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라브라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라브라 왕조는 타밀 지역에서 3세기부터 6세기까지 존재했던 왕조로, 기원과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이들은 남인도, 카르나타, 또는 칼라르 족장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칼라브라 시대는 "칼라브라 과도기"로 불리며, 힌두 사원 기부 중단, 브라만 박해, 불교와 자이나교 지원 등으로 묘사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명확한 증거는 부족하다. 풀란쿠리치 비문과 벨비쿠디 증여 비문이 주요 금석문 자료이며, 동전에는 브라흐미 문자와 다양한 이미지가 새겨져 있다. 6세기 중반 지중해 무역에서 인도 항구에 대한 언급이 사라진 것은 칼라브라의 타밀라캄 정복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칼라브라는 불교, 자이나교, 아지비카교 등의 종교를 후원했으며, 붓다다타의 저술과 초기 타밀 서사시인 실라파티카람, 마니메칼라이가 이들의 후원 하에 쓰였다. 결국 찰루키아, 판디아, 팔라바 왕조에 의해 멸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밀계 군주국 - 촐라 제국
9세기 중반부터 13세기 말까지 남인도를 중심으로 번성한 촐라 제국은 비자얄라야에 의해 건국되어 라자라자 1세와 라젠드라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맞이하며 해상 무역을 장악했지만, 찰루키아 왕조와의 전쟁과 판디아 왕조의 부상으로 쇠퇴하여 13세기 말에 멸망한 타밀족의 해양 제국이다. - 타밀계 군주국 - 판디아 왕조
판디아 왕조는 기원전 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남인도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존재하며, 로마 등과 무역을 통해 번영하고 힌두교를 숭배하며 상감 문학을 발전시켰으나, 델리 술탄국의 침략 등으로 멸망한 타밀 왕조이다. - 타밀나두주의 역사 - 체라 왕조
기원전 3세기경 건국되어 1102년에 멸망한 체라 왕조는 촐라, 판디아 왕국과 충돌 및 화친을 반복했으며, 칼라브라 왕국에 의해 멸망 후 재건되기도 하고 고대 문헌에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 고대 왕조이다. - 타밀나두주의 역사 - 판디아 왕조
판디아 왕조는 기원전 3세기부터 14세기까지 남인도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존재하며, 로마 등과 무역을 통해 번영하고 힌두교를 숭배하며 상감 문학을 발전시켰으나, 델리 술탄국의 침략 등으로 멸망한 타밀 왕조이다. - 인도의 왕조 - 난다 제국
난다 제국은 기원전 345년경 마가다 왕국을 멸망시키고 마하파드마 난다에 의해 건국되어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북인도 대부분 지역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기원전 321년경 찬드라굽타 마우리아에 의해 멸망했다. - 인도의 왕조 - 세나 왕조
세나 왕조는 11세기 남부 데칸고원에서 시작하여 벵골 지방에서 강국으로 성장했지만, 1202년 고르 왕조의 공격으로 쇠퇴하여 13세기 중반 멸망했으며, 힌두교를 중시하고 벵골어 문학 발전에 기여했다.
칼라브라 왕조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통칭 | 칼라브라 왕국 |
일반 명칭 | 칼라브라 |
존속 시작 | 3세기 |
존속 종료 | 6세기 |
이전 국가 | 세 왕관을 쓴 왕조 고대 타밀라캄 |
이후 국가 | 팔라바 왕조 판디아 왕조 |
![]() | |
수도 | 카베리품파티남 마두라이 |
공용어 | 타밀어 프라크리트어 팔리어 |
종교 | 불교 자이나교 |
정치 체제 | 군주제 |
역사 | |
건국 | 250년 |
멸망 | 600년 |
2. 기원과 정체성
칼라브라의 기원과 정체성은 확실하지 않다. 여러 이론에 따르면, 칼라브라는 남인도에서 세력을 떨치기 전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언덕 부족이었을 수 있다.[9] 콩구 역사가 폰 디판카르가 해석한 Vettuva Gounder 공동체의 역사 문서는 이전에는 타밀 나두의 지역 부족이었던 피라말라이 칼라르[10]가 칼라브라였다는 것을 보여준다.[11]
