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모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모증은 과도한 털 성장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으로, 전신 또는 국소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분류된다. 선천성 다모증은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해 발생하며, 솜털 다모증, 전신성 다모증, 종모성 다모증, 국한성 다모증, 국소성 다모증, 모반성 다모증 등이 있다. 후천성 다모증은 약물 부작용, 암, 식이장애 등과 관련되어 발생하며, 솜털성 다모증, 전신 다모증, 패턴성 다모증, 국소 다모증 등이 있다. 다모증과 유사하지만 여성과 어린이에게서 안드로겐에 의해 발생하는 조모증도 있다. 다모증의 원인은 유전적 요인, 질병, 약물, 모낭의 변화, 모발 성장 주기의 변화 등 다양하며, 치료는 제모, 약물 치료 등이 시행된다. 다모증은 역사적으로 서커스 공연자들의 외모로 활용되기도 했으며, 사회적, 심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간 모발 - 머리카락
    머리카락은 털과 털주머니로 구성된 털 기관의 일부로서 몸을 보호하고 보온하며, 모수질, 모피질, 모표피의 3중 구조와 멜라닌 색소로 색깔이 결정되고, 모주기를 거치면서 화학적, 물리적 요인에 따라 성질이 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인간 모발 - 머릿기름
    머릿기름은 머리카락 관리에 사용되는 오일의 일종으로, 모발 단백질 손실을 줄이고 모발을 부드럽게 하며 곱슬거림을 완화하는 효능이 있다.
  • 희귀질환 - 쇼그렌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은 자가면역 반응으로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침샘과 눈물샘 등에서 분비물 감소를 유발하여 건성안, 구강건조증 등 다양한 증상을 나타낸다.
  • 희귀질환 - 헌팅턴병
    헌팅턴병은 헌팅턴 유전자 내 CAG 삼염기 반복 서열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운동, 인지, 정신 기능에 다양한 증상을 유발하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방식으로 유전된다.
  • 피부 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은 관절 활막의 만성 염증성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질병 진행을 늦추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진단에는 류마티스 인자와 항CCP 항체가 사용되고 메토트렉세이트 등의 약물로 치료한다.
  • 피부 질환 - 두드러기
    두드러기는 피부에 붉은 팽진과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질환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급성 및 만성으로 분류되고, 항히스타민제 등의 치료를 받는다.
다모증
질병 개요
요리스 헤프나겔의 삽화
요리스 헤프나겔이 그린 "털복숭이 남자" 페트루스 곤살부스의 삽화 (Elementa Depicta 수록)
분야피부과학
증상 및 특징
증상신체 전반의 비정상적인 털 성장
원인 및 위험 요소
빈도 및 사망률
기타 정보
동의어늑대인간 증후군 (Werewolf syndrome)
암브라스 증후군 (Ambras syndrome)
관련 질환임상적 늑대인간 증후군
관련 인물줄리아 파스트라나(가명)
국제질병분류 (ICD-10)L68
Q84.2
국제질병분류 (ICD-9)704.1
757.4
온라인 멘델 유전형 (OMIM)135400
메들라인플러스 (MedlinePlus)003148
이메디신 주제 (eMedicineSubj)article
이메디신 토픽 (eMedicineTopic)1072031
메시 (MeSH)D006983

2. 분류

다모증은 크게 전신성 다모증과 국소성 다모증, 선천성 다모증과 후천성 다모증으로 분류된다.[25][27][37]


  • 전신성 다모증은 몸 전체에 털이 과도하게 자라는 것을 말하며, 국소성 다모증은 특정 부위에만 털이 자라는 것을 말한다.[38]
  • 선천성 다모증은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태어날 때부터 나타나는 다모증이며, 후천성 다모증은 출생 후 약물 부작용, 암, 섭식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다모증의 주요 특징은 과도한 털 성장이며, 털의 종류는 취모, 연모, 말단모 등 다양하다.[38] 패턴형 다모증은 특정 패턴으로 털이 자라고, 전신형 다모증은 몸 전체에, 국소형 다모증은 특정 부위에 털이 자란다.[38]

