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 야스트렘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 야스트렘스키는 1939년생으로, 1961년부터 1983년까지 보스턴 레드삭스에서만 23년간 활약한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이다. 그는 통산 3,419안타를 기록하며, 3번의 타격왕, 1번의 홈런왕, 1번의 타점왕, 1967년 아메리칸 리그 MVP를 수상했다. 7번의 골드 글러브를 수상했으며, 통산 18번 올스타에 선정되었다. 1989년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현재는 레드삭스 이동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3000 안타 클럽 - 토니 그윈
    토니 그윈은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서 20시즌 동안 활약하며 8번의 내셔널리그 타격왕과 15번의 올스타에 선정된 메이저리그 역사상 위대한 타자 중 한 명으로, 2007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고 그의 등번호는 영구결번되었으며 은퇴 후 야구 감독과 해설가로 활동하다 침샘암으로 사망했다.
  • 3000 안타 클럽 - 알렉스 로드리게스
    알렉스 로드리게스는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로, 아메리칸 리그 MVP 3회, 홈런왕 5회를 기록하고 2009년 월드 시리즈에서 우승했으며, 은퇴 후 야구 해설가 및 사업가로 활동한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최우수 선수 - 켄 그리피 주니어
    켄 그리피 주니어는 뛰어난 타격과 수비, 골드 글러브 수상, 홈런왕, MVP 수상, 아버지와 함께 역사적인 기록을 세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전설적인 야구 선수로, 2016년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스타전 최우수 선수 - 게리 카터
    게리 카터는 1974년부터 1992년까지 메이저 리그에서 활동한 캐나다 출신 포수로, 몬트리올 엑스포스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치며 올스타, 골드 글러브, 실버 슬러거 등을 수상했고 뉴욕 메츠의 월드 시리즈 우승에 기여했으며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나 2012년 뇌종양으로 사망했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지명 타자 - 오타니 쇼헤이
    오타니 쇼헤이는 일본 프로야구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 투수와 타자 모두 뛰어난 실력을 보여주며 MVP를 수상하고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운 이도류 야구 선수이다.
  •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지명 타자 - 올랜도 세페다
    올랜도 세페다는 푸에르토리코 출신의 전 메이저 리그 야구 선수로,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서 활약하며 신인왕, MVP, 9회 올스타 선정, 통산 379홈런, 1365타점 등의 뛰어난 기록을 남겼고, 명예의 전당 헌액 및 영구 결번 지정의 영예를 안았다.
칼 야스트렘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76년의 칼 야스트렘스키
포지션좌익수 / 1루수
타석좌타
송구우투
출생일1939년 8월 22일
출생지미국 뉴욕주사우샘프턴
데뷔 리그MLB
데뷔일1961년 4월 11일
데뷔 팀보스턴 레드삭스
최종 리그MLB
최종일1983년 10월 2일
최종 팀보스턴 레드삭스
타격 성적
타율.285
안타3,419
홈런452
타점1,844
선수 경력
보스턴 레드삭스 (1961–1983)
수상 경력
올스타18회 (1963, 1965–1979, 1982, 1983)
AL MVP1967년
트리플 크라운1967년
골드 글러브상7회 (1963, 1965, 1967–1969, 1971, 1977)
AL 타격왕3회 (1963, 1967, 1968)
AL 홈런왕1967년
AL 타점왕1967년
명예의 전당
링크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
유형국가
입성 년도1989년
득표율94.6% (첫 투표)
기타 정보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8번 (영구 결번)
보스턴 레드삭스 명예의 전당있음

2. 메이저 리그 데뷔 이전

뉴욕주 사우스햄튼에서 폴란드계 가정에서 태어났다. 애칭인 "Yaz"로 불렸으며, 소년 시절에는 지역 팀인 뉴욕 양키스의 팬으로 양키스에서 뛰는 것을 꿈꿨다.

2. 1. 유년 시절

칼 야스트렘스키는 1939년 8월 22일, 뉴욕주 사우스햄튼 (뉴욕)에서 태어났다.[56][1] 그의 부모는 폴란드계로 감자 농장을 운영했으며, 아버지의 이름은 칼, 어머니의 이름은 해티 스코니에츠니였다.[1] 그는 "Yaz"라는 애칭으로도 불렸다. 어린 시절부터 이중 언어 구사자였던 그는 아버지의 농장에서 자랐고, 아버지와 함께 지역 야구팀에서 활동하기도 했다.[1] 그는 리틀 리그 야구를 했으며, 훗날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최초의 리틀 리그 선수이기도 하다.[6][7][8]

브릿지햄튼 학교에 진학한 야스트렘스키는 야구, 농구, 풋볼 등 다양한 스포츠에서 재능을 보였다.[56] 특히 농구에서는 1957년 628득점을 기록하며 짐 브라운이 가지고 있던 롱아일랜드 고교 농구 최다 득점 기록을 경신하기도 했다.[57] 하지만 풋볼은 너무 위험하다는 아버지의 판단에 따라 그만두었다.[57]