칼라브라 왕조의 기원과 정체성은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여러 학설에 따르면, 이들은 남인도에서 세력을 떨치기 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언덕 부족이었을 가능성이 있다.[9] 콩구 역사가 폰 디판카르의 해석에 따르면, 타밀 나두 지역 부족이었던 피라말라이 칼라르[10]가 칼라브라였다는 기록도 있다.[11] 또 다른 이론으로는 타밀어를 사용하는 지역(현재의 남동부 카르나타카) 북쪽 출신의 카르나타였거나,[5][6] 카르카르타르 공동체의 칼라팔라르 또는 칼라바르 족장이었다는 설도 있다.[3] 칼라브라 또는 칼람바는 칼라바(=칼라르) 또는 카담바와 동일시되기도 한다.[12]
다른 이론에 따르면, 칼라브라는 타밀어를 사용하는 지역(현대 남동부 카르나타카) 북쪽 출신의 카르나타였거나,[5][6] 어원학적 근거로 보아 카르카르타르 공동체의 칼라팔라르 또는 칼라바르 족장이었을 수 있다.[3] 칼라브라 또는 칼람바는 칼라바(=칼라르) 또는 카담바와 동일시된다.[12]
쿨케와 로터문트에 따르면 칼라브라의 "기원이나 부족 소속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13] 이들의 통치는 "칼라브라 과도기"라고 불린다.[13]
3. 역사
쿨케와 로터문트에 따르면 칼라브라의 기원이나 부족 소속은 알려진 바가 없으며, 이들의 통치 시기를 "칼라브라 과도기"라고 부른다.[13] 이들은 수 세기 후에 쓰여진 타밀 힌두 학자들의 기록에서 비난을 받았다.[9] 이 때문에 칼라브라 통치자들이 힌두 사원에 대한 기부를 중단하고 브라만들을 박해했으며, 불교와 자이나교를 지원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나왔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명확한 문헌 증거는 부족하다.[9][13] 다만, 10세기 자이나교 문법 텍스트에 칼라브라 왕 아추타 비칸타의 시가 인용된 것은 이들이 자이나교를 후원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증거로 제시되기도 한다.[13]
붓다닷타의 비타밀어 불교 텍스트인 ''비나야비니차야''는 5세기 타밀 지역에서 쓰여졌다. 슈 히코사카는 붓다닷타가 이 팔리어 텍스트에서 "촐라 국가의 푸타마리카람"을 언급한다고 말한다.[14] 칼 포터는 ''인도 철학 백과사전: 기원전 360년부터 650년까지의 불교 철학''에서 여러 학자들이 5세기의 붓다닷타를 카베리 강 근처의 촐라 왕국에 위치시킨다고 언급한다.[15] 아루나찰람은 이 텍스트의 팔리어 원고에 아추타비칸테 칼람바쿨라난데라는 이름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아추타비칸테는 칼라브라 왕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팔리어 ''비나야비니차야'' 원고에는 그 이름이 없고, 칼라브라고 쓰여 있어 칼라브라일 가능성도 있다.[16]
붓다닷타는 자신의 수기(''비나야비니차야''의 ''니가마나가타'', 3179절)에서 자신의 후원자를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18]
:아추트' 아추타비칸테 칼람바쿨라난데 마힌 사마누사산테 아라드도 카 사마피토.sa
:불멸의 아추타비칸테 시대에, 칼람바 가문의 자부심이 이 작품이 완성되었다.한국어
10세기 CE의 자이나교 시인이자 야파룽갈람과 야파룽갈라카라이의 저자인 암리타사가라도 아추타 비크란타에 대해 언급했다.[21][22] 후대 작품인 타밀어 나발라르 카리타이의 몇몇 구절은 아쿠타 비크란타를 찬양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구절들은 체라, 촐라, 판디아 세 왕이 포로로 잡혔을 때 아추타 왕에게 경의를 표하는 모습을 묘사한다.[23][24]
버튼 스타인에 따르면, 칼라브라 과도기는 비농민(부족) 전사들이 타밀 지역의 비옥한 평원을 지배하려 한 시도로, 이단적 인도 종교(불교와 자이나교)의 지원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25] 이는 브라만교(힌두교) 농민과 도시 엘리트의 박해로 이어졌을 수 있으며, 이후 칼라브라를 제거하고 권력을 되찾은 이들이 보복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5] 반면, R.S. 샤르마는 "칼라브라를 국가에 대한 농민 반란의 한 예"로 간주하는 정반대의 이론을 제시한다.[26][27] 레베카 달리는 "칼라브라 통치의 사건이나 본질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다"는 점 때문에 이러한 이론들이 모두 한계를 가진다고 지적한다.[26]
3. 1. 금석문 자료
칼라브라 왕조의 존재를 증명하는 주요 금석문 자료로는 풀란쿠리치 비문과 벨비쿠디 증여 구리판 비문이 있다.