2. 1. 선천성 다모증

선천성 다모증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후천성에 비해 극히 희귀하다.[25] 출생 시부터 나타난다.[22]

선천성 다모증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솜털 다모증
  • 전신 다모증
  • 종모성 다모증
  • 국한성 다모증
  • 국소성 다모증
  • 모반성 다모증

2. 1. 1. 솜털 다모증 (Hypertrichosis lanuginosa)

선천성 솜털 다모증은 출생 시 얇은 솜털로 완전히 덮여 있는 영아에게서 나타날 수 있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솜털은 출생 전에 빠지고 연모로 대체되지만, 선천성 솜털 다모증 환자의 경우 솜털이 출생 후에도 남아있다. 손바닥, 발바닥, 점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나이가 들면서 솜털이 얇아져 다모증의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2. 1. 2. 전신성 다모증 (Generalized hypertrichosis)

선천성 전신성 다모증은 남성의 경우 얼굴과 상체에 과도한 털이 나타나고, 여성의 경우 덜 심하고 비대칭적인 털 분포를 보인다. 손바닥, 발바닥, 점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2. 1. 3. 종모성 다모증 (Terminal hypertrichosis)

선천성 종모성 다모증은 굵고 짙은 색소의 종모가 전신을 덮는 것이 특징이며, 치은 비대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굵고 어두운 털이 전신에 나타나기 때문에 "늑대인간 증후군"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외모 때문에 이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서커스 공연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2. 1. 4. 국한성 다모증 (Circumscribed hypertrichosis)

선천성 국한성 다모증은 상지에 두꺼운 연모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국한성이라는 말은 이 유형의 다모증이 신체의 특정 부분, 즉 팔 윗부분에만 나타난다는 의미이다. 선천성 국한성 다모증의 한 종류인 털 팔꿈치 증후군은 팔꿈치와 그 주변에 털이 과도하게 자라는 증상을 보인다. 이러한 유형의 다모증은 태어날 때부터 나타나며, 나이가 들면서 더 뚜렷해지지만 사춘기가 되면 증상이 줄어든다.

2. 1. 5. 국소성 다모증 (Localized hypertrichosis)

선천성 국소 다모증은 털의 밀도와 길이가 신체의 특정 부위에서 국소적으로 증가하는 것이다.

2. 1. 6. 모반성 다모증 (Nevoid hypertrichosis)

모반성 다모증은 출생 시 또는 나중에 나타날 수 있으며, 과도한 종모가 있는 고립된 부위를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다른 질병과 관련이 없다.

2. 2. 후천성 다모증

후천성 다모증은 출생 후에 나타나며, 약물 부작용, 암, 섭식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 후천성 다모증은 대개 여러 치료법으로 완화할 수 있다.

2. 2. 1. 솜털성 다모증 (Hypertrichosis lanuginosa)

후천성 솜털성 다모증은 특히 얼굴에 솜털이 급격하게 자라는 것이 특징이다. 몸통과 겨드랑이에도 털이 나타나지만 손바닥과 발바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때 과도한 털은 일반적으로 악성 솜털(malignant down)이라고 불리며, 매우 가늘고 색소가 없다.

2. 2. 2. 전신성 다모증 (Generalized hypertrichosis)

후천성 전신 다모증은 흔히 뺨, 윗입술, 턱에 영향을 미친다. 팔뚝과 다리에도 나타날 수 있지만, 이 부위에서는 덜 흔하다. 동일한 모낭을 차지하는 여러 가닥의 털이나 삼모증으로 알려진 속눈썹의 비정상적인 털 성장 패턴도 후천성 전신 다모증과 관련된 기형이다. 고혈압 치료를 위한 경구 미녹시딜은 이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모증에 사용되는 국소 미녹시딜은 적용 부위에 털 성장을 유발하지만, 사용을 중단하면 곧 사라진다.

