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루흐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루흐어는 드라비다어족 북부 드라비다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사우리아 파하리아어 및 쿠마르바그 파하리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데바나가리 문자, 쿠루흐 반나 문자, 톨롱 시키 문자로 표기되며, 톨롱 시키 문자는 쿠루흐어의 고유한 음성을 표현하도록 설계되었다. 쿠루흐어는 인도 자르칸드 주, 차티스가르 주, 서벵골 주 등에서 사용되며, 오라온족과 키산족을 포함하여 약 205만 명이 사용한다. 쿠루흐어는 5개의 기본 모음과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가지며, 자르칸드 주 등 여러 지역의 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드라비다어족 - 타밀어
타밀어는 드라비다어족 남부드라비다어파에 속하며 드라비다어족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을 가진 언어로, 인도 타밀나두 주와 스리랑카를 중심으로 사용되고 세계 각지의 타밀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 - 드라비다어족 - 브라후이어
브라후이어는 파키스탄 발루치스탄주에서 사용되는 드라비다어족 언어로, 기원전 3천년 또는 기원후 1000년 이후 유입설이 있으며, 주변 이란어군의 영향을 받아 아랍 문자와 로마자로 표기하고, 소멸 위기 언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인도의 언어 - 시킴어
시킴어는 티베트 문자를 사용하는 히말라야 언어이며, 존카어와 어휘적 관련이 높으며, 자음, 모음, 높낮이 두 가지의 조성을 특징으로 한다. - 인도의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SOV형 언어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SOV형 언어 - 버마어
버마어는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미얀마의 공용어로 사용되고, 고대 몬 문자 또는 퓨 문자에 기원을 두며, 다양한 방언과 문어체, 구어체를 가지며, 유니코드와 Zawgyi 글꼴을 지원한다.
쿠루흐어 | |
---|---|
개요 | |
![]() | |
언어 이름 | 쿠루흐어 |
다른 이름 | 쿠룩스어, 오라온어, 우라온어 |
사용 국가 | 인도, 방글라데시, 네팔 |
사용 지역 | 오디샤 주, 자르칸드 주, 웨스트벵골 주, 차티스가르 주, 아삼 주, 비하르 주, 트리푸라 주 |
사용자 | 쿠루흐족 키산족 |
사용자 수 | 228만 명 (2002년–2011년)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드라비다어족 |
어파 | 북부 드라비다어파 |
어군 | 쿠루흐-말토어 |
방언 | |
방언 | 오라온 방언 키산 방언 당가르 방언 |
문자 | |
문자 | 데바나가리 문자 쿠루흐 반나 문자 톨롱 시키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kru |
Glottolog | kuru1301 |
2. 분류
쿠루흐어는 드라비다어족의 북부 드라비다어군에 속하며,[7] 사우리아 파하리아어 및 쿠마르바그 파하리아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을 통틀어 말토어라고 부르기도 한다.[8]
쿠루흐어는 산스크리트어, 힌디어, 마라티어, 네팔어 등 인도아리아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쓰인다. 쿠루흐 반나(데바나가리)는 실용적이지만, 동일한 수준의 음성 정밀도를 얻으려면 상당한 수정이 필요하다. 널리 채택하기 위해서는 데바나가리 문자를 적용할 수 있지만, 그리냐르와 한의 분류를 존중하기 위해 신중한 음성 매핑이 필요하다.
3. 문자 체계
3. 1. 톨롱 시키 문자
1999년, 의사 나라얀 오라온은 쿠루흐어 전용 알파벳인 '''톨롱 시키''' 문자를 발명했다.[10] 톨롱 시키 문자로 많은 책과 잡지가 출판되었으며, 2007년 자르칸드 주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11] 인도 쿠루흐 문학 협회는 쿠루흐 문학을 위한 톨롱 시키 문자를 보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리냐르와 한의 분류에 따르면, "'''톨롱 시키'''는 이 언어학자들이 확인한 쿠루흐어의 고유한 음성 및 음운을 표현하도록 ''본질적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더 적합하다."
언어학적 충실도가 우선순위라면, 톨롱 시키가 그리냐르와 한의 분류에 더 잘 부합한다.
3. 2. 쿠루흐 반나 문자
1991년, 오디샤 주 출신의 바수데브 람 칼코는 '''쿠루흐 반나''' 문자를 발표했다. 오디샤 주의 순다르가르 지역에서는 쿠루흐 파르하가 쿠루흐 반나 문자를 가르치고 보급하고 있다.[9] 글꼴이 개발되어 사람들이 책, 잡지 및 기타 자료에 널리 사용하고 있다. 이 문자는 차티스가르, 벵골, 자르칸드 및 아삼 주에 거주하는 오라온족도 사용한다.[9]
4. 사용 지역
2011년 인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쿠루흐어 사용 인구는 자르칸드 주에 47.89%, 차티스가르 주에 25.99%, 서벵골 주에 8.65%, 오디샤 주에 6.84%, 비하르 주에 4.43%, 아삼 주에 3.69%가 분포한다.
