와라이어는 주로 사마르 섬에서 사용되며, 섬의 일부 지역에서는 세부아노어가 사용된다.[18] 사마르 섬의 각 주에는 어휘, 억양 및 발음의 차이로 구별되는 와라이어의 독특한 변종이 있다.[18] 각 변종에는 고유한 이름이 있다. ''estehanon''은 동사마르 와라이어를, ''nortehanon''은 북사마르 와라이어를, ''westehanon''(또는 ''Kinalbayog''/''Calbayognon''라고도 함)은 서사마르 와라이어를 지칭한다.[18][19] 이들 주에 거주하는 와라이족은 또한 해당 이름으로 식별될 수 있다.[18]
5. 2. 전통
많은 와라이족의 전통은 식민지 시대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예를 들어, 와라이-와라이의 차차차는 옛 스페인 시대의 ''카베세라''에서 유래되었다.[20] 와라이족의 전통 춤인 쿠라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다룬다.5. 2. 1. 쿠라차 춤
'''쿠라차 데 마요르'''(Kuratsa de Mayor)는 와라이족의 전통 춤으로, 특히 결혼식과 같은 사교 모임에서 인기가 많다.[20] 이 춤은 멕시코의 ''라 쿠카라차''(바퀴벌레 춤)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졌었지만, 국립 문화 예술 위원회는 와라이족 고유의 춤임을 확인했다.[20] 쿠라차는 수탉과 암탉의 움직임을 묘사하는 구애 춤으로, 전통적으로 ''론달라''라는 라이브 현악 밴드의 연주에 맞춰 춘다.[20]와라이족의 사교 댄스 행사(''사라야우'')에서 쿠라차는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요소이다.[20] 생일, 결혼식, 세례식, 심지어 정치 및 스포츠 행사에서도 선보인다.[20] 전통적으로 춤 공간은 관객이 무용수를 둘러쌀 수 있도록 평평하게 만들어졌으며, ''파라그-아두''(무용수를 짝짓는 사람)가 무용수를 부르는 것으로 춤이 시작된다.[20]
춤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 ''파세오'' 진행 후, ''시키-시키''(발걸음) 또는 ''티니쿠드-티쿠드''(발뒤꿈치 걸음)로 시작한다. 두 발을 서로 가까이 유지하는 매우 빠른 걸음이다.[20]
# 춤을 추는 커플은 주변 사람들로부터 돈 세례를 받는다.[20]
# 팔을 옆으로 또는 위로 흔들거나, 함께 또는 번갈아 가며 흔든다.[20]
# 남자들은 수탉의 민첩성을 묘사하는 빠른 진동 동작인 ''사라키키'' 단계를 수행한다. 잘게 썰고, 뛰어넘고, 껑충 뛰고, 점프하는 동작이 포함되지만, 우아하게 표현해야 한다.[20]
# 여자들은 느리고 물결치는 ''마발루드-발루드'' 단계를 수행한다. ''두온''(체중을 실어 넣는 것)이라는 하위 단계를 기반으로 하며, 가볍고 유연하며 섬세하게 수행해야 한다.[20]
# 파트너는 이중적인 성격을 띠는 동작과 동기화되어야 한다.[20]
# 로맨틱한 ''팔라나트''(짝을 쫓는 단계)를 연출한다. 남자가 여자를 쫓고, 여자는 처음에는 거절하는 척하며 남자의 진심을 시험한다.