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칼만 (헝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칼만은 1095년부터 1116년까지 헝가리의 국왕이었다. 그는 게저 1세의 아들이자 라슬로 1세의 조카로, 십자군과의 갈등, 크로아티아 정복, 형제 알모스와의 권력 다툼 등 복잡한 통치 시기를 보냈다. 칼만은 법률을 제정하고 헝가리 사회를 개혁했으며, 비잔틴 제국과의 관계를 통해 세력을 확장했다. 그는 1116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아들 이슈트반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70년 출생 - 위그 드 파앵
    위그 드 파앵은 12세기 초 예루살렘에서 성지 순례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창설된 성전 기사단의 초대 단장이며, 1118년 8명의 기사와 함께 기사단을 창설하여 세력을 확장하다가 1136년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1070년 출생 - 알자마카샤리
    알자마카샤리는 1074년에 태어나 1144년에 사망한 이슬람 학자이며, 꾸란에 정통하여 《알 카샤프》를 저술하고 아랍어 문법과 수사학 연구에 기여했다.
  • 1116년 사망 - 오연총
    오연총은 고려 예종 때 요나라와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여진 정벌에서 윤관의 부원수로 활약했으며, 신기군 징발 조건 완화와 서경 궁궐 창건 반대 등의 정치적 행보를 보이다가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내고 문양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116년 사망 - 고영창
    고영창은 발해인 출신으로 1116년 요나라에 반기를 들고 대원국을 건국했으나 금나라의 공격으로 패배하여 처형된 인물이다.
  • 11세기 헝가리 사람 - 이슈트반 1세
    이슈트반 1세는 헝가리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헝가리 기독교화와 통일을 이룩하고 1000년 또는 1001년에 왕국을 건국했으며, 1083년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11세기 헝가리 사람 - 언드라시 1세
    언드라시 1세는 1046년부터 1060년까지 헝가리를 통치한 국왕으로, 이교도 반란을 통해 왕위에 오른 후 기독교 질서를 회복하려 노력했으나, 헝가리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해 동생과의 다툼 끝에 사망했다.
칼만 (헝가리)
기본 정보
야노슈 투로치 연대기에 묘사된 콜로만
야노슈 투로치의 "헝가리 연대기"에 묘사된 콜로만
칭호헝가리 왕
통치 기간1096년 – 1116년 2월 3일
헝가리 대관식1096년 봄, 세케슈페헤르바르
선임 통치자러요시 1세
후임 통치자이슈트반 2세
칭호크로아티아 왕
통치 기간1097년 – 1116년 2월 3일
크로아티아 대관식1102년, 비오그라드
선임 통치자페타르 스나치치
후임 통치자이슈트반 2세
배우자펠리치아 디 시칠리아
배우자예우피미야 블라디미로브나
자녀소피아
자녀이슈트반 2세
왕가아르파드 왕조
아버지게저 1세
어머니소피아
출생기원전 1070년경
사망일1116년 2월 3일
매장지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
종교로마 가톨릭교
이름
헝가리어Könyves Kálmán
크로아티아어Koloman
슬로바키아어Koloman Učený
추가 정보
별칭학자왕

2. 생애

칼만은 게저 1세의 장남으로, 1070년경에 태어났다. 아버지 게저 1세가 1077년 사망하자, 헝가리의 왕위 계승 전통에 따라 게저의 동생 라슬로 1세가 왕위를 이었다. 칼만과 동생 알모스는 삼촌 라슬로 1세의 궁정에서 자랐다.

