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플레이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콘플레이크는 옥수수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시리얼의 일종으로, 19세기 말 존 하비 켈로그 박사와 윌 키스 켈로그 형제에 의해 개발되었다. 원래는 채식 식단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만들어졌으며, 성욕 억제 효과를 기대하며 환자들에게 제공되었다. 켈로그 형제는 이후 켈로그 회사를 설립하여 콘플레이크를 대중에게 판매했고, 설탕을 첨가하여 맛을 개선했다. 콘플레이크는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등에서 성공을 거두었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브랜드와 형태로 판매되고 있다. 콘플레이크는 빵가루 대용으로 사용되거나, 허니 조이즈, 초콜릿 콘플레이크 케이크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리얼 - 그래놀라
그래놀라는 곡물, 견과류, 건조 과일 등을 섞어 구운 시리얼의 일종으로, 1863년 제임스 케일럽 잭슨 박사가 개발했으며, 1960년대 자연식품 붐을 타고 인기를 얻어 다양한 종류로 판매된다. - 시리얼 - 첵스 파맛
첵스 파맛은 2004년 네티즌 투표 장난으로 공약화되었던 '파맛 첵스'가 밈 마케팅을 통해 2020년 농심켈로그에서 한정판으로 출시되어 독특한 맛과 향으로 인기를 얻은 시리얼 제품이다. - 음식 상표명 - 베지마이트
베지마이트는 맥주 효모 추출물을 주원료로 개발된 호주산 스프레드로, 마케팅 전략 수정과 군량 배급을 통해 대중화되었으며, 성공적인 캠페인과 높은 영양가로 호주를 대표하는 스프레드가 되었다. - 음식 상표명 - 삼양라면
삼양라면은 1963년 출시된 대한민국 최초의 인스턴트 라면으로, 식량난 해소를 위해 개발되었으며, 저렴한 가격과 간편함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나 1989년 쇠기름 사건으로 타격을 입었고, 현재는 다양한 라인업으로 국내 라면 시장에서 상위권을 유지하며 출시 초기부터 2018년까지 약 110억 개가 판매되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콘플레이크 | |
---|---|
기본 정보 | |
이름 | 콘플레이크 |
영어 이름 | corn flakes |
주요 재료 | 가공한 옥수수, 설탕, 엿기름 향료 |
원산지 | 미국 |
지역 | 미시간주 배틀크리크 |
만든 사람 | 존 하비 켈로그, 윌 키스 켈로그 |
출시 년도 | 1894년 |
종류 | 아침 식사용 시리얼 |
1회 제공량 | 100 g |
칼로리 | 100 |
역사 | |
개발 배경 | 배틀크리크 요양원에서 개발됨 |
개발 목적 | 금욕주의를 위한 음식 |
초기 형태 | 얇게 구운 옥수수 플레이크 |
대중화 | 1900년대 초 켈로그 회사에서 상품화 |
특징 | |
맛 | 단맛과 바삭한 식감 |
섭취 방법 | 우유와 함께 섭취하는 것이 일반적 |
영양 | 탄수화물이 주성분 |
다양한 변형 | 여러 브랜드에서 다양한 맛과 형태의 제품 출시 |
기타 | |
논란 | 과거 자위행위 방지용으로 개발되었다는 주장 |
영국 내 소비 | 영국에서 인기 있는 아침 식사 시리얼 |
2. 역사
과거 호피족에게 옥수수는 매우 중요한 작물이었다. 옥수수는 빻아서 토르티야나 piki로 만들어 섭취했다.
