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컴퓨터 모니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컴퓨터 모니터는 컴퓨터의 시각적 출력 장치로, 초기에는 백열 전구 패널을 사용하다가 CRT(음극선관) 기술의 발전을 거쳐 LCD(액정 디스플레이), OLED(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으로 발전했다. 모니터는 디스플레이 방식, 액정 패널 종류, 표면 처리, 서브픽셀 안티앨리어싱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며, 휘도, 명암비, 색상 심도, 색영역, 시야각, 재생률, 응답 속도, 해상도 등 여러 성능 지표로 측정된다. 모니터는 다중 모니터, 다중 비디오 소스, 가상 디스플레이와 같은 기능을 지원하며, 절전 모드, USB 허브, 웹캠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을 통합하기도 한다. 장착 방식은 데스크톱, VESA 마운트, 랙 마운트, 패널 마운트, 오픈 프레임 등 다양하며, 보안 취약점과 인터페이스 역사를 거쳐 현재는 HDMI, DisplayPort, USB Type-C 등 다양한 연결 방식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디스플레이 장치 - 유기 발광 다이오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는 유기 화합물의 자체 발광 현상을 이용한 소자로, 1987년 코닥의 2층 구조 소자 개발 이후 효율과 수명이 향상되어 스마트폰, TV 등 다양한 분야에 상용화되었으며, 높은 명암비와 빠른 응답 속도 등의 장점과 함께 수명 및 번인 현상 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진행 중이다.
  • 디스플레이 장치 - 영상 프로젝터
    영상 프로젝터는 전기 신호를 받아 영상을 투사하는 장치로, 다양한 기술 발전을 거쳐 밝기, 명암비, 해상도 등을 고려하여 선택하며, 여러 제조업체들이 경쟁하고 있다.
  • 영상 기기 - 텔레비전
    텔레비전은 움직이는 영상과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수신 측에서 다시 영상과 소리로 바꾸는 기술을 이용한 매체로, 닙코프 원판을 이용한 초기 기계식 방식에서 음극선관 발명을 통해 전자식으로 발전하여 디지털 기술과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술 발전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사회, 문화, 경제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지만 건강 문제 및 부정적 콘텐츠 노출 등의 부작용도 존재한다.
  • 영상 기기 - 크롬캐스트
    구글이 개발한 크롬캐스트는 동글형 디지털 미디어 플레이어 제품군으로, 모바일 기기나 PC의 스트리밍 콘텐츠를 TV나 오디오 시스템에서 재생할 수 있게 하며, 구글 캐스트 기술 지원 앱이나 크롬 브라우저 미러링으로 제어 가능하고, 다양한 모델 출시와 저렴한 가격, 편리한 사용성으로 스트리밍 미디어 대중화에 기여했다.
  • 디스플레이 기술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는 유연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다양한 기관과 기업의 연구 개발을 거쳐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지만, 가격과 내구성, 저전력 소비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디스플레이 기술 - 해상도
    해상도는 1인치당 픽셀 또는 점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이미지의 선명도를 결정하며 DPI와 PPI 단위를 사용하고, 높을수록 섬세한 표현이 가능하다.
컴퓨터 모니터

2. 역사

초기 전자 컴퓨터들은 백열 전구 패널을 사용하여 컴퓨터의 내부 상태를 표시했다. 각 전구는 특정 레지스터 비트의 on/off 상태를 나타냈으며, 엔지니어들은 이 패널을 통해 기기 내부를 감시(monitor)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이 불빛 패널은 "모니터"라고 불렸다. 초기 모니터는 매우 제한된 정보만 보여줄 수 있었고, 프로그램 출력을 위해서는 라인 프린터가 주로 사용되었다.[4]

기술 발전과 함께 CRT 모니터가 등장하면서 백열 전구 패널보다 더 유연한 출력이 가능해졌다. 컴퓨터 모니터는 이전에는 '''시각 표시 장치''' ('''VDU''')로도 알려졌으나,[5] 이 용어는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대부분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1960년대 전후의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천공 카드나 종이 테이프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고, 콘솔 패널에 설치된 램프로 표시된 기계어를 해독하여 컴퓨터를 제어했다. 이러한 방식은 번거롭고 고도의 기술이 필요했기에, 응답 속도가 빠르고 조작성이 좋은 텔레타이프 단말기가 설치되어 명령어 입력과 컴퓨터 내 레지스터 정보를 인쇄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후 이 텔레타이프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로 대체되어 응답 속도와 조작성이 더욱 향상되었다.

1960년대에는 컴퓨터가 출력하는 문자 데이터에 맞는 문자 모양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후지쯔는 1968년에 플라잉 스폿 관 방식의 문자 발생 방법을 사용한 F6221A를 개발했다.[36] 1969년에는 모노스코프 관을 사용한 F6221B,[40] 1971년에는 소형화된 F6221D를 개발했다.[41] 1974년에는 세계 최초의 컬러 디스플레이인 F6221K를 개발하여 7가지 색상으로 문자를 표시했다.