쿠루흐어는 인도에서 주로 차티스가르 주의 라이가르 구, 수르구자 구, 자슈푸르 구, 자르칸드 주의 굼라 구, 란치 구, 로하르다가 구, 라테하르 구, 심데가 구, 오디샤 주의 자르수구다 구, 순다르가르 구, 삼발푸르 구에서 사용된다.
또한 서벵골 주의 잘파이구리 구, 아삼 주, 트리푸라 주에서도 주로 차 농장 노동자인 쿠루흐족이 사용한다.[12]
5. 사용자
쿠루흐어는 오라온족과 키산족을 포함하여 총 2,053,000명이 사용하며, 각각 1,834,000명과 219,000명이 사용한다. 오라온족의 문맹률은 23%, 키산족은 17%이다. 사용 인구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 언어는 소멸 위기 언어로 간주된다.[13] 자르칸드주와 차티스가르주 정부는 쿠루크어를 사용하는 학생이 많은 학교에 쿠루흐어를 도입했다. 자르칸드주와 서벵골주는 쿠루흐어를 각 주의 공용어로 지정했다.[14] 방글라데시에도 쿠루흐어 사용자가 일부 있다.
6. 음운론
쿠루흐어의 음운 체계는 모음과 자음으로 구성된다. 쿠루흐어에는 5개의 기본 모음과 여러 자음이 존재한다.[22]
6. 1. 모음
쿠루흐어에는 5개의 기본 모음이 있다. 기본 모음은 각각 그에 대응하는 장모음, 비모음, 비음화된 장모음 음소를 지닌다.[22]
각 모음은 장모음, 단모음 비음화, 장모음 비음화에 대응된다.[15]
6. 2. 자음
쿠루흐어의 자음은 다음과 같다.[22]colspan="2" rowspan="2" | | 양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기본 | 유기 | 기본 | 유기 | 기본 | 유기 | 기본 | 유기 | 기본 | 유기 | |||
파열음 | 무성 | p | pʰ | t | tʰ | ʈ | ʈʰ | c | cʰ | k | kʰ | ʔ |
유성 | b | bʱ | d | dʱ | ɖ | ɖʱ | ɟ | ɟʱ | g | gʱ | ||
마찰음 | s | ʃ | x | h | ||||||||
비음 | m | n | ɳ | ɲ | ŋ | |||||||
접근음 | l | j | w | |||||||||
전동음 | r | |||||||||||
탄음 | ɽ | ɽʰ |
colspan="3" | | 순음 | 치음/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ɳ | ɲ | ŋ | |||
파열음/파찰음 | 무성음 | 평음 | p | t | ʈ | tʃ | k | ʔ |
유기음 | pʰ | tʰ | ʈʰ | tʃʰ | kʰ | |||
유성음 | 평음 | b | d | ɖ | dʒ | ɡ | ||
유기음 | bʱ | dʱ | ɖʱ | dʒʱ | ɡʱ | |||
마찰음 | s | ʃ | x | h | ||||
설전음 | 평음 | r | ɽ | |||||
유기음 | ɽʱ | |||||||
활음 | w | l | j |
- 내파음으로 유성 유기음과 유성 파열음 + /h/가 대조를 이루며, /dʱandha:/ "놀라움"과 /dʱandʱa:/ "노력"과 같은 최소 대립쌍이 존재한다. 유성 유기음과 /h/의 결합도 가능하며, /madʒʱhi:/ "중간"과 /madʒʱis/ "자민다르(zamindar)의 대리인"과 같은 경우가 있다.
- 비음 중 /m, n/은 음소이며, [ɳ]은 권설 파열음 앞에서만 나타난다. /ŋ/은 주로 다른 연구개음 앞에서 나타나지만 이전 /g/가 삭제되면서 마지막에 나타날 수도 있으며, /ŋg/와 /ng/가 대조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 /ɲ/는 주로 후치경음 앞에서 나타나지만 /j/는 /paɲɲa:/ (또는 /pãjja:/)와 같이 비모음 주변에서 /ɲ/가 될 수 있다.
