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그나티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그나티오스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 미하일 1세 랑가베의 아들로, 9세기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를 역임했다. 그는 성상 파괴주의에 반대하여 총대주교로 임명되었으나, 성직자 해임 문제로 로마 교회와 갈등을 겪었다. 황제 바르다스를 비판하다가 폐위되었지만, 바실리오스 1세에 의해 복위되어 불가리아 문제에 관여했다. 이그나티오스는 가톨릭과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추앙받으며, 축일은 10월 23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77년 사망 - 할프단 라그나르손
할프단 라그나르손은 9세기 후반 잉글랜드를 침략한 이교도 대군세의 지도자 중 한 명이자 라그나르 로드브로크의 아들로, 잉글랜드에서 활약하며 요르비크 왕국을 건설하고 더블린 왕국을 통치했으나 스트랭퍼드호 전투에서 전사했다. - 877년 사망 - 카롤루스 2세 칼부스
카롤루스 2세 칼부스는 경건왕 루트비히의 아들로 서프랑크 왕국을 다스리며 서로마 황제가 되었으나, 바이킹족 침략과 귀족 반발에 직면했고 이탈리아 원정 중 사망했다. - 니키포로스 왕조 - 니키포로스 1세
니키포로스 1세는 802년부터 811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서, 재무 장관에서 황위에 올라 재정 재건과 국경 강화에 힘썼으나 가혹한 정책과 불가리아와의 전투에서 전사하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 니키포로스 왕조 - 미하일 1세 랑가베
미하일 1세 랑가베는 811년부터 813년까지 비잔티움 제국의 황제로서 프랑크 왕국과의 관계 재정립과 베네치아 반환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불가르족과의 전쟁 패배 후 레오 5세에게 양위하고 수도사가 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이그나티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그나티오스 1세 |
로마자 표기 | Ignatios I |
다른 이름 | 성 이그나티오스 |
직함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
생애 | |
출생 | 798년경, 콘스탄티노폴리스 |
사망 | 877년 10월 23일, 콘스탄티노폴리스 |
직업 |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
재임 기간 | |
1차 재임 | 847년 - 858년 |
2차 재임 | 867년 - 877년 |
종교 활동 | |
교파 | 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
축일 | 10월 23일 |
기타 정보 | |
상징 | 알 수 없음 |
수호 | 알 수 없음 |
매장지 | 알 수 없음 |
성당 | 알 수 없음 |
기도 | 알 수 없음 |
영향 | 알 수 없음 |
영향받음 | 알 수 없음 |
대표작 | 알 수 없음 |
![]() |
2. 생애
성 이그나티오스(Ἰγνάτιοςgre, 798년 ~ 877년 10월 23일)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출신의 동로마 제국 황족이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이다. 본명은 니키타스(Νικήτας|니키타스gre)로, 황제 미하일 1세 랑가베와 황후 프로코피아의 아들이며, 외할아버지는 황제 니케포로스 1세이다. 어린 시절 제국 근위대의 새로운 군단인 히카나토이의 명목상 사령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813년 아버지 미하일 1세가 폐위된 후, 14세였던 니키타스는 아르메니아의 레오에 의해 강제로 거세되어 황제가 될 자격을 잃고 사실상 수도원에 감금되었다. 수도승이 되면서 '이그나티오스'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이후 수도원장이 되었다. 그는 황족들의 유배지로 쓰이던 프린스 제도에 세 개의 수도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847년, 황후 테오도라는 성상파괴주의에 대한 확고한 반대자였던 이그나티오스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메토디오스 1세의 후임으로 임명했다.