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웹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웹캠은 컴퓨터에 연결하여 이미지나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소형 카메라이다. 1991년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커피 메이커를 촬영하기 위해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이후 화상 회의, 개인 방송, 보안 감시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21세기에는 노트북에 내장되는 형태로 보편화되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원격 근무가 증가하면서 수요가 급증했다. 웹캠은 이미지 센서, 렌즈, 인터페이스 등을 갖추고 있으며, 개인 정보 침해, 보안 문제, 캠펙팅과 같은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웹캠 - 플레이스테이션 아이
    플레이스테이션 아이는 플레이스테이션 3용 카메라 및 마이크 장치로, 음원 위치 추적, 에코 제거, 소음 제어 기능을 제공하며 플레이스테이션 무브와 연동하여 모션 컨트롤러 위치 추적에도 사용된다.
  • 웹캠 - 아이토이
    아이토이는 소니에서 개발한 플레이스테이션 2용 USB 카메라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게임에 반영하는 입력 장치이며, 키넥트 개발에 영향을 주었고, 이후 플레이스테이션 Eye와 플레이스테이션 카메라로 이어졌다.
  • 원격 회의 -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
    윈도우 라이브 메신저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로, 2005년 MSN 메신저에서 브랜드 변경 후 출시되어 오프라인 메시징, 테마 변경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여러 플랫폼을 지원했으나 2013년 서비스가 종료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기능만 이용 가능하다.
  • 원격 회의 - 구글 행아웃
    구글 행아웃은 구글에서 개발한 메시징 서비스로, 구글 토크를 대체하며 출시되었으나, 기능 분리 후 2022년 구글 챗으로 통합되어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 프라이버시 -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
    PD수첩의 미국산 쇠고기 관련 보도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미국산 쇠고기의 안전성 문제를 제기하며, 제작진이 검찰 수사를 받고 명예훼손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무죄 판결을 받았으며 언론의 자유와 사법부의 독립성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킨 사건이다.
  • 프라이버시 - 숫자계좌
    숫자계좌는 제1차 세계 대전 시기 유럽 부호들의 세금 회피 목적으로 스위스 은행에서 시작된 비밀 계좌로, 계좌번호만으로 운영되며 예금주 신원은 은행도 알 수 없지만, 계좌 개설 시 신분증이 필요하고 유지비가 발생하며 다양한 방법으로 개설 가능하다.
웹캠
기본 정보
일반적인 웹캠
일반적인 웹캠
유형비디오 카메라
연결 방식USB
IEEE 1394
이더넷
와이파이
기능화상 회의
화상 통화
실시간 비디오 스트리밍
비디오 녹화
보안 감시
사용처개인용 컴퓨터
네트워크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게임 콘솔
스마트 TV
노트북 컴퓨터
기술적 특징
이미지 센서CCD
CMOS
해상도VGA (640x480)
720p (1280x720)
1080p (1920x1080)
4K (3840x2160)
프레임 속도15~120 fps
렌즈단초점 렌즈
가변 초점 렌즈
오토 포커스지원
내장 마이크단일 마이크
스테레오 마이크
조명내장 LED 조명
소프트웨어 지원
운영 체제윈도우
macOS
리눅스
안드로이드
iOS
드라이버필요
응용 프로그램화상 회의 소프트웨어
화상 통화 소프트웨어
녹화 소프트웨어
기타
역사최초의 웹캠은 1991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개발
용어'웹캠'은 '웹 카메라'의 줄임말

2. 역사

웹캠의 역사는 1991년 캠브리지 대학교 컴퓨터 연구소에서 시작되었다. "트로이의 방"에 설치된 세계 최초의 웹캠은 트로이의 방의 커피 포트를 촬영했으며, 초기에는 연구소 내부에서만 공개되었으나 1993년에 인터넷에 연결되었다. 이 웹캠은 2001년 8월 21일에 철거되었다.[47][48]

웹캠 기술은 성인 산업에서 "생생한" 이미지를 요구하면서 적극적으로 발전하여, 오늘날 다양한 형태의 "스트리밍 웹캠"으로 이어졌다.

초기에는 개인 간 화상 회의를 위해 개발되었지만, 인터넷 사용자들이 전 세계 다른 곳에 설치된 카메라의 이미지를 보는 데 웹캠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2. 1. 초기 개발 (1990년대 초)

최초의 웹캠은 1991년 캠브리지 대학교의 컴퓨터학과에서 만들어졌으며, 2001년 8월 22일에 작동을 멈추었다.[47][48] 이 카메라는 캠브리지 대학교 컴퓨터 과학과의 트로이 방 커피 포트를 향해 설치되었다.[1][2] 카메라가 포착한 최종 이미지는 여전히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다.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가장 오래된 웹캠인 샌프란시스코 주립 대학교의 FogCam은 1994년부터 작동했으며, 현재까지도 작동 중이다.[3] 20초마다 업데이트된다.

트로이 방 커피 포트, XCoffee에 표시됨


SGI IndyCam


1993년에 출시된 SGI Indy는 표준 비디오 카메라를 탑재한 최초의 상용 컴퓨터이자,[4] 표준 비디오 입력을 갖춘 최초의 SGI 컴퓨터이다.[5] 지원되는 최대 입력 해상도는 NTSC의 경우 640×480, PAL의 경우 768×576이다. 하지만 이러한 해상도로 캡처하려면 빠른 시스템이 필요했다. 예를 들어, R4600PC CPU가 느린 인디의 경우 저장 또는 처리 전에 입력 해상도를 줄여야 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비노(Vino) 하드웨어는 최소한의 CPU 오버헤드로 비디오 필드를 프레임 버퍼에 직접 DMA할 수 있었다.