1970년대에는 IBM의 컴퓨터 360 시리즈와 370 시리즈가 전 세계를 석권하면서, IBM의 디스플레이 '''IBM 3270'''이 표준으로 사용되었다. 일본의 컴퓨터 제조사들은 IBM 호환 시스템을 개발하면서 디스플레이도 IBM 사양에 맞춰 개발했다. 후지쯔는 1976년에 F9525, 1979년에 F9526을 개발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개인용 컴퓨터(PC)가 보급되면서, 가정용으로는 일반 가정의 텔레비전을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했지만, 비즈니스용이나 전문가용으로는 컴퓨터 전용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2. 1. 음극선관 (CRT)

초기 컴퓨터 모니터는 음극선관(CRT)을 사용하였다. 1970년대 가정용 컴퓨터가 등장하기 전에는 CRT를 사용하는 VDT(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이 일반적이었다.[4] 이 디스플레이는 모노크롬이었으며 현대의 평면 모니터보다 선명도가 훨씬 떨어져 큰 글자를 사용해야 했고,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제한되었다. 고해상도 CRT 디스플레이는 군사용, 산업용, 과학용으로 개발되었으나, 일반적인 용도로는 비용이 많이 들었다. 1972년 저렴하지만 느린 Tektronix 4010 터미널이 출시된 후 더 광범위한 상업적 사용이 가능해졌다.

1980년대 말까지 컬러 프로그레시브 스캔 CRT 모니터가 널리 보급되고 가격도 저렴해졌다.[7] 가장 선명한 프로슈머 모니터는 고화질 비디오를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었고, CRT 기술은 PC 모니터 시장에서 2000년대에도 여전히 지배적인 위치를 유지했는데, 부분적으로는 생산 비용이 저렴했기 때문이다.[7] CRT는 오늘날의 LCD보다 여전히 색상, 회색조, 모션 및 지연 시간 측면에서 장점을 제공하지만 후자의 개선으로 인해 그 차이가 훨씬 덜 두드러졌다.

2. 2. 액정 디스플레이 (LCD)

TFT-LCD는 현재 컴퓨터 모니터에 쓰이는 주요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 중 하나이다.[52] 1990년대에는 노트북 컴퓨터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낮은 소비 전력, 가벼운 무게, 작은 크기 덕분에 데스크톱 모니터에도 점차 적용되기 시작했다.

2000년대 초반, LCD 모니터는 음극선관(CRT) 모니터를 대체하며 컴퓨터 모니터 시장의 주류가 되었다.[7] LCD 모니터는 CRT 모니터에 비해 깜빡임이 적거나 없어 눈의 피로를 줄이고,[10] 기본 해상도에서 더 선명한 이미지를 생성한다.

2. 3.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모니터는 LCD보다 높은 대비와 더 나은 시야각을 제공하지만, 흰색 또는 밝은 배경의 문서를 표시할 때 더 많은 전력을 요구한다.[25][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초기 CRT와 마찬가지로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하며 가격이 매우 비싸다.

3. 기술

초기 전자 컴퓨터들은 백열등 패널을 사용하여 컴퓨터 내부 레지스터 비트의 on/off 상태를 표시했다. 이 불빛 패널을 통해 엔지니어들은 기기 내부 상태를 감시(monitor)할 수 있었고, 여기서 "모니터"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초기 모니터는 제한된 정보만 표시할 수 있었기 때문에 프로그램 출력을 위해 사용되는 일은 드물었고, 대신 라인 프린터가 주된 출력 장치로 사용되었으며 모니터는 프로그램 동작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CRT 모니터가 등장하여 백열 전구 패널보다 더 유연한 출력이 가능해졌다. 최초의 컴퓨터 모니터는 CRT를 사용했으며, 1970년대 가정용 컴퓨터 등장 이전에는 CRT를 사용하는 VDT(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가 시스템의 키보드 및 다른 부품들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사용되었다. 이 디스플레이는 모노크롬이었고 현대의 평면 모니터보다 선명도가 떨어져 큰 글자를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한 번에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제한되었다. 고해상도 CRT 디스플레이는 특수 군사용, 산업용, 과학용으로 개발되었지만 범용으로는 비용이 많이 들었다.

이후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이 발전하면서 컴퓨터 모니터에도 적용되었다. 1990년대에는 LCD 기술이 주로 노트북에 사용되었는데, LCD의 낮은 소비 전력, 가벼운 무게, 작은 크기가 CRT보다 높은 가격을 상쇄했다. TFT-LCD는 현재 컴퓨터 모니터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LCD 기술이다.[52]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모니터는 LCD보다 높은 명암비와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지만, 흰색 또는 밝은 배경의 문서를 표시할 때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모니터의 성능은 휘도, 보이는 영상 크기, 가로세로비, 해상도, 도트 피치, 화면 재생 빈도, 응답 시간, 명암비, 소비 전력, 시야각 등의 변수로 측정된다.

21세기 초까지는 대부분 음극선관(CRT)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LCD 모니터로 대체되었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모니터는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하며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지만, LCD 및 CRT 모니터의 장점을 대부분 제공한다. 컴퓨터의 출력 장치 중 하나이다.[27][25]

1990년대 후반부터 액정 디스플레이가 보급되면서 2007년경까지 PC 전용 CRT의 생산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되었다. 2024년에는 액정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가 일반적이다.

컴퓨터 디스플레이는 "비디오 표시 단말" (VDT)이라고도 불린다. PC 전용 단독 디스플레이 장치(브라운관·액정 모두)에 대해서는, 개인용 컴퓨터 (PC) 본체와 함께, 「자원의 유효한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게 되어, 제조사에 의한 회수·재활용이 제도화되었다.

