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모로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모로어는 코모로 제도에서 사용되는 반투어의 일종으로, 네 가지 주요 방언(응가자어, 은즈와니어, 마오레어, 무왈리어)으로 나뉜다. 라틴 문자를 주로 사용하며, 아랍 문자도 역사적으로 사용되었다. 문법적으로는 명사 부류 체계를 가지며, 동사 구조는 반투어 언어의 일반적인 특징을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모로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코모로의 언어 - 아랍어
    아랍어는 중동과 북아프리카에서 주로 사용되는 셈어어족의 언어로, 현대 표준 아랍어와 다양한 지역 방언으로 나뉘며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표기하고 이슬람 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다.
  • 반투어군 - 체와어
    체와어는 말라위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언어이며 잠비아 동부와 모잠비크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체와족의 언어로, 다양한 방언, 복잡한 모음과 자음 체계, 접두사를 사용하는 문법, 다양한 시제와 어미를 사용하는 동사 체계, 풍부한 구전 문학을 특징으로 한다.
  • 반투어군 - 링갈라어
    링갈라어는 콩고 강 유역에서 발생한 반투어 기반 크레올어로,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콩고 공화국에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풍부하고, 라틴 알파벳으로 표기된다.
코모로어
언어 정보
이름코모로어
원어 이름Shikomor/شِكُمُرِ
사용 국가코모로
마요트
사용 지역코모로 전체
마요트
마다가스카르
레위니옹
화자 수 (코모로)790,000명 (2011년)
화자 수 (마요트)253,700명 (2007년)
문자아랍 문자
라틴 문자
공용어 지정 국가코모로
언어학적 분류
어족니제르-콩고 어족
어파대서양-콩고 어파
어군볼타-콩고 어군
어 branch베누에-콩고 어군
하위 어군반토이드 어군
하위 어군남부 반토이드 어군
언어반투어군
언어북동 해안 반투어군
언어사바키어군
구스리 분류G.44
글롯톨로그como1260
글롯톨로그 명칭Comorian Bantu
방언
방언응가지자 코모로어
ISO 639-3 코드zdj
방언은즈와니 코모로어 (앙주앙)
ISO 639-3 코드wni
방언마오레 코모로어
ISO 639-3 코드swb
방언므왈리 코모로어
ISO 639-3 코드wlc

2. 역사 및 분류

코모로어는 반투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스와힐리어와 가까운 관계를 갖는다. 최초의 반투어 사용자는 5세기에서 10세기 사이에 시라지 아랍인보다 먼저 코모로 제도에 도착한 것으로 추정된다.[6]

2. 1. 방언

코모로어는 크게 네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 각 방언은 코모로 제도의 특정 섬에서 사용되며, 고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코모로어 방언
방언사용자 수
응가자어그랜드코모로섬312,000명
은즈와니어앙주앙섬275,000명
마오레어마요트97,300명
무왈리어모헬리섬28,700명


2. 1. 1. 응가자어 (Shingazija)

응가자어는 그랑드코모르 섬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1869년 에드워드 스티어 주교가 처음으로 단어 목록을 수집하고 어떤 언어 계열에 속하는지 알 수 없다고 언급하며 기록되었다.[1] 1870년 Gevrey는 응가자어와 신즈와니어를 '코모로의 스와힐리어'로 묘사하며, '잔지바르의 파토아'에 불과하다고 하였다.[1] 그러나 1871년 Kersten은 응가자어가 스와힐리어와 전혀 같지 않고 별도의 반투어라고 언급했다.[1]

Torrend는 1891년에 응가자어와 신즈와니어의 차이점을 처음으로 밝혀냈다.[1] 그는 응가자어가 신즈와니어와 스와힐리어의 혼합이라고 제안했다.[1]

2. 1. 2. 은즈와니어 (Shinzwani)

'''은즈와니어'''(Shinzwaniswh)는 앙주앙섬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1821년 윌리엄 엘리엇 목사에 의해 처음 언급되었다.[8] 엘리엇 목사는 앙주앙 섬에서 13개월 동안 선교 활동을 하면서 이 언어의 어휘와 문법을 정리했다. 그는 900단어의 어휘 목록을 포함했고 신즈와니로 98개의 예시 문장을 제공했다. 그는 명사 등급(신즈와니에는 최소 6개가 있음)을 인식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스와힐리어와 표면적인 연관만 맺고, 신즈와니를 반투어라고 생각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8]

이 방언은 1841년 카살리스에 의해 다시 언급되었는데, 그는 이 방언을 반투어에 포함시켰고, 페터스는 짧은 단어 목록을 수집했다. 1875년 힐데브란트는 신즈와니 어휘집을 출판했고, 1876년에는 신즈와니가 스와힐리어의 더 오래된 형태라고 제안했다.