3. 1. 1. 풀란쿠리치 비문
가장 오래된 칼라브라 비문은 체단 쿠란(쿠트란) 왕의 풀란쿠리치(타밀나두) 비문으로 서기 270년에 새겨졌다. 이 비문은 타밀어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비문 중 하나이며, 길이는 15m가 넘는다. 비문은 왕국의 행정 구역과 베다 제사, 사원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학자 카밀 즈벨레빌은 이 비문의 언어가 톨카피얌과 상감 텍스트에 사용된 고전 타밀어와 거의 동일하다고 지적한다.
3. 1. 2. 벨비쿠디 증여 비문
칼라브라 왕조의 존재를 보여주는 중요한 금석문 증거는 8세기 벨비쿠디 증여 구리판 비문이다.[29] 이 비문은 칼라브라 멸망 후 최소 200년 후에 제작되었으며, 시바 신에 대한 기도, 그란타 문자로 작성된 산스크리트어, 바테루투 문자로 작성된 타밀어로 구성되어 있다.
비문의 내용은 칼라브라 왕이 넓은 땅을 차지하고 여러 왕들을 몰아냈지만, 팡디야 왕 카둥곤이 나타나 칼라브라를 물리치고 왕국을 재건했음을 보여준다.[29] 이후 비문은 카둥곤을 이은 팡디야 왕조와 촐라 왕조의 세대를 언급하고, 비문이 작성될 당시(약 770년) 통치한 왕 네둔자다이얀을 언급한다.
이 비문은 칼라브라가 일정 기간 존재했고, 팡디야 왕국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정복했으며, 브라만(들)의 토지를 빼앗았다가 팡디야에게 패배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역사적 기록으로 해석되기도 한다.[30]
칼라브라의 정체성에 대해서는 여러 이론이 존재한다.3. 2. 화폐학적 증거
칼라브라 시대에 발굴된 동전을 연구한 결과, 각 동전의 양면에는 프라크리트어로 된 다양한 브라흐미 비문과 이미지가 새겨져 있었다. 일반적으로 동전에는 호랑이, 코끼리, 말, 물고기 아이콘이 표시되었다. 굽타는 "희귀한 표본"에서 앉아 있는 자이나교 수도승 또는 불교의 문수보살, 또는 짧은 칼이나 만(卍)자 기호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시대의 다른 동전에는 타밀어 또는 프라크리트어로 된 비문과 함께 힌두교 신과 여신의 이미지가 새겨져 있다. 굽타에 따르면, 동전에 프라크리트어를 사용한 것은 칼라브라의 타밀어 기원이 아님을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33] 다른 학자들은 동전의 연대와 해석, 동전의 기원, 무역의 영향, 자이나교 및 불교 도상의 희귀성에 대해 회의적이다.[34][35]
중동 및 지중해 고고학 및 역사 학자인 티모시 파워에 따르면, 동전과 문헌 기록은 5세기까지 무지리스와 같은 지중해, 중동 및 남인도 항구 간의 지속적인 무역을 증명하지만, 6세기 중반경부터 지중해 문헌에서 인도 항구에 대한 언급이 갑자기 사라진다.[36]
3. 3. 무역의 암흑시대
티모시 파워(Timothy Power)에 따르면, 동전과 문헌 자료들은 5세기까지 무지리스와 같은 지중해, 중동 및 남인도 항구 간의 지속적인 무역을 증명하지만, 6세기 중반경부터 지중해 문헌에서 인도 항구에 대한 언급이 갑자기 사라진다.[36] 이러한 "암흑 시대"는 6세기에 칼라브라스가 타밀라캄을 정복한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이 폭력의 시대와 무역 항구 폐쇄는 아마도 6세기 전반에 걸쳐 약 75년 동안 지속되었을 것이다.[36]
4. 종교와 문학
칼라브라 왕조의 종교와 문학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추측과 해석이 존재한다. 칼라브라의 종교적 성향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불교와 자이나교를 후원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붓다닷타는 5세기 타밀 지역에서 ''비나야비니차야''와 같은 불교 텍스트를 저술했으며,[14] 그의 수기에서 자신의 후원자를 "칼람바 가문의 자랑, 불멸의 아추타비칸테"라고 묘사하여 아추타비칸테가 칼라브라 왕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16][39]
칼라브라 시대에는 실라파티카람(자이나교)과 마니메칼라이(불교)와 같은 초기 타밀어 서사시가 쓰여졌다.[44] 또한, 자이나교 학자들은 마두라이에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티루쿠랄을 포함한 다양한 언어로 텍스트를 저술했다.[45]
4. 1. 종교적 성향