1970년대 후반에 등장하여 1980년대에 보급된 개인용 컴퓨터(PC)에서는, 가정용의 경우 주변 기기를 포함한 총 가격을 낮추기 위해, 일반 가정에서 이미 소유하고 있을 (당시의 아날로그 신호 방식의) 가정용 텔레비전을 RF 신호선으로 연결하여 저화질의 번짐이 있는 화면을 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비즈니스용, 전문가용, 고급기 등에서는 번짐이 적은 컴퓨터 전용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이 점차 일반화되었다.

1980년대 저가형 가정용 개인용 컴퓨터 Amstrad CPC의 컬러 모니터 확대 사진. 글자가 번져 있다.


1987년 출시된 :en:Amiga 500의 디스플레이

3. 1. 디스플레이 방식

현재 사용되는 주요 디스플레이 방식은 다음과 같다.

  • 액정 디스플레이(LCD): TFT-LCD는 현재 컴퓨터 모니터에 쓰이는 대표적인 LCD 기술이다.[52] 1990년대에는 노트북 컴퓨터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LCD의 낮은 소비 전력, 가벼운 무게, 작은 크기는 CRT보다 높은 가격을 정당화했다. 2003년에는 LCD가 CRT 판매량을 처음으로 넘어서면서 컴퓨터 모니터의 주요 기술이 되었다.[7]
  •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LED 모니터는 LCD보다 높은 명암비와 넓은 시야각을 제공하지만, 흰색 또는 밝은 배경을 표시할 때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나 초기 CRT처럼 번인(burn-in) 현상이 발생하고 가격이 매우 비싸다.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mLED, 크리스탈 LED 디스플레이 등)
  • 프로젝터


과거에는 브라운관(CRT) 방식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최초의 컴퓨터 모니터는 음극선관(CRT)을 사용했다. 1970년대 가정용 컴퓨터 등장 이전에는 CRT를 사용하는 VDT(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를 키보드 등 다른 부품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1세기 초까지 대부분 CRT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LCD 모니터로 대체되었다.

3. 2. 액정 패널 종류 (LCD)

TFT-LCD는 현재 컴퓨터 모니터에 쓰이는 주된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이다.[52] 1990년대에 LCD 기술은 주로 노트북 컴퓨터에 사용되었으며, LCD의 낮은 소비전력, 가벼운 무게, 작은 크기는 CRT에 비해 높은 가격을 정당화했다.[8]

3. 3. 글레어와 논글레어 (LCD)

TFT-LCD는 컴퓨터 모니터에 주로 사용되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기술이다.[52] LCD는 RGB 각 색상의 발광점 중심이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는 색상 등록 오류가 발생한다. 2001년부터 마이크로소프트의 ClearType, 어도비의 CoolType, macOS의 Quartz 등에서 이 오류를 활용하여 텍스트를 선명하게 표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사람의 눈은 발광점 위치에는 민감하지만 색상에는 둔감한 점을 이용하여, 문자 표시에 한해 실제 화면 해상도 이상의 해상도를 가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전부터 안티앨리어싱 기법이 있었지만, 클리어 타입은 이를 1픽셀 이하의 영역에서 수행한다. 단, 일본어 문자 글꼴에서는 이 기능이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낮아 이탤릭체를 표시할 수 없는 경우에도, 문자를 이동시켜 이탤릭체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픽셀의 일부만큼 이동하는 것을 시간축 지연으로 구현하는 방식이다.

3. 4. 서브픽셀 안티앨리어싱 기술

액정 디스플레이(LCD)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1990년대에 LCD 기술은 컴퓨터 모니터와 노트북에 주로 사용되었으며, LCD의 낮은 소비전력, 더 가벼운 무게, 더 작은 물리적 크기는 CRT에 비해 가격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장점으로 작용했다.[52]

TFT-LCD는 현재 컴퓨터 모니터에 쓰이는 대표적인 LCD 기술 중 하나이다.[52]

3. 5. VESA 마운트

VESA 마운트는 VESA 규격으로 정해진 디스플레이 장착부로, 모니터 암과 연결할 때 사용한다.

3. 6. 화면 회전 (피벗) 기능

일부 액정 디스플레이는 화면을 90도 회전하여 세로로 길게 사용할 수 있는 피벗 기능을 지원한다. 이는 세로로 긴 인쇄물 제작 등에 적합하다. 하지만 화면을 회전하면 서브 픽셀 배열 방식이 달라져, 세밀한 문자 표시 등에 위화감이 생기거나 서브 픽셀 렌더링 기술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피벗 기능이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는 스탠드에 회전 기구가 포함되어 있지만, 그렇지 않은 디스플레이는 별매의 모니터 암 등을 사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과거에는 화면 회전을 위해 전용 유틸리티 소프트웨어가 필요했지만, 최근에는 비디오 카드 드라이버나 운영체제(OS) 자체에 화면 회전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특별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많다.

CRT 모니터는 깊이가 커서 세로로 긴 화면으로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29] 아케이드 게임을 이식한 세로 스크롤 슈팅 게임 등에서는 세로 긴 화면 표시에 대응하기도 했다.

4. 성능 측정

모니터의 성능은 다음 항목으로 측정한다.



항목설명
디스플레이 기하학
디스플레이 해상도기본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각 차원의 고유한 픽셀 수이다. 주어진 디스플레이 크기에서 최대 해상도는 도트 피치 또는 DPI에 의해 제한된다.
색상 특성
입력 속도 특성
전력 소비와트 단위로 측정된다.