싱가지자와 신즈와니가 스와힐리어와 구별된다는 생각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에 마침내 두각을 나타냈다. 1883년 구스트의 분석은 신즈와니를 스와힐리어와 구별했다. 그는 신즈와니와 스와힐리어를 '바라쿤'이라고 부르는 항구 언어에 기여한 두 개의 별개의 언어로 논했다.[9]

1909년 두 개의 출판물은 신즈와니, 싱가지자, 스와힐리어의 독자성을 재확인하고 명확히 했다. 스트럭은 1856년 앙주안에서 한 프랑스인이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단어 목록을 출판했으며, 이 단어들이 신즈와니에 속한다고 확인하고 스와힐리어의 영향을 언급했다.[10][11]

사클렉스는 자신의 스와힐리어 문법에서 스와힐리어가 코모로에서 사용되지만, 코모로의 토착 언어인 신즈와니와 싱가지자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고 주의했다. 그는 스와힐리어는 주로 도시에서 사용되는 반면 코모로 언어는 시골에서 널리 사용된다고 말했다.[12]

2. 1. 3. 마오레어 (Shimaore)

마요트 섬에서 사용되는 방언으로 마오레 코모로어라고 하며 사용 인구는 97,300명이다.[1]

마오레어 사용자 수
사용자 수
마요트97,300명


2. 1. 4. 무왈리어 (Shimwali)

모엘리섬(모헬리)에서 사용되는 방언이다. 심왈리어(Shimwali) 방언은 유럽인에 의해 기록된 가장 초기의 반투어 중 하나였을 가능성이 있다. 1613년 7월 3일, 월터 페이튼은 모엘리 섬에서 14개의 단어를 기록했다고 주장하며 "그들은 일종의 모리스코 언어를 사용한다"고 말했다. 토마스 로 경과 토마스 허버트도 어휘를 기록했다고 주장했다.[7]

1970년대까지는 스와힐리어의 방언 또는 고어 형태로 여겨졌다. 1871년 케르스텐이 처음 제안했는데, 그는 이것이 신가자, 스와힐리어, 말라가시어의 혼합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1919년 존스턴은 '코모로 제도 스와힐리어 - '모힐라' 방언과 '모헬라' 언어'라고 부르며, 코모로 제도의 다른 두 방언과 함께 이것이 스와힐리어의 고대적이고 변질된 형태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오테나이머 등(1976)은 이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발견했다. 대신, 그들은 심왈리어를 비롯한 다른 코모로 언어들을 스와힐리어와는 별개의 언어 그룹으로 분류한다.[8]

3. 음운

코모로어의 자음 및 모음 체계는 다음과 같다.


  • '''모음''': 5개의 기본 모음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모음 하위 섹션을 참조.
  • '''자음''': 다양한 자음이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자음 하위 섹션을 참조.


자음 ''mb'', ''nd'', ''b'', ''d''는 음운론적으로 내파음이지만, , , , 와 같이 내파음에서 유성 파열음에 이르는 범위로 발음될 수 있다. 성문 파열음 또한 모음 사이에 위치할 때 들릴 수 있다.

시마오레 방언에서는 접두사를 삽입할 때 선행 자음이 모음 사이가 되면, 는 로, 는 로, 는 로, 는 로 바뀌고, 는 삭제된다.

다음절 단어와 CV 음절 구조를 선호한다. 모음은 CV 구조에 더 잘 맞도록 자주 삭제되고 삽입된다. VV가 되는 상황에서는 ''h''를 삽입하는 다른 전략도 있다.

받침 강세를 매우 선호한다. 과거에는 이 언어에 성조 체계가 있었지만, 대부분 사라졌고 더 이상 대다수의 경우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다.