2. 2. 3. 패턴성 다모증 (Patterned hypertrichosis)

후천성 패턴 다모증은 털 성장이 특정 패턴을 이루며 증가하는 현상이다. 이는 후천성 전신 다모증과 유사하며, 악성 종양의 징후일 수 있다.

2. 2. 4. 국소성 다모증 (Localized hypertrichosis)

후천성 국소 다모증은 종종 염증이나 외상에 의해 털의 밀도와 길이가 증가하는 것이다. 이 형태는 신체의 특정 부위에 국한된다.

2. 3. 조모증 (Hirsutism)

조모증은 여성과 어린이에게만 예외적으로 발생하는 다모증의 일종으로, 안드로겐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털이 과도하게 성장하는 현상이다.[33] 조모증 환자들은 남성의 털 성장 패턴을 보인다.[27] 조모증이 있는 여성은 가슴과 등에 털이 종종 보이기도 한다.[33]

조모증은 선천적일 수도, 후천적일 수도 있다. 이는 여성에게 과도한 남성 호르몬이 있는 것과 관련되므로, 여드름, 깊은 목소리, 비정기적인 월경 주기, 남성스러운 체형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33] 안드로겐(남성 호르몬) 수치 증가는 대부분 조모증의 주된 원인이다.[40] 안드로겐 수치가 높아져 발생하므로, 약물로 안드로겐 수치를 낮춰 치료할 수 있다. 일부 경구 피임약과 스피로노락톤은 안드로겐 수치를 줄여준다.[33]

3. 원인

다모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크게 선천성과 후천성으로 나뉜다.

선천성 다모증은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출생 시부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반면 후천성 다모증은 출생 이후 특정 질병, 약물, 대사 이상 등의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후천성 다모증의 경우, 원인이 되는 요인을 제거하거나 치료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약물이 다모증을 유발하는 경우 해당 약물 복용을 중단하면 털의 성장이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다.

다모증을 유발할 수 있는 대표적인 약물은 다음과 같다.

종류약물
항경련제페니토인
면역억제제사이클로스포린
혈관 확장제디아족사이드, 미녹시딜
항생제스트렙토마이신
이뇨제아세타졸아미드
광과민제소랄렌



미녹시딜탈모증 치료제로 널리 사용되지만, 후천성 국소 다모증을 유발할 수 있다.

3. 1. 유전적 원인

선천성 다모증은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후천성 다모증에 비해 매우 드물게 나타난다. 선천성 다모증은 항상 출생 시에 존재한다.

X 연관 우성 다모증 여성의 유전 패턴


X 연관 우성 다모증 남성의 유전 패턴

  • 솜털 다모증: 8번 염색체 q22 밴드의 역위 또는 자발적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이다.[27][24][26]
  • 전신 다모증: X 염색체(Xq24-27.1) 이상과 관련된 우성 유전 패턴을 보인다.[27]
  • 전신 말단 다모증: 17번 염색체의 유전자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MAP2K6 유전자가 원인일 수 있다.[27]

3. 1. 1. 배냇털과다증 (Hypertrichosis lanuginosa)

선천성 배냇털과다증은 염색체 8의 q22 밴드에서 동원체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역위(inversion)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27] 그러나 유전적 요인 외에 자발적인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24] 이 질환은 피부에 영향을 미치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 질환이다.[26]

3. 1. 2. 전신 다모증 (Generalized hypertrichosis)

선천성 전신 다모증은 X 염색체(Xq24-27.1) 이상과 관련된 우성 유전 패턴을 보인다.[27] 이 유전자를 가진 여성은 자녀에게 50% 확률로 유전자를 물려준다. 남성의 경우 딸에게는 유전되지만 아들에게는 유전되지 않는다. 남성은 얼굴과 상체에 털이 과도하게 나타나고, 여성은 덜 심하고 비대칭적인 털 분포를 보인다. 손바닥, 발바닥, 점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1. 3. 전신 말단 다모증 (Generalized hypertrichosis terminalis)