[20]
# 슬픔이 입증되면, 춤은 ''다기트''(급강하 단계)와 ''왈리''(들어올리는 단계)로 이어진다.[20]
# 남자는 무릎을 꿇고 구르며, 여자는 파트너를 향해 흔들리고 원을 그리며 위엄을 나타낸다.[20]
# 더 정교하게 하기 위해 ''가푸스-가푸사이''(묶는 단계)를 하기도 한다.[20]
# ''가푸스-가푸사이''에서 무용수는 별도로 손수건으로 묶인다. 묶인 파트너는 자유 파트너가 ''사브와그''(땅 중앙에 놓인 스카프에 돈을 떨어뜨리는 것)를 무력화해야만 풀려난다. ''사브와그''는 지참금을 묘사한다.[20]
# 두 파트너는 남자와 여자를 차별화하는 단계를 통해 서로 구애한다. 남자는 ''파라야우''(과시하는 단계), 여자는 유혹적인 ''루바이-루바이''(힙 스웨이 단계)를 사용한다.[20]
# 모든 무용수가 기교를 보여주면서 춤이 끝난다.[20]
쿠라차는 특히 ''바카야우''라고 알려진 와라이족 결혼식에서 사용된다.[20] 신부와 신랑, 그리고 결혼의 주 후원자인 ''니낭''과 ''니농''이 춤을 춘다.[20] ''바카야우'' 동안 사람들은 춤을 추는 신부와 신랑에게 돈을 던지는데, 이 돈은 ''갈라''라고 불리며 신랑이 결혼 생활의 전조로 신부에게 바친다.[20] 와라이족은 커플에게 더 많은 돈이 쏟아질수록 더 많은 축복이 올 것이라고 믿는다.[20]
2011년, 쿠라차는 국립 문화 예술 위원회에 의해 필리핀의 무형 문화 유산 중 하나로 인용되었다.[20]
5. 2. 2. 와라이-와라이 노래
민요 "와라이 와라이"(Waray Waray)는 1960년대 미국 연예인 어사 키트가 공연하고 녹음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1] 키트는 타갈로그어와 비사야어를 섞어 부르며, 중간중간 영어 구절을 넣었다.[1] 어사 키트의 "와라이-와라이" 버전은 프랑스어와 스페인어 등 다른 언어로 부른 노래와 크게 다르다.[1] 그녀의 해석에는 눈에 띄는 발음 오류, 특정 단어에 잘못된 강세, 그리고 몇몇 창작 단어의 포함이 두드러진다.[1] 이러한 거친 전달 방식은 그녀가 다른 비영어 노래에서 일반적으로 보여주는 부드러운 공연과는 대조적이다.[1]민요 "와라이 와라이"는 후안 실로스 주니어(Juan Silos, Jr.)가 작곡하고 레비 셀레리오(Levi Celerio)가 작사했다.[1] 이 노래는 와라이 여성들을 중심으로 하며, 그들에 대한 고정관념을 영속화한다.[1] "와라이 여성은 죽음 앞에서도 도망가지 않는다"와 "그러나 와라이 여성은 다르다, 우리는 누구도 두려워하지 않는다"와 같은 가사는 와라이 사람들을 강하고 싸움닭 같은 존재로 묘사하는 것을 강화한다.[1] 이 노래는 와라이 여성을 강하고, 난폭하며, 심술궂은 존재로 묘사한다.[1] 어사 키트는 필리핀을 포함한 국제 무대에서 "와라이 와라이"를 공연했으며, 이 곡은 필리핀 여성 정체성에 대한 광범위한 담론의 일부가 되었다.[1]
6. 생활
와라이족은 스페인 시대에 농부로서 단순하게 사는 것에 만족하고 코코넛 즙으로 투바를 만드는 것으로 인해 종종 게으르다고 불리기도 했다. 이들은 음악, 특히 구애 춤인 ''쿠라차''에 대한 사랑으로도 유명하다.
