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미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미인은 코미(Komi), 페르먀크(Permyaks), 지랸(Zyrians) 등으로 불리는 러시아 북부에 거주하는 핀우그리아 민족이다. 코미인은 크게 코미-지랸인(북부 코미인)과 코미-페르먀크인(남부 코미인)으로 나뉘며, 코미 공화국에 주로 거주한다. 코미어는 핀우그리아어족 페름어파에 속하며, 고대 페름 문자를 사용하다가 현재는 키릴 문자를 사용한다. 전통적으로 수렵, 채집, 어업을 생업으로 삼았으며, 샤머니즘과 기독교가 혼합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유전학적으로는 우랄어족과 관련된 특징을 보이며, Y염색체 하플로그룹 N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름족 - 우드무르트인
우드무르트인은 러시아 우드무르티야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는 핀우고르계 민족으로, 우드무르트어를 사용하며 독특한 문화유산을 지니고 있지만 최근 인구가 급감하고 있다. - 페름족 - 페름어군
페름어군은 핀-우랄어족에 속하며 우드무르트어, 코미어 등을 포함하고, 원시 우랄어의 음운론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군이다. - 코미 공화국 - 빔강
빔강은 [주요 주제]이다. - 코미 공화국 - 보르쿠타강
보르쿠타강은 정보가 부족하여 정의를 내릴 수 없는 강이다. - 코미인 - 그리고리 라스푸틴
러시아 제국 말기, 라스푸틴은 농부 출신으로 신비한 능력으로 황실의 신임을 얻어 궁정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사생활과 정치 개입에 대한 논란, 암살, 그리고 그의 죽음 이후 러시아 제국의 붕괴 예언 등으로 인해 신비로운 인물로 평가받는다. - 코미인 - 피티림 소로킨
피티림 소로킨은 러시아 태생의 미국 사회학자로, 사회 분화, 계층화, 갈등 이론을 제시하고 사회 문화 역학 이론을 연구했으며, 러시아 혁명 당시 사회혁명당원으로 활동 후 미국으로 망명, 하버드 대학교 사회학과를 설립하여 사회학 발전에 기여했다.
코미인 | |
---|---|
개요 | |
![]() | |
인구 | 약 553,000명 (2002년) |
거주 지역 | 러시아, 주로 코미 공화국, 페름 지방, 네네츠 자치구, 한티-만시 자치구, 무르만스크 주 |
종교 | 주로 러시아 정교회 (러시아 정교회) 샤머니즘 |
언어 | 러시아어, 코미어 (코미-지리안어, 코미-페르먀크어, 코미-야즈바어) |
관련 민족 | 우드무르트인, 기타 페름족 |
민족 구성 | |
코미-지리안인 (2002년) | 293,406명 |
코미-지리안인 (2010년) | 228,235명 |
코미-페르먀크인 (2002년) | 125,235명 |
코미-페르먀크인 (2010년) | 94,456명 |
우크라이나 (2001년) | 코미-지리안인 및 코미-페르먀크인 2,710명 |
구 소련 (1989년) | 코미-지리안인 8,210명, 코미-페르먀크인 4,791명 |
에스토니아 (2011년) | 코미-지리안인 및 코미-페르먀크인 95명 |
핀란드 (2017년) | 코미어 사용자 29명 |
언어별 명칭 |
2. 명칭
코미인에게는 적어도 세 가지 이름, 즉 '''페르먀크'''(Permyaks), '''지랸'''(Zyrians), 그리고 '''코미'''(Komi)가 있었다.[25]
'''페르먀크'''라는 이름은 10세기에 러시아 자료에 처음 등장했으며, 메젠 강과 페초라 강 사이의 고대 지명인 ''페름'' 또는 "대(大) 페름"(Пермь Великая)에서 유래되었다.[25] 이 이름의 기원에 대해 여러 설이 제기되었지만,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것은 베프스어 ''Peräma'' "뒤쪽, 바깥쪽 또는 먼 땅"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고대 노르드어와 고대 영어에서는 각각 뱌르말란드(Bjarmaland)와 ''Beormas''로 알려졌지만, 이 게르만어 이름은 러시아의 ''페름''보다 더 넓은 지역, 즉 아르한겔스크주까지 확장되는 지역을 지칭했다.[25] 20세기 이후 이 이름은 페름 지방에 거주하는 남부 코미인(코미-페르먀크)에게만 적용되었다.[25] 러시아에서 ''permyak''은 민족과 관계없이 페름 또는 페름 지방의 거주자를 의미하기도 한다.[25]
북부 코미인에 대한 이름인 '''지랸'''은 기원이 더욱 모순적이다. 이 이름은 적어도 14세기부터 존재했으며, 러시아 자료에서 ''세랸, 시랸, 시롸냔, 수롸냔'' 및 ''지랸, 지라니안, 지롸냔''(세랸, 시랸, 시롸냔, 수롸냔, 지랸, 지라니안, 지롸냔ru)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지만, 마지막 형태가 최종적으로 우세하게 되었다.[25] 투르킨은 이 이름이 러시아인들이 처음 만난 코미의 작은 부족(아마도 ''사란''이라고 불렸을 것)에서 유래했으며, 그들이 모든 북부 코미인에게 이 이름을 사용했다고 믿었다.[25] 인접한 우랄어족 언어 사용자들도 코미인에 대해 비슷한 이름을 사용한다. 한티어 ''sərän, sərån, săran, sārån'', 만시어 ''sarän'', 네네츠어 ''sānnğr, saran'', 우드무르트어 ''sara-kum''.[25]
'''코미'''라는 이름은 모든 하위 그룹을 지칭하는 내부 명칭이다. 이 이름은 18세기에 민족지학자들에 의해 처음 기록되었다.[25] 이는 "사람, 인간"을 의미하는 핀우그리아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코미어 ''kom'', 우드무르트어 ''kum'', 만시어 ''kom, kum'', 한티어 ''xum'', 셀쿠프어 ''qum'', 헝가리어 ''hím'' "수컷"과 같은 단어와 연관된다.[25] 이 단어가 카마강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이론은 입증되지 않았지만,[25] 파울라 코코넨과 같은 일부 학자[26]는 이 버전을 선호한다.