라슬로 1세는 아들이 없었고, 딸 피로슈카만이 있었다. 그는 알모스를 후계자로 삼고 칼만을 주교로 임명하려 했다. 칼만은 성직자 교육을 받고 '문인'으로 불렸지만, 1095년 라슬로 1세가 알모스를 후계자로 정하자 폴란드로 도망쳤다. 이후 폴란드 귀족의 지원을 받아 귀국했고, 라슬로 1세가 사망한 직후 알모스와의 합의를 통해 1096년 초 왕위에 올랐다.[36]

칼만은 즉위 직후 헝가리를 통과하는 십자군 문제에 직면했다. 고티에 생사부아와 은자 피에르가 이끄는 십자군은 헝가리에서 약탈을 자행했고, 칼만은 군대를 파견하여 이들을 진압했다. 이후 고드프로이 드 부용과의 협상을 통해 십자군의 평화로운 통과를 허용했다.[11]

1097년 봄, 칼만은 교황과의 동맹을 위해 시칠리아의 루제로 1세 백작의 딸 펠리치아와 결혼했다. 같은 해, 페타르 스바치치(Petar Svačić)와의 그보즈드 산 전투에서 승리하여 크로아티아를 정복했다.[12] 1102년 비오그라드나모루에서 크로아티아 왕으로 즉위, 크로아티아-헝가리 동군연합을 수립했다.[27]

칼만은 동생 알모스와 왕위 계승 분쟁을 겪었다. 1105년 칼만이 아들 이슈트반 2세를 왕세자로 임명하자 알모스는 반란을 일으켰으나 실패하고 헝가리로 귀환했다. 1108년 알모스가 성지 순례를 떠난 사이 칼만은 알모스의 공작령을 압수했다. 이후에도 알모스는 신성 로마 제국의 지원을 받아 반란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칼만은 알모스와 그의 아들 벨러 2세의 눈을 멀게 하여 왕위 계승을 확실히 했다.[29]

칼만은 학문과 문학을 장려했으며, 그의 궁정은 학문의 중심지였다. 타르칼 회의에서 법률을 개정하고 유대인과 이슬람교도에 대한 조항을 포함한 새로운 법령을 발효했다.[37]

1115년 베네치아 공화국달마티아를 침공했을 때, 칼만은 병으로 인해 대응하지 못했다. 1116년 2월 3일 사망하여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에 안장되었다.[30]

2. 1. 어린 시절

게저 1세와 그의 첫 번째 아내인 소피(에모 판 룬 백작의 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35] 1077년 4월 게저 1세가 사망한 이후, 왕의 아들보다 나이가 많은 왕가의 연장자가 왕위를 계승한다는 헝가리 왕가의 규정에 따라 게저 1세의 동생 라슬로 1세가 헝가리 국왕으로 즉위했다. 칼만은 동생 알모시 공작과 함께 삼촌의 궁중에서 성장했다.

칼만의 삼촌 라슬로 1세는 피로슈커 왕녀만 두었을 뿐 아들은 없었다. 이 때문에 라슬로 1세는 알모시를 후계자로 여겼고 칼만이 로마 가톨릭교회 주교가 되기를 원했다.[35] 칼만은 왕세자 시절에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의 전통을 따르는 교육을 받았고, 그 결과 ''문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14세기부터 15세기 사이에 작성된 헝가리 연대기에 따르면, 칼만은 라슬로 1세 국왕으로부터 에게르(Eger) 또는 너지바러드(Nagyvárad, 현재의 루마니아 오라데아) 주교로 활동했다. 1095년 라슬로 1세가 알모시를 공식적인 후계자로 결정했다는 소식을 듣고 폴란드로 도망쳤지만, 폴란드 귀족들의 지원을 통해 헝가리로 귀환했다.[36]

2. 2. 십자군과의 갈등

칼만은 헝가리 국왕에 즉위한 이후 헝가리를 경유하는 십자군 문제에 직면했다.[7] 1096년 5월 고티에 생자부아가 이끄는 십자군 부대는 평화적으로 헝가리를 경유했지만 제문 요새를 점령하고 약탈을 자행했다. 이에 칼만은 무장한 군인들을 파견하여 생자부아의 십자군 부대를 정벌했다. 뒤를 이어 헝가리를 경유한 은자 피에르의 십자군 부대는 제문 인근까지 진격했다가 퇴각했다.[8]