최초로 널리 보급된 상업용 웹캠인 흑백 QuickCam은 1994년 미국 컴퓨터 회사인 커네틱스(Connectix)에서 개발하여 시장에 출시되었다. QuickCam은 1994년 8월 애플 매킨토시용으로 출시되었으며 시리얼 포트를 통해 연결되었고 가격은 100USD였다. 장치 설계자인 존 가버(Jon Garber)는 이를 "맥 카메라"라고 부르고 싶었지만 커넥틱스의 마케팅 부서에서 이를 거부했다. PC 호환 병렬 포트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용 소프트웨어 버전이 1995년 10월에 출시되었다. 원래 QuickCam은 초당 60프레임에서 16가지 음영의 회색조 깊이 또는 초당 15프레임에서 256가지 음영의 320x240 픽셀 해상도를 제공했다.[6] 이 캠은 CDMA, TDMA, GSM 및 HF를 포함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여러 델타 II 발사에서 테스트되었다.

컴퓨터를 통한 화상 회의는 이미 존재했고, 당시에는 CU-SeeMe와 같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 화상회의 소프트웨어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통합 웹캠 옵션을 갖춘 최초의 널리 알려진 노트북은 IBM RS/6000 860 노트북[7][8] 및 관련 ThinkPad 850[9]이었으며, 1996년에 출시되어 가격은 12000USD부터 시작되었다.

2. 2. 주류 진입 (1990년대 후반)

1996년에 만들어진 제니캠(JenniCam)은 가장 널리 알려진 웹캠 사이트 중 하나였다. 이 사이트를 통해 인터넷 사용자들은 4년 후 출시된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빅 브라더와 유사하게, 제니라는 이름의 여성의 삶을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10] 다른 웹캠들은 다리, 광장 및 기타 공공장소를 내려다보는 곳에 설치되어, 웹캠의 원래 개념에 따라 공개 웹페이지에서 해당 영상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수천 개의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이나 최신 정지 이미지를 제공하는 통합 웹사이트도 만들어져 사용자가 위치 또는 기타 기준에 따라 실시간 비디오 스트림을 찾을 수 있었다.

1990년대 후반, 마이크로소프트 넷미팅(Microsoft NetMeeting)은 웹캠을 사용하는, 널리 사용된 유일한 PC 화상 회의 소프트웨어였다.[11] 이후 몇 년 동안 인스턴트 메신저 클라이언트들이 웹캠 지원을 추가하기 시작했다. 야후 메신저(Yahoo Messenger)는 2002년 버전 5.5에서 이 기능을 도입하여 웹캠을 통해 초당 20프레임의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했다.[12] MSN 메신저(MSN Messenger)는 2003년 버전 5.0에서 이 기능을 추가했다.[13]

노트북에 장착된 원통형 금속 카메라
2003년에 출시된 아이사이트(iSight) 웹캠

2. 3. 2000년대 이후

21세기 초, 컴퓨터 하드웨어 제조업체들은 웹캠을 노트북과 데스크톱 화면에 직접 내장하기 시작하여, 외부 USB 또는 파이어와이어 카메라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다. 점차 웹캠은 알 수 없는 대중에게 웹페이지의 영상을 제공하는 것보다 두 사람 또는 여러 사람 간의 통신 또는 화상 통화에 더 많이 사용되게 되었다.

2012년에는 100USD 미만으로 최대 1280×480픽셀 해상도의 3D 입체 영상 비디오와 사진을 생성하는 3차원 공간 웹캠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시청자는 3차원 이미지 효과를 보기 위해 3D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14]

2. 4. 2020년대: 코로나19 팬데믹과 웹캠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원격 근무가 대중화되면서 웹캠은 필수 액세서리로 여겨졌지만, 일반 노트북에 내장된 카메라는 화질이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소매점에서 외장 웹캠이 부족 현상을 겪었다.[15] 팬데믹 이전과 이후 대부분의 노트북은 최대 720p 녹화 품질을 지원했는데, 이는 같은 시기 스마트폰과 TV의 업계 표준인 1080p 또는 4K에 비해 낮은 수준이었다.[16]

노트북 내장 웹캠의 개발 지연은 노트북이 너무 얇아 7mm 카메라 모듈을 장착할 수 없고, 대신 ~2.5mm 모듈을 사용하는 설계 결함 때문이었다.[17][18] 또한 카메라 부품 가격이 비싸고 수요가 높지 않은 점도 개발 지연의 원인이었다.[19][20]

이러한 상황에서 스마트폰이 조명, 삼각대, 앱 등과 함께 웹캠 대체품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21]

2020년 2월 마지막 주 웹캠 판매량은 2019년 대비 2.7배 증가했으며,[39] 웹캠 수요 급증과 품귀 현상으로 인해 디지털 카메라를 웹캠으로 활용하는 흐름도 나타났다. 시그마 fp(SIGMA fp)와 같은 미러리스 카메라는 USB 케이블 연결만으로 웹캠 활용이 가능했다.[40][41]

캐논,[42] 후지필름 ,[43] 니콘 등 주요 카메라 제조사들도 자사 디지털 카메라를 웹캠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공개했다.[44]

3. 기술

21세기 초, 컴퓨터 하드웨어 제조업체들은 웹캠을 노트북과 데스크톱 화면에 직접 내장하기 시작하면서 외부 USB나 파이어와이어 카메라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졌다. 점차 웹캠은 웹페이지에 영상을 제공하는 것보다 두 사람 또는 여러 사람 간의 통신이나 화상 통화에 더 많이 사용되었다.