7. 교육
쿠루흐어는 자르칸드 주, 차티스가르 주, 마디아 프라데시 주, 오디샤 주, 서벵골 주, 아삼 주의 학교에서 과목으로 가르치고 있다.[16]
8. 다른 이름 및 방언
쿠루흐어는 우라온어, 쿠룩어, 쿤루흐어, 쿤나어, 우랑어, 모르바어, 비르호르어 등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오라온어와 키산어 두 방언은 서로 73% 정도 이해할 수 있다. 키산어와 달리 오라온어는 현재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다. 키산어는 1991년부터 2001년까지 12.3% 감소하는 등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17]
9. 예시 문구
쿠루흐어 | 한국어 번역 |
---|---|
Nighai endra naame? |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
Neen ekase ra'din? | 당신은 어떠세요? (여성) |
Neen ekase ra'dai? | 당신은 어떠세요? (남성) |
Een korem ra'dan. | 저는 괜찮습니다. |
Neen ekshan kalalagdin? | 당신은 어디로 가십니까? (여성) |
Neen ekshan kalalagday? | 당신은 어디로 가십니까? (남성) |
Endra manja? | 무슨 일이에요? |
Ha'an | 예 |
Malla | 아니요 |
Een mokha Lagdan. | 저는 먹고 있습니다. |
Neen mokha. | 당신은 먹습니다. |
Neen ona. | 당신은 마십니다. |
Aar mokha lagnar. | 그들은 먹고 있습니다. |
Daw makha | 안녕히 주무세요. |
10. 예시 텍스트
쿠루흐어 예시 텍스트는 다음과 같다.
문자 | 내용 |
---|---|
데바나가리 문자 | होर्मा आलारिन हक गहि बारे नु मलिनता आजादी आरा अन्तेन मन्ना गहि हक ककारकि राइ। आरिन रुर आरा जिआ गहि दाव बाउसा ककाकि राइ आरा तम्हाई मझी नु मेल-फ्रेन गहि बेभहार नन्ना चाहि।kru |
라틴 문자 | होर्मा आलारिन हक गहि बारे नु मलिनता आजादी आरा अन्तेन मन्ना गहि हक ककारकि राइ। आरिन रुर आरा जिआ गहि दाव बाउसा ककाकि राइ आरा तम्हाई मझी नु मेल-फ्रेन गहि बेभहार नन्ना चाहि।kru[1] |
한국어 번역 |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 |
10. 1. 데바나가리 문자
होर्मा आलारिन हक गहि बारे नु मलिनता आजादी आरा अन्तेन मन्ना गहि हक ककारकि राइ। आरिन रुर आरा जिआ गहि दाव बाउसा ककाकि राइ आरा तम्हाई मझी नु मेल-फ्रेन गहि बेभहार नन्ना चाहि।kru10. 2. 라틴 문자
호르마 알라린 학 가히 바레 누 말린타 아자디 아라 앙템 만나 가히 학 사카르키 라이. 아린 루르 아라 지야 가히 다브 바우사 사카키 라이 아라 툼헤 마지 누 멜-프렘 가히 베브하르 난나 나 차히.[1]10. 3. 한국어 번역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해야 한다.참조
[1]
웹사이트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8-07-07
[2]
뉴스
Kurux
https://www.ethnolog[...]
2018-07-11
[3]
뉴스
Kurux, Nepali
https://www.ethnolog[...]
2018-07-11
[4]
문서
Kurukh
[5]
웹사이트
Glottolog 4.5 - Nepali Kurux
http://glottolog.org[...]
[6]
웹사이트
Endangered Languages: The Full List
https://www.theguard[...]
2011-04-15
[7]
서적
Intransitive Predi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8]
문서
[9]
웹사이트
Kurukh Banna
https://omniglot.com[...]
[10]
웹사이트
Tolong Siki alphabet and the Kurukh language
https://www.omniglot[...]
2019-12-19
[11]
웹사이트
Preliminary Proposal to Encode the Tolong Siki Script in the UCS
http://www.unicode.o[...]
2010-04-08
[12]
뉴스
Kurux
https://www.ethnolog[...]
2018-07-11
[13]
문서
[14]
웹사이트
Kurukh given official language status in West Bengal
https://www.jagranjo[...]
2019-05-12
[15]
서적
The Kurux language : grammar, texts and lexicon
2017-09-21
[16]
뉴스
Kurukh gets official language status in West Bengal
https://www.thehindu[...]
2022-05-02
[17]
웹사이트
Census of India: Growth of Non-Scheduled Languages-1971, 1981, 1991 and 2001
http://www.censusind[...]
2017-10-15
[18]
웹인용
Statement 1: Abstract of speakers' strength of languages and mother tongues - 2011
http://www.censusind[...]
Office of the Registrar General & Census Commissioner, India
2018-07-07
[19]
뉴스
Kurux
https://www.ethnolog[...]
2018-07-11
[20]
뉴스
Kurux, Nepali
https://www.ethnolog[...]
2018-07-11
[21]
웹인용
Endangered Languages: The Full Lis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2]
서적
The Kurux language : grammar, texts and lexicon
https://www.world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