1096년 9월, 십자군을 지휘하고 있던 고드프루아 드 부용은 헝가리 쇼프론에서 칼만을 만나 십자군의 헝가리 경유 문제에 관한 협상을 진행했다. 고드프루아 드 부용은 칼만과의 협상을 통해 자신이 지휘하는 십자군 부대가 평화적으로 도나우강을 경유하겠다는 약속을 받아냈다.[11]

2. 3. 크로아티아 정복

칼만은 1097년 교황과의 동맹을 위해 시칠리아의 루제로 1세 백작의 딸 펠리치아와 결혼했다.[1] 페타르 스바치치(Petar Svačić)와의 그보즈드산(Gvozd) 전투에서 승리하여 크로아티아를 정복했다.[1] 1102년 크로아티아 귀족들이 칼만을 크로아티아 국왕으로 인정하는 조약을 체결, 크로아티아-헝가리 동군연합이 수립되었고 칼만은 비오그라드나모루에서 크로아티아 국왕으로 즉위했다.[1]

A medieval manuscript
14세기 ''Pacta conventa'' 사본


1097년 칼만은 크로아티아를 침공했다.[12] 라디슬라우스 1세는 이미 크로아티아 대부분을 점령했지만, 마지막 토착 왕 페타르 스나치치는 말라 카펠라 산맥에서 저항했다.[12] 페타르 스나치치는 그보즈드 산 전투에서 칼만의 군대와 싸우다 전사했다.[12] 헝가리군은 아드리아 해에 도달, 주요 항구 비오그라드 나 모루를 점령했다.[12]

1102년 칼만은 비오그라드 나 모루에서 크로아티아 왕으로 즉위했다.[21] 13세기 토마스 대주교는 크로아티아와 헝가리의 통합이 정복의 결과라고 기록했다.[21] 그러나 14세기 말 ''Pacta conventa''는 12명의 주요 크로아티아 귀족과 합의 후 즉위했다고 전한다.[21] 이 문서의 진위 여부는 학술적 논쟁 대상이다.[21] 팔 엔겔에 따르면, 문서가 위조라도 내용은 중세 크로아티아의 특별한 지위와 관련하여 현실과 일치한다.[21] (예: 외국 침략 시 크로아티아 귀족은 드라바 강까지 자비로만 참전)[21][22]

1102년 봄, 칼만은 크로아티아에서 크로아티아 귀족 대표들과 팍타 콩벤타(Pacta Conventa)에 합의했다.[27] 이는 칼만과 후손이 크로아티아를 헝가리와 별개 왕국으로 통치하고, 특권과 관습을 이해할 것을 약속하는 내용이었다.[27] 이 합의에 따라 칼만은 비오그라드나모루에서 크로아티아 왕으로 즉위했다.[27]

2. 4. 형제와의 갈등

1105년 칼만이 자신의 아들인 이슈트반 2세를 왕세자로 임명하자, 칼만의 동생인 알모시 공작은 무장 반란을 일으켰다.[1] 알모시 공작은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5세에게 헝가리를 침공해 줄 것을 요청했지만, 하인리히 5세는 신성 로마 제국에서 일어난 왕위 계승 분쟁을 이유로 거절했고 알모시 공작은 1106년에 헝가리로 귀환하게 된다.[1]

1108년에는 알모시 공작이 거룩한 땅 순례에 나섰다. 칼만은 그의 부재를 틈타 그의 공작령을 압수했다. 알모스가 자신의 사유 재산을 유지하도록 허용되었지만, 그의 공작령의 병합은 칼만의 왕국 전체의 권위를 확보했다.[26] 성지에서 돌아온 알모시는 도메스에 수도원을 세웠다. 칼만도 참석한 이 수도원 봉헌식에서 알모스는 ''채색 연대기''에 따르면 군주를 암살하려 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칼만은 그의 형제를 체포했지만, "가장 존경받는 주교들과 다른 호의적인 고위 인사들"이 알모스를 위해 개입하여 "왕과 그의 형제 사이의 화해가 엄숙히 맹세되었다".[26]

도메스 수도원 봉헌식에서 칼만과 그의 형제 알모스의 화해 (''채색 연대기''에서)