선천성 전신 말단 다모증은 염색체 17의 유전자 변화로 인해 발생하며, 수백만 개의 뉴클레오타이드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MAP2K6 유전자가 이 질환의 원인일 수 있으며, 유전자 전사에 영향을 미치는 염색체의 변화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27]

3. 2. 질병

후천성 다모증은 출생 후에 나타나며, 약물 부작용, 암, 섭식 장애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다.[21] 이러한 후천성 다모증은 다양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 양모 다모증: 얼굴에 양모가 급격하게 자라는 특징이 있으며, 몸통과 겨드랑이에도 나타날 수 있지만 손바닥과 발바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 털은 매우 가늘고 비색소성이다.
  • 전신 다모증: 주로 , 윗입술, 에 영향을 미치며, 팔뚝다리에는 덜 흔하게 나타난다. 하나의 모낭에서 여러 가닥의 털이 자라거나, 삼모증처럼 속눈썹에 비정상적인 털 성장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고혈압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 미녹시딜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 국소 다모증: 자극이나 외상으로 인해 특정 부위에 국한되어 털의 밀도와 길이가 증가하는 현상이다.

3. 2. 1. 암

후천성 솜털 다모증과 전신 다모증은 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21] 암에 의한 털 성장은 악성으로 간주되며, 그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다.[22] 후천성 패턴 다모증은 내부 악성 종양의 징후이다.

3. 2. 2. 대사 질환

식욕부진, 갑상샘과다증과 같은 호르몬 불균형도 다모증을 유발할 수 있다.[21]

3. 3. 약물

미녹시딜, 페니토인, 사이클로스포린, 스트렙토마이신 등의 약물이 다모증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미녹시딜은 탈모증 치료제로 사용되지만, 후천성 국소 다모증을 일으킬 수 있다. 약물로 인한 체모 변화는 해당 약물 투여를 중단하면 회복 가능한 경우가 많다.

다모증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은 다음과 같다.

종류약물
항경련제페니토인
면역억제제사이클로스포린
혈관 확장제디아족사이드, 미녹시딜
항생제스트렙토마이신
이뇨제아세타졸아미드
광과민제소랄렌


3. 4. 기타

선천성 국한성, 국소성, 모반성 다모증을 일으키는 구체적인 유전자 돌연변이는 알려져 있지 않다.[27]

4. 병태 생리학

크라오 파리니(1883년)


다모증은 여러 가지 기전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한 가지 원인은 작은 솜털이 더 큰 말단모로 변화하는 피부 부위와 관련이 있다.[37] 이러한 변화는 보통 청소년기에 발생하며, 이 때 겨드랑이와 사타구니의 솜털 모낭이 말단모 모낭으로 성장한다.[27] 다모증은 이와 유사한 변화를 포함하지만, 보통 말단모를 생성하지 않는 부위에서 발생한다.[27] 이러한 변화의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27]

또 다른 기전은 모발 주기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27] 모발 주기는 성장기 모발, 퇴화기 모발, 휴지기 모발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27]

4. 1. 모낭 변화

작은 연모 모낭이 더 큰 말단모 모낭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37] 이러한 변화는 보통 청소년기에 발생하며, 이 때 겨드랑이와 사타구니의 모낭이 말단모 모낭으로 성장한다.[27] 다모증은 동일한 종류의 변화를 수반하지만 보통 말단모를 생성하지는 않는 부위에서 발생한다.[27] 이러한 변화에 대한 메커니즘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상황이다.[27]

모발 주기의 변화 또한 다모증을 유발할 수 있다.[27] 모발 주기에는 성장기 모발(anagen), 퇴화기 모발(catagen), 휴지기 모발(telogen)의 세 단계가 있다.[27] 성장기 단계가 정상 이상으로 증가하면 영향을 받는 부위는 털이 과도하게 자라게 된다.[37]

4. 2. 모발 성장 주기 변화

모발 주기에는 성장기 모발(anagen), 퇴화기 모발(catagen), 휴지기 모발(telogen)의 세 단계가 있다.[27] 성장기가 정상 이상으로 길어지면 해당 부위에서 과도한 털 성장이 나타난다.[37]