어린 시절 지역 팀인 뉴욕 양키스의 팬이었으며 양키스에서 뛰는 것을 꿈꿨다고 한다. 고등학교 졸업반 시절 양키스가 4만달러의 계약 보너스를 제시하며 스카우트를 제의했지만, 더 높은 금액을 원했던 그의 아버지는 이를 거절했다.[57] 결국 고등학교 졸업 후 농구 장학금으로 노틀담 대학교에 진학하여 야구와 농구를 병행하던[57][1] 야스트렘스키는, 10.8만달러의 보너스를 제안한 보스턴 레드삭스와 계약하며 프로 야구 선수 생활을 시작하게 되었다.[57]

2. 2. 마이너리그 시절

1959년 보스턴 레드삭스에 입단하여 캐롤라이나 리그의 롤리 캐피탈스(Raleigh Capitals)에서 활동을 시작한 야스트렘스키는 그 해 .377의 타율로 리그 수위를 차지하면서, 리그 MVP와 신인상을 휩쓸었다.[56] 이후 곧바로 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트리플A팀인 미니애폴리스 밀러스(Minneapolis Millers)로 승격된 야스트렘스키는, 1960년 .339의 타율로 또 다시 리그 수위 타이틀을 거머쥐게 되고,[58] 결국 이듬해인 1961년 야스트렘스키는 메이저 리그로 승격되었다.

3. 메이저 리그 시절 (1961년~1983년)

뉴욕 양키스와 같은 강팀에서는 주전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 판단하고, 라이벌 구단인 보스턴 레드삭스를 선택하여 입단했다. 1961년 메이저 리그에 데뷔한 그는 좌익수 포지션을 맡게 되었는데, 이는 전년도에 은퇴한 레드삭스의 전설적인 타자 테드 윌리엄스가 오랫동안 지켰던 자리였다.

야스트렘스키는 윌리엄스의 뒤를 이을 선수로 기대를 모으며 꾸준히 성장했다. 1963년 타율 .321로 첫 아메리칸 리그 수위 타자 타이틀을 차지했으며, 1967년에는 타율 .326, 44홈런, 121타점을 기록하며 타격 3관왕이라는 대기록을 세웠다. 그의 눈부신 활약에 힘입어 전년도 리그 9위에 머물렀던 레드삭스는 극적인 아메리칸 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임파서블 드림(Impossible Dream)" 시즌을 만들었다. 하지만 1967년 월드 시리즈에서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 패했고, 1975년 다시 진출한 1975년 월드 시리즈에서도 신시내티 레즈에 패하며 월드 시리즈 우승과는 인연을 맺지 못했다. 1968년에는 타율 .301로 다시 한번 수위 타자에 오르는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다.

1983년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에서 은퇴하기까지, 23년의 선수 생활 전부를 보스턴 레드삭스 한 팀에서만 보냈다.

3. 1. 초기 (1961년~1966년)

1961년 메이저 리그 팀인 보스턴 레드삭스로 승격된 야스트렘스키는 본래 포지션인 유격수 대신 좌익수를 맡게 되었다.[1] 이 좌익수 자리는 전년도까지 레드삭스 역사상 최고의 타자 중 한 명이자 마지막 4할 타자로 알려진 테드 윌리엄스가 19년 동안 지켰던 자리였기에, 야스트렘스키는 그의 후계자로서 큰 부담감을 안고 시작해야 했다.[2][54] 그는 타격 능력뿐만 아니라, 펜웨이 파크의 그린 몬스터를 잘 활용하는 강한 어깨를 가진 뛰어난 수비수임을 증명하며 윌리엄스와 차별화되는 모습을 보였다.[14][15]

데뷔 첫해 5월까지 타율 .220에 그치며 우려를 낳기도 했으나, 점차 페이스를 찾아 .266의 타율로 시즌을 마감했다.[54][52]홈런은 전 보스턴 레드삭스 투수 제리 카잘을 상대로 기록했다.[13] 이듬해인 1962년에는 타율을 .296까지 끌어올렸다.[52]

1963년에는 타율 .321을 기록하며 자신의 첫 아메리칸 리그 수위 타자 타이틀을 차지했고, 2루타볼넷 부문에서도 리그 1위에 오르며 최우수 선수 투표에서 6위를 기록하는 등 떠오르는 스타로 부상했다.[59][16][17]

1965년에는 처음으로 20홈런을 넘기며(20개) .312의 타율을 기록했고, 5월 14일 펜웨이 파크에서 열린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는 사이클링 히트를 달성하기도 했다.[57][60] 하지만 팀 보스턴 레드삭스는 62승 100패라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며, 1932년 이후 처음으로 100패 시즌을 맞는 최악의 한 해를 보냈다.[57][60]

1966년에는 타율 .278, 16홈런, 80타점을 기록했고, 팀은 리그 9위에 머물렀다. 야스트렘스키는 이 시즌이 끝난 후 오프 시즌 동안, 당시에는 보편적이지 않았던 웨이트 트레이닝에 집중하며 다음 시즌을 준비했다.[61]