4. 1. 크기

디스플레이 크기는 대각선 길이로 측정되며, 케이스나 장치의 다른 설계적 관점의 간섭을 받지 않고 사진, 동영상, 작업 공간을 표시하는 데 이용 가능한 화면 공간의 실질적인 규모이다.[27][25]

대각선 길이가 동일한 디스플레이의 면적, 높이 및 너비는 화면비에 따라 다릅니다.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2차원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크기 또는 가시 이미지 크기는 베젤이나 장치 설계의 다른 측면으로 인해 방해받지 않고 그림, 비디오 또는 작업 공간을 표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실제 화면 공간의 양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요 측정값은 너비, 높이, 총 면적 및 대각선이다.

디스플레이 크기는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에서 대각선으로 표시하며, 즉 두 개의 반대쪽 화면 모서리 사이의 거리로 표시된다. 이 측정 방법은 둥근 면을 가진 브라운관 텔레비전의 첫 번째 세대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사용된 방법에서 유래되었다. 원형이므로 크기를 설명하는 것은 유리 덮개의 외부 직경이었다. 이러한 원형 튜브는 직사각형 이미지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으므로 직사각형 이미지의 대각선 측정값은 튜브 면의 직경보다 작았다(유리 두께로 인해). 이 방법은 음극선관이 둥근 직사각형으로 제조되었을 때도 계속 사용되었으며, 크기를 지정하는 단일 번호라는 장점이 있었고 화면비가 보편적으로 4:3일 때 혼란스럽지 않았다.

평판 기술이 도입되면서 대각선 측정은 가시 디스플레이의 실제 대각선이 되었다. 이는 18인치 LCD가 18인치 브라운관보다 더 큰 가시 면적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했다.

모서리 사이의 거리에 의한 모니터 크기 추정은 화면비를 고려하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16:9 약 53.34cm 와이드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약 53.34cm 4:3 화면보다 면적이 적다. 4:3 화면의 치수는 16.8×이고 면적은 인 반면, 와이드스크린은 18.3×, 이다.

4. 2. 가로세로비

2003년까지 대부분의 컴퓨터 모니터는 4:3 화면비를 가졌으며, 일부는 5:4 화면비를 사용했다. 2003년에서 2006년 사이에는 16:9 및 16:10 (8:5) 화면비를 가진 모니터가 흔히 사용 가능해졌으며, 처음에는 노트북에서, 나중에는 독립형 모니터에서도 나타났다.[15][16] 이러한 전환의 이유는 비디오 게임 시야 및 영화 감상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그리고 두 개의 표준 레터 용지를 나란히 표시하는 워드 프로세서, 대형 도면의 CAD 디스플레이,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동시에 표시하는 등의 생산성 향상 목적이었다. 2008년에는 16:10이 LCD 모니터에서 가장 흔하게 판매되는 화면비가 되었으며, 같은 해에 16:10은 노트북과 노트북 컴퓨터의 주류 표준이 되었다.[17]

2010년, 컴퓨터 산업은 16:9가 표준 고화질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크기로 선택되었고, 제조 비용이 더 저렴해짐에 따라 16:10에서 16:9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2011년에는 4:3 화면비를 가진 와이드스크린이 아닌 디스플레이가 소량으로만 제조되었다. 삼성전자(Samsung)에 따르면, 이는 "구형 '정사각형 모니터'에 대한 수요가 지난 몇 년 동안 급격히 감소했기 때문"이며, "2011년 말까지 수요 부족으로 인해 모든 4:3 또는 유사 패널의 생산이 중단될 것으로 예상합니다."라고 밝혔다.[18]

화면비는 화면의 가로와 세로 길이 (또는 픽셀 수)의 비율이다.[28] 일반적으로 "가로:세로"와 같이 ":"를 사용하는 형식으로 표기한다.[28] 예를 들어 해상도가 640×480 픽셀인 경우, 화면비는 "4:3"으로 표기하는 등, 서로소인 정수의 비로 표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드물게 세로를 "1"로 고정하여 "1.33:1" 등으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28] (즉, "4:3"과 "1.33:1"은 같은 화면비이다).

브라운관 디스플레이의 화면비는 4:3이 주류였다. 액정 디스플레이는 1990년대에는 주로 4:3이나 5:4 (1280×1024 픽셀)였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 16:10의 와이드 화면이 특히 가정용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고, 2008~2009년경에 디지털 하이비전 방송・평판 TV와 같은 화면비인 16:9가 주류가 되었다.

참고로, 영화관의 거대한 스크린의 비율은 21:9이다.

4. 3. 해상도

컴퓨터 모니터의 해상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꾸준히 증가해왔다. 1980년대 초에는 해상도가 사용되었으며, 1990년대 말에는 해상도가 주를 이루었다. 2009년 이후로는 1080p HDTV와 같은 1920x1080 (Full HD) 해상도가 컴퓨터 모니터의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53][19]

2013년 이전까지 대량 판매되는 LCD 모니터의 해상도는 에서 으로 제한되었으나, 2015년부터 주요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들이 (4K UHD) 디스플레이를 출시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8K) 해상도를 지원하는 모니터도 등장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가로 × 세로" 픽셀 수로 표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1920x1080 (풀 HD), 2048x1536 (QXGA), 3840x2160 (풀 UHD), 4K (3940×2160) 등이 있다. PC 설정과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일치시키지 않으면 확대/축소 처리로 인해 문자가 흐릿하게 보일 수 있으므로, PC 설정을 디스플레이 해상도에 맞추는 것이 좋다.