19세기,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신자였던 존 하비 켈로그 박사는 미시간주 배틀크리크 요양원에서 환자들을 위한 채식 식단을 연구했다. 그는 실베스터 그라함의 영향을 받아 성욕 억제를 위해 곡물 위주의 식단을 개발하고자 했다.[32][33]
켈로그 형제는 우연한 계기로 콘플레이크를 개발하게 되었다. 요양원 압출기 문제로 밀 반죽이 푸석해졌는데, 예산 문제로 이를 압출기에 넣어 얇은 조각으로 만들었다. 1894년 8월 8일의 일이었다. 1895년, 형제는 곡물 플레이크와 생산 과정에 대한 특허를 획득, "그레노즈(Granose)"라는 이름으로 출시했다.[34][35][36]
존 하비 켈로그와 그의 아내 엘라 이튼 켈로그, 동생 윌 키스 켈로그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들은 플레이크 시리얼 개발 과정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펼쳤다.[5] 켈로그 형제가 발견한 템퍼링 공정은 플레이크 시리얼 산업의 핵심 기술이 되었다.[6][7] "플레이크 시리얼 및 제조 방법" 특허는 1896년 존 하비 켈로그의 단독 명의로 발행되었다.[8]
곡물 플레이크는 환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1906년 윌 키스 켈로그는 켈로그 회사를 설립하여 대중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는 형과의 불화에도 불구, 설탕을 첨가하여 맛을 개선했다.[10] 1909년에는 ''재미있는 정글랜드 무빙 픽처 부클릿(Funny Jungleland Moving Pictures Booklet)'' 판촉을 통해 판매를 촉진했고, 라이스크리스피 등의 신제품을 출시했다.[12]
켈로그 콘플레이크의 마스코트인 "코니"는 낸시 리차즈의 제안으로 만들어졌으며, 웨일스어로 "수탉"을 뜻하는 ''ceiliog''와 켈로그의 성이 유사한 것에서 착안했다.[13][14][15]
존 하비 켈로그는 콘플레이크가 성욕 억제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지만,[25] 마케팅이나 특허에는 명시되지 않았다.[18]
산업적인 대량 생산이 시작된 후, 켈로그사는 공급 부족에 직면했다. 당시 가장 유명했던 광고 문구는 "30일 동안 콘플레이크를 먹지 마십시오"라는 역설적인 표현이었다. 미국에서 성공한 후, 1915년경 캐나다에 도입되었고, 그 후 오스트레일리아와 영국의 시장에 진출했다. 이를 통해 콘플레이크는 유럽 대륙에 도입되었다.
일본에서는 1929년 일본식품제조 합자회사가 콘플레이크의 제조 및 판매를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63년에는 일본켈로그가 "켈로그 콘플레이크" 등을, 시스코제과(현재의 日清シスコ)가 "시스콘"을 출시했다.[27]
2. 1. 개발 배경
과거 호피족에게 옥수수는 매우 중요한 작물이었다. 옥수수는 빻아서 토르티야나 piki로 만들어 섭취했다.
19세기,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신자였던 존 하비 켈로그 박사는 미시간주 배틀크리크 요양원에서 환자들을 위한 채식 식단을 연구했다. 그는 실베스터 그라함의 영향을 받아 성욕 억제를 위해 곡물 위주의 식단을 개발하고자 했다.[32][33]
켈로그 형제는 우연한 계기로 콘플레이크를 개발하게 되었다. 요양원 압출기 문제로 밀 반죽이 푸석해졌는데, 예산 문제로 이를 압출기에 넣어 얇은 조각으로 만들었다. 1895년, 형제는 곡물 플레이크와 생산 과정에 대한 특허를 획득, "그레노즈(Granose)"라는 이름으로 출시했다.[34][35][36]
존 하비 켈로그와 그의 아내 엘라 이튼 켈로그, 동생 윌 키스 켈로그를 포함한 가족 구성원들은 플레이크 시리얼 개발 과정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펼쳤다.[5] 켈로그 형제가 발견한 템퍼링 공정은 플레이크 시리얼 산업의 핵심 기술이 되었다.[6][7] "플레이크 시리얼 및 제조 방법" 특허는 1896년 존 하비 켈로그의 단독 명의로 발행되었다.[8]