3. 하위 집단 및 지리적 분포
코미인은 크게 코미-지랸인(북부 코미인)과 코미-페르먀크인(남부 코미인)으로 나뉜다. 이들은 거주 지역(강 이름)에 따라 여러 하위 집단으로 세분화된다.[8]
대다수의 코미인은 러시아 연방 내 코미 공화국에 거주하며, 21세기 초 기준 256,000명으로 공화국 인구의 약 30%를 차지한다.[9] 코미 공화국 인구 대부분은 도시 중심지에 거주하지만, 코미인 인구는 도시 지역보다 시골에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 있다. 도시 지역에서는 러시아계가 인구 대다수를 차지한다. 201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코미"로 국적을 밝힌 사람은 228,235명이었는데, 이는 1989년 인구 조사에서 코미족으로 기록된 336,309명에 비해 감소한 것이다. 러시아의 나머지 핀-우그리아족과 마찬가지로, 인구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3. 1. 코미-지랸인
3. 2. 코미-페르먀크인
코미족은 크게 지릔(북부 코미)과 페르먀크(남부 코미)의 두 그룹으로 나뉜다. 이들은 8개의 하위 그룹(상부 카마의 거의 완전히 러시아화된 코미를 포함하면 9개)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다시 더 작은 하위 그룹으로 세분화된다. 코미족은 전통적으로 그들이 사는 강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8]
4. 언어
코미어는 우랄어족 페름어파에 속하며, 우드무르트어와 가까운 관계이다.[10] 코미 공화국의 코미-지리안어와 코미-페르미야크 자치구의 코미-페르미야크어가 주요 방언으로, 이들은 서로 이해가 가능하다.[10]
14세기에 페름의 성 스테판이 고대 페름 문자(안부르)를 만들었으나,[11] 현재는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를 사용한다. 이 문자에는 러시아어에 없는 모음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Іі와 Ӧӧ 두 개의 문자가 추가되었다. 19세기부터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으며, 1932년부터 1936년까지 잠시 라틴 문자로 대체되기도 했다. 코미어로 인쇄된 최초의 책은 1815년에 출판된 예방 접종 매뉴얼이다.
5. 역사
언어학적 연구에 따르면 코미인은 우드무르트인, 마리인, 모르도바인과 근연 관계에 있으며, 기원전 1세기경에 분리된 것으로 여겨진다.[26] 또한, 서기 500년경에 코미-페름야크인과 코미-주리안인으로 분화된 것으로 보인다.[27] 따라서 인종은 코카서스 인종에 속하지만, 몽골로이드의 유전자를 가진 특징이 있다.
6. 문화
코미족의 전통 의상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보인다. 남성 의상은 지역에 관계없이 유사하지만, 여성 의상은 지역마다 고유한 특징을 지니며, 자수, 직물, 장식 등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남부 및 중부 코미족의 의상은 북부 러시아 및 다른 핀우그리아계 민족의 의상과 유사하고, 이즈마 코미족의 의상은 네네츠족의 의상과 비슷하다.