4. 4. 재생률 (주사율)

재생률은 화면이 1초에 몇 번 다시 그려지는지를 나타내는 횟수이며, 단위는 헤르츠(Hz)이다.[27] 재생률이 낮으면 화면이 끊기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60Hz~120Hz가 사용되며, 게이밍 PC 모니터 등에서는 240Hz를 지원하는 제품도 있다.[27] 재생률이 높으면 화면이 부드럽게 움직여 동체 시력이 요구되는 게임 등에서 유리하다.

4. 5. 응답 속도

응답 속도은 모니터의 픽셀이 한 색상에서 다른 색상으로 바뀌는 데 걸리는 시간으로, 밀리초(ms) 단위로 측정된다.[11] 응답 속도가 빠를수록 화면에 잔상이 적게 나타나 더 부드러운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11] 일반적으로 회색에서 회색(GtG)으로 변화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이 사용된다.[11]

5. 구성 및 이용

컴퓨터 모니터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같은 장치에 연결하여 사용하거나(다중 모니터), 여러 장치를 비디오 스위치를 이용해 같은 모니터에 연결하는 방식(다중 비디오 소스)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27][25] KVM 스위치와 같은 형태가 일반적으로 쓰인다.[25][27] 또한, 소프트웨어나 비디오 하드웨어를 통해 가상 디스플레이를 추가하여 작업 공간(워크스페이스)을 확장할 수 있다. 애플스페이스가 대표적인 가상 디스플레이의 예시이다.[27][25]

5. 1. 다중 모니터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같은 장치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디스플레이는 미러링(복제), 확장, 스패닝 등의 구성으로 운영된다.[27][25]

5. 2. 다중 비디오 소스

여러 개의 장치는 비디오 스위치를 이용하여 같은 모니터에 연결할 수 있다. KVM 스위치와 같은 형태가 일반적으로 쓰인다.[25][27]

5. 3. 가상 디스플레이

리눅스 계열의 우분투 OS의 '도움말'에서 가상 디스플레이 '워크스페이스'(작업공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수많은 소프트웨어와 비디오 하드웨어는 추가적인 가상 공간의 데스크톱을 제공하며, 이를 '''작업 공간'''이라고도 부른다. 스페이스애플이 제공하는 가상 디스플레이의 일종이다.[27][25]

6. 추가 기능

최신 모니터는 대부분 비디오 입력 신호가 없으면 절전 모드로 전환되어 전력 소비를 줄이고 수명을 연장하며,[7] 대기 시간이 지나면 자체적으로 전원을 끄기도 한다. 작동 상태는 표시등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신호가 감지되면 녹색, 절전 모드에서는 주황색으로 표시된다.[7]

USB 허브, 웹캠, 마이크, 스피커 등 다양한 액세서리가 통합되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7] 울트라 와이드 스크린 모니터는 21:9 또는 32:9와 같은 넓은 화면 비율과 곡면 스크린을 통해 다중 모니터 구성을 대체하기도 한다. 터치 스크린 모니터는 화면 터치를 입력 방식으로 사용하며, 주변 광 센서나 적외선 카메라를 탑재하여 화면 밝기를 자동 조절하거나 생체 인식 등에 활용한다.

소비자용 모니터는 광택 화면으로 색상 채도와 선명도를 높이지만, 반사가 심해 반사 방지 코팅을 사용하기도 한다.[9] 곡면 스크린 디자인은 화면 가장자리의 왜곡을 줄여 몰입감을 높인다.[9] 3D 모니터는 특수 안경이나 편광판으로 입체 영상을 구현하며, 자동 입체시 화면은 특수 안경 없이도 3D 이미지를 볼 수 있다.[9]

전문가용 모니터는 의료용, 실외 설치용으로 사용되는 무반사 및 반사 방지 코팅 화면, 보안용 지향성 화면, 통합 화면 보정 도구, 화면 후드, 신호 송신기, 보호 화면 등을 갖춘 전문 액세서리를 제공한다. 그래픽 태블릿과 결합된 태블릿 화면은 특수 도구의 압력, 기울기, 회전 등을 감지하여 정밀 작업에 쓰인다. 통합 디스플레이 LUT 및 3D LUT 테이블은 고급 색상 관리 제어를 제공하며, 로컬 디밍 백라이트는 OLED 및 CRT와 유사한 기능을, 백라이트 밝기/색상 균일성 보상은 균일성 보정 로컬 존이 있는 백라이트 모듈용 고급 하드웨어 드라이버를 통해 구현된다.

Eizo ColorEdge 모니터 (화면 후드 포함)

6. 1. 일반 기능

대부분의 최신 모니터는 비디오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절전 모드로 전환된다. 이를 통해 최신 운영 체제는 지정된 시간 동안 활동이 없으면 모니터를 끌 수 있다.[7] 이는 모니터의 수명을 연장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일부 모니터는 대기 상태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체적으로 전원을 끄기도 한다.

대부분의 최신 모니터는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등을 갖추고 있다. 비디오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표시등이 녹색으로 켜지고, 절전 모드일 때는 화면이 검은색으로 변하며 표시등이 주황색으로 표시된다. 일부 모니터는 다른 색상의 표시등을 사용하거나 절전 모드에서 표시등이 깜박이도록 설계되어 있다.

