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마왈라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마왈라비(Tammar wallaby, Notamacropus eugenii)는 호주에 서식하는 왈라비의 일종이다. 1628년 서호주에서 발견되어 1817년 처음 학술적으로 기술되었으며, 캥거루, 왈라루 등과 함께 Macropus 속에 분류되다가 유전적 연구를 통해 Notamacropus 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타마왈라비는 가장 작은 왈라비 중 하나로, 야행성이며 초식 동물이다. 멸종 위협에 직면해 있으며, 특히 서식지 단편화로 인한 근친 교배와 개체 수 감소가 문제로 지적된다. 생식 생물학, 면역학 연구를 위한 모델 생물로 활용되며, 유전체 연구 및 항생제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17년 기재된 포유류 - 코알라
코알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서식하며 유칼립투스 잎을 주식으로 하는 유대류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물을 마시지 않는다는 의미의 이름과는 달리 실제로 물을 마시기도 하고, 호주를 대표하는 동물 중 하나로서 국제적인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 1817년 기재된 포유류 - 산비버
산비버는 다람쥐와 자매군 관계인 산비버과의 유일한 현존 종으로, 원시적인 특징으로 살아있는 화석으로도 불리며 북미 서부에 서식하는 비교적 큰 설치류이지만, 나무 훼손 습성으로 해충으로 간주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이 필요하기도 하다. - 캥거루과 - 왈라비
왈라비는 캥거루과에 속하며 몸무게 25kg 미만의 유대류를 통칭하는 용어로,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에 주로 서식하며 다양한 환경에 적응했고 일부 종은 다른 지역에 도입되어 번성하기도 하며 문화적으로도 활용된다. - 캥거루과 - 붉은캥거루
붉은캥거루는 캥거루과에 속하는 유대류로, 수컷은 붉은 갈색, 암컷은 푸른 회색 털을 가지며 호주 건조 지역에 서식하며 초본을 먹고 딩고와 맹금류에게 포식되며, 개체 수가 많아 상업적으로 이용된다.
타마왈라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 |
학명 | Notamacropus eugenii |
명명자 | 데마레, 1817 |
이명 | Kangurus eugenii 데마레, 1817 Macropus eugenii (데마레, 1817) |
보전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LC |
분포 | |
![]() |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아강 | 유대아강 |
목 | 캥거루목 |
아목 | 캥거루아목 |
과 | 캥거루과 |
속 | 왈라비속 (Notamacropus) |
2. 분류 및 진화
타마왈라비는 1628년 바타비아 난파 생존자들에 의해 서호주 인근 Houtman Abrolhos에서 발견되었으며, 1629년 프랑수아 펠사르트가 그의 저서 ''Ongeluckige Voyagie''에 기록했다.[2] 1817년 프랑스 박물학자 앙셀름 가에탕 데마레는 남호주 연안 Nuyts 군도의 Ile Eugene(현재 세인트피터 섬)에서 발견된 표본을 바탕으로 이 종을 처음 기술하고 ''eugenii''라는 이름을 부여했다.[3] 이 섬의 이름은 배 ''내츄럴리스트''의 선장인 유진 하멜린(Eugene Hamelin)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46] 그의 이름은 현재 타마왈라비의 종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타마왈라비라는 일반적인 이름은 서호주에서 이 동물을 보호했던 타마(''Allocasuarina campestris'') 관목 덤불에서 유래했다.[11] 다마왈라비 또는 다르마왈라비로도 알려져 있다.[4]
2. 1. 아종
타마왈라비는 전통적으로 캥거루, 왈라루 및 다른 여러 종의 왈라비와 함께 Macropus 속에 분류되었으며, 얼굴 줄무늬가 있는 다른 브러시왈라비와 함께 Notamacropus 아속에 분류된다.[5] 그러나 일부 저자는 ''Macropus''의 세 아속을 별개의 속으로 승격시켜 타마의 종명을 ''Notamacropus eugenii''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6] 이는 유전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었다.[9][10]1991년, 이 종의 서식지 여러 곳에서 수집된 타마왈라비 두개골을 검사한 결과, 개체군이 세 개의 뚜렷한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룹 | 구성 |