코미족은 오랫동안 사냥, 채집, 어업을 통해 식량을 얻었으며, 이는 식단에 반영되어 고기, 생선, 열매, 버섯 등이 주를 이룬다. 북부에서는 고기 요리가, 남부에서는 열매를 이용한 요리가 더 많이 소비된다. 곡물 파이, 죽, 세르반카, 신 수프, 빵을 이용한 냉 수프, 크바스 등이 대표적인 음식이다. 러시아 만두 요리인 펠메니는 코미족과 우드무르트족의 요리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펠냔'(пельнянь)이라는 이름은 두 언어에서 '귀 빵'을 의미한다.[16]
6. 1. 민속 및 종교
대부분의 코미 신화는 샤머니즘 및 이교와 관련되어 있다. 가장 널리 퍼진 신화는 엔(코미어: Ен)과 옴욜(코미어: Омöль)의 투쟁으로 세계가 창조되었다는 내용이다.[17] 이 두 신은 코미 신화에서 창조신으로 여겨지며, 세계의 모든 생명을 창조했다. 코미족이 점차 기독교화되면서 엔과 옴욜은 하느님과 사탄으로 묘사되기 시작했으며, 옴욜은 엔의 창조를 방해하려 했다고 묘사되었다.[17]코미족의 기독교화에도 불구하고, 코미족의 민속에는 기독교 전설과 이야기가 적지만, 새로운 질서를 피해 숲으로 도망간 이교도인 c''후딘''에 대한 이야기가 널리 퍼져 있다. 코미 신화의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신도르 출신의 지르카프(Йиркап)가 있는데, 코미족은 그가 스키를 발명했다고 생각한다.[18]
7. 유전학
코미-지랸 남성의 절반 이상이 하플로그룹 N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우랄어족을 사용하는 민족에게 전형적인 특징이다. 37%는 그 하위 그룹인 N1c에 속하며, 18.5%는 하위 그룹 N-P43에 속한다.[19] 코미족에게 두 번째로 흔한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R1a (27.4%)이다.[19]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 중 가장 흔한 것은 H (33%)이다. 약 4명 중 1명은 하플로그룹 U를 가지고 있다. 13.6%는 하위 그룹 U4에 속하며, 9.9%는 하위 그룹 U5에 속한다. 하플로그룹 T는 13.3%의 빈도로 발견된다.[19]
2013년 3월에 발표된 북동 유럽 인구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코미-지랸은 유전적 다양성의 뚜렷한 극을 형성한다.[20]
2018년 연구에 따르면, 코미의 상염색체 조상의 약 19%는 응가나산과 유사한 것으로 추정될 수 있다. 이 시베리아 관련 구성 요소는 우랄어족 인구에게 전형적이다.[19]
코미인의 Y염색체 하플로그룹은 N 계통이 35.1%, R1a 계통이 33.0%, R1b 계통이 16.0%[28], 다른 조사에서는 N이 61.2%, R1a가 32.7%로 나타났다.[29]
참조
[1]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10. Nationalities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Weekly
[2]
웹사이트
Russian Census 2002. Nationalities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Weekly
[3]
웹사이트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http://2001.ukrcensu[...]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2001 census
[4]
웹사이트
Soviet Census 1989. Nationalities
http://demoscope.ru/[...]
Демоскоп Weekly
[5]
문서
RL0428: Rahvastik rahvuse, soo ja elukoha järgi, 31. detsember 2011
http://pub.stat.ee/p[...]
[6]
웹사이트
Väestö 31.12. Muuttujina Maakunta, Kieli, Ikä, Sukupuoli, Vuosi ja Tiedot
http://pxnet2.stat.f[...]
2019-07-22
[7]
웹사이트
Komi {{!}} Komi Republic, Uralic, Indigenou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2-30
[8]
문서
"The Tenacity of Ethnicity: A Siberian Saga in Global Perspective"
[9]
웹사이트
Тысячелетие народа Коми: человек и климат {{!}} Интересный журнал о Республике Коми
http://www.inkomi.ru[...]
2009-02-05
[10]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3-24
[11]
서적
The Oxford Guide to the Uralic Language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3-24
[12]
문서
Parlons Komi
[13]
문서
Parlons Komi
[14]
문서
Parlons Komi
[15]
웹사이트
WHAT THE WALLS TOLD
http://rusvera.mrezh[...]
2015-04-07
[16]
웹사이트
Pelmeni, Siberian Meat Dumplings {{!}} Food Perestroika
https://foodperestro[...]
2017-06-24
[17]
웹사이트
Komi Religion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2-08-30
[18]
웹사이트
Йиркап < Герои коми легенд и преданий < Фольклор {{!}} Культурная карта Республики Коми
https://cultmap.nbrk[...]
2022-08-30
[19]
간행물
Genes reveal traces of common recent demographic history for most of the Uralic-speaking populations
2018-09-21
[20]
간행물
A Genome-Wide Analysis of Populations from European Russia Reveals a New Pole of Genetic Diversity in Northern Europe
2013-03-07
[21]
뉴스
Russian Census 2010. Nationalities
Демоскоп Weekly
[22]
뉴스
Russian Census 2002. Nationalities
Демоскоп Weekly
[23]
뉴스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State statistics committee of Ukraine, 2001 census
[24]
뉴스
Soviet Census 1989. Nationalities
Демоскоп Weekly
[25]
문서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26]
문서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27]
문서
Parlons Komi
[28]
간행물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2004
[29]
간행물
Y-chromosome distribution within the geo-linguistic landscape of northwestern Russia
2009-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