칼라브라의 종교적 성향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칼라브라가 불교와 자이나교를 후원하고 베다-힌두교를 억압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으나, 이를 뒷받침하는 확실한 텍스트적 증거는 부족하다.[9]붓다닷타의 비타밀어 불교 텍스트인 ''비나야비니차야''는 5세기 타밀 지역에서 쓰여졌으며,[14] 이 텍스트의 팔리어 원고에는 아추타비칸테 칼람바쿨라난데라는 이름이 포함되어 있어 아추타비칸테가 칼라브라 왕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16] 붓다닷타는 그의 수기에서 자신의 후원자를 "칼람바 가문의 자랑, 불멸의 아큐타비칸테"라고 묘사하고 있다.[39]
붓다닷타의 기록에 따르면, 칼라브라 시대에 불교가 번성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카베리파티남을 "순수한 가문에서 온 남녀가 붐비는 사랑스러운" 도시로 묘사하며, 그곳에 벤후다사(비슈누다사)가 세운 아름다운 수도원이 있었다고 기록했다.[40] 칼라브라는 부타망갈라와 초기 촐라의 수도인 카베리파티남과 같은 지역에 불교 사원 건립을 장려했다.[37]
4. 2. 문학 활동
붓다다타 (5세기)의 저술에서 알 수 있듯이 불교는 번성했는데, 그는 카베리 강 유역에서 ''비나야비니차야''와 아비담마바타라와 같은 일부 매뉴얼을 썼다.[37] ''비나야비니차야''의 ''니가마나가타''에서 붓다타는 부타망갈람이라는 마을의 카베리 강 유역에 있는 '벤후다사'(비슈누다사)가 세운 수도원에 머물면서 이 작품을 썼다고 묘사한다.[38] 그는 그의 후원자를 팔리어로 "칼람바 가문의 자랑, 불멸의 아큐타비칸테"(''Accut' Accutavikkante Kalambakulanandane'')라고 묘사한다.[39]실라파티카람(자이나교)과 마니메칼라이(불교)는 칼라브라의 후원 하에 쓰여진 초기 쌍둥이 타밀어 서사시이다.[44] 피터슨은 칼라브라의 후원 동안 자이나교 학자들이 마두라이에 아카데미를 설립하고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프라크리트어, 타밀어로 텍스트를 썼다고 말한다. 여기에는 고대 타밀어 고전인 티루쿠랄이 포함되는데, 이 책은 육식을 비난하며( 브라만 시인 카필라르가 상감 문학에서 육식가로 묘사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자이나교의 초석 중 하나),[45] 타밀 서사시, 장단편 헌시가 포함된다.[46] 피터슨에 따르면, 이러한 텍스트 중 일부는 타밀 지역의 다양한 인도 종교 간의 "대화와 상호 관용"의 그림을 그리고 있다.
5. 왕조의 멸망
칼라브라 왕조의 통치가 어떻게 끝났는지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팔라바 왕 심하비슈누와 판디아 왕 카둥곤이 타밀 지역을 통합하고 칼라브라 왕조를 비롯한 다른 세력들을 몰아냈다는 많은 증거들이 존재한다.[3] 심하비슈누는 기원후 575년경 크리슈나 강 남쪽에서 카베리 강까지 자신의 왕국을 통합했다. 카베리 강 남쪽에서는 판디아 왕조가 권력을 잡았다. 촐라는 팔라바의 부하가 되었고, 이미 라얄라시마의 텔루구 지역을 통치하고 있었다. 수 세기 동안 타밀 지역의 정치적 지형을 지배했던 칼라브라 통치는 찰루키아, 판디아, 팔라바에 의해 패배하며 종말을 고했다.[3] 이는 6세기 이후의 수많은 비문뿐만 아니라, 기원후 640년경 인도 아대륙의 다른 지역과 함께 타밀 지역을 방문했던 불교 순례자 현장의 중국어 기록에서도 입증된다.[47] 현장은 약 10,000명의 승려가 대승 불교를 공부하고 있는 약 100개의 수도원, 그리고 수백 개의 힌두교 사원이 있는 칸치푸람이 불교 기관 없이 학술 토론을 벌이는 평화로운 국제적인 지역을 묘사하고 있다. 현장은 칼라브라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48][49]
참조
[1]
서적
Freud's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8-08-06
[2]
서적
Early History of the Deccan and Miscellaneous Historical Essays
https://books.google[...]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3]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alabrians from Rome, might have lived, invaded or were part of Choke peoples (Seljuks).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4]
서적
The Geopolitical Orbits of Ancient India: The Geographical Frames of the Ancient Indian Dynasties
https://books.google[...]