3. 2. 1967년: 트리플 크라운과 아메리칸 리그 우승

1967년은 칼 야스트렘스키에게 최고의 시즌이었다. 웨이트 트레이닝을 통해 신체를 강화하고 타격 자세(스탠스)를 변화시킨 야스트렘스키는 4월 한 달 동안 .295의 타율과 2홈런을 기록한 후 본격적인 질주를 시작했다. 5월 말이 되자 그는 타율, 홈런, 타점의 트리플 크라운 세 부문 모두에서 10위권 안에 드는 성적을 올렸다. 그 해 올스타전에서는 6번 타석에 들어서 5번 출루했으며, 7월 16일에는 21호 홈런을 쳐내며 이미 자신의 한 시즌 최고 홈런 기록을 경신했다.[61]

시즌 마지막 2경기를 남겨두고 야스트렘스키는 타율과 타점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었고, 홈런 부문에서는 43개로 미네소타 트윈스하먼 킬러브루와 공동 선두였다. 다음 경기에서 두 선수 모두 홈런을 기록하면서 공동 1위(44개)로 시즌을 마감하게 되었다.[54] 이로써 야스트렘스키는 타율 .326, 홈런 44개, 타점 121개로 아메리칸 리그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4] 이는 2012년 미겔 카브레라가 달성하기 전까지 메이저 리그 타자의 마지막 트리플 크라운 기록이었다. 야스트렘스키는 이 외에도 득점, 최다 안타, 출루율, 장타율에서도 1위를 기록하며 주요 타격 부문 7관왕에 올랐고, 거의 만장일치에 가까운 지지(한 명의 투표자만 트윈스의 세사르 토바르에게 투표)를 받으며 그 해 AL 최우수 선수(MVP)로 선정되었다.[62][5] 그의 12.4 WAR는 베이브 루스의 1927년 시즌 이후 최고 기록이었다.[18]

야스트렘스키의 이러한 눈부신 활약은 전년도 리그 9위에 그쳤던 보스턴 레드삭스를 기적적인 리그 우승으로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다. 이 시즌은 레드삭스에게 "불가능한 꿈(Impossible Dream)" 시즌으로 불리는데, 이는 뮤지컬 ''라만차의 사나이''의 히트곡 제목에서 따온 것이다. 레드삭스는 1946년 이후 처음으로 시즌 마지막 날 아메리칸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19] 치열한 4팀의 우승 경쟁 속에서 야스트렘스키는 시즌 마지막 2주(12경기) 동안 타율 .523(44타수 23안타)에 5홈런 16타점을 기록하며 팀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미네소타 트윈스보다 단 1경기 앞서게 했다.[61][19][20] 특히 1경기 차로 뒤진 채 맞이한 리그 선두 미네소타 트윈스와의 최종 2연전은 결정적이었다. 1차전에서 야스트렘스키는 스리런 홈런 포함 4타수 3안타 4타점을 기록했고, 2차전에서는 동점 2타점 적시타 포함 4타수 4안타를 기록하는 대활약을 펼쳤다. 우승을 놓고 치른 이 두 경기에서 그는 8타수 7안타 6타점을 기록하며 팀의 21년 만의 리그 우승을 견인했다.[61]

비록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와 맞붙은 월드 시리즈에서는 NL 최고의 투수 중 한 명이었던 밥 깁슨에게만 3승을 내주며 7차전 끝에 패배하여 밤비노의 저주를 푸는 데는 실패했지만,[21] 야스트렘스키는 시리즈에서도 타율 .400(10안타), 3홈런, 5타점, 4볼넷으로 변함없는 활약을 펼쳤다.[53] 시즌 후 그는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의 올해의 스포츠맨, AP 통신의 올해의 남자 운동선수, 그리고 최고의 프로 운동선수에게 수여되는 히콕 벨트 등을 수상했다.[57][21]

보스턴 레드삭스의 1967년 시즌은 DJ 제스 케인에 의해 'Impossible Dream'이라는 앨범으로 제작되었는데, 이 앨범에 수록된 곡 '야즈라 불린 사나이(The man they call Yaz)'는 야스트렘스키를 지칭한 것으로, 2005년 개봉한 영화 '날 미치게 하는 남자'에 삽입되기도 했다.[53] 야스트렘스키는 1967년 11월 ''SPORT'' 잡지에 기고한 글에서 보스턴의 놀라운 시즌 성공의 공을 딕 윌리엄스 감독과 리코 페트로셀리, 토니 코니글리아로 등 젊은 선수들의 활약 덕분으로 돌렸다. 그는 윌리엄스 감독에 대해 "그는 모든 개성을 없애고, 우리를 팀으로 만들었고, 우리에게 동기를 부여했으며, 우리가 이기고 싶게 만들었다"고 평가했다.[22]

3. 3. 중후기 (1968년~1983년)

1968년, 야스트렘스키는 .301의 타율로 자신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타격왕 타이틀을 획득했다.[63] 이는 메이저 리그 역사상 타격왕 중 가장 낮은 타율로 기록되었는데, 당시 시즌은 극심한 투고타저 현상을 보인 '투수의 해'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밥 깁슨은 1.12라는 경이적인 평균자책점으로 '라이브 볼' 시대 최저 기록을 세웠다.[64] 이 해 아메리칸 리그의 평균 타율은 .230에 불과했으며, 일부 세이버 매트리션들은 1968년 야스트렘스키의 .301 타율이 1930년 빌 테리가 기록한 .401과 비슷한 가치를 지닌다고 분석하기도 했다.[65] 그는 이 해 아메리칸 리그에서 유일하게 3할 이상을 기록한 타자였으며, 출루율과 볼넷 부문에서도 리그 1위를 차지했다.[23]