2012년에는 100달러 미만으로 최대 1280×480픽셀 해상도의 3D 입체 영상 비디오와 사진을 생성하는 3차원 공간 웹캠이 사용 가능하게 되었다. 3차원 이미지 효과를 보려면 3D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14]

COVID-19 팬데믹으로 원격근무가 대중화되면서 일반 노트북의 내장 카메라는 부족하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았다. 이로 인해 소매점에서 외장 웹캠이 부족 현상을 겪었다.[15] 팬데믹 이전과 이후 대부분의 노트북은 최대 720p 녹화 품질을 제공했는데, 이는 같은 시기 스마트폰과 TV에서 볼 수 있는 업계 표준인 1080p 또는 4K와 비교된다.[16] 내장 웹캠의 개발 지연은 노트북이 너무 얇아 7mm 카메라 모듈을 장착할 수 없고 대신 ~2.5mm를 사용하는 설계 결함과 카메라 부품의 높은 가격, 그리고 이 기능에 대한 낮은 수요 때문이다.[17][18][19][20] 이에 따라 조명과 삼각대, 또는 다운로드 가능한 앱을 포함하는 키트를 사용하여 스마트폰을 백업 옵션이나 웹캠 대체품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21]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이 급증하고 외출이 감소하면서, 2020년 2월 마지막 주 웹캠 판매량은 2019년 대비 2.7배 증가했다.[39] 웹캠 수요가 급증하고 품귀 현상이 발생하면서, 디지털 카메라를 웹캠으로 활용하는 흐름도 나타났다. 2019년 10월에 출시된 미러리스 카메라 「시그마 fp(SIGMA fp)」는 USB 케이블 하나만 연결하면 간편하게 웹캠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40][41]

2020년 4월, 캐논(Canon)의 미국 관계사인 Canon U.S.A.는 자사 일부 카메라를 웹캠으로 활용할 수 있는 Windows용 소프트웨어 베타 버전을 공개했다.[42] 2020년 5월, 후지필름(Fujifilm)은 자사 디지털 카메라를 웹캠으로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무상으로 공개했다.[43] 2020년 6월, 니콘이미징재팬(Nikon Imaging Japan)은 니콘(Nikon)사 디지털 카메라를 외부의 범용 소프트웨어로 웹캠처럼 활용하는 영상을 공개했다.[44]

이 외에도, 장난감 디지털 카메라(토이 디지털 카메라)라고 불리는 저렴한 디지털 카메라 중에는 해상도는 낮지만 웹캠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많다.

3. 1. 이미지 센서

웹캠의 CCD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는 CMOS 또는 CCD일 수 있으며, 전자는 저가형 카메라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저가형 카메라에서 CCD 카메라가 반드시 CMOS 기반 카메라보다 성능이 우수한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일반 소비자용 웹캠은 초당 30프레임의 VGA 해상도 비디오를 제공할 수 있다. 많은 최신 기기는 다중 메가픽셀 해상도로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일부는 플레이스테이션 아이처럼 초당 120프레임의 320×240 비디오를 생성할 수 있는 높은 프레임 속도로 실행될 수 있다.[22] 대부분의 이미지 센서는 옴니비전 또는 소니에서 공급받는다.

웹캠은 디스플레이 기술, USB 인터페이스 속도 및 광대역 인터넷 속도와 동시에 발전함에 따라 해상도가 320×240에서 640×480으로 점차 증가했으며, 현재 일부는 1280×720(일명 720p) 또는 1920×1080(일명 1080p) 해상도를 제공한다.[23][24][25] 저렴한 비용에도 불구하고, 2019년 기준으로 제공되는 해상도는 인상적이며, 저가형 웹캠은 720p 해상도를, 중급형 웹캠은 1080p 해상도를, 고급형 웹캠은 초당 60프레임의 4K 해상도를 제공한다.

3. 2. 광학

S마운트 렌즈. 웹캠의 PCB에 부착되도록 설계됨


다양한 렌즈가 있으며, 일반 소비자용 웹캠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은 수동으로 움직여 초점을 맞출 수 있는 플라스틱 렌즈이다. 조정 기능이 없는 고정 초점 렌즈도 있다. 카메라 시스템의 피사계 심도는 작은 이미지 형식일수록 크고, F 수치(작은 조리개)가 큰 렌즈일수록 크기 때문에 웹캠에 사용되는 시스템은 피사계 심도가 충분히 넓어 고정 초점 렌즈를 사용하더라도 영상 선명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대부분의 모델은 간단한 비구면 렌즈(고정 초점, 모니터에서 사용자까지의 일반적인 거리에 맞춰 공장에서 설정) 또는 수동 초점을 사용한다.