많은 모니터에는 USB 허브, 웹캠, 마이크, 스피커와 같은 액세서리가 통합되어 있다.[7] 이러한 통합 액세서리는 별도의 장치 없이도 표준 포트를 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모니터는 고급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액세서리의 기능을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돕는다.

울트라 와이드 스크린 모니터는 21:9 또는 32:9와 같이 2:1보다 큰 화면 비율을 가진다. 이러한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곡면 스크린을 가지며, 다중 모니터 구성을 대체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터치 스크린 모니터는 화면 터치를 입력 방식으로 사용한다. 손가락으로 항목을 선택하고 이동하거나, 손가락 제스처를 사용하여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다만, 지문으로 인해 화면을 자주 청소해야 한다.

일부 모니터에는 주변 광 센서나 적외선 카메라와 같은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주변 광 센서는 화면 밝기를 자동으로 조절하고, 적외선 카메라는 생체 인식, 눈 또는 얼굴 인식, 시선 추적 등에 사용될 수 있다.

6. 2. 소비자 기능

광택 화면은 색상 채도와 선명도를 높여주지만, 빛과 창문 등으로부터의 반사가 더 잘 보여 불편할 수 있다. 이를 줄이기 위해 반사 방지 코팅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반사를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9]

곡면 디자인은 평판 디스플레이 기술을 사용하지만, 화면이 오목하게 휘어져 있어 화면 가장자리의 왜곡을 줄여준다. 특히 가까운 거리에서 보는 크고 넓은 모니터에서 몰입감을 높여준다.[9]

3D 모니터는 특수 안경이나 편광판을 사용하여 양쪽 눈에 서로 다른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입체적인 영상을 구현한다.[9] 자동 입체시 화면은 특수 안경 없이도 3D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해준다.

6. 3. 전문가 기능


  • '''무반사 및 반사 방지 화면'''


의료용 또는 실외 설치용으로 사용된다.

  • '''지향성 화면'''


좁은 시야각으로 보안에 민감한 응용 분야에 사용된다.

  • '''통합된 전문 액세서리'''


통합 화면 보정 도구, 화면 후드, 신호 송신기, 보호 화면 등이 있다.

  • '''태블릿 화면'''


그래픽 태블릿과 모니터의 조합이다. 이러한 장치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특수 도구의 압력을 사용하지 않으면 터치에 반응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신 모델은 이제 모든 압력에서 터치를 감지할 수 있으며 종종 도구 기울기 및 회전을 감지하는 기능도 갖추고 있다.

터치 및 태블릿 센서는 LCD와 같은 샘플 앤 홀드 디스플레이에서 라이트 펜을 대체하는 데 자주 사용되며, 라이트 펜은 CRT에서만 작동할 수 있다.

  • '''통합 디스플레이 LUT''' 및 '''3D LUT 테이블'''


디스플레이를 기준 모니터로 사용하는 옵션이다. 이러한 보정 기능은 거의 완벽한 이미지를 얻기 위한 고급 색상 관리 제어를 제공할 수 있다.

  • '''로컬 디밍 백라이트'''


OLED 및 CRT에 내재된 기능으로, 전문가용 LCD 모니터에서도 제공된다.

  • '''백라이트 밝기/색상 균일성 보상'''


균일성 보정 로컬 존이 있는 백라이트 모듈용 고급 하드웨어 드라이버가 사용된다.

7. 장착

컴퓨터 모니터는 사용 환경과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장착 방식을 제공한다.[52]

7. 1. 데스크톱

데스크톱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스탠드와 함께 제공되며, 이 스탠드는 모니터를 보다 인체 공학적인 시청 높이로 들어 올린다. 스탠드는 독점적인 방법으로 모니터에 부착될 수 있거나, VESA 마운트를 사용하거나, VESA 마운트에 맞게 변경할 수 있다. VESA 표준 마운트를 사용하면 원래 스탠드를 제거한 경우 더 많은 애프터마켓 스탠드와 함께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다. 스탠드는 고정형일 수도 있고, 높이 조절, 수평 회전, 가로 또는 세로 화면 방향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7. 2. VESA 마운트

VESA 마운트 홀을 통해 연결된 유압식 암 모니터 스탠드


평면 디스플레이 장착 인터페이스(FDMI)는 VESA 장착 인터페이스 표준(MIS) 또는 통칭 VESA 마운트라고도 하며, 평면 패널 디스플레이를 스탠드 또는 벽 마운트에 장착하기 위해 비디오 전자공학 표준 협회에서 정의한 일련의 표준이다.[22] 이는 대부분의 최신 평면 패널 모니터 및 TV에 구현되어 있다.

컴퓨터 모니터의 경우 VESA 마운트는 일반적으로 어댑터 브래킷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후면의 네 개의 나사산 구멍으로 구성된다.

7. 3. 랙 마운트

랙 마운트 컴퓨터 모니터는 19인치 랙에 장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고정형과 수납형 두 가지 스타일로 제공된다.