알모시는 파사우로 떠나 독일의 하인리히 5세를 만났다. 알모스의 요청에 따라 하인리히 5세는 헝가리를 침공하여 1108년 9월 프레스부르크를 포위했다. 동시에 알모스를 지지했던 보헤미아의 스바토플루크 공작은 도나우강 북쪽 지역을 침략했다. 칼만의 동맹인 볼레스와프 3세는 보헤미아를 침공하여 체코 공작을 철수하게 했다. 황제의 프레스부르크 점령 시도는 완전히 실패했지만, 그는 칼만이 헝가리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락된 알모스를 용서하도록 설득했다.[26]

1113년에서 1115년 사이 칼만은 알모스가 다시 왕위를 찬탈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내심을 잃은 왕은 자신의 아들을 위해 평화로운 왕위 계승을 보장하기 위해 알모스와 알모스의 어린 아들 벨러 2세의 눈을 멀게 했다.[29] 같은 사건으로 그의 형제의 지지자들 또한 훼손되었다. ''채색 연대기''에 기록된 이 사건의 두 가지 버전 중 하나에 따르면, 왕은 심지어 벨라를 거세하라고 명령했지만, 이 임무를 맡은 병사는 명령을 실행하기를 거부했다. 연대기는 또한 어린아이가 눈이 먼 후 죽은 것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 10년 이상 수도원에 보관되었다고 명시하고 있다.[29]

알모스와 그의 아들 벨라는 칼만의 명령으로 눈이 멀게 된다. (''채색 연대기''에서)

2. 5. 통치와 법률

칼만 궁정은 학문과 문학의 중심지였다. 하르트비크 주교가 저술한 『성 이슈트반 1세 전』은 헝가리 연대기이며, 현존하는 성 게레르트의 전설 중 짧은 것이고, 칼만의 치세 동안의 모든 종류의 법률을 몇 가지 수록하고 있다.

타르칼(현재는 보르쇼드-어버우이-젬플렌 주의 마을)에서 열린 회의에서 왕국의 고위 성직자들과 남작들은 이전 왕들의 법률을 수정했고, 칼만은 새로운 법령을 발효했다. 새로운 법령은 러슬로 1세의 법률의 엄격함을 완화했지만, 그 법에는 유대인과 이슬람교도(böszörmény라고 불림)[37]에 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다.

2. 6. 최후

1113년, 자신의 반역적인 형제 즈비그니에프를 눈멀게 하고 죽게 한 폴란드 공작 볼레스와프 3세는 "성 질과 성 슈테판 왕에게 순례 여행"을 떠났으며,[28] 헝가리의 솜요바르 수도원과 세케슈페헤르바르에 있는 왕의 성소를 방문했다. 칼만은 솜요바르에서 폴란드 군주를 정중하게 맞이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칼만은 알모스가 다시 왕위를 찬탈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내심을 잃은 왕은 자신의 아들을 위해 평화로운 왕위 계승을 보장하기 위해 알모스와 알모스의 어린 아들 벨라의 눈을 멀게 했다. 같은 사건으로 그의 형제의 지지자들 또한 훼손되었다.[29]

오르델라포 팔리에로의 지휘를 받은 베네치아 함대는 1115년 8월 달마티아를 침략했다. 베네치아인들은 달마티아 섬과 일부 해안 도시를 점령했지만 자다르비오그라드나모루를 점령하지 못했다. 그 당시, 칼만은 심각한 병을 앓고 있었다. ''채색 연대기''에 기록된 증상은 심각한 중이염을 시사하며, 이는 뇌염을 유발했다. 그는 죽기 전에 1099년의 캠페인 동안 "그에게 해를 끼친 러시아에 복수하라"고 그의 아들과 고관들에게 지시했다. 그의 조언에 따라, 그는 또한 뒴뢰시 수도원에 피신한 알모스를 투옥했다.[30]

칼만은 1116년 2월 3일에 사망했다. ''채색 연대기''에 따르면, 알모스, 벨라 및 그들의 지지자들을 처벌하라고 명령했을 때 그의 "무고한 피를 흘린" 것 때문에 "신성한 복수가 그에게 이른 죽음의 쓴맛을 마시게 했다." 그는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에서 이슈트반 1세의 성소 근처에 묻힌 최초의 군주였다.