---|---|
첫 번째 그룹 | 서호주 본토, 이스트 및 웨스트 왈라비 섬, 가든 섬 및 미들 섬 |
두 번째 그룹 | 플린더스 섬, 19세기 남호주 본토 및 뉴질랜드 |
세 번째 그룹 | 캥거루 섬 |
서호주 환경 및 보존부는 이 개체군을 각각 아종 ''Macropus eugenii derbianus'', ''M. e. eugenii'' 및 ''M. e. decres''로 분류했다.[11]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서호주와 남호주의 타마 간에는 많은 유전적 차이가 있었고, 캥거루 섬과 도입된 뉴질랜드 타마 간에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적었다. 연구자들은 이 종을 두 개의 아종으로 나눌 것을 제안했다. 즉, 남호주 타마는 아종명 ''eugenii'', 서호주 타마는 ''derbianus''였다.[8]
2. 2. 계통
타마왈라비는 전통적으로 캥거루, 왈라루 및 다른 여러 종의 왈라비와 함께 Macropus 속에 분류되었으며, 얼굴 줄무늬가 있는 다른 브러시왈라비와 함께 Notamacropus 아속에 분류된다.[5]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Macropus''의 세 아속, 즉 ''Macropus''(협의의 의미), ''Osphranter'', ''Notamacropus''를 별개의 속으로 승격시켜 타마왈라비의 종명을 ''Notamacropus eugenii''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6] 이는 유전적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었다.[9][10]타마왈라비의 화석 증거는 후기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나라쿠르테 동굴에서 발견되었다.[5] 육지와 섬에 서식하는 타마왈라비는 7,000~15,000년 전에 서로 분리되었으며, 남호주와 서호주 동물은 약 50,000년 전에 분화되었다. 플린더스 섬에서 멸종된 타마왈라비는 현재의 캥거루 섬 타마왈라비보다 회색빛을 띠고 두개골이 얇았으며, 캥거루 섬 타마왈라비는 이스트 및 웨스트 왈라비 섬 동물보다 더 컸다. 섬 타마왈라비는 한때 육지 개체군과 별개의 종으로 여겨졌다.[46]
1991년, 여러 서식지에서 수집된 타마왈라비 두개골을 검사한 결과, 개체군이 세 그룹으로 나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첫 번째 그룹은 서호주 본토, 이스트 및 웨스트 왈라비 섬, 가든 섬 및 미들 섬에서 온 개체군이다.
- 두 번째 그룹은 플린더스 섬, 19세기 남호주 본토 및 뉴질랜드에서 온 개체군이다.
- 세 번째 그룹은 캥거루 섬에서 온 개체군이다.[7]
서호주 환경 및 보존부는 이 개체군을 각각 아종 ''Macropus eugenii derbianus'', ''M. e. eugenii'' 및 ''M. e. decres''로 분류했다.[11]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서호주와 남호주의 타마왈라비 간에는 많은 유전적 차이가 있었고, 캥거루 섬과 도입된 뉴질랜드 타마왈라비 간에는 상대적으로 차이가 적었다. 연구자들은 이 종을 두 개의 아종, 즉 남호주 타마왈라비는 아종명 ''eugenii'', 서호주 타마왈라비는 ''derbianus''로 나눌 것을 제안했다.[8]
3. 특징 및 적응
타마왈라비는 넓은 시야, 발달된 청각 및 후각, 효과적인 체온 조절 및 수분 균형 능력을 통해 환경에 적응한다.
타마왈라비의 귓바퀴는 움직일 수 있어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도 주변의 다양한 소리를 추적할 수 있다. 귓바퀴를 소리에 맞춰 귀고막의 음압을 5kHz에서 25~30dB까지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귓바퀴가 소리에서 멀어지면 동물의 청력 수준이 빠르게 떨어진다.[21] 타마왈라비는 태어날 때 이미 후각이 발달되어 있어, 신생아는 냄새를 통해 어미의 육아낭을 찾을 수 있다.[22]
