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쿠르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르간은 킵차크어, 튀르크어에서 유래된 단어로, 요새, 제방, 높은 무덤을 의미한다.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고고학에서 토무리를 지칭하는 데 사용되며, 무덤 위에 흙이나 돌을 쌓아 만든 봉분 형태를 띤다. 쿠르간은 기원전 5천년기 동유럽에서 시작되어 청동기 시대를 거치며 널리 퍼졌으며, 쿠르간 가설은 쿠르간 문화를 프로토인도유럽인과 연결하여 인도유럽어족의 기원을 추적하는 데 사용된다. 쿠르간은 다양한 구조와 특징을 가지며, 매장실, 부장품, 제물 등을 포함한다. 스키타이-시베리아 문화, 파지리크 문화 등과 관련된 다양한 쿠르간 유적이 발굴되었으며, 폴란드에서도 쿠르간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쿠르간
지리 정보
일반 정보
종류언덕
위치동유럽
문화
관련 문화부크-드네스트르 문화
스레드니 스토그 문화
드네프르-도네츠 문화
사마라 문화
흐발린스크 문화
얌나야 문화
미하일로프카 문화
노보티타롭스카야 문화
우사토보 문화
바덴 문화
중부 드네프르 문화
언어 및 민족
관련 민족히타이트인
골족
켈트 이베리아인
섬 켈트족
트라키아인
다키아인
일리리아인
파이오니아인
프리지아인
종교
관련 종교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조로아스터교
야지디교
야르사니즘
신화
관련 신화오세트 신화
아일랜드 신화
스코틀랜드 신화
브르타뉴 신화
웨일스 신화
콘월 신화
앵글로색슨족 이교주의
대륙 게르만족 신화
노르드 신화
라트비아 신화
리투아니아 신화
기타
참고쿠르간 (동음이의)
쿠르간 (도시)
쿠르간 주
로버트 마이어

2. 어원

우크라이나어 어원 사전에 따르면 "kurhan"이라는 단어는 킵차크어(킵차크어족, 튀르크어족)에서 직접 차용된 것으로, 요새, 제방, 높은 무덤을 의미한다.[2] 이 단어는 두 가지 가능한 어원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고대 튀르크어 어근인 ''qori-''("닫다, 막다, 지키다, 보호하다")이고, 다른 하나는 ''qur-''("짓다, 세우다, 설치하다, 또는 강화하다")이다. 바실리 라들로프에 따르면 이 단어는 "요새, 성채, 또는 성"을 의미하는 ''qorγan''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

러시아어 명사는 이미 고대 동슬라브어에 기록되어 있으며, 확인되지 않은 튀르크어족 언어에서 유래했다.[4] 쿠르간은 무덤 위에 쌓은 흙과 돌의 봉분이다.

3. 분포 및 기원

"쿠르간"이라는 단어는 튀르크어족의 킵차크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요새", "제방", "높은 무덤"을 의미한다.[2] 고대 튀르크어 어근 ''qori-''("닫다, 막다, 지키다, 보호하다") 또는 ''qur-''("짓다, 세우다, 설치하다, 또는 강화하다")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있다.[3] 바실리 라들로프는 이 단어가 "요새, 성채, 또는 성"을 뜻하는 ''qorγan''과 관련이 있다고 보았다.[3]

쿠르간은 무덤 위에 흙과 돌을 쌓아 만든 봉분이다. 고대 동슬라브어에도 기록되어 있으며, 튀르크어족 언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4] 소련 고고학에서 널리 사용되면서, 현재 동유럽과 중앙아시아 고고학에서 토무리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일부 묘지는 봉분으로 덮여 있었으며, 초기 쿠르간은 기원전 5천년기 동유럽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쿠르간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스텝에서 사용되었으며, 기원전 3천년기에 남부, 중부, 북부 유럽으로 확산되었다.[5][6]

청동기 시대에 쿠르간 고분은 유목민들의 특징적인 무덤 양식이 되었으며,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불가리아(트라키아인, 게타이 등), 루마니아(게타이, 다키아인), 카프카스, 러시아에서 카자흐스탄, 몽골, 알타이 산맥에 이르기까지 넓게 분포했다. 쿠르간은 내부에 널방(玄室)을 갖춘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도 하며, 지배 계급 인물의 무덤에는 많은 부장품과 제물이 함께 묻혔다. 때로는 말이나 전차가 부장되기도 했다.