[1] 총대주교가 된 이그나티오스는 성상 파괴 논쟁 이후 교회 내 스투디오스파와 온건파 사이의 갈등에 휘말렸으며,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여 온건파 지도자인 시라쿠사의 대주교 그레고리오스 아스베스타스를 해임했다. 이는 로마 교회와의 마찰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그나티오스는 황제의 숙부이자 강력한 권력자였던 카이사르 바르다스의 부도덕함을 비판하며 그와 대립했다. 결국 857년 테오도라 황후가 궁정에서 축출되면서 이그나티오스도 지지 기반을 잃었고, 858년 총대주교직에서 강제로 사임당하고 평신도였던 포티오스가 그 자리를 계승했다. 이그나티오스의 해임과 포티오스의 임명은 교회 내 분열과 함께 교황 니콜라오 1세와의 갈등을 심화시켰다. 교황은 포티오스를 인정하지 않았고, 새로 기독교로 개종한 불가리아에 대한 관할권 문제까지 겹치면서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867년, 마케도니아 왕조를 창시한 바실리오스 1세가 미하일 3세를 살해하고 황제가 되면서 상황이 반전되었다. 바실리오스 1세는 신성 로마 제국 및 교황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포티오스를 추방하고 이그나티오스를 다시 총대주교로 복위시켰다. 복위된 이그나티오스는 870년, 불가리아 군주를 설득하여 불가리아 내 라틴 의식 성직자들을 추방하고 불가리아 교회를 콘스탄티노폴리스 관할 아래 두는 데 성공했다.[6]
로마 순교록은 이그나티오스가 카이사르 바르다스를 책망하다가 추방되었으나 교황 니콜라오 1세에 의해 복권되었고 평화롭게 사망했다고 기록한다.[7] 이그나티오스는 877년 10월 23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포티오스가 다시 총대주교로 복직했다. 아이러니하게도 포티오스는 이그나티오스가 성인으로 시성되는 데 기여했다. 이그나티오스는 총 두 차례(847년–858년, 867년–877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를 역임했으며, 오늘날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모두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다. 축일은 10월 23일이다.
2. 1. 초기 생애

이그나티오스는 798년에 태어났으며, 원래 이름은 니키타스였다. 그는 동로마 제국의 황제 미하일 1세 랑가베와 황후 프로코피아의 아들이었고, 외할아버지는 황제 니케포로스 1세였다. 어린 시절 니키타스는 제국 근위대의 새로운 군단인 히카나토이의 명목상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813년 아버지 미하일 1세가 폐위된 후, 14세였던 니키타스는 아르메니아의 레오에 의해 강제로 거세되었다. 이는 환자가 황제가 될 자격을 갖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사실상 수도원에 감금된 그는 수도승이 되어 '이그나티오스'라는 이름을 사용했고, 나중에는 수도원장이 되었다. 그는 또한 프린스 제도에 세 개의 수도원을 설립했는데, 이곳은 삭발된 황족들을 추방하는 장소로 자주 이용되었다.
2. 2.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황후 테오도라는 847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메토디오스 1세의 후임으로 이그나티오스를 임명했다. 이는 이그나티오스가 성상파괴주의에 대해 확고한 반대 입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기도 했다.[1] 총대주교로서 이그나티오스는 성상 파괴 논쟁 속에서 테오도라의 중요한 동맹자가 되었으며, 성상 옹호론자를 총대주교로 선택한 것은 테오도라의 권력을 공고히 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그나티오스는 847년 7월 4일부터 858년 10월 23일까지, 그리고 867년 11월 23일부터 877년 10월 23일 사망할 때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재임했다.
총대주교가 된 이그나티오스는 곧 스투디오스파와 교회의 온건파 사이의 갈등에 휘말렸다. 주요 쟁점은 과거 성상 파괴 정책에 협력했던 성직자들의 처리 문제였다. 이그나티오스는 보수적인 스투디오스파의 편을 들어 시라쿠사의 대주교이자 온건파 지도자인 그레고리오스 아스베스타스를 해임했다. 그레고리오스는 교황 레오 4세에게 이 문제를 호소했고, 이는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사이의 마찰을 일으키는 시작점이 되었다.