타마왈라비는 324°의 주변 시야와 50°의 양안 시야를 가지고 있어 넓은 시야를 확보하지만, 눈앞의 손을 볼 수도 있다.[46] 토끼와 같은 다른 작은 포유류보다 빛의 기울기를 더 잘 구별할 수 있지만, 시력은 고양이 또는 인간만큼 좋지 않다.[19] 타마왈라비는 어느 정도의 색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눈에는 파란색과 녹색에 민감한 광수용체만 있어 색상 스펙트럼의 청록색 대역에서 색상을 볼 수 있지만, 적황색 대역의 더 긴 파장에서는 색상을 구분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색상을 볼 수 있는 대역에서 20nm 정도의 근접한 파장을 가진 두 개의 단색을 구별할 수 있다.[20]
타마왈라비는 더운 날씨에 시원함을 유지하기 위해 앞발을 핥고 헐떡거린다. 기온이 30°C를 넘으면 더 거칠게 숨을 쉬고 더 많은 수분을 잃는다. 40°C 이상의 온도에서는 생존할 수 없으며 더 시원한 환경을 찾아야 한다.[23]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소변을 덜 보고 원위 결장에서 물을 흡수하여 상대적으로 마른 배설물을 배출한다.[46] 신장에서 소변을 더 농축할 수 있어 해수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24][46]
3. 1. 신체 특징
타마왈라비는 왈라비 종 중에서 가장 작은 종 중 하나로, 머리가 작고 귀가 크며 꼬리가 길고 기저부가 두꺼운 것이 특징이다.[12] 등 부위는 짙은 회색을 띠며, 배 부위는 더 옅고, 옆구리와 사지는 적갈색을 띤다.[11] 타마왈라비는 성적 이형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수컷의 몸무게는 9.1kg에 달하는 반면 암컷은 6.9kg이다. 수컷의 몸길이는 59cm에서 68cm이고 암컷은 52cm에서 63cm이며, 암수 모두 키는 45cm이다. 꼬리 길이는 수컷이 34cm에서 45cm이고, 암컷이 33cm에서 44cm이다.[12]3. 2. 이동 방식

대부분의 캥거루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타마왈라비는 뛰어다니며 이동한다. 이 종은 일반적으로 초당 3.5번 착지하며 0.8m에서 2.4m를 뛴다.[13] 무릎과 엉덩이 관절의 근위 근육은 각 점프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며, 동물이 발을 딛고 밀어낼 때 발목 근육으로 힘이 이동한다.[14] 착지할 때 점프 에너지는 다리의 힘줄이 늘어나면서 생기는 변형 에너지로 변환된다. 다시 땅에서 뛰어오를 때 타마왈라비는 탄성 반동을 통해 이 에너지의 상당 부분을 재사용할 수 있다.[15] 움직일 때 동물의 호흡은 점프 주기와 연관되어, 점프할 때 숨을 들이쉬고 착지할 때 숨을 내쉰다. 더 빠르게 움직일수록 심박수는 점프 빈도보다 거의 두 배 더 증가한다.[13]
힘줄에 저장되는 에너지의 양은 동물의 속도와 운반하는 짐의 무게에 따라 증가한다. 이는 새끼를 낳는 어미에게 특히 도움이 되며,[16] 타마왈라비가 더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점프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17] 타마왈라비는 붉은캥거루와 같이 평평한 지형에서 이동하는 다른 캥거루과 동물과 이러한 특징을 공유한다. 이와 비교하여, 바위왈라비는 예를 들어 노랑발바위왈라비와 같이 효율적인 에너지 절약 대신 더 큰 힘줄 강도를 선택했다. 바위 절벽에 적응하여 더 높이 점프할 수 있고 힘줄이 파열될 위험을 줄여준다.[18]
3. 3. 감각
타마왈라비는 324°의 주변 시야와 50°의 양안 시야를 가지고 있어 넓은 시야를 확보하지만, 눈앞의 손을 볼 수도 있다.[46] 타마왈라비는 토끼와 같은 다른 작은 포유류보다 빛의 기울기를 더 잘 구별할 수 있다. 하지만 시력은 고양이 또는 인간만큼 좋지 않다.[19] 타마왈라비는 어느 정도의 색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눈에는 파란색과 녹색에 민감한 광수용체만 있어 색상 스펙트럼의 청록색 대역에서 색상을 볼 수 있지만, 적황색 대역의 더 긴 파장에서는 색상을 구분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색상을 볼 수 있는 대역에서 20nm 정도의 근접한 파장을 가진 두 개의 단색을 구별할 수 있다.[20]타마왈라비의 귓바퀴는 움직일 수 있어 머리를 움직이지 않고도 주변의 다양한 소리를 추적할 수 있다. 타마왈라비는 귓바퀴를 소스에 맞춰 귀고막의 음압을 5kHz에서 25~30dB까지 증가시킬 수 있다. 귓바퀴가 소스에서 멀어지면 동물의 청력 수준이 빠르게 떨어진다.[21] 타마왈라비는 태어날 때 이미 후각이 발달되어 있어, 신생아는 냄새를 통해 어미의 육아낭을 찾을 수 있다.[22]
3. 4. 체온 조절 및 수분 균형