1969년에는 처음으로 2년 연속 40홈런 시즌을 달성하며 팀을 3위로 이끌었다. 1970년에는 신시내티 리버프론트 스타디움에서 열린 올스타전에서 4타수 4안타를 기록하는 맹활약을 펼쳐, 아메리칸 리그가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올스타전 MVP로 선정되었다.[60][24] 이는 1966년 브룩스 로빈슨에 이어 패배한 팀 소속으로 MVP를 수상한 두 번째 사례였다. 또한 그해 득점(125), 출루율(.452), 장타율(.592)에서 리그 1위를 차지했고, 개인 통산 최고인 .3286의 타율을 기록했으나, 캘리포니아 에인절스의 알렉스 존슨 (.3289)에게 불과 0.0003 차이로 아쉽게 타격왕 자리를 내주었다.[57][25]

1970년대 초반, 야스트렘스키는 손 부상과 영구적인 어깨 부상을 겪으며 타격 파워와 생산성이 감소했고, 특유의 타격 자세에도 변화를 주게 되었다. 이로 인해 1971년부터 1974년까지 4년간 총 61개의 홈런만을 기록했지만, 팀은 두 번의 2위와 두 번의 3위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그는 1973년과 1974년에 타율 10위 안에 들었고, 출루율과 볼넷에서는 3위 안에 들었으며, 1974년에는 득점 부문 리그 1위를 차지하는 등 꾸준한 활약을 이어갔다.[26][27]

야스트렘스키가 타이거 스타디움에서 타격하고 있다


1975년 올스타전에서는 아메리칸 리그가 3-0으로 뒤진 6회, 주자 2명을 두고 대타로 나와 톰 시버를 상대로 타격 헬멧 없이 첫 투구에 동점 3점 홈런을 쏘아 올렸다.[28] 이는 그날 아메리칸 리그의 유일한 득점이었고, 경기는 6-3 패배로 끝났다. 같은 해, 야스트렘스키는 챔피언십 시리즈(CS)에서 .455의 타율을 기록하며 팀을 다시 한번 월드시리즈로 이끌었다. 월드시리즈에서도 .310의 타율로 분전했지만,[53] '빅 레드 머신'이라 불리던 강력한 신시내티 레즈에게 7차전 접전 끝에 패배하며 또다시 우승 반지를 놓쳤다.[29] 그는 7차전 마지막 타석에서 중견수 플라이 아웃으로 물러났다.[30]

1976년 5월 19일, 타이거 스타디움에서 열린 디트로이트 타이거스와의 경기에서 한 경기 3개의 홈런을 기록했고, 이어진 양키 스타디움에서의 뉴욕 양키스 전에서 2개의 홈런을 추가하며 2경기 연속 5홈런이라는 MLB 타이 기록을 세웠다.[60][32][33][34]

1978년, 보스턴 레드삭스는 정규 시즌 마지막 8경기를 모두 승리하며 뉴욕 양키스와 동부 지구 우승을 놓고 펜웨이 파크에서 단판 타이브레이커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당시 39세로 리그에서 다섯 번째로 나이가 많았던[35] 야스트렘스키는 이 경기에서 그해 25승 3패, 평균자책점 1.74를 기록하며 사이 영 상을 수상한 좌완 에이스 론 기드리를 상대로 선제 솔로 홈런을 터뜨리는 등 분투했다.[65][31] 이는 기드리가 그 시즌 좌타자에게 허용한 유일한 홈런이었다. 그러나 버키 덴트의 역전 홈런 등으로 결국 레드삭스는 패배했고,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했다. 공교롭게도 야스트렘스키는 이 경기에서도 3루수 파울 플라이 아웃으로 마지막 아웃카운트의 주인공이 되었다.[31] 이 패배 이후 그는 더 이상 우승 반지에 도전할 기회를 얻지 못하고 1983년 은퇴했다.

야스트렘스키가 펜웨이 파크에서 타격을 하고 있다(1979년경)


1979년, 야스트렘스키는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의 마이크 모건을 상대로 통산 400호 홈런을 기록했고, 같은 해 9월 12일 펜웨이 파크에서 열린 뉴욕 양키스와의 경기에서 짐 비티를 상대로 안타를 쳐내며 통산 3,000안타 고지에 올랐다. 이로써 그는 아메리칸 리그 역사상 최초로 3,000안타와 400홈런을 동시에 달성한 선수가 되었다.[57][60][36] 이 기록은 훗날 칼 립켄 주니어가 달성하기 전까지 아메리칸 리그 유일의 기록으로 남아 있었다.

1982년에는 주로 지명 타자로 출전하며 시즌 초반 좋은 타격감을 보여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표지를 장식하기도 했고, 그해 올스타전에 다시 한번 선정되었다. 그는 1983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했다.