웹캠에는 다양한 사전 설정과 시야각이 있다. 개별 사용자는 가정 사무실 및 라이브 스트리밍에 90° 미만의 수평 시야각을 사용할 수 있다. 최대 360° 수평 시야각의 웹캠은 소형에서 중형 크기의 방(때로는 대형 방도 가능)에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시중의 웹캠은 전체 방을 표시하거나 일반적인 주변만 표시할 수 있다.

3. 3. 인터페이스 및 소프트웨어

일반적으로 "웹캠"으로 판매되는 제품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는 USB, 이더넷, IEEE 802.11(IP 카메라로 분류됨)이다.[1] 컴포지트 비디오, S-비디오 또는 파이어와이어와 같은 다른 인터페이스도 사용 가능했다. USB 비디오 장치 클래스(UVC) 사양을 통해 독점적인 장치 드라이버 없이 웹캠을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다.

UVC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독점 소프트웨어와 자유-오픈소스 소프트웨어가 제공된다. UVC 스트림은 Guvcview 또는 GStreamer 및 GStreamer 기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호스트 컴퓨터에 여러 개의 USB 카메라를 연결하고 MotionEye와 같이 (무선) 이더넷을 통해 여러 스트림을 동시에 방송할 수 있다. MotionEye는 MotionEyeOS나 Raspbian을 통해 라즈베리 파이에 설치할 수 있다. MotionEye는 데비안에도 설치할 수 있으며, Raspbian은 데비안의 변종이다. MotionEye V4.1.1 (21년 8월)은 데비안 10 버스터(oldstable) 및 Python 2.7에서만 실행할 수 있다. MotionEye의 창시자이자 저자인 Ccrisan에 따르면, 3.X와 같은 최신 버전은 현재 지원되지 않는다.

PicMaster 및 마이크로소프트의 카메라 앱(윈도우 운영 체제용), Photo Booth(맥), 또는 치즈(유닉스 시스템)와 같이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를 사용하여 비디오와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목록은 웹캠 소프트웨어 비교를 참조한다.

4. 활용

웹캠은 화상 연결을 통해 컴퓨터를 화상 전화 또는 화상 회의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애플의 iSight 카메라는 애플 랩탑, 아이맥, 그리고 대부분의 아이폰에 내장되어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징 프로그램으로 화상 채팅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보안 감시, 컴퓨터 비전, 비디오 방송, 소셜 비디오 녹화 등에도 활용된다.

원래 실시간 방송(생중계)을 목적으로 했지만, 최근에는 일반 비디오카메라처럼 동영상 공유 사이트에 올릴 영상을 찍는 데도 많이 쓰인다. 컴퓨터로 영상을 따로 가져올 필요가 없고, 기술 발전으로 일반 비디오카메라 못지않은 고화질 영상을 찍을 수 있기 때문이다.

야후!(Yahoo!) 메신저, 구글+(Google+) 행아웃, AOL 인스턴트 메신저, 아이챗(iChat), 스카이프(Skype) 등 인스턴트 메신저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웹캠을 이용한 통신기능이 탑재되어, 전 세계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1:1 화상 통화(비디오 채팅)가 보급되었다. 유튜브(YouTube)와 같은 동영상 게시 사이트에 웹캠으로 촬영한 동영상을 게시하기도 하며, 방송 기능이 방범 카메라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DWANGO(도완고)가 운영하는 니코니코 동화니코니코 생방송, 유스트림(USTREAM) 등에서 웹캠을 이용한 생방송을 볼 수 있다.

4. 1. 화상 통화 및 회의

웹캠은 인스턴트 메신저, AOL 인스턴트 메신저와 같은 텍스트 채팅 서비스 및 스카이프 등의 VoIP 서비스에 추가되어 인터넷을 통한 일대일 실시간 화상 통신을 가능하게 했다. 이는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일반 PC 사용자에게까지 도달했다. 향상된 화질 덕분에 웹캠은 기존의 화상 회의 시스템을 대체하고 있다. 자동 조명 제어, 실시간 향상 기능(보정, 주름 완화 및 세로 스트레칭), 자동 얼굴 추적 및 자동 초점과 같은 새로운 기능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여 웹캠의 인기를 더욱 높이고 있다.[26]

여섯 명이 이야기하는 모습
웹캠을 사용한 화상 통화 세션


웹캠은 원격 근무를 장려하여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근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사용은 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대면 사무실 근무가 권장되지 않았을 때 많은 기업의 생존에 매우 중요했다. 기업, 학교 및 개인은 회의를 위해 출장 비용을 지출하는 대신 화상 회의에 의존했다. 또한, 화상 회의 카메라와 소프트웨어의 수는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그 이후로 증가했다.

웹캠 기능과 성능은 프로그램, 컴퓨터 운영 체제 및 컴퓨터의 프로세서 성능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여러 인기 인스턴트 메시징 프로그램에도 화상 통화 지원이 추가되었다.

웹캠은 아마추어와 전문가 모두에게 저렴한 실시간 화상 채팅과 웹캐스팅을 가능하게 한다.

야후!(Yahoo!) 메신저, 구글+(Google+) 행아웃, AOL 인스턴트 메신저, 아이챗(iChat), 스카이프(Skype) 등의 인스턴트 메신저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통신 상대방에게 자신의 얼굴을 전송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전 세계의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1:1 화상 통화(비디오 채팅)가 보급되었다.