타마왈라비는 더운 날씨에 시원함을 유지하기 위해 앞발을 핥고 헐떡거린다. 기온이 30°C를 넘으면 더 거칠게 숨을 쉬고 더 많은 수분을 잃는다. 타마왈라비는 40°C 이상의 온도에서는 생존할 수 없으며 더 시원한 환경을 찾아야 한다.[23] 탈수를 방지하기 위해 타마왈라비는 소변을 덜 보고 원위 결장에서 물을 흡수하여 상대적으로 마른 배설물을 배출한다.[46] 신장에서 소변을 더 농축할 수 있어 해수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24][46]4. 생태 및 생활사
타마왈라비는 포식자에게 잡아먹힐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무리를 짓는다. 무리의 크기가 커질수록 먹이 섭취, 털 고르기, 상호작용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경계와 이동에는 더 적은 시간을 보낸다. 또한 머리를 들고 경계하는 자세보다 옆으로 눕는 경향이 더 크다.[26]
4. 1. 서식지 및 분포
타마왈라비는 낮에는 그늘을 위해 덤불 근처에 머물고 밤에는 더 열린 초원으로 이동한다. 겨울에는 활동 영역이 약 16ha이지만, 건조한 여름에는 양질의 먹이를 찾아 더 멀리 이동하며 약 42ha의 공간이 필요하다. 타마왈라비의 활동 영역은 동종성의 활동 영역과 겹친다.[46]4. 2. 먹이
타마왈라비는 초식 동물이다. 풀을 뜯는 것과 잎을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잎을 씹을 때 흔히 떨어뜨리기 때문에 잎보다는 풀을 먹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큰 잎을 먹을 때 타마왈라비는 손가락으로 잎을 다룬다.[25] 타마왈라비는 하트잎 독(''Gastrolobium bilobum''), 소화 월러비 풀(''Austrodanthonia setacea''), 마리(''Corymbia calophylla'')와 같은 여러 식물 종을 먹는다.[11] 타마왈라비는 담수가 없는 여러 섬에서 생존하며 바닷물로 연명한다.[46]4. 3. 포식자
타마왈라비는 딩고, 들고양이, 붉은 여우, 쐐기꼬리수리 등에게 잡아먹힌다. 멸종된 주머니늑대의 먹이였을 가능성도 있다. 타마왈라비는 소리보다 시각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며,[28] 예민한 후각으로 잠재적 위협을 감지한다.[27] 포식자가 나타나면 발을 굴러 다른 개체에게 경고한다.[28] 새끼 타마왈라비가 길을 잃으면 구조 요청을 하고, 어미는 비슷한 소리로 응답한다.[29]4. 4. 번식
타마왈라비는 난혼 번식 방식을 가지며, 계절 번식을 통해 1월 말에서 2월 초 사이에 많은 새끼가 태어난다.[30][32] 번식기 동안 수컷은 암컷의 생식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노력하며, 발정 상태인 암컷과 교미하기 위해 다른 수컷들과 경쟁한다. 이때 수컷들은 우세 계층을 형성하여 번식 경쟁을 한다.[32]
암컷 타마왈라비는 출산 직후 교미가 가능하며, 배아 휴지를 통해 배반포를 거의 1년 동안 휴면 상태로 유지한다.[46][56] 동지 무렵인 12월 말부터 배반포가 발달하기 시작한다.[33][34]
4. 4. 1. 발달 과정
타마왈라비는 난혼의 번식 방식을 가지고 있다.[30] 계절 번식을 하며, 1월 말에서 2월 초 사이에 많은 새끼가 태어난다.[32] 번식기 동안 수컷의 전립선과 요도구선이 비대해지는 반면, 고환의 무게는 변동이 없다.[31] 첫 출산 약 2주 전부터 수컷은 암컷의 비뇨생식기 입구와 육아낭을 냄새 맡아 암컷의 생식 상태를 확인하기 시작한다.[32] 출산 후 암컷은 발정에 들어가 수컷과 교미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발정 상태의 암컷과 교미하려는 수컷은 다른 수컷의 공격을 받을 위험이 있다.[30] 수컷은 짝을 지킴으로써 번식에 성공할 수 있다. 발정 기간 동안 수컷들은 우세 계층을 형성하며, 서열이 높은 수컷은 하위 수컷이 발정 상태의 암컷과 교미하는 것을 막으려 할 것이다.[32] 여러 수컷이 한 암컷을 쫓아갈 수 있다.[30]암컷 타마왈라비는 출산 직후 수용적이다.[46] 타마왈라비는 배아 휴지를 겪으며, 배반포는 거의 1년 동안 휴면 상태로 유지된다.[56] 육아낭 안의 새끼는 처음 6개월 동안 배반포의 발달을 막으며, 실험 결과 이 기간 안에 새끼를 제거하면 배반포의 발달이 자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기간이 지나면, 새끼가 떠난 후에도 배반포는 휴면 상태로 유지된다. 12월 말 동지 무렵에 발달하기 시작한다.[33][34][46] 2019년 연구에 따르면, 수컷의 Y 염색체 정자가 더 많아 수컷이 더 많이 태어난다. 성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타마왈라비 어미는 수컷 새끼를 버릴 가능성이 더 높으며 더 많은 암컷이 이유기까지 살아남는다.[35]
타마왈라비의 수유 기간은 2A, 2B, 3단계로 나뉜다(임신은 1단계로 분류).
