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털은 코로 흡입되는 공기 중의 먼지나 미세 입자를 걸러내어 이물질이 기관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코털은 다른 체모에 비해 백발이 빨리 발생한다고 여겨지며, 남성의 경우 굵고 길어져 콧구멍 밖으로 삐져나오는 경우가 많지만 여성은 얇고 성장 속도가 느리다. 의학적으로는 비모라고 불리며, 콧구멍 입구에 밀생하는 털을 가리킨다. 콧털은 미관상 좋지 않아 제거하는 경우가 많으며, 족집게, 왁싱, 코털 깎이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콧털은 문학 작품이나 문화적 비유의 소재로 사용되기도 하며, 일본과 한국에서 콧털과 관련된 다양한 서적과 노래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 - 비강
비강은 코의 두 구멍 또는 두 면을 지칭하며, 호흡기의 일부로서 공기 조절 및 후각 기능을 담당하고, 비중격, 비갑개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코 - 코막힘
코막힘은 콧속 혈관 충혈, 이물질, 종양, 알레르기, 감기 등 다양한 원인으로 코를 통한 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나타나는 증상이며, 재채기, 콧물, 후각·미각 이상 등을 동반할 수 있고, 가습기 사용, 수분 섭취, 원인 질환 치료 등으로 관리한다. - 인간 모발 - 머리카락
머리카락은 털과 털주머니로 구성된 털 기관의 일부로서 몸을 보호하고 보온하며, 모수질, 모피질, 모표피의 3중 구조와 멜라닌 색소로 색깔이 결정되고, 모주기를 거치면서 화학적, 물리적 요인에 따라 성질이 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인간 모발 - 다모증
다모증은 과도한 털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분류되며, 유전적 요인, 질병, 약물 등에 의해 발생하고, 제모나 약물 치료를 통해 치료한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코털 | |
|---|---|
| 코털 | |
| 위치 | 콧구멍 |
| 기능 | 공기 중 입자 여과 습도 조절 |
| 관련 질병 | 비염 모낭염 |
| 특징 | |
| 성별에 따른 차이 | 남성의 경우 나이가 들면서 더 두드러짐 |
| 제거 방법 | 코털 가위 코털 제거기 족집게 (권장되지 않음) |
| 주의사항 | 과도한 제거는 건강에 해로울 수 있음 |
2. 기능
코털은 코로 흡입되는 공기 중 먼지나 미세 입자를 필터처럼 걸러내어 이물질이 기관지로 들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4] 2011년 연구에 따르면 코털 밀도가 증가하면 알레르기 비염 환자에게서 천식 발병이 감소하는데, 이는 꽃가루 및 기타 흔한 알레르겐을 걸러내는 포획 능력이 증가하기 때문일 수 있다.[2] 코로 호흡할 때 숨에 포함된 수증기를 흡착하여 코로 숨을 들이쉴 때 증발시킴으로써 호흡 시 수분을 회수하는 작용도 한다.[4]
콧털은 다른 체모에 비해 백발이 빨리 발생한다고 여겨진다. 그 후 머리카락, 음모 순으로 백발이 생기고, 마지막에는 눈썹에 백발이 생기기 시작한다.
의학적으로 콧털은 '''비모'''라고 부르며, 콧구멍 입구인 코 앞뜰에 밀생하는 털을 가리킨다.[3] 콧구멍 안쪽 점막 표면의 미세한 섬모나 코 표면에 나는 솜털은 콧털로 인식되지 않는다.[3] 콧털은 헤이안 시대부터 사용된 오래된 용어이며, 와묘루이주쇼(『와묘쇼』)에는 "하나게"라고도 불렸다는 기록이 있다.[3] "콧털모양체신경"은 코의 감각과 관련된 신경으로, 콧털과는 관계가 없다.[3]
콧털은 콧구멍 밖으로 나오면 미관상 좋지 않아 제거하는 경우가 많다. 족집게를 사용하여 콧털을 뽑을 수도 있으며, 왁싱, 레이저 제모와 같은 방법도 효과가 있다.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에는 콧털을 뽑아 원고지에 심거나 흰색 콧털을 보여 아내를 쫓아내는 묘사가 등장한다.[6] 또한, 마사오카 시키의 『만엽집을 읽다』에는 콧털을 사용한 조롱 표현이 등장하며, 미야하라 코이치로의 『어부의 모험』에는 우스꽝스러운 판타지의 도구로 콧털이 등장한다.[6] 유메노 큐사쿠의 수필 『코의 표현』에는 콧털과 관련된 관용구를 유머러스하게 소개하고 있으며, 『초인 수염노 박사』에서는 콧털 논쟁이 벌어지기도 한다.[6] 미야모토 유미코의 『빙장 2층』에는 콧털 뽑기에 대한 묘사가, 오구마 히데오의 시 『첫눈 오는 아침』에는 콧털을 간지럽히는 바람에 대한 표현이 등장한다.[6] 다자이 오사무의 『신석 제국 이야기』의 『파산』에서는 콧털이 늘어진 남편을 비난하는 아내의 모습이 묘사된다.[6]
3. 특징
콧털이 자라는 방식에는 성별 차이가 있다. 콧털은 다른 체모와 마찬가지로 성장 과정에서 남성 호르몬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남성의 콧털은 굵고 길어져 콧구멍 밖으로 삐져나오는 경우도 많아진다. 여성의 경우에는 남성에 비해 가늘고 성장 속도도 느리기 때문에 남성처럼 콧구멍 밖으로까지 뻗는 경우는 적다.