곡물 플레이크는 환자들 사이에서 큰 인기를 얻었고, 1906년 윌 키스 켈로그는 켈로그 회사를 설립하여 대중에게 판매하기 시작했다. 그는 형과의 불화에도 불구, 설탕을 첨가하여 맛을 개선했다.[10] 1909년에는 ''재미있는 정글랜드 무빙 픽처 부클릿(Funny Jungleland Moving Pictures Booklet)'' 판촉을 통해 판매를 촉진했고, 라이스크리스피 등의 신제품을 출시했다.[12]
켈로그 콘플레이크의 마스코트인 "코니"는 낸시 리차즈의 제안으로 만들어졌으며, 웨일스어로 "수탉"을 뜻하는 ''ceiliog''와 켈로그의 성이 유사한 것에서 착안했다.[13][14][15]
존 하비 켈로그는 콘플레이크가 성욕 억제 효과가 있다고 주장했지만,[25] 마케팅이나 특허에는 명시되지 않았다.[18]
콘플레이크는 미국에서 성공 후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등으로 퍼져나갔다. 일본에서는 1929년 일본식품제조 합자회사가 제조, 판매를 시작했고, 1963년 일본켈로그가 설립되었다.[27]
2. 2. 개발 과정
19세기에 우연히 만들어지게 된 콘플레이크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팀의 채식 식이조절에 맞는 음식 연구에서 시작된다.[32][33] 연구원들은 귀리, 쌀, 보리 등 수많은 종류의 곡물을 연구하였고, 이는 옥수수로 이어진다. 1894년, 존 하비 켈로그 박사는 미시간주 배틀크리크 요양원(Battle Creek Sanitarium)의 감독이자 재림론자였다. 그는 채식 양생법을 그의 환자들에게 제공하였고, 또한, 술·담배·카페인을 금하였다.[32][33]켈로그 형제가 겪게 된 우연한 사고로부터 콘플레이크는 시작된다. 켈로그와 그의 동생 윌 키스 켈로그(Will Keith Kellogg)는 요양원 압출기에 문제가 있다는 호출을 받고 돌아갔을 때, 푸석푸석해져 버린 밀반죽을 보게 되었다. 요양원의 예산이 빠듯한 까닭에, 형제는 밀반죽이 길게 잘 나오길 바라며 말라버린 반죽으로 압출 작업을 계속하기로 하였다. 작업이 진행되면서 조각난 채로 나오는 밀조각에 그들은 놀라게 되는데, 이것을 구워 환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34][35][36]
1895년, 곡물 플레이크와 생산과정 및 준비에 관한 특허를 냈고, 1896년 4월 14일 그레노즈(Granose)라는 이름으로 출시하였다.[34][35][36] 켈로그 형제가 발견한 공정인 템퍼링은 플레이크 시리얼 산업의 기본 기술이 되었다.[6][7] "플레이크 시리얼 및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는 1895년 5월 31일에 출원되어 1896년 4월 14일에 존 하비 켈로그에게 특허 번호 558,393으로 발행되었다.[8]
이 곡물 플레이크는 환자 사이에 굉장히 인기가 좋았고, 형제는 밀 이외의 다른 곡물을 이용한 플레이크를 실험하였다. 1906년 요양소 책임자이던 윌 키스 켈로그는 일반 대중에게도 이를 내놓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켈로그(en:Kellogg's)를 차려 일반인들 입에 맞게 설탕을 첨가한 플레이크를 만들었다.[10] 1907년 그의 회사는 식료품점 주인에게 눈짓을 한 여성에게 시리얼을 무료로 제공하는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다.[11] 판매고는 점점 증가하였고, 1909년 그는 특별한 제안으로, 재미있는 움직이는 정글 그림 (''Funny Jungleland Moving Pictures Booklet'')를 시리얼을 두 개 이상 구입하면 주기로 하였는데, 이 프리미엄은 이후 22년간 계속되었다.[12]
켈로그는 새로운 곡물에 대한 실험을 계속하였고, 새 곡물 시리얼로 생산 영역을 확장하였다. 1928년 출시한 라이스 크리스피(Rice Krispies)는 그의 다음 히트작이 되었다.[12] 켈로그에는 많은 마스코트가 있는데, 가장 이름난 것은 초록빛의 수탉 코넬리우스{코니, Cornelius (Corny)}이다.[13][14][15]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의 목사이자 사회운동가였던 실베스터 그라함(Sylvester Graham) 목사는 성적 금욕을 행하는 이를 위해 섬유소가 풍부한 곡물을 가루내어 물과 반죽하여 구워내 만든 그라함 크래커(graham crackers)와 그라함 빵(graham bread)을 만들었는데, 실베스터 그라함을 신봉하였던 켈로그는 양념과 단맛이 충동을 일으킨다고 믿었다. 그렇게 콘플레이크는 성욕억제와 성충동을 낮추도록 식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다.[32][33] 콘플레이크가 성욕을 억제하기 위한 의도였다는 논란이 있는 주장이 있다.[16][17]