3. 1. 모음



colspan="2" |


3. 2. 자음

파찰음무성음평음()비음화유성음/
내파음평음~~비음화~~마찰음무성음|유성음접근음전동음|



자음 ''mb'', ''nd'', ''b'', ''d''는 음운론적으로 내파음이지만, , , , 와 같이 내파음에서 유성 파열음에 이르는 범위로 발음될 수 있다. 성문 파열음 또한 모음 사이에 위치할 때 들릴 수 있다.

시마오레 방언에서는 접두사를 삽입할 때 선행 자음이 모음 사이가 되면, 는 로, 는 로, 는 로, 는 로 바뀌고, 는 삭제된다.

다음절 단어와 CV 음절 구조를 선호한다. 모음은 CV 구조에 더 잘 맞도록 자주 삭제되고 삽입된다. VV가 되는 상황에서는 ''h''를 삽입하는 다른 전략도 있다.

받침 강세를 매우 선호한다. 과거에는 이 언어에 성조 체계가 있었지만, 대부분 사라졌고 더 이상 대다수의 경우에서 적극적인 역할을 하지 않는다.

4. 문자

오늘날 코모로어는 라틴 문자로 가장 많이 표기된다. 전통적으로 그리고 역사적으로는 아랍 문자도 사용되었지만, 그 빈도는 적었다. 아랍 문자는 이슬람교 경전 학교에 거의 모든 사람들이 다녔기 때문에 코모로에서 보편적으로 알려졌다.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세속 교육의 인프라가 개선되면서 상황이 바뀌었고, 프랑스어가 교육 언어가 되었다.

4. 1. 라틴 문자

현재 코모로어 표기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문자이다.

코모로어 라틴 문자
대문자AƁBCƊDEFGHIJKLMNOPRSTUVWYZ
소문자aɓbcɗdefghijklmnoprstuvwyz



코모로어의 이중 자음 목록
이중 자음dhdjdrdzghnyshpvthtrts



'''참고''': 시마오레어에서는 이중 자음 "vh" 와 "bv"가 음소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4. 2. 아랍 문자

코모로어는 코모로 제도에서 사용되는 반투어 중 하나로, 스와힐리어와 유사하며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해왔다. 코모로어의 아랍 문자는 아프리카 아자미 문자 전통의 일부인 스와힐리 스타일을 따랐는데, 이는 모음을 항상 부호로 표시한다는 특징이 있다.[16]

20세기에는 무슬림 세계 전반에 걸쳐 아랍 문자 철자 개혁과 표준화 과정이 진행되었다. 코모로에서는 1960년에 문학가 ''사이드 카마르-에디네(Said Kamar-Eddine, 1890-1974)''가 아랍어 기반 철자법의 표준화와 개선 작업을 맡았다.[17][16]

''카마르-에디네''는 아자미 전통에서 벗어나 이라크와 이란 쿠르디스탄의 철자 개혁에 주목했다. 쿠르드어처럼 모든 부호를 제거하고 각 모음 소리에 특정 문자를 지정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완전한 ''알파벳''을 만들었다. 이는 코모로어 아랍 문자를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언어 중 독특한 사례로 만들었다.[16]

초기 위치에서 모음은 단일 문자로 쓰이며, 앞의 '알리프'나 '함자'는 필요하지 않다. (이는 카자흐 아랍 문자의 규칙과 유사하다.)[16]

코모로어의 모음[16]
종성중성초성고립형
acolspan = "2" dir="rtl" |colspan = "2" dir="rtl" |
ucolspan = "2" dir="rtl" |colspan = "2" dir="rtl" |
idir="rtl" |dir="rtl" |dir="rtl" |dir="rtl" |
odir="rtl" |dir="rtl" |dir="rtl" |dir="rtl" |
edir="rtl" |dir="rtl" |dir="rtl" |dir="rtl" |



쿠르드어에서는 기존 문자에 악센트를 추가하여 새로운 모음 문자를 만들었지만, 코모로어에서는 새로운 독립 문자를 할당했다. 표준 아랍어 '하'()는 모든 위치에서 모음 를 나타내며, 이는 이 철자법에만 고유하다. 고정된 '중간' 지그재그 형태의 '하'()는 모음 에 사용되는데, 이는 20세기 초 아디게어와 카바르딘어 아랍어 철자법에서 모음 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