4. 쿠르간 가설

쿠르간 가설흑해와 코카서스, 우랄 산맥 서쪽의 쿠르간 문화 전파자가 프로토인도유럽인이었다는 가설이다. 1956년 마리야 짐부타스가 제시한 이 가설은 쿠르간 고고학과 언어학을 결합하여 프로토인도유럽어 사용자의 기원을 추적한다. 짐부타스는 독특한 봉분을 기반으로 이 문화를 "쿠르간"이라고 명명하고 유럽으로의 확산을 추적했다. 이 가설은 인도유럽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짐부타스의 견해를 따르는 학자들은 기원전 5천년기부터 3천년기까지 스텝 지역과 유럽 남동부에 존재했던 초기 프로토인도유럽인의 민족성을 반영하는 "쿠르간 문화"를 확인한다. 쿠르간 문화에서는 대부분의 매장이 쿠르간에서 이루어졌으며, 씨족 또는 개인 매장이었다. 지도자급 인물들은 주로 개별 쿠르간에 매장되었는데, 이는 현재 "왕릉급 쿠르간"으로 불린다. 이러한 개별 쿠르간은 씨족 쿠르간보다 더 정교하고 부장품이 포함되어 있어 많은 주목을 받았다.

4. 1. 스키토-시베리아 문화

이 문화들의 기념물은 스키타이-시베리아 세계(사카)의 기념물과 일치한다. 스키타이-시베리아 기념물은 공통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공통적인 유전적 뿌리를 가지고 있다.[7] 이러한 화려한 고분과 관련된 또 다른 문화는 알타이 산맥의 시베리아 러시아에 있는 우콕 고원에 살았던, 중국, 카자흐스탄, 몽골과의 국경 근처에 위치한 고대 유목민족인 파지리크 문화이다.[8] 우콕 고원에 있는 파지리크 문화와 관련된 고고학 유적지는 알타이의 황금 산맥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포함되어 있다.[9]

스키타이-시베리아 분류에는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전 3세기까지의 기념물이 포함된다. 이 시대는 초기 또는 고대 유목민 시대라고 불린다.

5. 구조 및 특징

쿠르간은 내부 공간을 가진 복잡한 구조물이다. 중심부의 널방에는 지배 계층 인물들이 부장품, 제물과 함께 묻혔으며, 때로는 말이나 전차도 포함되었다. 기원전 4천년기에서 3천년기의 초기 신석기 시대와 기원전 1천년기까지의 청동기 시대 구조물들은 고대 형성 방식의 연속성을 보여주며, 공통된 의례적-신화적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다.

5. 1. 구성 요소

고분은 내부 공간을 가진 복잡한 구조물이다. 쿠르간 중심부의 매장실에는 엘리트 계층의 개인들이 부장품과 제물과 함께 매장되었는데, 때로는 말과 전차도 포함되었다. 기원전 4천년기에서 3천년기의 초기 신석기 시대와 기원전 1천년기까지의 청동기 시대의 구조물들은 고대 형성 방식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이들은 공통된 의례적-신화적 개념에서 영감을 받았다.

불가리아 스베슈타리의 트라키아 봉토 무덤 내부


모든 시대에 걸쳐 다양한 민족 문화권에서 쿠르간 구조 전통의 발전은 기념물 건설에서 공통적인 구성 요소 또는 전형적인 특징으로 나타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매장실
  • 무덤
  • 다양한 형태의 지상 및 지하 구조물
  • 입구 유무에 관계없이 흙이나 돌로 만든 봉토
  • 장례, 의례 및 기타 특징
  • 매장실에 제단이 있음
  • 돌담
  • 해자
  • 성벽
  • 해자나 성벽에서 이어지는 장례 행렬 길
  • 매장실, 무덤, 담장 또는 쿠르간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존재
  • 제방 위, 봉토 내부, 해자 내부, 제방 내부, 그리고 그 연결 부분, 입구, 그리고 쿠르간 주변에 희생 제물 장소가 있음
  • 매장실의 화덕
  • 쿠르간 위, 아래, 쿠르간 꼭대기 또는 쿠르간 주변의 나무 지붕
  • 돌상, 기둥, 말뚝 및 기타 물체의 위치
  • 쿠르간 내부, 무덤 내부 또는 쿠르간 주변의 우회 통로


이러한 요소들의 조합에 따라 각 역사적, 문화적 유목 지역마다 특정한 건축적 차이점이 있다.