3. 4. 은퇴

1989년 보스턴 레드삭스의 영구 결번으로 지정된 야스트렘스키의 등번호 8번


야스트렘스키는 1983년 시즌을 끝으로 44세의 나이에 은퇴했다.[37] 이로써 그는 메이저 리그 23년의 선수 생활 전부를 보스턴 레드삭스 한 팀에서만 보냈는데, 이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만 23년을 뛴 브룩스 로빈슨과 함께 메이저 리그 단일 팀 최장 활동 기록이다.[54][2] 그는 자서전 ''Yaz''에서 시즌 중반의 긴 슬럼프에 지쳐 원래 계획했던 1984년 시즌 출전을 포기했다고 밝혔다. 또한 만약 로저 클레멘스가 얼마나 위대한 투수가 될지 알았다면, 그와 함께 뛸 기회를 갖기 위해 1984년에도 선수 생활을 이어갔을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의 마지막 통산 기록은 3,308경기(역대 2위이자 단일 팀 최다), 3,419안타, 646 2루타, 452 홈런, 1,844타점, 타율 0.285이다.[1] 야스트렘스키는 아메리칸 리그 선수로는 최초로 3,000안타와 400홈런을 동시에 달성한 선수이기도 하다(이후 칼 립켄 주니어가 달성).[38] 그는 통산 18번 올스타에 선정되었다.[1]

2008년 펜웨이 파크에서 사인하는 야스트렘스키


은퇴 후 야스트렘스키는 그 시대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아, 1989년 명예의 전당 투표 자격이 생긴 첫 해에 94.63%의 높은 득표율로 헌액되었다.[66][38] 같은 해 8월 6일, 레드삭스는 그의 등번호 8번을 영구 결번으로 지정했다.[39] 1999년에는 ''스포팅 뉴스''가 선정한 '100명의 위대한 야구 선수' 목록에서 72위에 올랐고,[40] 같은 해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올-센추리 팀 최종 후보에도 선정되었다.[41]

야스트렘스키는 은퇴 후에도 레드삭스와의 인연을 이어갔다. 조니 페스키와 함께 2004년 월드 시리즈 우승 배너를 펜웨이 파크에 게양했으며,[44] 2004년, 2007년, 2013년, 2018년 월드 시리즈 1차전에서 시구를 맡는 영광을 누렸다.[45] 공교롭게도 그가 시구한 해에 레드삭스는 모두 월드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그는 현재 레드삭스의 이동 강사로 활동하고 있다.[45] 2008년 8월에는 매사추세츠 종합 병원에서 성공적으로 관상동맥 우회술을 받았다. 2013년 9월 23일, 레드삭스는 펜웨이 파크 외부에 그의 동상을 세워 그의 업적을 기렸다. 2019년 9월 17일에는 펜웨이 파크에서 열린 자이언츠와의 경기에서 시구자로 나섰는데, 당시 자이언츠 소속이던 그의 손자 마이크 야스트렘스키가 공을 받아 화제가 되었다.[51]

4. 은퇴 이후

보스턴 레드삭스의 영구 결번으로 1989년 지정.]]

1989년, 자격 첫 해에 미국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같은 해 8월 6일, 명예의 전당 헌액을 기념하여 야스트렘스키의 등번호 '''8'''번은 보스턴 레드삭스의 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다.

야스트렘스키의 야구 유산은 가족에게도 이어졌다. 그의 손자 마이크 야스트렘스키는 볼티모어 오리올스 팜 팀을 거쳐 2019년 3월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로 트레이드되었고, 같은 해 5월 25일 메이저 리그에 데뷔했다.[48] 9월 17일, 마이크는 자이언츠 소속으로 할아버지의 홈 구장이었던 펜웨이 파크에서 첫 경기를 치렀다.[49]

2012년, 디트로이트 타이거스미겔 카브레라가 45년 만에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하자, 야스트렘스키는 "팀을 지구 우승으로 이끄는 가운데 달성한 것을 축하하고 싶다. 나도 리그 우승을 한 레드삭스의 일원으로서 달성할 수 있어서 행복했다"라고 말하며 축하의 메시지를 전했다.

2019년 9월 17일, 펜웨이 파크에서 열린 자이언츠레드삭스 경기에서 시구자로 나섰는데, 포수는 그의 손자인 마이크 야스트렘스키(당시 자이언츠 소속)가 맡아 감동적인 장면을 연출했다.[51]

'''주요 수상 내역'''

횟수수상 연도
시즌 MVP1회1967년
골드 글러브상 (외야수 부문)7회1963년, 1965년, 1967년 - 1969년, 1971년, 1977년
해치상1회1967년
타격 삼관왕1회1967년
올스타 게임 MVP1회1970년


5. 선수로서의 특징

야스트렘스키는 뛰어난 타격 능력뿐만 아니라 수비에서도 훌륭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특히 좌익수로서의 수비 실력은 같은 포지션의 전설적인 선수였던 테드 윌리엄스를 능가한다는 평가를 받았다.[53] 그는 홈구장인 펜웨이 파크의 좌측 펜스, 그린 몬스터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정교한 수비를 펼쳤다. 이러한 수비 능력 덕분에 7번의 골드 글러브를 수상했으며, 외야수 어시스트 부문에서도 7차례나 리그 1위를 기록했다.[53] 그는 상대 주자를 속이는 노련한 플레이로도 유명했는데, 예를 들어 펜웨이 파크의 벽을 향해 날아가는 플라이볼을 처리할 때 마치 벽 바로 앞에서 잡을 것처럼 행동하다가 마지막 순간에 돌아서서 바운드된 공을 처리하여 주자들이 추가 진루를 시도하지 못하게 하거나, 시도할 경우 정확한 송구로 아웃시키는 플레이를 선보였다.