2. 3. 켈로그사 설립과 대중화
19세기 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신자였던 존 하비 켈로그 박사는 미시간주 배틀크리크 요양원에서 동생 윌 키스 켈로그와 함께 환자들을 위한 채식 식단을 연구했다.[32][33]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는 술, 담배, 카페인을 금지하고 채식을 권장했는데, 켈로그 형제는 성욕 억제를 위해 섬유소가 풍부한 곡물 음식을 개발하고자 했다.[32][33]켈로그 형제는 밀 반죽을 얇게 펴는 과정에서 우연히 플레이크 형태의 음식을 발견했다.[34][35][36] 요양원 압출기 문제로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밀 반죽이 말라버렸고, 예산 부족으로 인해 이 반죽을 그대로 압출기에 넣어 얇은 조각으로 만들었다. 이 조각들을 구워 환자들에게 제공한 결과 큰 호응을 얻었다. 1895년 5월 31일, 켈로그 형제는 이 플레이크와 생산 과정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고, 1896년 4월 14일 '그레노즈(Granose)'라는 이름으로 출시했다.[34][35][36]
이후 윌 키스 켈로그는 1906년 켈로그(Kellogg Company)를 설립하고 대중의 입맛에 맞게 설탕을 첨가한 콘플레이크를 출시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10] 1909년에는 시리얼 두 상자를 구매하면 ''재미있는 정글랜드 무빙 픽처 부클릿(Funny Jungleland Moving Pictures Booklet)''을 주는 판촉 행사를 22년간 진행하기도 했다.[12] 한편, 켈로그는 1928년 라이스크리스피를 출시하는 등[37] 지속적으로 제품군을 확장했다.
켈로그 콘플레이크의 마스코트는 초록색 수탉 '코넬리우스(코니)'[13]이며, 초기 광고에서는 달라스 맥케넌과 앤디 디바인이 목소리를 연기했다.
2. 4. 세계 시장 진출
19세기에 우연히 만들어진 콘플레이크는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팀의 채식 식이조절에 맞는 음식 연구에서 시작되었다.[32][33] 연구원들은 귀리, 쌀, 보리 등 수많은 종류의 곡물을 연구하였고, 이는 옥수수로 이어진다.[32] 1894년 존 하비 켈로그 박사는 미시간주 배틀크리크 요양원(Battle Creek Sanitarium)의 감독이자 재림론자였다.[34][35][36] 그는 채식 양생법을 그의 환자들에게 제공하였고, 술·담배·카페인을 금하였다.[34][35][36]1894년 플레이크 시리얼 개발에는 존 켈로그, 그의 아내 엘라 이튼 켈로그, 그의 남동생 윌, 그리고 다른 가족 구성원들이 참여하였고 이들 사이에 누가,어떤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5] 켈로그 형제가 발견한 공정인 템퍼링은 플레이크 시리얼 산업의 기본 기술이 되었다.[6][7] "플레이크 시리얼 및 제조 방법"에 대한 특허는 1895년 5월 31일에 출원되어 1896년 4월 14일에 존 하비 켈로그에게 특허 번호 558,393으로 발행되었다.[8]
1906년 요양소 책임자이던 윌 키스 켈로그는 일반 대중에게도 이를 내놓기로 마음먹었다. 그는 켈로그(en:Kellogg's)를 차려 일반인들 입에 맞게 설탕을 첨가한 프레이크를 만들었다.[10] 1909년 그는 시리얼 두 상자를 구매하는 사람에게 ''재미있는 정글랜드 무빙 픽처 부클릿(Funny Jungleland Moving Pictures Booklet)''을 주는 특별 행사를 추가했다.[12] 켈로그 콘플레이크에는 많은 마스코트가 있었는데, 가장 인기 있는 것은 코넬리우스 "코니" 수탉이라는 녹색 수탉이다.[13][14][15]
산업적인 대량 생산이 시작된 후, 켈로그사는 공급 부족에 직면했다. 당시 가장 유명했던 광고 문구는 "30일 동안 콘플레이크를 먹지 마십시오"라는 역설적인 표현이었다. 미국에서 성공한 후, 1915년경 캐나다에 도입되었고, 그 후 오스트레일리아와 영국의 시장에 진출했다. 이를 통해 콘플레이크는 유럽 대륙에 도입되었다.