5. 2. 시대별 특징

쿠르간은 초기에는 기원전 5천년기 동유럽에서 봉분 형태로 나타났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 가설은 만장일치로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 기원전 3천년기에 쿠르간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스텝에서 사용되었으며, 남부, 중부, 북부 유럽으로 이주하면서 그 사용이 확산되었다.[5][6]

이후 쿠르간 고분은 청동기 시대 사람들의 특징이 되었으며,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불가리아(트라키아인, 게타이 등), 루마니아(게타이, 다키아인), 카프카스, 러시아에서 카자흐스탄, 몽골, 알타이 산맥에 이르기까지 발견되었다. 청동기 시대에는 돌로 보강된 쿠르간이 건설되었는데, 이 중 일부는 흙과 토루를 쌓고 돌로 보강한 스키타이 매장지로 여겨진다.

스키타이-시베리아 이전 시대의 쿠르간은 지표면 쿠르간이었다. 나무나 돌로 된 무덤을 지표면이나 지하에 건설한 후 쿠르간으로 덮었다. 유럽과 아시아 전역의 청동기 문화 쿠르간 무덤은 그 문화의 주택 건설 방식과 유사했다.[10] 피라미드형 목조 지붕으로 덮인 무덤이 있는 쿠르간인 'Ak-su - Aüly'(기원전 12세기~11세기)는 이중 벽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우회 통로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설계는 Begazy, Sanguyr, Begasar 및 Dandybay 쿠르간과 유사하다.[10] 이러한 건축 전통은 초기 중세 시대(서기 8세기~10세기)까지 이어졌다.

청동기 시대 스키타이-시베리아 이전 문화는 예니세이강 유역, 알타이, 카자흐스탄, 남부 및 남동부 아무르 지역의 문화와 밀접한 유사성을 보이며 발전했다.

일부 쿠르간에는 외장재나 타일이 사용되었다. 우크라이나의 한 무덤에는 지하에 29개의 큰 석회암 판이 원형으로 세워져 있는데, 마름모꼴, 삼각형, 십자가의 조각된 기하학적 장식과 사람 형상이 새겨져 있다. 또 다른 예로는 두꺼운 통나무로 된 나무 원뿔 아래에 흙으로 된 쿠르간이 있으며, 최대 2m 높이의 장식된 옥상이 얹혀 있다.



초기 철기 시대의 스키타이-시베리아 쿠르간들은 유라시아 대륙 전역에 걸쳐 거대한 봉분들을 가지고 있다.[12]

6. 성별 비율

마냐치 강 동부 초원과 쿠반–아조프 초원의 야므나 문화 유적의 쿠르간에서는 남녀 무덤의 비율이 거의 같았다.[13]

볼가 강 하류 및 중류 지역의 야므나 문화와 폴타브카 문화 시대에는 여성 매장 무덤이 약 20%였고, 2천 년 후 같은 지역에서 전사로 차려입은 여성이 매장되었다.[13] 데이비드 앤서니는 "돈 강 하류와 볼가 강 하류의 스키타이 – 사르마티아 '전사 무덤' 약 20%에는 전투복을 입은 여성이 매장되어 있는데… 이 현상은 아마존에 관한 그리스 신화에 영감을 주었을 것이다."라고 언급했다.[13]

우크라이나에서는 다른 두 지역의 중간 비율인 약 35%였다.[13]

7. 주요 발굴 유적

다음은 발굴된 쿠르간의 일부이다.