5. 진단

다모증은 나이, 성별, 민족 등을 고려하여, 안드로겐 비의존성 부위에 과도한 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임상적으로 진단한다.[37] 과도한 털은 과도한 길이나 밀도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솜털, 연모, 경모 등 모든 종류의 털로 구성될 수 있다.[38]

모든 형태의 다모증의 주요 특징은 과도한 털이다. 다모증의 털은 일반적으로 예상보다 길며, 솜털, 연모, 성모 등 어떠한 유형의 털로도 구성될 수 있다. 패턴화된 형태의 다모증은 특정 패턴으로 털이 자라게 한다. 전신성 다모증은 전신에 걸쳐 털이 자라게 하며, 국한성 및 국소성 형태는 특정 부위에 털이 자라는 결과를 초래한다.

6. 치료

선천성 다모증은 현재까지 알려진 근본적인 치료법이 없다. 반면 후천성 다모증은 원인 질환을 치료하거나, 다모증을 유발하는 약물 사용을 중단하면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38] 다모증 치료에는 크게 제모와 약물 치료가 있다.

6. 1. 제모

제모는 다모증의 증상을 완화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제모 치료는 크게 일시적 제모와 영구적 제모로 나뉜다.[29] 제모 치료는 흉터, 피부염,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22]

털 생성을 줄이는 약은 현재 시험 중이다. 하나의 의학적 선택 사항은 성호르몬 결합 글로불린을 증가시켜 테스토스테론을 억제하는 것이다.[39] 다른 선택 사항으로는 황체형성호르몬을 규제함으로써 털의 과생성을 제어하는 것이다.[39]

6. 1. 1. 일시적 제모

면도, 왁싱, 제모 크림과 같은 제모 방법은 피부 표면까지 털을 제거하며 몇 시간에서 며칠 동안 지속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뽑기, 전기 제모, 왁싱, 슈가링, 실 제모와 같은 제모 방법은 뿌리에서 털 전체를 제거하며, 결과는 며칠에서 몇 주까지 지속된다. 이러한 시술은 순전히 미용적이다.

6. 1. 2. 영구적 제모

영구적 제모는 화학 물질,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털의 성장을 일으키는 세포를 파괴한다. 레이저 제모는 색이 있는 털의 제거에 효과적인 방식이다. 레이저는 흰 털을 치료하지는 못한다. 레이저는 모낭의 하위 1/3의 멜라닌 색을 대상으로 한다.[35] 한국에서는 주로 의료기관에서 레이저 제모 시술을 받을 수 있다.[13] 전기 제모는 전류 및 국소 가열을 사용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영구적인 제모"에 대해서 오직 전기 분해만 사용하도록 지시하는데, 그 까닭은 모든 색의 털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기 때문이다.

6. 2. 약물 치료

성 호르몬 결합 글로불린을 증가시켜 테스토스테론을 억제하는 방법과 황체 형성 호르몬을 조절하여 털의 과다 생성을 제어하는 방법이 연구 중이다.[39]

7. 역학

선천성 다모증은 매우 드물다. 중세 시대 이후 선천성 솜털 다모증은 50건,[22] 선천성 전신 다모증은 100건 미만이 과학 출판물과 매체를 통해 문서화되고 있다.[31] 선천성 전신 다모증은 멕시코의 한 가족에게서만 나타난다.[27] 후천성 다모증과 조모증은 더 흔하다.[25][36] 예를 들어, 조모증은 18~45세 여성의 약 10%에서 발병한다.[36]

8. 역사

다모증이 최초로 기록된 사례는 16세기 카나리아 제도의 페트루스 곤살부스이다.[24] 17세기 중반 울리세 알드로반디가 이를 기록했으며, 1642년 출판된 《Monstrorum Historia cum Paralipomenis historiae omnium animalium》에 실렸다.[24][32] 곤살부스 가의 두 명의 딸, 한 명의 아들, 그리고 손주는 모두 다모증이 있었다. 인스브루크 주변의 암브라스 성에서 이 가족의 초상화가 발견되면서 알드로반두스는 이들을 암브라스 가로 별명을 붙였다.[24] 이후 300년 동안 약 50건의 사례가 관찰되었다. 1873년 과학자 루돌프 피르호는 잇몸 비대를 동반하는 다모증을 기술하였다.[24]