이그나티오스는 카이사르 바르다스의 부도덕함을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바르다스가 자신의 며느리와 부적절한 관계를 맺었다는 이유로 그를 파문하면서 황실과 갈등을 빚었다.[2] 또한, 바르다스가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857년 황후 테오도라를 궁정에서 몰아냈을 때, 이그나티오스는 이를 승인하지 않으며 바르다스와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결국 황제 미하일 3세는 바르다스의 영향 아래 857년 이그나티오스를 총대주교직에서 해임하고 추방했으며, 858년에는 사임을 강요했다. 그의 자리에는 평신도였던 포티오스가 임명되었다.
포티오스의 선출은 교회 내 분열을 야기했다. 많은 주교들이 이그나티오스의 해임이 부당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 문제는 859년과 861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논의되었고, 170명의 주교가 참여한 시노드에서는 이그나티오스를 폐위하고 파문했다. 포티오스가 전임자인 이그나티오스의 정책 일부를 되돌리려 하자, 이그나티오스의 지지자들은 교황 니콜라우스 1세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교황은 처음에는 개입을 주저했으나, 로마 교황청의 보편적 관할권을 주장하며 863년에 포티오스를 비난했다. 이 갈등의 핵심에는 총대주교 임명에 대한 교황의 승인권 문제와 더불어, 기독교로 개종한 불가리아에 대한 로마와 콘스탄티노폴리스의 관할권 다툼이 있었다.
867년, 마케도니아 왕조의 바실리오스 1세가 미하일 3세를 암살하고 황제에 오르면서 상황은 다시 변했다. 바실리오스 1세는 신성 로마 제국의 루도비코 2세 및 교황 니콜라우스 1세와의 동맹을 모색하며 포티오스를 추방하고 이그나티오스를 다시 총대주교직에 복권시켰다. 복권된 이그나티오스는 870년, 불가리아 군주를 설득하여 불가리아 내 라틴 예식 성직자들을 추방시키는 데 성공했다.[6] 흥미롭게도 이그나티오스와 포티오스는 불가리아 문제에 대해 유사한 정책 방향을 추구했으며, 이후 포티오스는 다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소환되어 황제의 자녀들을 가르치는 가정교사로 복귀했다.
로마 순교록은 이그나티오스에 대해 "이그나티오스 주교는 카이사르 바르다스가 자신의 아내(며느리)를 버리자 책망했지만, 많은 부상을 입고 추방되었다. 니콜라우스 교황에 의해 되찾아, 마침내 그는 평화롭게 죽음을 맞이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7] 이그나티오스는 877년 10월 23일에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포티오스가 다시 총대주교로 복직되었고, 아이러니하게도 포티오스는 이그나티오스가 성인으로 시성되는 데 기여했다.
2. 3. 폐위와 복위
황후 테오도라는 847년 성상파괴주의에 대한 확고한 반대자인 이그나티오스를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로 임명했다.[1] 총대주교가 된 이그나티오스는 곧 스투디오스파와 교회의 온건파 사이의 갈등에 휘말리게 되었다. 주요 쟁점은 과거 성상 파괴 정책에 협력했던 성직자들을 해임할지 여부였다. 이그나티오스는 보수적인 스투디오스파의 편을 들어 온건파 지도자인 시라쿠사의 대주교 그레고리오스 아스베스타스를 해임시켰다. 아스베스타스는 교황 레오 4세에게 시정을 호소했고, 이는 로마 교회와 콘스탄티노폴리스 교회 사이의 마찰을 일으키는 시작점이 되었다.