타격에서는 1968년 .301의 타율로 개인 통산 세 번째이자 마지막 타격왕 타이틀을 차지했다.[63] 이는 메이저 리그 역사상 가장 낮은 타율의 타격왕 기록인데, 당시가 극심한 투고타저 시즌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그해 아메리칸 리그 평균 타율은 .230에 불과했다.[64][65] 1970년에는 올스타전에서 4타수 4안타를 기록하며 아메리칸 리그가 패배했음에도 불구하고 올스타전 MVP에 선정되었다.[60] 또한 1979년 9월 12일에는 통산 3,000안타를 달성하여, 이미 기록 중이던 400홈런과 함께 AL 최초로 3,000안타-400홈런 클럽에 가입했다.[57][60] 이 기록은 후에 칼 립켄 주니어가 달성하기 전까지 AL 유일의 기록이었다. 야스트렘스키는 단 한 번도 한 시즌 200안타를 기록하지 못했음에도 통산 3,419개의 안타를 기록했으며, 이는 그의 꾸준함을 보여주는 기록이다.[54] 그는 타격 시 배트를 매우 높이 들어 올려 크고 극적인 스윙을 하는 것으로 유명했으나, 선수 생활 말년에는 왼쪽 어깨 부상의 영향으로 배트를 더 낮게 잡는 등 타격 자세를 조정하기도 했다. 이 부상으로 인해 예전처럼 모든 방향으로 홈런을 치기 어려워졌고, 주로 당겨치는 홈런이 많아졌다고 자서전에서 밝혔다.

야스트렘스키는 40세가 넘어서도 꾸준한 훈련을 통해 기량을 유지했으며, 1983년 44세의 나이로 은퇴하기까지 23년의 선수 생활 전부를 보스턴 레드삭스에서만 보냈다.[37][54] 이는 볼티모어 오리올스에서만 23년을 뛴 브룩스 로빈슨과 함께 메이저 리그 역사상 단일 팀에서 가장 오랜 기간 선수 생활을 한 기록이다.[54][2] 그는 통산 3,308경기(경기 수)(역대 2위이자 단일 팀 최다)에 출전하여 3,419안타(역대 8위), 646개의 2루타, 452홈런, 1,844타점, 타율 .285, 1,845볼넷(역대 7위)을 기록했다.[1] 그의 등번호 8번은 1989년 보스턴 레드삭스영구 결번으로 지정되었으며, 같은 해 명예의 전당 투표 자격 첫 해에 94.63%의 높은 득표율로 헌액되었다.[66][39]

6. 기타

7. 상세 기록

2017 시즌 종료 기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기록에서 칼 야스트렘스키는 한 팀에서 뛴 경기 수 1위, 통산 경기 수 2위, 타수 3위, 볼넷 6위, 2루타 8위, 안타 9위, 루타 9위, 장타 13위, 타점 14위에 랭크되어 있다.[1]

구분GABRH2B3BHRRBITBXBHSBCSBBAVGOBPSLGFLD%
통산3,30811,9881,8163,419646594521,8445,5391,1571681161,845.285.379.462.988


7. 1. 연도별 타격 성적

wikitext

연도소속경기타석타수득점안타2루타3루타홈런루타타점도루도루자희생번희생플볼넷고의4사구삼진병살타율출루율장타율OPS
1961년BOS148643583711553161123180652550339619.266.324.396.721
1962년160719646991914361930394742266738227.296.363.469.832
1963년151668570911834031427168851195617212 .321 .418.475.894
1964년151646567771642991525667651175629030.289.374.451.825
1965년133571494781544532026572762470815816.312 .395 .536 .932
1966년1606805948116539216256808901841016017.278.368.431.799
1967년161680579112189314443601211081591114695 .326 .418 .6221.040
1968년157664539901623222326774136041191329012 .301 .426.495 .922
1969년162707603961542824030611115702101919114.255.362.507.870
1970년161697566125186290403351022313021281216612.329 .452 .5921.044
1971년14862050875129212151997087051061216014.254.381.392.772
1972년125535455701201821217868540967344413.264.357.391.748
1973년15265254082160254192509597161051305819.296.407.463.870
1974년1486335159315525215229791270111041634812.301.414.445.859
1975년1496345439114630114220608402871226714.269.371.405.776
1976년1556365467114623221236102561880616712.267.357.432.790
1977년150643558991652732828210211101173614010.296.372.505.877
1978년14461152370145212172218145187683449.277.367.423.790
1979년147590518691402812123387330862824612.270.346.450.796
1980년10541236449100211151685002134450389.275.350.462.812
1981년913903383683141712053010349402810.246.338.355.693
1982년131523459531262211619872010359125012.275.358.431.789
1983년1194373803810124010155560001541122913.266.359.408.767
통산:23년33081399111988181634196465945255391844168116131051845190401393323.285.379.462.841


  • '''굵은 글씨'''는 시즌 최고 성적.