  • 이파토보 쿠르간은 기원전 4000년경 마이콥 문화부터 기원전 3세기 엘리트 여성의 매장까지 이르는 긴 매장 연대기를 보여준다. 1998~99년에 발굴되었다.
  • 러시아 사마라 근처 쿠툴루크의 쿠르간 4호는 기원전 2400년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35~40세로 추정되는 키 152cm 정도의 남성 유골이 포함되어 있다.[15] 유골의 구부러진 왼쪽 팔꿈치 위에는 길이 65cm의 구리 물체가 놓여 있었는데, 마름모꼴 단면의 날카로운 가장자리를 가진 칼날과 손잡이가 있었고, 원래는 가죽으로 감싸져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청동기 시대 유라시아 대초원 문화에서는 이와 유사한 물체가 알려진 바 없다.
  • 마이콥 쿠르간은 기원전 3천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 러시아 남부 크라스노다르 지역 포누라 강의 노보벨리치코프스카야 쿠르간은 기원전 2000년경 것으로, 포옹하는 연인을 포함하여 11명의 유해와 함께 청동 도구, 석조 조각, 보석, 적색 황토로 장식된 도자기 용기가 발견되었다. 이 무덤은 노보티토로브카 문화 유목민과 관련이 있다.
  • 기원전 7세기의 코스트롬스카야 쿠르간에서는 유명한 스키타이 황금 사슴(현재 에르미타주 박물관 소장)이 그 사슴을 장식했던 철제 방패 옆에서 발견되었다.[16] 주요 남성 유골과 그의 장비 외에도, 무덤 위에는 장식이 없는 13명의 유골이 있었고, 무덤 가장자리에는 22마리의 말 매장이 쌍으로 이루어져 있었다.[17] 1897년 N. I. 베셀롭스키에 의해 발굴되었다.[18]
  • 카자흐스탄 남부의 이스크 쿠르간에는 기원전 4세기경 여성으로 추정되는 유골과 함께 새겨진 은잔, 금 장식, 스키타이 동물 예술품, 카자흐스탄 신부 모자를 연상시키는 머리 장식이 포함되어 있으며, 1969년에 발견되었다.
  • 카자흐스탄 부흐타르마 강 계곡에 있는 베렐 묘지의 쿠르간 11호에는 기원전 300년경 무덤이 있으며, 가죽, 털, 마구, 안장이 그대로 남아 있는 12마리의 희생된 말들이 자작나무 껍질 침대 위에 나란히 매장되어 있고, 그 옆에는 두 명의 스키타이 귀족의 약탈당한 매장이 있는 장례실이 있다. 1998년에 발굴되었다.
  • 토브스타 모힐라 쿠르간은 기원전 4세기에 속하며, 1971년 우크라이나 고고학자 보리스 M. 모졸레브스키에 의해 발굴되었다. 이곳에서는 현재 키이우의 키이우 페체르스크 라브라 안에 있는 우크라이나 역사 유물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는 유명한 토브스타 모힐라의 금빛 가슴 장식이 발견되었다. 도굴되지 않은 매장의 전실에서 아름다운 검집이 발견되었다. 같은 쿠르간에서 두 번째 측면 매장이 온전한 상태로 발견되었다. 이것은 한 여성과 그녀의 두 살배기 딸의 것이었다. 그녀는 금으로 된 관과 다른 고급 금 보석을 포함하여 금으로 덮여 있었다. 이 여성의 매장은 쿠르간 중심부의 매장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발굴 전 직경 60m였던 토브스타 모힐라 쿠르간은 오늘날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의 포크로프시 근처 우크라이나 남부에 위치해 있다.
  • 키이우에서 남쪽으로 125km 떨어진 우크라이나의 리잔니브카 쿠르간은 10m 크기의 쿠르간으로 기원전 3세기 스키타이 족장의 무덤을 포함하고 있으며, 1996년에 발굴되었다.
  • 우크라이나 자포리자주에 있는 솔로하 쿠르간은 스키타이 유적이며 기원전 4세기 초에 해당한다.
  • 마마이호라는 카호프카 저수지 강둑에 있는 쿠르간 복합 단지로, 에네르호다르(벨리카 지나미안카 마을 근처)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다. 유럽에서 가장 큰 고분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쿠르간의 높이는 80m이다. 이곳에서는 청동기 시대, 스키타이인, 사르마티아인, 킴메리아인, 노가이인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 크로피브니츠키 근처의 멜구노프 쿠르간은 기원전 7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가장 오래된 스키타이 쿠르간 중 하나이다.
  • 멜리토폴 근처의 멜리토폴 쿠르간이 발굴되었고, 그곳에서 발견된 스키타이 금 장신구는 현재 멜리토폴 지역사 박물관 소장품에 있다.[19]
  • 불가리아 중부 카잔라크 마을 근처의 카잔라크 트라키아인 무덤은 기원전 4세기경의 트라키아 쿠르간이다.
  • 알렉산드로보 쿠르간은 기원전 4세기경의 트라키아 쿠르간이다.
  • 불가리아의 스베스타리 트라키아인 무덤은 기원전 3세기경의 트라키아 쿠르간이다.
  • 스웨덴 웁살라 외곽에 위치한 하가 쿠르간은 기원전 1000년경의 대형 북유럽 청동기 시대 쿠르간이다.
  • 페레셰치피나 쿠르간은 기원후 660년경 불가리아 지배자 쿠브라트의 매장 기념물이다.
  • 울란바토르 북쪽 셀렝가 강에 있는 몽골 북부 언덕에 위치한 노인-울라 쿠르간은 훈족 연합의 우두머리 우추류-차누이(기원전 8년 ~ 기원후 13년)의 무덤이다.[20]
  • 보랄다이 무덤은 카자흐스탄 알마티에 위치해 있다.