단계 | 기간 | 특징 | 젖의 성분 |
---|---|---|---|
2A | 출생 후 100~120일 | 발달이 덜 된 새끼, 중요한 장기와 내부 시스템의 빠른 성장 | 탄수화물 > 단백질, 지질 (희석된 젖) |
2B | 100일 | 간헐적으로 젖을 빪, 육아낭을 떠나지 않음 | 2A 단계와 비슷하나 단백질이 다름 |
3 | 육아낭을 떠나 식물성 물질 섭취, 계속 젖을 빪, 젖꼭지 커짐 | 단백질, 지질 > 탄수화물 (새끼에게 더 많은 에너지 제공) |
이 기간 동안 새끼는 또한 빠른 발달을 경험하고 변온에서 항온으로 전환한다.[36] 새끼는 250일이 되면 더 이상 육아낭이 필요 없으며, 300~350일이 되면 완전히 이유한다.[37] 타마왈라비는 성체가 다른 새끼를 입양하는 공동 육아에 참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38] 암컷 타마왈라비는 9개월에 성숙하여 14세까지 살 수 있으며, 수컷은 약 2세에 성숙하여 11년 동안 산다.[11]
5. 보존 상태 및 위협
타마왈라비는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되었으나, 서식지 단편화와 인간의 ഇടപെ림으로 인해 여러 위협에 직면해 있다. 유럽인들의 식민지화 이후 호주 본토와 일부 섬의 타마왈라비는 그 수가 크게 줄거나 멸종되기도 했다. 특히 19세기부터 농업 보호를 목적으로 한 사냥꾼들의 대량 살해로 인해 20세기에는 에어 반도와 애들레이드 주변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졌다.[46]
1870년 조지 그레이 경(Sir George Grey)에 의해 뉴질랜드의 카우아우 섬에 도입된 타마왈라비는,[47] 20세기 초 로토루아 지역에도 도입되어 빠르게 번식하면서 식물에 피해를 주기도 했다.[48] 이에 플루오로아세트산나트륨과 시안화물 펠릿 같은 독극물을 사용하여 개체수를 조절하기도 하였다.[49][50]
최근에는 타마왈라비를 원래 서식지에 재도입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3년 모나르토 동물원은 뉴질랜드 출신 타마왈라비 85마리를 인네스 국립공원으로 재도입하기 위해 임시 보관했고,[52] 2012년까지 개체수가 100~120마리로 증가했다.[53] 그러나 2010년 칼바리 국립공원 재도입은 성공적이지 못했다.[54]
5. 1. 개체수 변동
타마왈라비는 2016년 기준으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 의해 최소 관심종으로 분류되었으며, 특히 캥거루 섬과 서호주 섬 4곳에서 개체수가 많다. 총 성체 개체수는 최대 5만 마리이다.[1] 그러나 서식지 단편화로 인해 일부 개체군에서 근친 교배가 많아지고 신체 기형이 나타나고 있다.[44]유럽 식민지화 이후 호주 본토와 일부 섬의 타마왈라비는 크게 감소하거나 심지어 멸종되었다. 20세기 초, 서호주 본토 개체군은 남서부 전역에 걸쳐 개체수가 많았지만 북부 농업 지역에서는 감소하고 있다고 묘사되었다.[45] 밀과 양을 위한 개간으로 인해 개체수는 더욱 감소했다. 19세기부터 에어 반도와 애들레이드 주변의 타마왈라비는 농업을 보호하려는 사냥꾼 무리에 의해 대량으로 살해당했다. 그 결과 20세기에 이 두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졌다. 플린더스 섬과 세인트피터 섬의 타마왈라비도 비슷한 방식으로 멸종되었다.[46]

1870년 조지 그레이 경(Sir George Grey)에 의해 뉴질랜드의 카우아우 섬에 도입되었다.[47] 20세기 초에는 로토루아 지역에도 도입되었다.[48] 이후 이들은 번성하여 식물에 피해를 입힐 정도로 먹이를 찾아다녔다. 해충 방제업체들은 개체수 조절을 위해 플루오로아세트산나트륨을 사용했는데,[49] 이 물질은 인간을 포함하여 독에 의해 표적이 되지 않는 유기체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논란이 되었다. 시안화물 펠릿이 대안으로 사용되었다.[50]
1985년, 타마왈라비는 호트만 아브롤호스의 노스 아일랜드에 도입되었으며, 토착 식물에 유사한 영향을 미쳤다. 그들의 수는 450마리 이상으로 증가했지만, 2008년까지 도태 노력을 통해 그 수가 25마리로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51] 2003년, 모나르토 동물원은 남아프리카의 요크 반도에 있는 인네스 국립공원으로의 재도입을 기다리는 뉴질랜드 출신 타마왈라비 85마리를 임시로 보관했다.[52] 네 차례의 방사가 이루어졌고, 2012년까지 개체수는 100~120마리로 증가했다.[53] 타마왈라비는 2010년 칼바리 국립공원에 재도입되었지만, 무선 추적 깃이 부착된 개체의 대부분이 1년 이상 생존하지 못하여 프로젝트는 성공적이지 못한 것으로 여겨졌다.[54]
5. 2. 독성 저항성
다양한 타마왈라비 개체군은 플루오로아세트산나트륨에 대한 저항성 정도가 다르다.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본토의 타마왈라비가 가장 저항력이 강하며, 캥거루 섬에 서식하는 개체는 훨씬 더 취약하다.[55] 뉴질랜드의 타마왈라비 또한 취약하여, 독극물을 사용하여 개체수를 조절하기도 했다.[46] 이스트왈라비 섬과 웨스트왈라비 섬, 그리고 플루오로아세트산나트륨을 함유한 식물이 없는 가든 섬의 타마왈라비는 오스트레일리아 서부 본토의 타마왈라비보다 저항력이 약하지만, 캥거루 섬의 타마왈라비보다는 저항력이 더 강하다.[55] 이는 타마왈라비가 남호주에서 기원하여, 독극물이 식물에서 발견되는 서호주에 도달했을 때 플루오로아세트산나트륨에 대한 저항력을 발달시켰음을 시사한다.[46]6. 과학적 활용