이그나티오스는 카이사르 바르다스에 대해 매우 비판적이었다. 특히 바르다스가 자신의 아내를 버렸거나(혹은 근친상간을 저질렀다는[2] 주장도 있음) 이유로 그를 파문하면서[7] 황실과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다. 또한 857년, 황제 미하일 3세와 바르다스가 테오도라 황후를 궁정에서 몰아내자 이그나티오스는 이를 승인하지 않았고, 이로 인해 황제의 지지를 잃게 되었다.[2] 결국 바르다스의 영향력 아래 있던 미하일 3세는 858년 이그나티오스를 총대주교직에서 강제로 해임하고 추방하였다.[2] 세속 권력에 의해 주교가 임명되는 것을 금지하는 규범을 명분으로 시노드(교회회의)가 소집되어 이그나티오스의 폐위를 결정했다.[2]
이그나티오스의 후임으로는 평신도였던 포티오스가 858년 크리스마스에 임명되었다.[2] 이 결정은 많은 주교들이 이그나티오스의 해임을 부당하게 여겼기 때문에 교회 내 분열을 야기했다. 이그나티오스의 지지자들은 교황 니콜라오 1세에게 호소했다. 859년과 861년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공의회에서 이 문제가 논의되었고, 170명의 주교가 참여한 시노드에서는 이그나티오스를 폐위하고 파문했다.[2]
교황 니콜라오 1세는 포티오스의 정당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분쟁에 개입했다. 그는 로마 교회가 모든 주교에 대한 보편적 관할권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으나,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2] 861년 교황 사절단이 참여한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노드는 포티오스가 정당한 총대주교라고 판결했지만, 니콜라오 1세는 이 결정을 거부했다. 그는 863년 로마에서 독자적인 시노드를 열어 포티오스를 비난하고 파문했으며, 이그나티오스를 정당한 총대주교로 선언했다. 이 분쟁의 핵심 쟁점은 총대주교에 대한 교황의 우선권 문제와 기독교로 개종한 불가리아에 대한 관할권 문제였다. 미하일 3세 황제는 교황의 결정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867년, 포티오스는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를 열어 서방 교회가 니케아 신조에 성령이 아버지와 아들로부터(Filioque|필리오케lat) 발출(發出)한다고 추가했다는 이유로 교황 니콜라오 1세와 모든 라틴 기독교인들을 파문했다. 이는 이후 동서 교회 분열의 중요한 신학적 쟁점이 되었다.
같은 해 867년, 마케도니아 왕조의 창시자 바실리오스 1세가 미하일 3세를 살해하고 황제가 되었다. 바실리오스 1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도비코 2세 및 교황 니콜라오 1세와의 동맹을 모색하는 등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포티오스를 추방하고 이그나티오스를 총대주교로 복위시켰다. 로마 순교록은 이그나티오스가 "니콜라오 교황에 의해 되찾아졌다"고 기록하고 있다.[7]
복위된 이그나티오스는 870년에 불가리아 군주를 설득하여 불가리아 내의 라틴 의식 성직자들을 추방하도록 했다.[6] 한편, 교황 하드리아노 2세는 869년 로마에서 공의회를 열어 포티오스를 다시 단죄하고 867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문서를 불태웠다. 이 결정에 따라 869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도 공의회가 소집되어 포티오스를 단죄하고 이그나티오스의 복위를 공식화했다. 그러나 이 공의회에는 동방 주교들의 참여가 저조했으며, 로마의 수위권을 확언하는 교황의 요구는 거부되었다. 흥미롭게도, 이그나티오스와 포티오스가 (불가리아 문제 등에서) 유사한 정책을 추구했기 때문인지, 포티오스는 이후 다시 소환되어 황제의 자녀들의 가정교사로 복귀하기도 했다.
이그나티오스는 877년 10월 23일에 사망했다. 그의 사후 포티오스가 다시 총대주교로 복직되었으며, 포티오스는 이그나티오스의 시성(諡聖)에 기여했다. 이그나티오스는 총대주교로서 첫 번째 임기(847년 7월 4일 ~ 858년 10월 23일)와 복위 후 두 번째 임기(867년 11월 23일 ~ 877년 10월 23일)를 지냈다.