6. 1. 농업
코코넛은 와라이족에게 가장 중요한 작물이자 주요 수입원이다. 주요 농산물로는 쌀과 옥수수가 있으며, 사탕수수, 마닐라삼, 담배도 재배된다. 카사바와 카모테(고구마)는 보조적인 주요 작물로 재배된다. 파인애플, 바나나, 망고를 비롯한 기타 과일은 연중 재배되며, 많은 채소와 땅콩도 재배된다. 팔라완이라고 알려진 뿌리 작물은 사마르와 레이테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레이테는 바나나의 주요 생산지이다.6. 2. 어업
와라이족의 생계는 농업과 어업에 크게 의존하며, 다양한 해산물을 얻을 수 있다.[1]필리핀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에서도 토착 와인을 생산한다.[1] 코코넛 야자에서 추출한 "투바", 야자나무에서 추출한 "마냥"(북사마르주에서 흔히 볼 수 있음), 발효된 쌀로 만든 팡아시 등이 대표적이다.[1]
6. 3. 전통주
와라이족은 농업과 어업에 크게 의존하며, 다양한 해산물을 구할 수 있다. 필리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 지역에서도 토착 와인을 생산한다. 가장 흔한 와인은 코코넛 야자에서 추출한 투바, 야자나무에서 추출한 "마냥"(북사마르 주에서 흔히 볼 수 있음), 발효된 쌀로 만든 팡아시 등이 있다.[1]7. 교육
타클로반 시에는 필리핀 대학교 비사야스 타클로반 칼리지 분교, 레이테 칼리지, 레이테 사범대학교가 있다. 이 지역에는 동사마르 주립대학교, 동비사야스 주립대학교, 사마르 주립대학교를 포함한 여러 주립대학교가 있으며, 부지 면적과 교육 과정 모두에서 이 지역에서 가장 큰 필리핀 동부 대학교는 북사마르 주 카타르만에 있다. 또한 과거 성심 칼리지였던 성 마리아 칼리지 오브 카트발로간과 사마르 칼리지와 같은 (서부) 사마르에도 다른 칼리지들이 있다. 과거 티부르시오 탄킨코 기념 과학 기술 연구소와 사마르 농림 전문대학이었던 노스웨스트 사마르 주립대학교는 기술 및 비즈니스 커뮤니티에 필요한 과정을 제공한다.
8. 유명 와라이족
- 보이 아분다
- 이멜다 마르코스 (전 영부인)
참조
[1]
웹사이트
Ethnicity in the Philippines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c[...]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3-07-04
[2]
웹사이트
Waray {{!}} Ethnic Groups of the Philippines
http://www.ethnicgro[...]
2023-05-17
[3]
웹사이트
Language Prayer Profile: Waray
https://globalrecord[...]
2023-05-17
[4]
웹사이트
201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Report No. 2A: Demographic and Housing Characteristics (Non-Sample Variables) - Philippines
https://psa.gov.ph/s[...]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20-05-19
[5]
웹사이트
Waray-Waray {{!}} peopl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5-17
[6]
서적
Prehispanic Source Materials for the Study of Philippine History
https://books.google[...]
New Day Publishers
1984
[7]
서적
People of the Tropical Rain Fores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01-01
[8]
웹사이트
Visayan Deities in Philippine Mythology • THE ASWANG PROJECT
https://www.aswangpr[...]
2023-07-13
[9]
웹사이트
NPA camp seized by government troops in Northern Samar
https://samarnews.co[...]
2023-07-06
[10]
서적
A Country of our Own: Partitioning the Philippines
Los Angeles, CA: Bisayâ Books
[11]
웹사이트
Partitioning the Philippines - Is It Desirable? Is It Realistic? A
http://aparc.fsi.sta[...]
2024-05-03
[12]
간행물
14. Eartha Kitt's "Waray Waray": The Filipina in Black Feminist Performance Imaginary
http://dx.doi.org/10[...]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4-04-30
[13]
웹사이트
Waray's Mistaken Identity
https://www.research[...]
[14]
뉴스
Bill filed to stop naming rob gangs after hometowns
https://newsinfo.inq[...]
[15]
웹사이트
The War in Samar · The Philippines and the University of Michigan, 1870-1935 · Philippines
https://philippines.[...]
2024-05-03
[16]
논문
The Never Ending War in the Wounded Land: The New People's Army on Samar
https://ccsenet.org/[...]
2013-11-11
[17]
웹사이트
Waray People of Samar and Leyte: History, Culture and Arts, Customs and Traditions [Indigenous Tribes {{!}} Philippines Ethnic Group]
https://www.yodisphe[...]
2023-05-16
[18]
논문
The Waray Culture of the Philippines
https://www.academia[...]
[19]
웹사이트
A Brief On The State of Creative Writing in Eastern Visayas
https://www.scribd.c[...]
2023-05-17
[20]
웹사이트
Kuratsa dance
http://www.ichcap.or[...]
2019-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