탬마왈라비는 유대류 및 포유류 생물학 연구에 유용한 모델 생물로, 생식 생물학, 면역학, 신진대사, 신경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탬마왈라비는 척수 손상 연구를 위한 좋은 모델로 제안되기도 한다.[57] 사육이 쉽고 온순한 성격 덕분에 과학적 연구에 널리 사용된다.[56]
유대류의 유전체는 비교 유전체학 연구에 중요하며, 탬마왈라비 연구는 유대류와 포유류 유전학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했다. 2009년에는 탬마왈라비의 주요 면역 유전자가 연구되었고,[59] 2011년에는 전체 유전체가 해독되었다.[60] 유전체 해독을 통해 유대류 면역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생물 의학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62]
6. 1. 모델 동물
탬마왈라비는 유대류 및 포유류 생물학 연구를 위한 모델 생물이다. 생식 생물학, 면역학, 신진대사, 신경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특히 "계절적이고 수유에 따른 생식 조절"은 탬마왈라비의 생식을 연구에 적합하게 만든다.[56] 탬마왈라비는 비공격적이고, 수술에 적응하며, 쉽게 번식할 수 있어 사육하기 쉽다. 연구에 사용되는 탬마왈라비는 보통 충분한 물과 쉼터가 있는 야외 우리에 수용된다.[56]
유대류의 유전체는 비교 유전체학 연구에 유용하며, 탬마왈라비 연구는 유대류와 포유류 유전학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했다. 유대류는 인간과 진화적 차이가 적절하기 때문이다. 생쥐는 너무 가깝고, 조류는 유전적으로 너무 멀다.[58] 2011년, 탬마왈라비는 짧은꼬리주머니쥐에 이어 두 번째로 전체 유전체가 해독된 유대류가 되었다. 연구자들은 HOX 유전자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과 새로운 마이크로RNA를 발견했다. 젖 생산 유전자는 새로운 것으로 나타났고, 생식선 유전자는 더 보존된 것으로 나타났다.[60]
탬마왈라비의 젖에 있는 AGG01이라는 화합물은 새로운 항생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 AGG01은 페니실린보다 강력하며, 여러 병원성 세균과 곰팡이를 죽인다.[65] 유전체 분석을 통해 여러 개의 카텔리시딘 펩타이드가 발견되었으며, 이 또한 항생제로 사용될 수 있다.[66] 탬마왈라비의 전위에는 Bacillota, Bacteroidota, Pseudomonadota 문에 속하는 세균 종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메탄을 적게 생산하고 생존을 위해 이산화탄소가 필요하지 않아 환경적으로 중요하다.[67][68]
6. 2. 유전체 연구
탬마왈라비는 유대류 및 포유류 생물학 연구를 위한 모델 생물로, 생식 생물학, 면역학, 신진대사, 신경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56] 특히, "계절적이고 수유에 따른 생식 조절"은 탬마왈라비의 생식을 연구에 적합하게 만든다.[56]유대류의 유전체는 비교 유전체학 연구에 중요하며, 탬마왈라비 연구는 유대류와 포유류 유전학에 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했다. 유대류는 인간과 적절한 진화적 차이를 가지고 있어, 생쥐(너무 가깝)나 조류(너무 멈)보다 비교 연구에 유리하다.[58] 2009년에는 탬마왈라비의 주요 면역 유전자가 연구되었다.[59]
2011년, 탬마왈라비는 짧은꼬리주머니쥐에 이어 두 번째로 전체 유전체가 해독된 유대류가 되었다. 연구 결과, "생식 및 수유 유전자에서의 혁신, 생식 세포 유전자의 빠른 진화, 불완전한, 유전자 좌위 특이적 X 염색체 불활성화"가 발견되었다. 또한 HOX 유전자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고 새로운 마이크로RNA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젖 생산 유전자는 새로운 것으로, 생식선 유전자는 더 보존된 것으로 나타났다.[60] 유대류의 전체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은 유대류 면역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생물 의학 연구에 기여했다.[62]
2017년 분자 연구에서는 EGF, FOXO, CDKN1A가 포유류 배아 휴지 조절에 관여할 가능성이 제시되었다.[63] IL-10과 IL-10Δ3는 탬마왈라비에서 보존되어, 다른 진수류 포유류와 유사하게 병원체에 반응하는 면역 구성 요소를 사용함을 보여준다.[64]