2017 시즌 종료까지,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역대 기록에서 칼 야스트렘스키는 한 팀에서 뛴 경기 수 1위, 통산 경기 수 2위, 타수 3위, 볼넷 6위, 2루타 8위, 안타 9위, 루타 9위, 장타 13위, 타점 14위에 랭크되어 있다.[1]

7. 2. 연도별 수비 성적










경기자

살보

살실

책병

살수

율1964보스턴 레드삭스-205011.00019683141011.000-19692218121229.990-19709469661862.990-19724235733434.990-197310791256685.994313763122.89319748470744267.997-19751401202875103.996-19769482952278.998-19777576041.000-19785038741347.993-19795146655242.996-19801616010419.977-19813935334326.992-198214116100121.000-19832221011.000-MLB765645951241610.994333768123.897



; 외야 수비

연도구단좌익 (LF)중견 (CF)우익 (RF)
경기









경기









경기









1961보스턴 레드삭스1462491191.967--
196216032716113.969--
19631512841763.98010000-----
19641628110.96713233714103.972-
19651231911132.9859250001.00020000----
19661573071552.98510000-----
19671612891371.977130001.000-
19681543021223.99413010.750-
19691402371742.984490001.000-
197067115440.96736020.750-
19711462811724.993--
1972831431041.97510000-----
197315350001.000--
19746399241.962--
19758151001.000--
19765195320.980--
197713828516011.000-220001.000
197864122722.9857141001.000-
19793456120.966280001.000-
198034613011.000110001.000430001.000
1982-230001.000-
198310000------
MLB191235211776827.98216540915133.970850001.000

7. 3. 타이틀/수상 경력



1963년 처음으로 타율 .321을 기록하며 수위 타자에 올랐고, 리그 최다 안타(183), 최다 2루타(40), 최고 출루율(.418)도 함께 기록했다. 이 해 첫 골드 글러브상을 수상했다.[4] 1965년에는 리그 최다 2루타(45)와 함께 최고 출루율(.395), 최고 장타율(.536), 최고 OPS(.932)를 기록하며 두 번째 골드 글러브상을 받았다.[4]

1967년은 그의 커리어 하이 시즌으로, 타율 .326, 44홈런, 121타점을 기록하며 아메리칸 리그 타격 3관왕을 달성했다.[1][2] 이 해 그는 타격 부문 대부분에서 리그 1위를 차지했는데, 최다 득점(112), 최다 안타(189), 최다 홈런(44), 최다 루타(360), 최다 타점(121), 최고 타율(.326), 최고 출루율(.418), 최고 장타율(.622), 최고 OPS(1.040)를 기록했다. 이 해 세 번째 골드 글러브상도 수상했다.[4]

1968년에는 타율 .301로 다시 수위 타자가 되었는데, 이는 MLB 역사상 가장 낮은 타율의 수위 타자 기록이었다.[1][2] 이 해에도 리그 최고 출루율(.426)과 최고 OPS(.922)를 기록하며 네 번째 골드 글러브상을 받았다.[4] 이후 1969년, 1971년, 1977년에도 골드 글러브상을 추가하며 통산 7번의 수상을 기록했다.[4]