1826년 John Crawfurd|존 크로퍼드영어미얀마(버마)의 털 많은 가족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아바 왕의 궁전에 살고 있던 슈망이라는 털이 많은 남성을 만났고, 그의 딸 마훈도 다모증을 가지고 있었다. 마훈의 아들 만 포세와 딸 마 미 역시 다모증을 앓고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치아 질환을 앓고 있었다.

2019년 스페인에서는 어린이 최소 17명이 오메프라졸(위산 역류 치료제) 대신 미녹시딜(탈모 치료제)이 잘못 처방되어 다모증을 앓는 사건이 발생했다.[8]

9. 사회와 문화

과거 다모증 환자들은 서커스 등에서 "늑대인간", "개 얼굴 남자" 등으로 불리며 구경거리가 되기도 했다. 표도르 예프티체프, 스테판 비브로스키, 예수 아세베스, 애니 존스, 앨리스 엘리자베스 도허티와 같은 이들이 그 예시이다. 광범위한 다모증은 정서적 부담을 안겨주며 미용상 부끄러움을 유발할 수 있지만, 일부 사람들은 이것이 자신을 정의한다고 말하며 치료를 시도하지 않기도 한다. 현대에는 다모증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지만, 여전히 외모로 인한 차별과 사회적 어려움이 존재한다.

9. 1. 유명 사례

페트루스 곤살부스


앨리스 엘리자베스 도허티


1874년 런던 광고

  • 페트루스 곤살부스: 16세기 카나리아 제도의 귀족으로, 다모증을 가진 최초의 기록 사례이다.[24] 울리세 알드로반디인스브루크 주변 암브라스 성에서 이 가족의 초상화를 발견하고 이들을 암브라스 가로 별명을 붙였다.[24]
  • 줄리아 파스트라나: 19세기 멕시코 출신의 여성으로, "수염 난 여인"으로 불리며 미국 전역을 순회공연했다.
  • 표도르 예프티체프: "개 얼굴을 한 남자 조조"로 알려진 19세기 러시아 출신의 서커스 공연자이다.
  • 수파트라 사수판: 2011년 "세계에서 가장 털이 많은 소녀"로 기네스 세계 기록에 등재된 태국 소녀이다.[6]
  • 스테판 비브로스키: "사자 얼굴을 한 남자 라이오넬"로 불렸다.
  • 예수 아세베스: "늑대인간"으로 불렸다.
  • 애니 존스: "수염을 가진 여자"로 불렸다.
  • 앨리스 엘리자베스 도허티: "미네소타 털 소녀"로 불렸다.