4. 2. 개인 방송



1996년에 만들어진 제니캠(JenniCam)은 가장 널리 보도된 웹캠 사이트 중 하나로, 인터넷 사용자들이 동명의 여성의 삶을 끊임없이 관찰할 수 있게 했다. 이는 4년 후 시작된 리얼리티 TV 프로그램 ''빅 브라더''와 같은 맥락이다.[10]

웹캠은 화상 연결을 통해 컴퓨터를 화상 전화 또는 화상 회의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애플의 iSight 카메라는 애플 랩탑, 아이맥, 그리고 대부분의 아이폰에 내장되어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징 프로그램으로 화상 채팅을 할 수 있다.

야후!(Yahoo!) 메신저, 구글+(Google+) 행아웃, AOL 인스턴트 메신저, 아이챗(iChat), 스카이프(Skype) 등 인스턴트 메신저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웹캠을 이용한 통신기능이 탑재되어, 전 세계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1:1 화상 통화(비디오 채팅)가 보급되었다. 유튜브(YouTube)와 같은 동영상 게시 사이트에 웹캠으로 촬영한 동영상을 게시하기도 한다. 방송 기능이 방범 카메라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외에도 DWANGO(도완고)가 운영하는 니코니코 동화니코니코 생방송, 유스트림(USTREAM) 등에서 웹캠을 이용한 생방송을 볼 수 있다.

4. 3. 보안 감시

웹캠은 보안 카메라로 사용될 수 있다. PC에 연결된 카메라가 움직임과 소리를 감지하고 이를 기록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가 있다. 이러한 기록은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이메일로 보내거나, 인터넷에 업로드할 수 있다. 한 유명한 사례[31]에서 컴퓨터가 도난당하는 동안 컴퓨터가 절도범의 이미지를 이메일로 보내, 소유자가 컴퓨터가 도난당한 후에도 경찰에게 절도범의 얼굴을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었다.

건물에 설치된 웹캠(폐쇄회로 텔레비전(CCTV)으로 사용됨)


2011년 12월 러시아는 2012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를 감시하기 위해 9만 개의 투표소에 29만 개의 웹캠을 설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32] 웹캠은 보육 시설, 사무실, 상점 및 개인 구역과 같은 장소에서 보안 및 일반적인 활동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오늘날 전 세계에는 수천 대의 웹캠이 있으며, 이 카메라들은 가정, 사무실 및 기타 건물의 파노라마 풍경을 제공한다. 교통, 기상, 화산 관측 등에도 사용된다.

방송 기능이 방범 카메라 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4. 4. 기타 활용

웹캠은 주로 화상 연결에 사용되어 컴퓨터를 화상 전화 또는 화상 회의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애플의 iSight 카메라는 애플 랩탑, 아이맥, 그리고 대부분의 아이폰에 내장되어 있으며, 메시지 인스턴트 메시징 프로그램을 통해 화상 채팅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보안 감시, 컴퓨터 비전, 비디오 방송, 소셜 비디오 녹화 등에도 활용된다.

웹캠으로 촬영한 여러 장의 사진을 이어 붙여 만든 사진


몇몇 특정 웹캠 모델은 매우 낮은 조도에서도 촬영이 가능하여 천문학자와 천체 사진가들이 야간 천체 촬영에 사용하기도 한다. 이들 카메라는 대부분 수동 초점을 지원하며, 비교적 구형인 CCD 센서를 사용한다. 카메라 렌즈를 제거하고 망원경에 부착하여 이미지나 비디오를 기록한다. 최근에는 매우 희미한 천체의 비디오를 몇 초 동안 촬영한 후, 비디오 프레임을 합성하여 명암비가 높은 정지 이미지를 얻는 기술도 활용된다.[33]

웹캠의 CCD 반응은 입사광에 선형적으로 비례한다.[34] 렌즈를 제거하면 웹캠으로 레이저 빔 프로파일을 기록할 수 있는데, 레이저 빔 프로파일러의 해상도는 픽셀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상용 웹캠은 보통 컬러 이미지를 기록하며, 컬러 픽셀 크기는 모델에 따라 5~10μm 정도이다. 컬러 픽셀은 각각 컬러 필터가 장착된 4개의 흑백 픽셀로 구성되는데(자세한 내용은 베이어 필터 참조), 이 컬러 필터는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근적외선 영역에서는 투명할 수 있다. 웹캠을 베이어 모드로 전환하면 개별 픽셀 정보에 접근하여 3μm 미만의 해상도를 얻을 수 있다.[35]

오늘날 전 세계 수천 대의 웹캠이 가정, 사무실, 건물 등에서 파노라마 풍경을 제공하고 있으며, 교통, 기상, 화산 관측 등에도 사용된다.

웹캠은 야후!(Yahoo!) 메신저, 구글+(Google+) 행아웃, AOL 인스턴트 메신저, 아이챗(iChat), 스카이프(Skype) 등의 인스턴트 메신저 및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탑재되어 1:1 화상 통화(비디오 채팅)를 가능하게 했다. 유튜브(YouTube)와 같은 동영상 게시 사이트에서는 웹캠으로 촬영한 동영상을 게시하기도 하며, 방송 기능은 방범 카메라 대용으로도 쓰인다.