아랍어에 없는 자음 음소를 나타내는 문자는 두 가지 방법으로 형성되었다. 첫 번째는 페르시아어 및 쿠르드어처럼 점을 추가하거나 수정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누락된 자음 음소와 가장 유사한 문자에 아랍어 쌍자음 부호 ''샤다''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소라베(아랍어-말라가시어) 철자법의 전통과 유사하다.[16]

''카마르-에디네''의 코모로어 아랍 문자[16]
아랍어
(라틴어)
IPA

‌( A a )

(B b / Ɓ ɓ)
/

(P p)

(T t)

(Tr tr)

(Th th)
아랍어
(라틴어)
IPA

(J j / Dj dj)

(H h)

(D d / Ɗ ɗ)
/

(Dh dh)

(R r / Dr dr)
/

(Z z)
아랍어
(라틴어)
IPA

(Dz dz)

(S s)

(Ts ts)

(Sh sh)

(C c)

(G g / Gh gh)
/
아랍어
(라틴어)
IPA

(F f)

(Pv pv)

(V v)

(K k)

(L l)

(M m)
아랍어
(라틴어)
IPA

(N n)

(Ny ny)

(O o)

(E e)

(U u / W w)
/

(I i / Y y)
/
아랍어
(라틴어)
IPA

( - )



코모로어에는 활강음이나 모음 이중 모음의 두 가지 유형의 모음 연속이 있다. 라틴 문자 'w'와 'y'는 와 로 표시되며 반모음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문자가 다른 모음을 따르는 경우 순차적으로 쓰여진다. 다른 모음의 연속은 ''모음 이중 모음''으로 처리되며, 이 경우 ''함자''()가 사이에 쓰여진다.

비음화 자음은 이중 자음으로 쓰이며, 'm'() 또는 'n'()을 사용한다.

5. 문법

코모로어는 다른 반투어와 마찬가지로 명사 부류 체계를 갖는다.

5. 1. 명사 부류

다른 반투어와 마찬가지로 코모로어는 명사 부류/성 체계를 나타내며, 각 부류는 접두사를 공유한다. 일반적으로 1에서 10까지의 부류는 단수/복수 쌍을 이룬다.

부류접두사부류접두사
1m(u)-, mw2wa-
3m(u)-,mw-4m(i)-
5Ø-6ma-
7shi-8zi-
9Ø-10Ø-
10angu-11u-



9 & 10 부류는 주로 차용어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dipe'' (프랑스어 ''du pain'' '어떤 빵')는 접두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7 & 8 부류와 9 & 10 부류는 형용사 및 동사에서 동일한 일치를 보인다. 10a 부류는 매우 적은 수의 단어를 포함하며, 일반적으로 11 부류의 복수형이다. 15 부류는 영어 동명사와 매우 유사한 동사 부정사로 구성된다.

Ufanya hazi njema|일하는 것은 좋다sw

16 부류는 '장소'를 의미하는 두 단어, ''vahana''와 ''vahali''만 포함한다. 아마도 아랍어 ''mahal''에서 차용된 스와힐리어 ''pahali''에서 차용되었을 것이다. 17 부류는 접두사 ''ha-''를 가진 장소격으로 구성되며, 18 부류는 접두사 ''mwa-''를 가진 장소격으로 구성된다.[6][18]

5. 2. 수사

코모로어의 수사는 명사 뒤에 온다. 1부터 5까지, 그리고 8은 명사의 계열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코모로어 수사
숫자코모로어
1oja/muntsi
2ili/mbili
3raru/ndraru
4nne
5tsano/ntsanu
6sita
7saba
8nane
9shendra
10kumi/kume


5. 3. 지시사

코모로어에는 세 가지 지시사가 있다. 가까운 대상을 나타내는 근칭, 멀리 있는 대상을 나타내는 원칭, 그리고 대화에서 이전에 언급된 대상을 나타내는 전칭이 있다.[6]

5. 4. 소유격

소유격 요소 -a는 소유된 명사와 일치한다. 소유 구문의 일반적인 순서는 '소유된 것-Ca-소유자'이다.[6] gari l-a Sufa|가리 라 수파kmr는 '수파의 차'를 의미한다.