쿠르간은 시베리아에서 동유럽에 걸쳐 무수히 존재한다. 그중 유명한 예는 다음과 같다.

  • 쿠툴루크 4호분: 러시아 사마라 근처에 있는 기원전 24세기경의 쿠르간이다. 키 135cm 정도의 35~40세 남성의 유골이 매장되어 있었다. 이 유골의 구부러진 왼쪽 팔꿈치에는 길이 65cm 정도의 마름모꼴로 십자형으로 나뉜 납판이 붙어 있었다. 납판의 끝은 날카롭게 가공되었지만 뾰족하고 예리한 것이 아니었고, 원래는 전체가 가죽으로 싸여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유럽 청동기 시대 스텝 여러 문화권에서 이와 비슷한 것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인도의 신 인드라의 번개에 비유될 만한 제품으로 여겨져 왔다.
  • 알렉산드로보 쿠르간: 기원전 4세기경 트라키아인의 무덤이다.
  • 필리포프카 고분군[29]: 러시아 오렌부르크 서쪽 약 100km 지점에 위치한 쿠르간으로 이루어진 묘지이다. 기원전 4세기 사르마티아 문화의 쿠르간 군이다. 길이 6km에 걸쳐 25기의 쿠르간이 산재해 있으며, 가장 큰 것은 쿠르간 군 중앙에 위치한 높이 7m의 1호 쿠르간으로, 1986년 이후의 조사에서 금박을 입힌 사슴 모양 목제품을 비롯한 많은 금제품이 출토되었다.
  • 코스트롬스카야 쿠르간: 남러시아 쿠반 강 유역에서 가장 오래된 쿠르간 중 하나로, 기원전 7~6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지름 9m, 높이 2.5m의 봉토를 가지고 있으며, 묘실을 둘러싸고 4개의 기둥이 세워져 있고, 그 기둥에는 4개의 가로목이 결합되어 피라미드 모양으로 지붕 나무를 짜 맞추고 있다. 22마리의 말은 "井"자 모양으로 배열된 가로목과 같은 깊이에 매장되어 있으며, 가로목에 대해 4마리씩 수직 방향으로 머리를 바깥쪽으로 향하게 매장되어 있었다. 또한 가로목 안쪽에서는 철제 방패와 창, 굴레, 토기 조각 등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굴을 당했지만, 부장품에는 31.7cm×19cm의 사슴을 부조한 금으로 만든 장식판 등 금은, 보석, 무기, 무구가 많이 발견되었다. 1897년 N.I. 베세로프스키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 노보벨리히코프스카야 쿠르간: 남러시아 크라스노다르 지방 포누라 강 강변에 있는 기원전 2000년경의 것이다. 포옹한 채 매장된 2구를 포함해 총 11구의 매장자가 확인되었다. 부장품에는 동제품이나 조각이 가해진 석제품, 보석, 붉은 황토색으로 채색된 토기가 보였다. 이 무덤은 노보티타로프스크 문화 유목민의 것이다.