그 외에도 DWANGO(도완고)가 운영하는 니코니코 동화니코니코 생방송, 유스트림(USTREAM) 등에서 웹캠을 이용한 생방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5. 문제점 및 윤리적 고려 사항

웹캠은 어린이집, 유치원, 아파트 등에서 자녀의 모습을 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설정 오류 등으로 인해 영상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심지어 창밖 풍경 등 적은 정보만으로도 주소가 특정될 위험이 있으며, 이러한 영상을 엿보는 사이트까지 등장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45] 특히 일본에서는 몰래카메라로 처벌하기 어려워 법적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45]

미국 뉴저지주에서는 2010년 9월, 한 남학생이 룸메이트에게 웹캠으로 몰래 촬영당한 영상이 트위터에 게시되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으로 몰래카메라를 촬영한 룸메이트 2명은 체포되었다.[46]

또한, 웹캠 촬영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ActiveX나 Adobe Flash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러한 기술들은 현재 널리 사용되지 않아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제조사에 따라 업데이트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오래된 제품은 지원이 중단되어 사용자가 웹캠을 교체해야 하는 상황도 발생한다.

5. 1. 개인 정보 침해

많은 사용자가 웹캠이 원래 의도된 대로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개인 정보 보호를 선호한다.[36] 그러나 악성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지식 없이 웹캠을 활성화하여 해커에게 실시간 영상과 음성 피드를 제공할 경우 이러한 개인 정보 보호가 손상된다.[37] 이는 많은 노트북 컴퓨터에서 특히 우려되는 문제인데, 이러한 카메라는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이나 기타 유사한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해킹당한 경우 일반적으로 물리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랩톱 웹캠에 테이프를 붙여 스파이가 활동을 보는 것을 차단


애플의 구형 외장형 아이사이트(iSight) 카메라와 같이 일부 카메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렌즈 커버가 포함되어 있다. 일부 웹캠에는 카메라가 활성화될 때마다, 때로는 비디오 모드에서만 켜지는 내장형 하드웨어 LED 표시등이 있다.[38] 그러나 웹캠의 회로 설계에 따라 악성 프로그램이 표시등을 우회하고 은밀하게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연구원들은 2013년 맥북(MacBook)의 내장 카메라의 경우 이를 증명했다.[38]

여러 회사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컴퓨터나 스마트폰의 카메라 렌즈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렌즈 커버와 스티커를 판매한다.[38] 그러한 회사 중 한 곳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25만 개가 넘는 이러한 제품을 판매했다고 보고했다.[38] 그러나 불투명한 재료라면 무엇이든 잘 작동한다.[38]

웹캠 소유자의 허락 없이 개인의 웹캠에 침입하여 활성화하려는 시도 과정을 "캠펙팅(camfecting)"이라고 하며, 이는 "캠(cam)"과 "인펙팅(infecting)"의 합성어이다. 원격으로 활성화된 웹캠은 웹캠의 시야 내에 있는 모든 것을 볼 수 있다. 캠펙팅은 대부분 피해자의 컴퓨터에 컴퓨터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수행된다.

자녀의 모습을 컴퓨터나 휴대전화 등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이 인기를 끌면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아파트 등에 웹캠이 설치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지만 설정 오류 등의 원인으로 인터넷상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창밖이나 배경에 비친 아주 적은 정보(건물 배열, 지나가는 차량 등)만으로도 주소가 특정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영상을 엿볼 수 있는 사이트도 보고되고 있으며, 개인정보 침해 문제로 이슈가 되고 있지만, 현재 일본에서는 몰카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아 범죄로 처벌하기 어렵고, 법적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45]

미국 뉴저지주에서는 2010년 9월, 남학생이 웹캠으로 룸메이트에게 실내 사생활 영상을 몰카당해 트위터에 게시되었다. 해당 남학생은 이로 인해 자살했다. 몰카를 찍은 룸메이트 남녀 2명은 이후 체포되었다.[46]

5. 2. 보안 문제

많은 사용자는 웹캠이 항상 켜져 있는 것보다 개인 정보 보호를 선호한다.[36] 그러나 악성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동의 없이 웹캠을 작동시켜 해커에게 실시간 영상과 음성을 제공하면 개인 정보가 침해될 수 있다.[37] 이는 노트북 컴퓨터에서 특히 문제가 되는데, 이러한 카메라는 트로이 목마나 스파이웨어에 해킹당하면 물리적으로 비활성화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애플의 구형 외장형 아이사이트(iSight) 카메라와 같은 일부 카메라는 렌즈 커버가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다. 일부 웹캠에는 카메라가 활성화될 때, 특히 비디오 모드에서 켜지는 내장형 LED 표시등이 있다.[38] 그러나 웹캠 회로 설계에 따라 악성 프로그램이 표시등을 우회하고 몰래 카메라를 켤 수도 있다. 2013년 맥북(MacBook) 내장 카메라에서 이러한 문제가 증명되었다.[38]

여러 회사에서 컴퓨터나 스마트폰 카메라 렌즈를 가릴 수 있는 슬라이딩 렌즈 커버와 스티커를 판매한다.[38] 한 회사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이러한 제품을 25만 개 이상 판매했다고 보고했다.[38] 불투명한 재료라면 무엇이든 효과가 있다.[38]

웹캠 소유자 몰래 웹캠을 켜는 행위를 "캠펙팅(camfecting)"이라고 하며, "캠(cam)"과 "인펙팅(infecting)"을 합친 말이다. 원격으로 켜진 웹캠은 시야 내의 모든 것을 볼 수 있다. 캠펙팅은 주로 컴퓨터 바이러스를 통해 이루어진다.