탬마왈라비 젖의 AGG01 화합물은 페니실린보다 강력한 항생제 후보 물질이다. AGG01은 그람 양성 세균, 그람 음성 세균, 곰팡이를 포함한 다양한 병원성 세균을 죽인다.[65] 유전체 분석을 통해 발견된 카텔리시딘 펩타이드 역시 항생제 후보 물질이다.[66] 탬마왈라비 전위에는 Bacillota, Bacteroidota, Pseudomonadota 문에 속하는 세균 종(WG–1, TWA4 등)이 존재하며, 이들은 메탄 생산량이 적고 CO2를 필요로 하지 않아 환경적으로 중요하다.[67][68]
6. 3. 장내 미생물
탬마왈라비의 전위에는 Bacillota, Bacteroidota, Pseudomonadota 문에 속하는 세균 종이 포함되어 있다. Pseudomonadota의 WG–1과 Bacillota의 TWA4라는 새로운 종이 발견되었다. 이 박테리아는 다른 박테리아보다 메탄을 적게 생산하며 생존하기 위해 CO2가 필요하지 않다. 이는 축산에서 탄소 생산을 줄이는 데 이 정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중요한 환경적 의미를 갖는다.[67][68]참조
[1]
간행물
"''Notamacropus eugenii''"
2021-04-02
[2]
서적
Great Southern Land: The maritime exploration of Terra Australis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Heritage, Government of Australia
2007-12-21
[3]
서적
Taxonomy of Australian Mammals
CSIRO Publishing
[4]
서적
Kangaroo
https://books.google[...]
Reaktion Books
[5]
논문
Taxonomic and Phylogenetic Status of Living and Fossil Kangaroos and Wallabies of the Genus ''Macropus'' Shaw (Macropodidae: Marsupialia), with a New Subgeneric Name for the Larger Wallabies
[6]
서적
Taxonomy of Australian Mammals
CSIRO Publishing
[7]
논문
Distribution of the Tammar and relationships of populations as determined by cranial morphometrics
[8]
논문
Extensive genetic differentiation detected within a model marsupial, the tammar wallaby (''Notamacropus eugenii'')
[9]
논문
Resolving kangaroo phylogeny and overcoming retrotransposon ascertainment bias
[10]
논문
A molecular and morphometric assessment of the systematics of the ''Macropus'' complex clarifies the tempo and mode of kangaroo evolution
https://research.mon[...]
2019-03-28
[11]
웹사이트
Tammar Wallaby
http://www.dec.wa.go[...]
Western Australia Department of Environment and Conservation
2011-06-12
[12]
웹사이트
"''Macropus eugenii'' Tammar wallaby"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University of Michigan
2011-06-12
[13]
논문
Do cardiorespiratory frequencies show entrainment with hopping in the tammar wallaby?
http://jeb.biologist[...]
[14]
논문
Joint work and power associated with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in tammar wallabies (''Macropus eugenii'')
[15]
논문
In vivo muscle force and elastic energy storage during steady-speed hopping of tammar wallabies (''Macropus eugenii'')
http://jeb.biologist[...]
[16]
논문
Young wallabies get a free ride
[17]
논문
Energetic cost of locomotion in the tammar wallaby
[18]
논문
Differential design for hopping in two species of wallabies
https://www.research[...]
[19]
논문
Visual acuity, contrast sensitivity and retinal magnification in a marsupial, the tammar wallaby (''Macropus eugenii'')
[20]
논문
Dichromatic colour vision in an Australian marsupial, the tammar wallaby
[21]
논문
Biophysical Aspects of Directional Hearing in the Tammar Wallaby, ''Macropus eugenii''
http://jeb.biologist[...]