  • 랴자노프카 쿠르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남쪽 125km에 위치한 높이 10m의 쿠르간이다. 기원전 3세기경 스키타이 지배 지역인 삼림 스텝의 서쪽 가장자리를 지배한 족장의 무덤이다. 기원전 250년경부터 225년경의 스키타이 문화 후반 시기의 것으로, 지배 계층이 점차 농민의 생활 방식을 선택하게 되는 시대의 무덤이다. 무덤 안에는 스키타이 문화에서는 최초가 되는 난로 모형이 출토되어 농민의 집의 따뜻함과 편안함을 상징하는 것이다. 1996년에 발굴 조사되었다.
  • 톨스타야 모길리: 우크라이나 남부, 드니프로페트로우시크에서 남서쪽 120km, 드니프르 강 하류 도시 자포리자, 니코폴 부근에 집중 분포하는 니코폴 고분군에 속하며, 오르제니키제 시에 있는 기원전 4세기의 쿠르간이다. 이것은 스키타이 귀족의 무덤으로, 쿠르간을 둘러싼 주구에서는 장례식 때 행해졌을 것으로 생각되는 다량의 동물의 뼈와 주기로 사용되었던 토기가 출토되었다. 이 쿠르간은 유골의 별실에서 지름 30cm의 금으로 만든 초승달 모양의 가슴 장식이 출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가슴 장식은 동심원상으로 세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바깥 부분에는 말을 공격하는 그리핀 등 스키타이 풍의 조각이 되어 있으며, 중앙 부분에는 식물을 도안화한 문양, 안쪽 부분에는 어미 말이 망아지에게, 어미 소가 송아지에게 젖을 먹이거나, 사람이 양의 젖을 짜는 장면이 보인다.
  • 마마예프 쿠르간
  • 이식 쿠르간: 카자흐스탄 남부 알마티 동쪽 약 50km에 위치한 이식 쿠르간에서는 1996년 조사에서 여성으로 추정되는 유골이 매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카자흐스탄의 결혼식에 사용되는 처마가 있는 모자 모양의 관을 포함한 4000개체나 되는 금제품이 부장품으로 확인되었다.
  • 베렐 고분군[30]: 카자흐스탄 동카자흐스탄주 바크탈마 강 우안에 베렐 묘지가 있다. 1865년 바실리 라들로프가 발굴하고, 그 후에도 여러 번 조사되었다. 1998년~2001년 카자흐스탄 과학 아카데미와 프랑스 중앙아시아 고고학 조사대의 공동 조사에서 5기의 무덤이 발굴되어 11, 18, 34호분이 파지리크 문화의 쿠르간이었다. 11호분에는 12구의 순장된 말이 가죽과 털, 굴레 등의 마구, 그리고 완전한 형태의 안장이 붙은 상태로 확인되었다. 이 말들은 도굴로 황폐해진 2구의 스키타이 귀족 유골이 있는 현실 옆에 자작나무 껍질의 "침대"에 나란히 놓여 매장되어 있었다.
  • 파지리크 고분군

8. 폴란드의 쿠르간

1444년 11월 10일 불가리아 바르나 근교에서 벌어진 바르나 전투 기념비. 영묘의 정면은 고대 트라키아 무덤 옆에 세워져 있다.


폴란드에서는 오랜 기간 동안 쿠르간(고분)을 축조해 왔다. 폴란드어로 쿠르간은 ''kopiec'' 또는 ''kurhan''이라고 불린다. 폴란드에서 발굴된 주요 쿠르간은 다음과 같다.