2. 4. 불가리아 문제와 말년
867년 바실리오스 1세가 미하일 3세를 살해하고 황제가 된 후, 포티오스를 추방하고 이그나티오스를 다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 직위에 복권시켰다. 이는 바실리오스 1세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루도비코 2세 및 교황 니콜라오 1세와의 동맹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바실리오스 1세는 이그나티오스파 주교들을 복귀시키고 포티오스가 행한 조치들을 무효화하며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고자 했다.교황 하드리아노 2세는 869년 로마에서 공의회를 열어 포티오스를 다시 한번 단죄하고, 867년 포티오스가 소집했던 공의회를 부정했다. 이 공의회에서는 포티오스의 서임이 무효이며, 주교들이 로마의 수위권을 인정하는 문서에 서명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에 따라 869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다시 공의회(제8차 세계 공의회로 간주되기도 함)가 소집되어 교황 하드리아노 2세의 결정을 검토했다. 이 공의회는 포티오스를 단죄하고 이그나티오스의 복권을 최종 확인했지만, 많은 동방 주교들이 불참했으며 교황 수위권에 대한 요구는 거부했다.
이 시기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는 새로 기독교화된 불가리아에 대한 관할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었다. 864년, 보리스 1세는 미하일 3세의 군사적 압박으로 기독교로 개종하고 '미하일'이라는 세례명을 받았다.[4] 869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는 불가리아 교회가 로마가 아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관할 아래에 있음을 확인했다. 교황 하드리아노 2세는 이그나티오스에게 보낸 서신에서 불가리아 문제에 대한 로마의 입장을 따르지 않으면 복직을 인정하지 않겠다고 위협했으나, 이그나티오스는 이를 무시하고 870년 독자적으로 불가리아의 대주교를 임명하며 불가리아에서 라틴 의례를 따르는 성직자들을 추방시켰다.[6] 결과적으로 불가리아에 대한 관할권은 콘스탄티노폴리스가 확보하게 되었다.
불가리아 문제에 있어서는 이그나티오스와 포티오스가 동일한 정책 목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포티오스는 다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소환되어 황제 바실리오스 1세 자녀들의 가정교사로 복귀할 수 있었다.
로마 순교록에는 이그나티오스에 대해 "카이사르 바르다스가 자신의 아내를 버린 것을 책망하다가 많은 고초를 겪고 추방되었으나, 교황 니콜라오 1세에 의해 복권되어 마침내 평화롭게 세상을 떠났다"고 기록되어 있다.[7]
이그나티오스는 877년 10월 23일에 사망했다. 임종 직전 그는 자신을 박해했던 포티오스를 후임 총대주교로 지명했다.[5] 이후 포티오스는 다시 총대주교로 복직했으며, 이그나티오스가 성인으로 추대되는 데 기여했다. 이그나티오스는 오늘날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 모두에서 성인으로 공경받고 있으며, 축일은 10월 23일이다.
3. 유산
성 이그나티오스가 877년에 사망한 후, 이그나티오스가 포티오스 1세를 후임으로 지명했기 때문에 포티오스는 다시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총대주교가 되었다.[5] 그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동방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존경받으며, 축일은 10월 23일이다.
4. 논란
성 이그나티오스가 활동하던 시기는 동서 교회의 관계가 여전히 긴장 상태에 놓여 있던 때였다. 비잔티움은 여러 논쟁에 휩싸여 있었다. 서방 교회의 수장인 교황은 자신이 동방과 서방 교회 모두에 대해 최고의 보편적 권위를 지닌다고 주장했지만, 동방 교회는 이러한 주장에 반대했다.