어린이집, 유치원, 아파트 등에서 자녀의 모습을 컴퓨터나 휴대폰으로 볼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웹캠 설치가 늘고 있다. 하지만 설정 오류 등으로 인해 외부에 노출되어, 창밖이나 배경의 적은 정보(건물 배열, 지나가는 차량 등)만으로도 주소가 특정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영상을 엿볼 수 있는 사이트도 보고되고 있으며,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있지만, 일본에서는 몰카로 처벌하기 어렵고 법적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45]

미국 뉴저지주에서는 2010년 9월 한 남학생이 룸메이트에게 웹캠으로 실내 사생활 영상을 몰카당해 트위터에 게시된 후 자살했다. 몰카를 찍은 룸메이트 남녀 2명은 체포되었다.[46]

윤리적 문제 외에도 웹캠 자체의 기술적 문제도 있다. 촬영 영상을 보려면 ActiveX나 Adobe Flash가 필요한 제품이 많았지만, 두 기술 모두 더 이상 널리 사용되지 않으며, 호환 브라우저의 점유율 감소로 인해 웹에 영상을 공개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업데이트가 제공되어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있지만, 오래되어 지원되지 않는 제품도 많다. 이러한 제품 중에는 웹캠 보편화 이전에 출시된 고가 제품도 많아 구매자가 쉽게 교체하기 어렵다.

5. 3. 캠펙팅(Camfecting)

많은 사용자는 웹캠이 원래 의도된 대로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개인 정보 보호를 선호한다.[36] 그러나 악성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지식 없이 웹캠을 활성화하여 해커에게 실시간 영상과 음성 피드를 제공할 경우 이러한 개인 정보 보호가 손상된다.[37] 이는 많은 노트북 컴퓨터에서 특히 우려되는 문제인데, 이러한 카메라는 트로이 목마 프로그램이나 기타 유사한 스파이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해킹당한 경우 일반적으로 물리적으로 비활성화할 수 없기 때문이다.

애플의 구형 외장형 아이사이트(iSight) 카메라와 같이 일부 카메라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렌즈 커버가 포함되어 있다. 일부 웹캠에는 카메라가 활성화될 때마다, 때로는 비디오 모드에서만 켜지는 내장형 하드웨어 LED 표시등이 있다.[38] 그러나 웹캠의 회로 설계에 따라 악성 프로그램이 표시등을 우회하고 은밀하게 카메라를 활성화할 수 있다. 연구원들은 2013년 맥북(MacBook)의 내장 카메라의 경우 이를 증명했다.[38]

여러 회사에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카메라 렌즈에 대한 접근을 차단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렌즈 커버와 스티커를 판매한다.[38] 그러한 회사 중 한 곳은 2013년부터 2016년까지 25만 개가 넘는 이러한 제품을 판매했다고 보고했다.[38] 그러나 불투명한 재료라면 무엇이든 잘 작동한다.[38]

웹캠 소유자의 허락 없이 개인의 웹캠에 침입하여 활성화하려는 시도 과정을 "캠펙팅(camfecting)"이라고 하며, 이는 "캠(cam)"과 "인펙팅(infecting)"의 합성어이다. 원격으로 활성화된 웹캠은 웹캠의 시야 내에 있는 모든 것을 볼 수 있다. 캠펙팅은 대부분 피해자의 컴퓨터에 컴퓨터 바이러스를 감염시켜 수행된다.

5. 4. 기타 기술적 문제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아파트 등에 웹캠이 설치되는 사례가 늘고 있지만, 설정 오류 등으로 인해 영상이 외부에 노출되어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영상은 엿볼 수 있는 사이트로 보고되고 있으며, 개인정보 침해 문제로 이슈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몰카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아 범죄로 처벌하기 어렵고, 법적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다.[45]

미국 뉴저지주에서는 2010년 9월에 한 남학생이 룸메이트에게 웹캠으로 실내 사생활 영상을 몰카당해 트위터에 게시되었고, 이로 인해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몰카를 찍은 룸메이트 남녀 2명은 체포되었다.[46]

웹캠 자체의 기술적인 문제도 있다. 촬영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ActiveX나 Adobe Flash를 필요로 하는 제품이 많았지만, 이 기술들은 더 이상 널리 사용되지 않는다. 호환되는 브라우저의 점유율 감소로 인해 웹캠 영상을 보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제조사에 따라 업데이트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오래된 제품은 지원되지 않아 교체가 어려운 상황도 발생한다.