유적명위치연대특징 및 비고
우네티체 문화 매장 봉분기원전 2000~1800년14개의 쿠르간[21]
크라시니크신석기 시대
프레시니크[22]
트라비아스타 부치나기원전 1200~1000년수백 개의 돌 쿠르간
스칼브미에르츠기원전 4000년[23]
잠브로프[24]
야우치체신석기 시대 또는 청동기 시대남성으로 추정되는 노인 매장, 무기, 토기 조각 발견[25]
시에라츠 근처기원전 1500년경트르치니에츠 문화 시대, 남녀 합장
우브나-야쿠시, 구치우프 근처기원전 1500년경트르치니에츠 문화
크라쿠스 언덕크라쿠프도시 창시자 크라쿠스의 매장지로 전해짐
반다 언덕크라쿠프크라쿠스의 딸 매장지
므롱고보 근처 필라크노1988년 발굴서 발트해 쿠르한 문화[26]
벨하투프쿠르간 위에 지어진 이교도 사원 (2001년 탄소 14 검사 결과 대기중)[27]
Kopiec Tatarski프셰미실삼각형 모양, 길이 10미터, 동쪽 방향, 뼈, 고대 동전, 중세 도자기 출토, Templum S. Leonardi 구조물 (1534년경 건조,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괴)
Kopiec Esterki14세기카지미에시 3세가 사망한 아내를 위해 세움
폴란드의 블라디슬라프 3세 매장 무덤바르나1924년 건설바르나 전투 기념비의 일부, 고대 트라키아 쿠르간에 조성
코슈추슈코 언덕크라쿠프1823년 11월 완공타데우시 코슈추슈코 기념
루블린 합병 언덕리비우1980년 완공인공 고분
불멸의 언덕1898년 건설시인 아담 미츠키에비치 기념
Kopiec Wyzwolenia(해방 언덕)1937년 완공얀 3세 소비에스키 지휘하의 폴란드 후사르가 피에카리 시롱스키에 시 통과 250주년 기념[28]
필수드스키 언덕크라쿠프폴란드 장군이자 정치인인 유제프 필수드스키 추모


참조

[1] 웹사이트 Kurgan https://www.dictiona[...] Random House
[2] 서적 Етимологічний словник української мови: В 7 т. http://litopys.org.u[...] АН УРСР. Ін-т мовознавства ім. О. О. Потебні
[3] 간행물 Acta philologica University of Warsaw
[4] 서적 Russisches etymologisches Wörterbuch http://starling.rine[...] Winter 2015-07-27
[5] 웹사이트 Kazakhstan will provide tourists with an access to Saka kurgans https://www.advantou[...] 2019-09-13
[6] 저널 First Excavation of Pazyryk Kurgans in Mongolian Altai https://www.academia[...]
[7] 서적 Ancient culture of Sakas and Usuns in the valley of river Ili Kazakh SSR Academy of Sciences publication
[8] 웹사이트 Ice Mummies: Siberian Ice Maiden http://www.pbs.org/w[...] PBS – NOVA 2007-07-31
[9] 웹사이트 Golden Mountains of Altai https://whc.unesco.o[...] UNESCO 2007-07-31
[10] 서적 Architecture of Kazakhstan Alma-Ata
[11] 웹사이트 British Museum http://www.britishmu[...]
[12] 웹사이트 Salbyksky mound http://unknownsiberi[...] 2014-05-09
[13]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4]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저널 Cudgel Culture http://www.archaeolo[...] Archaeology 2002-03-04
[16] 문서 Honour and Fleming
[17] 문서 Honour and Fleming
[18] 문서 Piotrovsky
[19] 웹사이트 Мелитопольский городской краеведческий музей - MGK Мелитополь http://www.mgk.zp.ua[...] 2022-03-10
[20] 웹사이트 Siberia http://www.hostkingd[...] Hostkingdom 2018-12-12
[21] 위키 Wielkopolskie piramidy
[22] 웹사이트 Mogily http://monika.univ.g[...] GDA 2007-04-11
[23] 웹사이트 Skalbmierz http://www.kwiatek.k[...] Krakow
[24] 웹사이트 Cieciorkami http://www.ugzambrow[...] Ugzambrow 2007-04-11
[25] 웹사이트 Mounds in Jawczycach http://www.odyssei.c[...] Odyssei 2007-04-11
[26] 웹사이트 Historycy http://www.historycy[...]
[27] 웹사이트 Historycy http://www.historycy[...]
[28] 위키 Kopiec Wyzwolenia
[29] 서적 サルマタイの遺跡 勉誠出版
[30] 서적 サカの遺跡-ベレル古墳群について 勉誠出版
[31] 웹사이트 Kurgan https://www.dictiona[...] Random House
[32] 서적 Encyclopedic Dictionary of Archaeology Springer
[33]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Taylor & Franc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