[22]
논문
The olfactory system of the tammar wallaby is developed at birth and directs the neonate to its mother's pouch odours
[23]
논문
Thermal balance of the macropodid marsupial ''Macropus eugenii'' (Desmarest)
[24]
논문
Nitrogen and electrolyte balance in the wallabies ''Thylogale thetis'' and ''Macropus eugenii'' when given saline drinking water
[25]
논문
Ingesta particle size, food handling and ingestion in the tammar wallaby (''Macropus eugenii'' Desmarest)
[26]
논문
An experimental study of behavioural group size effects in tammar wallabies, ''Macropus eugenii''
[27]
논문
Sequencing skippy: the genome sequence of an Australian kangaroo, ''Macropus eugenii''
[28]
논문
Insular tammar wallabies (''Macropus eugenii'') respond to visual but not acoustic cues from predators
[29]
논문
Mother-young relations and early behavioural development in the marsupials Macropus eugenii and Megaleia rufa
[30]
논문
Sexual behaviour of male and female tammar wallabies (''Macropus eugenii'') at post-partum oestrus
[31]
논문
Seasonal changes in the accessory reproductive system and plasma testosterone levels of the male tammar wallaby, ''Macropus eugenii'', in the wild
[32]
서적
Macropods: The Biology of Kangaroos, Wallabies and Rat-Kangaroos
CSIRO Publishing
[33]
논문
Intrauterine development after diapause in the marsupial ''Macropus eugenii''
[34]
논문
Uterine morphology during diapause and early pregnancy in the tammar wallaby (''Macropus eugenii'')
[35]
논문
Sexual conflict in action: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sex allocation in the tammar wallaby, ''Notamacropus eugenii''
[36]
논문
The tammar wallaby: A marsupial model to examine the timed delivery and role of bioactives in milk
[37]
논문
Maternal regulation of milk composition, milk production, and pouch young development during lactation in the tammar wallaby (''Macropus eugenii '')
[38]
논문
The Evolution of Alloparental Care in Mammals and Birds
[39]
논문
Investigation of ticks and red blood cell parasites of a population of reintroduced mainland tammar wallabies (''Notamacropus eugenii eugenii'')
[40]
웹사이트
Tammar Wallaby Sudden Death Syndrome (TSDS) Fact Sheet
http://www.wildlifeh[...]
Australian Wildlife Health Network
2012-02-22
[41]
논문
Epizootics of sudden death in tammar wallabies (''Macropus eugenii'') associated with an orbivirus infection
[42]
논문
Epidemic Viral Diseases in Wildlife
https://books.google[...]
[43]
서적
Medicine of Australian Mammals
CSIRO Publishing
[44]
논문
Genetic consequences of isolation: island tammar wallaby (''Macropus eugenii'') populations and the conservation of threatened species
[45]
논문
An Account of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Marsupials and Monotremes of South-West Australia, having special reference to the specimens collected during the Balston Expedition of 1904–1907
[46]
서적
Life of Marsupials
CSIRO Publishing
[47]
웹사이트
Conservation genetics – molecular detectives at work
http://www.science.o[...]
Australian Academy of Science
2012-06-02
[48]
논문
The origin of the feral dama (tammar) wallabies ''Macropus eugenii'', in the Rotorua area of New Zealand
[49]
논문
Control of Bennett's and Tammar Wallabies in New Zealand Using Compound 1080 Gel on Foliage Baits
[50]
논문
Effectiveness of cyanide pellets for control of dama wallabies (''Macropus eugenii'')
http://www.newzealan[...]
[51]
웹사이트
Wallabies – Culling
http://www.parliamen[...]
2012-01-22
[52]
웹사이트
Tamar Wallaby Reintroduction: To breed and reintroduce Tamar wallabies into their former range in Australia
http://www.waza.org/[...]
World Association of Zoos and Aquariums
2012-01-10
[53]
뉴스
'Extinct' wallaby goes back on show
http://www.abc.net.a[...]
ABC News
2012-02-14
[54]
논문
Success criteria not met, but valuable information gained: monitoring a reintroduction of the tammar wallaby
[55]
논문
Fluoroacetate Tolerance, a Genetic Marker in Some Australian Mammals
[56]
논문
The Tammar Wallaby, ''Macropus eugenii'': A Model Kangaroo for the Study of Developmental and Reproductive Biology
[57]
논문
A bipedal mammalian model for spinal cord injury research: The tammar wallaby
[58]
논문
Comparative Genomics: Kangaroo genetics leap ahead
[59]
논문
Physical mapping of immune genes in the tammar wallaby (''Macropus eugenii'')
[60]
논문
Genome sequence of an Australian kangaroo, ''Macropus eugenii'', provides insight into the evolution of mammalian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61]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immune tissues in marsupial pouch young
http://dx.doi.org/10[...]
2014-01-28
[62]
논문
Marsupial immunology bounding ahead
http://dx.doi.org/10[...]
2013
[63]
논문
Embryo arrest and reactivation: potential candidates controlling embryonic diapause in the tammar wallaby and mink
[64]
논문
Further characterisation of cytokines in macropod marsupials: IL-10 and IL-10Δ3
http://dx.doi.org/10[...]
2016-12
[65]
웹사이트
Fighting superbugs with milk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06-04-20
[66]
논문
Ancient Antimicrobial Peptides Kill Antibiotic-Resistant Pathogens: Australian Mammals Provide New Options
[67]
논문
Isolation of Succinivibrionaceae Implicated in Low Methane Emissions from Tammar Wallabies
[68]
논문
Investigation of a new acetogen isolated from an enrichment of the tammar wallaby forestomach
[69]
간행물
Macropus eugenii
[70]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