참조

[1] 웹사이트 CoffeeCam http://www.cl.cam.ac[...]
[2] 웹사이트 Trojan Room Coffee Pot – SPIEGEL ONLINE http://www.spiegel.d[...] 2015-07-29
[3] 뉴스 'World's oldest webcam' to be switched off https://www.bbc.co.u[...] 2019-08-20
[4] 간행물 Low-cost, high-speed SGI Indy comes with camera https://www.proquest[...] 1993-08-13
[5] 간행물 Video input becoming workstation standard. https://web-b-ebscoh[...] 1993-07-22
[6] 잡지 History of Video Calls: From Fantasy to Flops to Facetime http://www.pcworld.c[...] 2010-06-17
[7] 웹사이트 RS/6000 Notebook 860 http://ps-2.kev009.c[...] 2020-12-30
[8] 웹사이트 US - IBM RS/6000 Notebook 860 Model 860 https://www-01.ibm.c[...] 2020-12-30
[9] 웹사이트 IBM ThinkPad Power Series 820 and 850 https://www-01.ibm.c[...] 2020-12-30
[10] 뉴스 Plug pulled on live website seen by millions https://www.theguard[...] 2004-01-03
[11] 웹사이트 Video-Conference Program Allows More Private Face-To-Face Time https://www.chicagot[...] 1999-05-24
[12] 웹사이트 Yahoo! Instant messenger unveils broadband Webcam https://www.computer[...]
[13] 웹사이트 MSN Messenger gains webcam functionality https://www.computer[...]
[14] 뉴스 3D photos: Minoru 3D webcam hands-on https://www.cnet.com[...] 2009-07-16
[15] 뉴스 Webcams have become impossible to find, and prices are skyrocketing https://www.theverge[...] 2020-04-09
[16] 웹사이트 Best webcams 2021: Top picks for working from home https://www.techrada[...] 2021-08-05
[17] 웹사이트 Huawei's new laptop has a mechanical pop-up webcam in the keyboard https://www.theverge[...] 2018-02-25
[18] 웹사이트 In the Age of Zoom, Bad Laptop Webcams Are a Big Problem https://www.digitalt[...] 2020-04-08
[19] 웹사이트 New MacBook Pro Finally Features a 1080p Webcam Within a Notch https://www.macrumor[...] 2021-10-18
[20] 웹사이트 Dear Apple, please stop putting crummy cameras on your MacBooks https://www.imore.co[...] 2020-03-19
[21] 잡지 How to Turn Your Smartphone into a Webcam https://www.wired.co[...]
[22] 웹사이트 Cnet https://www.cnet.com[...]
[23] 웹사이트 How Much Resolution is Enough? Picking a Webcam http://www.ebay.com/[...] 2015-07-29
[24] 웹사이트 1080p, 2.0 Mega Pixels? Understanding Webcam Technical Terms http://webcam-review[...] 2013-05-09
[25] 웹사이트 Five Best Webcams http://lifehacker.co[...] Gawker Media 2012-11-18
[26] 웹사이트 The Problems with Omegle Girls and Free Chat Services https://web.archive.[...] OmegleGirlsChat
[27] 웹사이트 Ex-band teacher pleads guilty to porn charge with girl, 16 http://www.jconline.[...] jconline.com
[28] 잡지 Webcam Peeper Convicted in Rutgers Cyberbullying Case https://www.pcmag.co[...] 2012-03-16
[29] 웹사이트 Tip From 4chan Leads To Arrest Of Site Visitor On Child Porn Charges http://www.thesmokin[...] 2012-02-27
[30] 뉴스 Feds: bald man posing as 17-year-old secretly taped teens https://www.theregis[...] 2009-10-13
[31] 뉴스 Serial burglar caught on webcam http://news.bbc.co.u[...] 2005-02-16
[32] 뉴스 Russia Election Webcams https://blogs.wsj.co[...] 2012-01-16
[33] 서적 Observing the Moon: The modern astronomer's guid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4] 논문 Webcam as a light probe beam profiler
[35] 논문 A webcam in Bayer-mode as a light beam profiler for the near infrared
[36] 웹사이트 Jogador esquece webcam ligada e transmite sexo com namorada http://br.noticias.y[...] 2012-11-13
[37] 서적 Virtual crime! : solving cybercrime https://books.google[...] Enslow Publishers 2020-10-11
[38] 웹사이트 Why is everyone covering up their laptop cameras? https://www.theguard[...] 2016-06-06
[39] 웹사이트 新型コロナでWebカメラ爆売れ、2月最終週は前年比2.7倍 https://xtech.nikkei[...]
[40] 웹사이트 シグマ「SIGMA fp」に熱視線、ケーブル1本で超高画質Webカメラに変身 https://news.mynavi.[...]
[41] 웹사이트 SIGMA fpで、レンズ交換式Web会議に挑戦 https://dc.watch.imp[...]
[42] 웹사이트 米キヤノン、EOSやPowerShotを"高画質Webカメラ"として使えるソフトを公開 https://dc.watch.imp[...]
[43] 웹사이트 富士フイルム、X/GFXシリーズをWebカメラ化するソフトを公開 https://dc.watch.imp[...]
[44] 웹사이트 ニコン、同社一眼レフ/ミラーレスのWebカメラ化について解説 https://dc.watch.imp[...]
[45] 뉴스 ウェブカメラ映像、丸見え…幼稚園内、部外者にも https://web.archive.[...] 2010-09-27
[46] 뉴스 米国:男子大学生自殺 ウェブカメラで部屋盗撮の男女逮捕 https://web.archive.[...] 2010-10-01
[47] 웹사이트 CoffeeCam http://www.cl.cam.ac[...]
[48] 웹사이트 Spiegel CoffeeCam http://www.spiegel.d[...]
[49] 뉴스 Happy Birthday Fogcam http://xpress.sfsu.e[...] 2004-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