고정형 (4:3) 랙 마운트 LCD 모니터


;고정형

고정형 랙 마운트 모니터는 평판 또는 CRT가 항상 보이도록 랙에 직접 장착된다. 장치의 높이는 랙 유닛(RU)으로 측정되며, 약 43.18cm 또는 약 48.26cm 화면에 맞게 8U 또는 9U가 가장 일반적이다. 장치 전면에는 랙에 장착할 수 있도록 플랜지가 제공되며, 랙 장착 나사를 위한 적절한 간격의 구멍이나 슬롯이 있다. 약 48.26cm 대각선 화면은 19인치 랙의 레일 내부에 들어갈 수 있는 최대 크기이다. 더 큰 평판은 수용될 수 있지만 '랙에 장착'되어 랙 앞으로 확장된다. 방송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더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있으며, 여러 개의 작은 화면을 나란히 하나의 랙 마운트에 맞출 수 있다.

1U 수납형 클램쉘 (4:3) 랙 마운트 LCD 모니터(키보드 포함)


;수납형

수납형 랙 마운트 모니터는 1U, 2U 또는 3U 랙 유닛 높이이며, 랙 슬라이드에 장착되어 디스플레이를 접고 장치를 서랍처럼 랙 안으로 밀어 넣어 보관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는 랙에서 꺼내 펼쳐야만 볼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디스플레이만 포함하거나, 키보드가 장착되어 KVM(키보드 비디오 모니터)을 만들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단일 LCD가 있는 시스템이지만, 단일 랙 마운트 시스템에서 두 개 또는 세 개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시스템도 있다.

패널 마운트 (4:3) 랙 마운트 LCD 모니터

7. 4. 패널 마운트

패널 마운트 컴퓨터 모니터는 평평한 표면에 장착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이 약간 돌출된다. 패널 후면에 장착할 수도 있다. 장착을 위해 화면, 측면, 상단 및 하단 주변에 플랜지(Flange)가 제공된다. 이는 측면에만 플랜지가 있는 랙 마운트 디스플레이와는 다르다. 플랜지에는 관통 볼트용 구멍이 있거나, 패널의 구멍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후면에 스터드(Stud)가 용접되어 있을 수 있다. 종종 패널에 방수 밀봉을 제공하기 위해 개스킷(Gasket)이 제공되며, 물과 먼지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화면 전면이 전면 패널의 뒷면에 밀봉된다.

7. 5. 오픈 프레임

오픈 프레임 모니터는 디스플레이와 관련 전자 장치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를 최소한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 장치는 외부 구조에 부착하여 지지 및 보호를 받도록 설계된다. 오픈 프레임 모니터는 자체 케이스를 제공하는 다른 장비에 내장되도록 제작된다. 아케이드 비디오 게임은 캐비닛 내부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되는 좋은 예시이다. 모든 최종 사용 디스플레이 내부에는 일반적으로 오픈 프레임 디스플레이가 있으며, 최종 사용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매력적인 보호 인클로저(enclosure, 울타리)를 제공한다. 일부 랙 마운트 모니터 제조업체는 데스크톱 디스플레이를 구매하여 분해하고 외부 플라스틱 부품을 폐기한 후, 자사 제품에 포함하기 위해 내부 오픈 프레임 디스플레이를 보관한다.

레드 디지털 시네마 모니터

8. 보안 취약점

미국 국가안보국(NSA)은 표적이 된 컴퓨터의 모니터 케이블을 도청된 모니터 케이블로 교체하여, NSA가 표적 컴퓨터 모니터에 표시되는 내용을 원격으로 볼 수 있도록 한다.[23]

반 에크 프레킹은 전자기 방출을 감지하여 CRT 또는 LCD의 내용을 원격으로 표시하는 과정이다. 이는 1985년 개념 증명을 포함하여 이에 대한 첫 번째 논문을 발표한 네덜란드 컴퓨터 연구원 빔 반 에크(Wim van Eck)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프레킹은 일반적으로 전화 네트워크를 악용하는 과정을 의미한다.[24]

9. 인터페이스 역사

초기에는 아날로그 방식의 인터페이스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흑백 디스플레이는 단일 RCA 단자 또는 BNC 커넥터를 사용했다. 컬러 디스플레이는 PC/AT에서 VGA 단자(15핀 미니 D-sub, DE-15)가 일반적으로 사용되었고, 일본 내에서는 15핀 D-sub (DA-15)가 사용되었다.[49]

1981년에 등장한 IBM PC는 디지털 방식의 CGA 카드를 채택하여 16색 표시를 지원했다. 디지털 방식에서는 삼원색RGB(빨강·녹색·파랑) 각각을 ON/OFF하는 방식으로 8색을 표현하거나, RGBI (RGB-Intensity) 방식으로 8색의 명암을 조절하여 총 16색을 표현할 수 있었다. 당시 디지털 모니터는 TTL 레벨의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사용했기 때문에 TTL 모니터라고도 불렸으며, 9핀 D-Sub 커넥터 (DE-9) 등으로 연결되었다.[49]

1999년에 등장한 DVI 규격은 32비트 풀 컬러 표시를 지원하여 화질을 대폭 향상시켰다. 2007년경부터는 HDMI 단자가 보급되어 일반화되었으며, 2009년 이후에는 저가형 디스플레이에도 탑재되어 표준적인 단자가 되었다. 2007년에는 USB 연결 액정 디스플레이가 등장했으며, 2010년대에는 USB Type-C로 연결할 수 있는 제품이 늘어났다.[49] DisplayPort는 비즈니스 및 전문가용으로 사용되고 있다.[50]