OUP India
2023-01-16
[5]
서적
History of the Kannada Language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6]
서적
Early Tamil Epigraph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Sixth Century A.D.
https://books.google[...]
Cre-A
2003
[7]
서적
Proceedings of the Second Annual Conference
https://archive.org/[...]
South Indian History Congress
[8]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9]
서적
The Penguin History of Early India: From the Origins to AD 1300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16-09-07
[10]
서적
குருகுகுல வரலாறு
http://archive.org/d[...]
1934
[11]
서적
Madras District Gazetteers Salem Vol I Part I
http://archive.org/d[...]
1918
[12]
서적
IOrigin of Saivism and Its History in the Tamil Land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13]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9-07
[14]
서적
Buddhism in Tamilnadu: A New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Asian Studies
[15]
서적
Buddhist Philosophy from 350 to 600 A.D.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vt. Limited
[16]
서적
A Handbook of Pali Literatur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7]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South Asia
https://dsal.uchica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8
[18]
서적
THE COLAS, SECOND EDITION
G. S. Press, Madras
[19]
서적
GEOGRAPHICAL ESSAYS RELATING TO ANCIENT GEOGRAPHY OF INDIA
BHARATIYA PUBLISHING HOUSE
[20]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Buddhism. 51. Nepal
Anmol Publications
[21]
서적
Early Chōla Art: Origin and Emergence of Style
Navrang
[22]
서적
Ancient India
S. Chand
[23]
서적
Madurai Through the Ages From the Earliest Times to 1801 A.D
Society for Archaeological, Historical, and Epigraphical Research
[24]
서적
Drama in Ancient Tamil Society
New Century Book House
[25]
서적
Peasant State and Society in Medieval South Indi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6]
서적
Negotiating Cultural Identity: Landscapes in Early Medieval South Asian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7]
간행물
Problems of Peasant Protest in Early Medieval India
[28]
서적
Studies in Religion and Change
Books & Books
[29]
서적
Epigraphia Indica, Volume XVII
https://books.google[...]
Archaeological Society of India
[30]
서적
The World's Religions After September 11
https://books.google[...]
ABC-CLIO
[31]
서적
History of Kannada language: readership lectures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16-09-08
[32]
서적
Epigraphia Indica vol.17
Government of India
[33]
서적
Geography from ancient Indian coins & seals
https://books.google[...]
Concept Pub. Co.
2016-09-07
[34]
서적
The Journal of the Numismatic Society of India, Volume 58
https://books.google[...]
Numismatic Society of India
[35]
서적
Original sources for the history of Tamilnad: from the beginning to c. A.D. 600
https://books.google[...]
Ennes
[36]
서적
The Red Sea from Byzantium to the Caliphate: AD 500-1000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37]
서적
Glimpses of Art, Architecture, and Buddhist Literature in Ancient India
Abhinav Publications, 1987
[38]
서적
The Kalabhras in the Pandiya Country and Their Impact on the Life and Letters There
University of Madras, 1979
[39]
서적
Indological Studies, Vol 3
Ganganatha Jha Research Institute, 1954
[40]
서적
The March of India, Vol 8
Publications Divisio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Broadcasting, 1956
[41]
문서
Veermani Pd. Upadhyaya Felicitation Volume by Veermani Prasad Upadhyaya
[42]
문서
Buddhism in Tamil Nadu: collected papers
[43]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Buddhism. 51. Nepal
Anmol Publications, 1997
[44]
서적
Ancient Tamil Country: Its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
Navrang, 1991
[45]
서적
Tamil Culture as Revealed in Tirukkural
Makkal Ilakkia Publications
[46]
서적
The Social Philosophy of Tirukkural
Affiliated East-West Press
[47]
서적
The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The Rosen Publishing Group
[48]
서적
A History of Ind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49]
서적
Buddhism among Tamils in pre-colonial Tamilakam and Īlam: Prologue. The Pre-Pallava and the Pallava period
https://books.google[...]
Almqvist & Wiksell
[50]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alabrians from Rome, might have lived, invaded or were part of Choke peoples (Seljuks).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51]
서적
The Geopolitical Orbits of Ancient India: The Geographical Frames of the Ancient Indian Dynasties
https://books.google[...]
OUP India
2023-01-16
[52]
서적
History of the Kannada Language
https://books.google[...]
Asian Educational Services
[53]
서적
Early Tamil Epigraphy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Sixth Century A.D.
https://books.google[...]
Cre-A
2003
[54]
서적
Proceedings of the Second Annual Conference
https://archive.org/[...]
South Indian History Congress
[55]
서적
A History of Ancient and Early Medieval India: From the Stone Age to the 12th Century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