참조

[1] 서적 Mutants: on genetic variety and the human bod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05-01-25
[2] 서적 Shakespearean maternities: crises on conception in early modern England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8
[3] 웹사이트 Wellcome Collection acquires 17th century portrait of internationally renowned and hirsute Barbara van Beck https://wellcomecoll[...] 2017-12-14
[4] AV media 5 things about our latest acquisition: an oil painting of Barbara van Beck https://www.youtube.[...] Wellcome Collection 2017-12-14
[5] 웹사이트 วันแรกโกลาหล คอมฯล่ม ทำบัตรประชาชนเด็ก http://www.thairath.[...] ข่าวไทยรัฐออนไลน์ (Thai Rath Online) 2011-07-12
[6] 웹사이트 11-Year-Old 'Delighted' After Being Named World's Hairiest Girl https://www.foxnews.[...] Fox News 2011-02-28
[7] 웹사이트 Hypertrichosis – Medieval Disability Glossary https://medievaldisa[...]
[8] 웹사이트 Babies develop 'werewolf syndrome' after medicine mix-up in Spain https://www.theguard[...] 2019-08-29
[9] 웹사이트 This Cat with "Werewolf Syndrome" is the Fluffy Feline Overlord You've Been Waiting for http://www.cosmopoli[...] 2015-06-03
[10] 저널 Hypertrichosis in a gibbon ( Hylobates muelleri ) http://www.gibbons.d[...] 1993
[11] 웹사이트 Hirsutism Associated with Adenomas of the Pars Intermedia - Endocrine System http://www.msdvetman[...]
[12] 웹사이트 Milo (2012) https://www.imdb.com[...] 2012-11-08
[13] 웹사이트 脱毛の種類別に費用・期間・効果まとめ|医療クリニック?サロン?あなたにおすすめの脱毛手法 https://moteo.best/c[...] 2022-06-03
[14] 웹사이트 th:วันแรกโกลาหล คอมฯล่ม ทำบัตรประชาชนเด็ก http://www.thairath.[...] ข่าวไทยรัฐออนไลน์ (Thai Rath Online) 2011-07-12
[15] 웹사이트 11-Year-Old 'Delighted' After Being Named World's Hairiest Girl http://www.foxnews.c[...] Fox News 2011-02-28
[16] 웹사이트 This Cat With "Werewolf Syndrome" Is the Fluffy Feline Overlord You've Been Waiting ForCharles Manning http://www.cosmopoli[...] COSMOPOLITAN 2015-06-04
[17] 웹사이트 Hypertrichosis in a gibbon (Hylobates muelleri) http://www.gibbons.d[...] JOURNAL OF MEDICAL PRIMATOLOGY
[18]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19] URL http://www.cosmopoli[...]
[20] URL http://www.gibbons.d[...]
[21] 저널 CASE 2. Acquired Hypertrichosis: A Rare Paraneoplastic Syndrome in Various Cancers http://jco.ascopubs.[...]
[22] 웹인용 Hypertrichosis http://dermnetnz.org[...] New Zealand Dermatological Society Incorporated 2009-06-15
[23] 서적 Andrews Diseases of the Skin: Clinical Dermatology Saunders
[24] 웹인용 Congenital Hypertrichosis Lanuginosa http://emedicine.med[...] Medscape 2009-06-18
[25] 서적 Diseases of The Skin https://books.google[...] C.V. Mosby Company
[26] 저널 Pediatric Dermatology Wiley Periodicals, Inc.
[27] 저널 Hypertrichosis
[28] 웹인용 Epilation http://dermnetnz.org[...] New Zealand Dermatological Society Incorporated 2009-06-15
[29] 웹인용 Hair removal techniques http://dermnetnz.org[...] New Zealand Dermatological Society Incorporated 2009-06-15
[30] 저널 Clinical and Experimental Dermatology http://www3.intersci[...] 2017-03-13
[31] 뉴스 "Wolf Man" Condition Down To Huge DNA Malfunction http://www.newscient[...] 2009-05-21
[32] 저널 A hairy development in hypertrichosis: a brief review of Ambras syndrome http://dermatology.c[...]
[33] 웹인용 Hirsutism http://www.umm.edu/a[...] 2008-08-26
[34] 저널 Julia Pastrana: the bearded lady 1974-02
[35] 저널 Causes and management of hypertrichosis
[36] 웹인용 Definition of Hirsutism http://www.hirsutism[...] Cirkuit Networks, Inc. 2006-06-20
[37] 서적 Hair and Scalp Diseases: Medical, Surgical, and Cosmetic Treatments (Basic and Clinical Dermatology) Informa Healthcare
[38] 서적 Fitzpatrick's Color Atlas and Synopsis of Clinical Dermatology: Sixth Edition (Fitzpatrick's Color Atlas & Synopsis of Clinical Dermatology) https://archive.org/[...] McGraw-Hill Professional
[39] 저널 Hirsutism May Signal Uderlying Disorder http://dermatologyti[...] 2006-10
[40] 저널 Hirsutis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