그 외에도 여러 시즌에 걸쳐 리그 상위권 성적을 꾸준히 기록했다. 1970년에는 리그 최다 득점(125), 최다 루타(335), 최고 출루율(.452), 최고 장타율(.592), 최고 OPS(1.044)를, 1974년에는 리그 최다 득점(93)과 최고 출루율(.414)을 기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 Stats https://www.baseball[...] 2021-09-01
[2] 서적 Rawlings Presents Big Stix: The Greatest Hitters in the History of the Major Leagues https://books.google[...] Sports Publishing LLC 2004
[3]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 http://baseballhall.[...]
[4] 웹사이트 1967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5] 웹사이트 1967 Awards Voting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6] 웹사이트 From Little League to the Major Leagues http://www.littlelea[...] 2016-08-28
[7] 뉴스 From humble beginnings https://news.google.[...] 2021-09-01
[8] 웹사이트 21 Little Leaguers in the Baseball Hall of Fame https://www.littlele[...] 2021-09-01
[9] 웹사이트 Official Yastrzemski Web Bio http://www.yaz8.com/[...] 2008-07-25
[10] 웹사이트 2017 Register Batting Leaders https://www.baseball[...]
[11] 웹사이트 Minneapolis Millers history http://stewthornley.[...] 2008-07-25
[12] 웹사이트 Yaz won Triple Crown https://www.espn.com[...] 2008-07-25
[13] 서적 Boston Red Sox: Where Have You Gone? 2005
[14]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 Baseball Biography https://baseballbiog[...] 2008-07-25
[15] 웹사이트 MLB American League Gold Glove Award Winners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16] 웹사이트 1963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17] 웹사이트 1963 Awards Voting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18] 웹사이트 baseball-reference https://www.baseball[...]
[19] 웹사이트 1967 American League Season Summary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20] 간행물 Triple Crown Season in '67 Marked High Point for Yaz https://books.google[...] 1992-08
[21] 웹사이트 1967 World Series – St. Louis Cardinals over Boston Red Sox (4-3)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22]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 – Behind the Red Sox Turnaround – SPORT magazine http://www.thesportg[...] 2008-07-25
[23] 웹사이트 1968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24] 웹사이트 1970 All-Star Game Box Score, July 14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25] 웹사이트 1970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26] 웹사이트 1973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27] 웹사이트 1974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28] 웹사이트 1975 All-Star Game Box Score, July 15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29] 웹사이트 1975 World Series - Cincinnati Reds over Boston Red Sox (4-3)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30] 웹사이트 1975 World Series Game 7, Cincinnati Reds at Boston Red Sox, October 22, 1975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31] 웹사이트 New York Yankees at Boston Red Sox Box Score, October 2, 1978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32] 웹사이트 Boston Red Sox at Detroit Tigers Box Score, May 19, 1976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33] 웹사이트 'Yastrzemski Recalls His Most Memorable Games' https://books.google[...] 1981-09
[34] 웹사이트 Boston Red Sox at New York Yankees Box Score, May 20, 1976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35] 웹사이트 1978 American League Awards, All-Stars, & More Leaders - Baseball-Reference.com https://www.baseball[...]
[36] 서적 "Catfish, Yaz, and Hammerin' Hank: The Unforgettable Era that Transformed Baseball" https://archive.org/[...] Triumph Books 2005
[37] 뉴스 Yaz: The most popular man who ever wore the uniform of the Olde Towne Team https://news.google.[...] 1983-10-03
[38] 웹사이트 History: Retired Numbers http://www.mlb.com/b[...]
[39] 웹사이트 Boston's all time retired numbers https://www.mlb.com/[...] 2023-04-25
[40]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 at ''The Sporting News'' 100 Greatest Baseball Players http://archive.sport[...]
[41] 웹사이트 The All-Century Team http://mlb.mlb.com/m[...]
[42]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 - INDUCTION BANQUET PROGRAM STORY — June 5, 1986 http://polishsportsh[...] 2013-10-02
[43] 서적 TJ: My Twenty-Six Years in Baseball Bantam
[44] 웹사이트 With Rings and Then a Rout, It's a Great Day for the Red Sox https://www.nytimes.[...] 2021-07-16
[45] 뉴스 Carl Yastrzemski throws ceremonial first pitch of World Series https://www.wcvb.com[...] 2018-10-23
[46] 웹사이트 Mike Yastrzemski Minor League Statistics & History https://www.baseball[...] 2019-05-25
[47] 뉴스 Ex-Gibbons standout M. Yastrzemski dies https://www.newspape[...] 2019-05-25
[48] 웹사이트 Giants call up Yastrzemski's grandson https://www.mlb.com/[...] 2019-05-25
[49] 웹사이트 Mike Yaz: Homer in Fenway debut 'super special' https://www.espn.com[...] 2020-07-22
[50]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s first pitch to Mike is another really special moment https://www.knbr.com[...] 2020-07-22
[51] 웹사이트 殿堂入りの祖父と、ルーキーの孫による始球式 感動の瞬間に「だから野球は最高だ」 https://full-count.j[...]
[52]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 at Baseball Reference http://www.baseball-[...]
[53] 웹사이트 김형준 칼럼, 레전드 스토리 15, '영원한 캡틴' 야스트렘스키 https://news.naver.c[...]
[54] 웹사이트 Rawlings Presents Big Stix: The Greatest Hitters in the History of the Major Leagues http://books.google.[...]
[55] 웹사이트 1967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at Baseball Reference http://www.baseball-[...]
[56] 웹인용 Official Yastrzemski Web Bio http://www.yaz8.com/[...] 2008-07-25
[57] 웹인용 Yaz won Triple Crown http://espn.go.com/c[...] 2008-07-25
[58] 웹인용 Minneapolis Millers history http://stewthornley.[...] 2008-07-25
[59] 웹사이트 1963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at Baseball Reference http://www.baseball-[...]
[60] 웹사이트 Yastrzemski Recalls His Most Memorable Games http://books.google.[...]
[61] 웹사이트 Triple Crown Season in '67 Marked High Point for Yaz http://books.google.[...]
[62] 웹사이트 1967 American League Most Valuable Player Award voting resultsa at Baseball Reference http://www.baseball-[...]
[63] 웹사이트 1968 American League Batting Leaders at Baseball Reference http://www.baseball-[...]
[64] 웹사이트 1968 National League Pitching Leaders at Baseball Reference http://www.baseball-[...]
[65] 웹인용 The Ballplayers - Carl Yastrzemski http://www.baseballl[...] 2008-07-25
[66]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 at the Baseball Hall of Fame http://baseballhall.[...]
[67] 웹사이트 Carl Yastrzemski at The Major League Baseball All-Century Team http://mlb.mlb.com/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