일본에서는 1929년 일본식품제조 합자회사가 콘플레이크의 제조 및 판매를 시작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인 1963년에는 일본켈로그(日本ケロッグ)가 "켈로그 콘플레이크" 등을, 시스코제과(현재의 日清シスコ)가 "시스콘"을 출시했다.[27]
3. 한국의 콘플레이크
미국 콘플레이크의 주요 브랜드 중 하나인 포스트 토스티스(:en:Post Toasties)는 배틀크리크 요양원에 신경쇠약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환자로 왔었던 C. W. 포스트(Charles William Post)가 세운 Postum Cereals(오늘날 Post Foods, LLC)에서 생산을 시작하였다.
호주의 en:Sanitarium(Sanitarium Health Food Company)는 그들의 브랜드인 Skippy Corn flakes로 생산하고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회사들이 콘플레이크 상품을 생산을 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켈로그와 농심이 합작설립한 '농심켈로그'가 1980년부터, '포스트'와 제휴한 '동서식품'이 1983년부터 생산을 시작하여, 두 회사에서 콘플레이크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4. 콘플레이크를 활용한 요리
콘플레이크를 활용한 다양한 요리법이 있다. 부순 콘플레이크는 빵가루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호주에서는 콘플레이크, 꿀, 버터, 설탕을 섞어 패티 케이스나 머핀 컵에 구워 만든 ''허니 조이즈''라는 간식이 인기가 많다.[19] 영국에서는 콘플레이크, 다크 초콜릿, 골든 시럽, 버터로 만든 ''초콜릿 콘플레이크 케이크'' 또는 ''초콜릿 네스트''가 인기 있는데, 보통 부활절에 어린이들이 만들거나 먹으며, 미니 에그로 장식한다.[20] 뉴질랜드에서는 콘플레이크가 초콜릿 비스킷으로 콘플레이크를 넣고 초콜릿 아이싱으로 장식한 아프간 비스킷의 주요 재료이다.[21] 몰몬 문화에서는 콘플레이크가 가족 저녁 식사나 지역 파티에서 흔히 먹는 감자 캐서롤의 일종인 장례식 감자의 주요 재료이다.[22][23]
5. 영양 성분
켈로그 콘플레이크에는 옥수수 가루, 설탕, 향미료, 고과당 시럽, 소금이 들어간다. 철분, 니코틴아미드, 염산 피리독신(비타민 B6), 리보플라빈(비타민 B2), 티아민 염산염(비타민 B1), 비타민 A 팔미트산염, 엽산, 비타민 B12, 비타민 D가 첨가되어 있다. 비타민 B, 비타민 E, 염화 아스코르브산염과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도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Were Kellogg's Corn Flakes Created as an 'Anti-Masturbatory Morning Meal'?
https://www.snopes.c[...]
2023-04-04
[2]
웹사이트
Are corn flakes good for you? The history of the popular Kelloggs' breakfast cereal
https://www.foxnews.[...]