콜로만 동상 (영웅 광장, 부다페스트, 헝가리)

3. 가족

칼만은 헝가리의 게저 1세와 그의 첫 번째 부인인 소피아 사이에서 태어났다.[1] 칼만의 할아버지는 헝가리의 벨라 1세이며, 할머니는 폴란드의 리체자 혹은 아델라이드이다.[1]

칼만은 1097년 봄에 시칠리아의 로제르 1세 백작의 딸인 펠리시아와 결혼했다.[3] 펠리시아는 최소 세 명의 자녀를 낳았는데, 1100년 또는 그 이전에 장녀 소피아가 태어났고, 1101년에는 쌍둥이 형제 이슈트반과 라슬로가 태어났다.[4] 펠리시아는 라슬로보다 먼저 사망했는데, 라슬로는 1112년에 사망했다.[5]

칼만은 1112년 여름에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의 딸인 에우페미아와 재혼했다.[6] 칼만은 에우페미아를 간통 혐의로 내쫓았고, 에우페미아는 키예프로 도망쳐 아들 보리스를 낳았다. 보리스는 헝가리 친척들에게 칼만의 아들로 인정받지 못했다.[7]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헝가리의 게저 1세
어머니소피아
할아버지헝가리의 벨라 1세
할머니폴란드의 리체자 혹은 아델라이드
첫 번째 부인시칠리아의 펠리시아1097년 결혼, 최소 세 자녀 출산
장녀소피아1100년 또는 그 이전에 출생
아들 (쌍둥이)이슈트반1101년 출생
아들 (쌍둥이)라슬로1101년 출생, 1112년 사망
두 번째 부인키예프의 에우페미아1112년 결혼, 간통 혐의로 쫓겨남
아들 (사생아)보리스1113년 출생, 칼만의 아들로 인정받지 못함


참조

[1] 서적 The Deeds of the Princes of the Poles
[2]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3]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4]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5]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6]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7] 서적 Albert of Aachen: Historia Ierosolimitana–History of the Journey to Jerusalem
[8] 서적 The Deeds of God through the Franks–Gesta Dei per Francos
[9] 서적 Albert of Aachen: Historia Ierosolimitana–History of the Journey to Jerusalem
[10] 서적 Albert of Aachen: Historia Ierosolimitana–History of the Journey to Jerusalem
[11] 서적 Albert of Aachen: Historia Ierosolimitana–History of the Journey to Jerusalem
[12] 서적 Cosmas of Prague: The Chronicle of the Czechs
[13] 법률 Laws of King Coloman
[14] 법률 Laws of King Coloman
[15] 서적 The letters of Henry IV: Henry thanks Duke Almus for his support and promises him a reward
[16]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7]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8] 서적 Russian Primary Chronicle
[19] 서적 Cosmas of Prague: The Chronicle of the Czechs
[20] 법률 Laws of King Coloman
[21] 법률 Laws of King Coloman
[22] 웹사이트 Könyves Kálmán és a boszorkányok [Coloman the Learned and the witches] http://mek.oszk.hu/0[...] Helikon / Magyar Elektronikus Könyvtár 2004-10-22
[23] 법률 Laws of King Coloman
[24] 서적 Archdeacon Thomas of Split: History of the Bishops of Salona and Split
[25] 서적 Archdeacon Thomas of Split: History of the Bishops of Salona and Split
[26]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7]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8] 서적 The Deeds of the Princes of the Poles
[29]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30]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31]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32] 서적 Master Roger's Epistle
[33] 서적 Simon of Kéza: The Deeds of the Hungarians
[34] 서적 Cronicæ et gesta ducum sive principum Polonorum
[35] 문서
[36] 문헌
[37] 문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