4. 명칭
5. 제거

최근에는 회전하는 칼날로 코털을 자르는 코털 깎이가 발명되어 코털 처리가 자동화되었다. 콧구멍에 넣어 바리캉처럼 코털을 깎을 수 있다. 그 외에도 콧구멍의 피부를 상처 입히지 않도록 끝이 둥글게 가공된 코털 가위나 코털 클리퍼 등 다양한 코털 관리 용품도 상품화되어 있다.
코털 깎이를 사용할 경우, 잘리고 남은 털이 코 점막을 상처 입혀 코피가 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미용 성형이나 만성 비강염 등의 치료를 위해 코 주변을 수술할 때는 위생을 위해 콧털을 자른다.
코털을 뽑을 때 눈물이 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반사를 관장하는 나비목구개 신경절의 작용 때문이다.[5]
6. 콧털과 문화
사와이 요시오의 만화 『보보보-보-보보』의 주인공은 콧털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콧털진권 사용자이며, 아카츠카 후지오의 만화 『천재 바카본』의 바카본의 아빠는 콧수염인지 콧털인지 알 수 없는 털을 기르고 있다. Moo.넨페이의 만화 『달콤해! 남자(あまいぞ!男吾)』에서는 주인공 아버지의 콧털 때문에 입학 날짜를 착각하는 에피소드가 등장한다.[6]
"코털"은 여자에게 정신이 팔린 모습이나 어리석음을 나타내는 비유로도 사용된다.[6] 예를 들어 "코털이 길다"는 여자의 색기에 정신이 팔린 모습을, "코털을 읽다"는 여자가 남자의 엉성함을 간파하고 마음대로 가지고 노는 것을 의미한다.[6]
가가 번 3대 당주 마에다 토시츠네는 모반 혐의를 벗기 위해 일부러 콧털을 길러 바보 영주를 흉내내기도 했다.[6] 또한, 국제 표준화 기구(ISO)에서 통증의 통일 단위로 "하나게(hanage)"를 제정했다는 체인 메일이 도시전설처럼 퍼지기도 했으나, 이는 유머 사이트에서 발표된 내용이다.[6]
일본에는 '하나게'라는 지명이나 인명이 존재하지만, 대부분 지형에서 유래한 것이다.[6] 예를 들어 미야기현센다이시이즈미구 미사와, 후쿠시마현후쿠시마시이이즈카마치유노 등에 '코털(하나게)'이라는 지명이 존재한다.[6]
6. 1. 한국 문화
7. 콧털 관련 서적 및 노래
오자키 코요(尾崎紅葉)의 단편 『대비모』는 『단풍 전집』 제5권(이와나미 쇼텐)에 수록되어 있다. 데쿠네 타츠로(出久根達郎)의 단편 『비모』는 단편집 『즐거움』(신초샤)에 수록되어 있다. 아토다 타카(阿刀田高)의 단편 『비모』는 단편집 『사라진 남자』(카도카와 쇼텐)에 수록되어 있다. 야마오카 소하치(山岡荘八)의 단편 『달의 고리 비모』는 『야마오카 소하치 전집』 제36권(고단샤)에 수록되어 있다. 이나가미 세츠오(稲上説雄)의 『콧털을 기른 아기』는 심미사에서 출판되었다. 아라시야마 미츠사부로(嵐山光三郎)의 『ABC 문체 콧털의 땋은 머리』는 고단샤에서 출판되었다. 키타오 토로(北尾トロ)의 『너는 다른 사람에게 콧털이 나왔다고 말할 수 있는가』는 테츠진샤에서 출판되었다. 미미토리사이(耳鳥斎)의 『음곡 비모 빼기』는 『수필 문학 선집』 제6권(서재사)에 수록되어 있다. 교겐 『음곡 비모 뽑기』는 『잡예총서 제2』(국서간행회)에 수록되어 있다. 솔티 슈가의 『코털의 노래』, Funta의 『코털이 조금 삐져나와 있어.』, 자이츠 카즈오가 작사/작곡하고 튤립이 부른 『네 코털은 길어』(라이브 앨범 『LIVE!! ACT TULIP Vol.2』수록), 존조리나 아리의 『코털 보』 등 콧털을 소재로 한 다양한 노래가 있다.
참조
[1]
서적
Hair Growth and Disorders
Springer
[2]
논문
Does Nasal Hair (Vibrissae) Density Affect the Risk of Developing Asthma in Patients with Seasonal Rhinitis?
[3]
웹사이트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鼻毛」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22-01-28
[4]
웹사이트
Think fast: How does your face protect you?
https://www.health.h[...]
2023-07-31
[5]
서적
トリビアの泉 ~へぇの本~ 素晴らしきムダ知識
講談社
2003
[6]
서적
戦後名編集者列伝-売れる本づくりを実践した鬼才たち
編書房
2003
[7]
웹사이트
いつもNAVI(住所検索)
ゼンリン
[8]
웹사이트
鼻毛の池 - 菖蒲のみどころ
http://syobu.com/wp/[...]
菖蒲生産組合
[9]
웹사이트
鼻毛の池
http://www.city.joet[...]
上越市
[10]
웹사이트
東日本 名水の旅へ
http://www.mizu.gr.j[...]
ミズカン
[11]
서적
名字ランキング事典
東京堂出版
2009-10-30
[12]
서적
Hair Growth and Disorders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