2023-04-04
[3]
웹사이트
Topic: Breakfast cereals in the UK
https://www.statista[...]
2024-06-28
[4]
서적
Breakfast Cereals, and how They are Made
https://books.googl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5]
서적
The Kelloggs: The Battling Brothers of Battle Creek
https://books.google[...]
Pantheon
2021-09-09
[6]
서적
John Harvey Kellogg, M.D.: Pioneering Health Reformer
https://books.google[...]
Southern Publishing Association
1970
[7]
웹사이트
Why Were Corn Flakes Invented? The Amazing History
https://www.owlratin[...]
Donna J. Kaiser
2015-10-21
[8]
특허
Flaked Cereals and Process of Preparing Same
[9]
웹사이트
Inventor of the Week: W.K Kellogg
https://web.archive.[...]
[10]
웹사이트
When Corn Flakes Were Part of an Anti-Masturbation Crusade
https://www.mentalfl[...]
2023-06-30
[11]
웹사이트
Food Facts and Trivia: Corn Flakes
http://www.foodrefer[...]
2015-09-09
[12]
웹사이트
100 Years of Cornflakes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Bloomsbury Collections - The Grass Roots of English History - Local Societies in England before the Industrial Revolution
https://www.bloomsbu[...]
Bloomsbury Academic
2021-08-29
[14]
웹사이트
Why is there a Cockerel on the Kellog's Box (sic)
http://www.bbc.co.uk[...]
BBC
2014-05-21
[15]
웹사이트
Putting the 'Ceiliog' in Corn Flakes
http://glyn-davies.b[...]
Glyn Davies (Welsh Member of Parliament)
2014-05-21
[16]
뉴스
The Strange Story Behind Your Breakfast Cereal
https://daily.jstor.[...]
2019-02-26
[17]
뉴스
The History Of Corn Flakes Is Even Worse Than You Knew
https://www.thetakeo[...]
2022-03-04
[18]
웹사이트
Were Corn Flakes Created as an 'Anti-Masturbatory Morning Meal'?
https://www.snopes.c[...]
2019-08-16
[19]
웹사이트
Honey joy recipe
https://www.kelloggs[...]
2015-05-17
[20]
웹사이트
Chocolate cornflake cakes recipe
https://www.bbcgoodf[...]
2015-05-17
[21]
서적
Sweet Treats around the World: An Encyclopedia of Food and Culture
https://books.google[...]
Abc-Clio
2018-04-03
[22]
뉴스
Crossing the plains and kicking up dirt, a new LDS pioneer
https://web.archive.[...]
2012-02-06
[23]
웹사이트
LDS Funeral and Meal Planning
http://www.mormonsha[...]
Mormon Share
2018-07-30
[24]
간행물
カタカナ語・略語辞典(改訂新版)
旺文社
[25]
문서
ラーメンと愛国
[26]
서적
読んだ、飲んだ、論じた鼎: 鼎談書評二十三夜
https://books.google[...]
飛鳥新社
[27]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009-03
[28]
웹인용
Are corn flakes good for you? The history of the popular Kelloggs' breakfast cereal
https://www.foxnews.[...]
2022-07-05
[29]
웹인용
Topic: Breakfast cereals in the UK
https://www.statista[...]
[30]
웹인용
Corn Flakes
http://www.spiritus-[...]
[31]
서적인용
Breakfast Cereals, and how They are Made
https://books.google[...]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32]
웹인용
Dr. John Harvey Kellogg
http://www.oocities.[...]
[33]
뉴스인용
http://www.sisapress[...]
[34]
특허
See patent no. 558393 (via Google Patents)
https://www.google.c[...]
[35]
웹인용
News of the Odd, John Harvey Kellogg Serves Corn Flakes at the San, 1897
http://www.newsofthe[...]
[36]
웹인용
Inventor of the Week : W.K Kellogg
http://web.mit.edu/i[...]
2007-06-26
[37]
웹인용
100 Years of Cornflakes
http://www.kaplanink[...]
2007-06-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