859년 이그나티오스가 폐위되고 그를 대신하여 총대주교가 된 포티오스는 867년에 교황과 서방 교회가 니케아 신경에 ''필리오케''("그리고 아들로부터") 문구를 추가한 것을 비판했다. 또한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는 슬라브족 개종을 두고 경쟁했으며, 특히 불가리아의 기독교화를 주도하기 위해 서로 다투었다. 당시 동방 교회는 내부적으로도 갈등을 겪고 있었는데, 특히 성상 파괴 운동 논쟁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였다.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제7차 세계 공의회)에서 성상 숭배를 지지하는 결정이 내려졌음에도 불구하고, 성상 파괴주의는 여전히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교황 니콜라오 1세는 포티오스가 총대주교로서 정당한지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861년, 교황 사절단이 참석한 시노드(교회 회의)에서 성 이그나티오스에 대한 재판이 열렸고, 이 시노드는 포티오스가 정당한 총대주교라고 판결했다. 그러나 니콜라오 1세는 이 시노드의 결정을 거부하고 로마에서 독자적인 시노드를 열어 포티오스를 단죄하고 이그나티오스를 정당한 총대주교로 선언했다. 그는 포티오스를 파문하고 그가 행한 모든 서품을 무효로 선언했다. 이에 미카엘 3세 황제는 니콜라오 1세의 시노드를 거부하고, 이그나티오스를 폐위시킨 기존의 시노드 결정을 지지했다.
포티오스는 867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공의회를 소집하여, 서방 교회가 성령이 성부와 성자 모두에게서 발출한다고 믿고 이 신념(필리오케)을 니케아 신경에 추가했다는 이유로 교황 니콜라오 1세와 모든 라틴 기독교인들을 파문했다. 이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성 힐라리오, 성 암브로시우스, 성 레오 1세, 성 키릴로스, 성 막시무스 등 서방과 동방의 많은 성인과 신학자들이 성령의 발출에 대해 유사한 가르침을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이루어진 조치였다. 니콜라오 1세는 이 공의회 소식을 듣기 전에 사망했지만, 그의 후임자인 교황 하드리아노 2세는 이 공의회를 단죄했다. 필리오케 문제는 이후 천 년 이상 동서 교회를 갈라놓는 분열의 핵심적인 쟁점이 되었다.
867년, 미카엘 3세 황제가 암살당하고 공동 황제였던 바실리오스 1세가 단독 황제가 되었다. 바실리오스 1세는 즉위 후 포티오스를 추방하고 성 이그나티오스를 총대주교로 복위시켰다. 이는 지난 9년간의 교회 역사를 되돌리고 이그나티오스파 주교들을 복귀시키며 포티오스가 행한 모든 조치를 무효화함으로써 황제로서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교황 하드리아노 2세는 869년 로마에서 공의회를 열어 포티오스를 다시 단죄하고, 867년 포티오스가 소집했던 공의회를 거부하고 관련 문서를 불태우도록 명령했다. 이 로마 공의회는 포티오스의 서품이 무효이며, 주교들이 공의회에 참여하려면 포티오스를 단죄하고 로마의 수위권을 인정하는 문서에 서명해야 한다고 결정했다.
이후 869년, 동방 주교들이 교황 하드리아노 2세의 결정을 검토하기 위해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가 소집되었다. 이 공의회는 포티오스를 단죄하고 성 이그나티오스의 복위를 최종적으로 확인했다. 그러나 많은 동방 주교들이 공의회에 불참했으며, 특히 교황의 수위권을 강조하는 규정은 동방 교회에 의해 거부되었다.
참조
[1]
서적
A Short History of Byzantium
Alfred A. Knopf, Inc
1997
[2]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7
[3]
서적
The Filioque: Answering the Eastern Orthodox
2024
[4]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Middle Ages
Koninklijke
2019
[5]
서적
"Contra Latinos Et Adversus Graecos", Byzantium and the Papacy from the Fifth to Fifteenth Centuries Stage Two: The Jurisdictional Disputes (9th-11th Centuries)
Peeters Publishers
2020
[6]
웹인용
CATHOLIC ENCYCLOPEDIA: St. Ignatius of Constantinople
https://www.newadven[...]
2021-10-07
[7]
웹인용
CATHOLIC ENCYCLOPEDIA: St. Ignatius of Constantinople
https://www.newadven[...]
2021-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