10. 기타

스크린샷은 PC의 기능으로, 컴퓨터에서 디스플레이로 전송되는 신호를 이미지 데이터로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PC가 동영상 신호를 기록하는 기능은 캡처라고 한다. 이들은 디스플레이의 기능이 아니라 PC 측의 기능이다.[27][25]

참조

[1] 웹사이트 LCD monitors outsold CRTs in Q3, says DisplaySearch https://www.eetimes.[...] Electronic Engineering Times 2022-10-18
[2] 웹사이트 Difference Between TV and Computer Monitor {{!}} Difference Between http://www.differenc[...] 2018-01-15
[3] 웹사이트 Difference Between laptop and Computer Monitor {{!}} Difference Between https://technologyre[...] 2021-04-27
[4] 웹사이트 How Computers Work: Input and Output https://homepage.cs.[...] 2020-05-29
[5] 웹사이트 Visual display unit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22-10-09
[6] 웹사이트 Cathode Ray Tube (CRT) Monitors http://www.infodingo[...] Infodingo.com 2011-05-20
[7] 웹사이트 CRT Monitors http://www.pctechgui[...] PCTechGuide.Com 2011-05-20
[8] 웹사이트 TFT Central http://www.tftcentra[...] TFT Central 2017-09-29
[9] 웹사이트 Boot Magazine 1998 – LCD Monitor Review http://dave.spalla.c[...] 2012-04
[10] 웹사이트 Is the LCD monitor right for you? http://www.infodingo[...] Infodingo.com 2011-05-20
[11] 웹사이트 Refresh rate: A note-worthy factor for a PC monitor https://reviewrooste[...] 2018-09-26
[12] 웹사이트 CRT Versus LCD https://blurbusters.[...] Blur Busters 2022-10-18
[13] 간행물 The (un)suitability of modern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for vision research
[14] 웹사이트 Deep Dive into Curved Displays https://pid.samsungd[...]
[15] 웹사이트 NEMA Specifications http://www.millertec[...] 2011-04-29
[16] 웹사이트 Introduction—Monitor Technology Guide http://www.necdispla[...] NEC Display Solutions
[17] 웹사이트 Product Planners and Marketers Must Act Before 16:9 Panels Replace Mainstream 16:10 and Monitor LCD Panels, New DisplaySearch Topical Report Advises http://www.displayse[...] DisplaySearch 2011-05-20
[18] 웹사이트 Widescreen monitors: Where did 1920×1200 go? http://mybroadband.c[...] 2011-12-24
[19] 웹사이트 Skinflint Price Comparison EU http://skinflint.co.[...]
[20] 웹사이트 Digital-Image Color Spaces, Page 2: Test Images http://regex.info/bl[...] 2018-12-10
[21] 웹사이트 Gamut mapping http://www.normankor[...] 2018-12-10
[22] 웹사이트 FDMI Overview http://www.vesa.org/[...]
[23] 웹사이트 Shopping for Spy Gear: Catalog Advertises NSA Toolbox http://www.spiegel.d[...] 2013-12
[24] 서적 Internet and the Law: Technology, Society, and Compromises, 2nd Edition ABC-CLIO
[25] 웹사이트 IT用語辞典【ディスプレイ】 https://www.sophia-i[...]
[26] 문서 ASCII.jpデジタル用語辞典【ディスプレイ】
[27] 웹사이트 e-words【ディスプレイ】 https://e-words.jp/w[...]
[28] 웹사이트 https://e-words.jp/w[...]
[29] 문서 そのような使用方法は推奨されないため自己責任となる。
[30] 웹사이트 コンピュータ博物館「日本のコンピュータ、入出力装置」 https://museum.ipsj.[...]
[31] 웹사이트 https://archive.org/[...]
[32] 간행물 FACOM6232AおよびFACOM6233Aグラフィックディスプレイ装置
[33] 웹사이트 http://lampes-et-tub[...]
[34] 웹사이트 http://100.yahoo.co.[...]
[35] 간행물 文字ディスプレイ装置
[36] 간행물 文字ディスプレイ装置 Fujitsu 1969
[37] 간행물 FACOM6221ディスプレイ装置 Fujitsu 1968
[38] 간행물 FACOM6221ディスプレイ装置 Fujitsu 1968
[39] 웹사이트 http://uv201.com/Tub[...]
[40] 간행물 文字ディスプレイ装置 Fujitsu 1969
[41] 간행물 文字ディスプレイ装置 Fujitsu 1971
[42] 간행물 漢字モノスコープ管C-3M06 Fujitsu 1976
[43] 간행물 FACOM9520シリーズ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Fujitsu 1973
[44] 간행물 FACOM9525ディスプレイサブシステム Fujitsu 1976
[45] 간행물 FACOM9526ディスプレイサブシステム Fujitsu 1980
[46] 웹사이트 http://www.agc.com/p[...]
[47] 간행물 FACOM6570漢字ディスプレイ Fujitsu 1975
[48] 간행물 FACOM6580漢字ディスプレイサブシステム Fujitsu 1978
[49] 문서
[50] 웹사이트 教えて、エバンジェリスト! HP 知恵袋 | VGA、HDMI、DisplayPort ってどれがよいの? | 日本HP https://jp.ext.hp.co[...]
[51] 웹인용 Difference Between TV and Computer Monitor http://www.differenc[...] 2018-01-15
[52] 웹인용 TFT Central http://www.tftcentra[...] TFT Central 2017-09-29
[53] 웹사이트 Skinflint Price Comparison EU http://skinflint.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