5. 5. 동사

코모로어는 전형적인 반투어 동사 구조를 보인다.

코모로어 동사 구조
슬롯12345678
내용동사 접두사 (pre)주어 지표 (SM)시제-상-법목적어 지표 (OM)어근확장종결 모음접미사



인칭 복수 주어와 3-18 부류에 속하는 주어에 대해서는 단 하나의 형태의 주어 지표만 존재한다.

주어 대명사[19]
세트 1세트 2세트 3 (싱가자(Shingazija) 및 시므왈리(Shimwali)에만 해당)
1인칭 단수ni-tsi--m-
2인칭 단수u-hu-/u--o-
3인칭 단수a-ha-/a--u-
1인칭 복수ri-
2인칭 복수m-/mu-
3인칭 복수wa-



원시 사바키어에서는 2인칭 단수 및 2인칭 복수 주어 지표가 각각 ''*ku''와 *''ka''였다. 그러나 ''*k''는 싱가자에서 ''h''로 약화되었고, 다른 모든 방언에서는 ''Ø''로 더 약화되었다.[20]

동사는 접두사 ''ka-''를 추가하여 부정할 수 있다. 그러나 부정 접두사가 추가되면 동사의 다른 형태소들이 다른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다음 예시에서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접미사 ''-i''는 부정문에서 현재 습관의 의미를 갖는다.



현재 진행형은 ''si-/su-'' 접두사를 사용하고, 미래 시제는 ''tso-''를 사용하며, 조건문은 ''a-tso-''를 사용한다. 코모로어에는 두 가지 과거 시제 구문이 있다.[6] 첫 번째는 SM-어근-접미사 1 구조를 사용하는 단순 과거 시제이다. 두 번째는 SM-''ka'' SM-어근-접미사 1 구조를 사용하는 복합 과거 시제이다.[19]

참조

[1] 웹사이트 Udzima wa Komori http://www.axl.cefan[...] Université Laval, 2325, rue de l'Université 2018-12-04
[2] 웹사이트 Premiers résultats d'une enquête sociolinguistique auprès des élèves de CM2 de Mayotte https://web.archive.[...] 2007-05-17
[3] 웹사이트 Population of Mayotte https://www.insee.fr[...] INSEE 2018-12-04
[4] 학위논문 An ethnography of the Mahorais (Mayotte Comoro Islands) 1981
[5] 서적 Le shiNdzuani Komedit CNDRS Palashiyo 2010
[6] 서적 The Clause Structure Of The Shimaore Dialect Of Comorian (Bantu) https://books.google[...] Shimaore.net 2009
[7] 간행물 Observations Collected out of the Journal of Sir Thomas Roe, Knight, Lord Embassadour from His Majestie of Great Britaine, to the Great Mogol . . . I. Occurrents and Observations, in Samuel Purchas (1905) Hakluytus Posthumus or Purchas his Pilgrimes,-ol. IV Glasgow 1615
[8] 학술저널 The Classification of the Languages of the Comoro Islands 1976
[9] 학술저널 Evolutionary Factors in Mauritian Creole 1963
[10] 서적 Bantu: Modern Grammatical, Phonetical and Lexicographical Studies Since 1860
[11] 서적 Die Komorendialekte Ngazidja, Nzwani und Mwali
[12] 간행물 Grammaire des Dialects Swahilis Paris 1909
[13] 학술저널 Transcription et orthographe du comorien https://editions-kom[...] 2019-06-05
[14] 문서
[15] 문서
[16] 학술저널 Le système Kamar-Eddine : une tentative originale d’écriture du comorien en graphie arabe https://halshs.archi[...] 2007
[17] 학술저널 An Historical Review of the Arabic Rendering of Swahili Together with Proposals for the Development of a Swahili Writing System in Arabic Script (Based on the Swahili of Mombasa) 1997-04
[18] 문서
[19] 학술저널 Two past tenses in Comorian: morphological form and inherent meaning https://nbn-resolvin[...] 2001
[20] 학술저널 The Proto-Sabaki Verb System and its Subsequent Development 198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