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오-클라르제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오-클라르제티는 중세 시대에 조지아의 문화 유적이 많이 위치했던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는 터키 동북부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9세기부터 11세기까지 바그라티오니 왕조가 다스린 공국으로 번성했으며, 조지아 건축의 중요한 유산인 교회, 수도원, 성 등의 건축물이 다수 존재한다. 1551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이후, 러시아 제국과 터키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터키 영토로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의 역사 - 튀르키예 독립 전쟁
튀르키예 독립 전쟁은 오스만 제국 해체 후 터키 민족주의 세력이 아타튀르크를 중심으로 앙카라 정부를 수립, 연합국과 싸워 독립을 쟁취하고 터키 공화국을 건립한 전쟁으로, 소수 민족 학살 논란도 있다. - 아르메니아의 역사 -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은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혁명 후 트란스카프카수스 민주 연방 공화국 붕괴로 독립을 선포하여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존재했으며, 다슈나크츠유티운당이 주도하여 오스만 제국과의 전쟁, 아제르바이잔과의 영토 분쟁, 소비에트 러시아의 침공 등을 겪었지만 아르메니아 독립 국가 경험과 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조지아의 역사 - 1956년 조지아 시위
1956년 조지아 시위는 흐루쇼프의 스탈린 격하 연설에 반발한 조지아인들이 스탈린 명예 회복과 흐루쇼프 퇴진을 요구하며 트빌리시를 중심으로 조지아 전역에서 벌인 시위로, 소련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많은 사상자와 체포자가 발생했으며 조지아 민족주의 부상과 독립 운동의 전환점이 되었다. - 조지아의 역사 - 장미 혁명
2003년 조지아에서 일어난 비폭력 시민 운동인 장미 혁명은 부정부패한 셰바르드나제 정권을 무너뜨리고 사카슈빌리를 대통령으로 만들었으며, 독립 언론과 NGO의 활동, 서방 국가들의 지원 감소가 영향을 미쳐 시민들의 반정부 시위로 셰바르드나제 사임과 사카슈빌리 집권, 그리고 조지아의 친서방 개혁을 이끌어냈다. - 튀르키예의 역사 - 동로마 제국
동로마 제국은 로마 제국의 동부 지역을 계승하여 330년부터 1453년까지 존속했으며, 그리스-로마 문화와 기독교를 기반으로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켰고, 중세 유럽에 큰 영향을 미쳤다. - 튀르키예의 역사 - 콘스탄티노폴리스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가 비잔티움에 건설하여 동로마 제국의 수도로서 천 년 이상 번영했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나, 현재는 이스탄불이라는 이름으로 터키의 주요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타오-클라르제티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일반 정보 | |
명칭 | 타오-클라르제티 |
로마자 표기 | Tao-Klarjeti |
조지아어 | ტაო-კლარჯეთი |
다른 표기 | ტაო–კლარჯეთი |
유형 | 역사적 지역 |
위치 | 코카서스 |
지역 | 서아시아 |
2. 역사
타오-클라르제티는 중세 시대 조지아의 중요한 문화 유적들이 많이 남아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에는 버려지거나 개조된 교회, 수도원, 다리, 성 등 중세 조지아 건축물 유적이 흩어져 있다.[1]
칸드즈타 수도원, 카훌리, 안차, 오슈키 교회, 이쉬카니, 바나, 파르할리, 돌리스카나, 오트흐타 에클레시아, 오피자, 샤트베르디, 라바티("새 라바티"-"예니 라바티"), 파레키, 트베티 수도원 등이 대표적인 유적이다.[1]
2. 1. 초기
타오-클라르제티 지역의 역사는 기원전 3000년 전 청동기 시대의 쿠라아락사스 문화로 거슬러 올라간다. 기원전 제1천년기에는 디아오키, 콜키스와 이베리아 왕국으로 분할되어 여러 조지아인 부족들이 거주했다.기원전 약 302년경, 이 지역은 파르나바즈 1세가 통치하는 이베리아 왕국에 흡수되었으나, 이후 여러 국가들에게 점령당하고 합병되었다.
이베리아와 아르메니아가 이 지역을 두고 경쟁하던 중, 7세기에 아랍의 침입으로 완전히 파괴되었다.
2. 2. 9~11세기 타오-클라르제티 공국
바그라티오니 가의 아솟 1세는 조지아의 왕자(에리스므타바리)로서 클라르제티를 아랍 점령에 대항하는 근거지로 삼았다. 813년, 아솟 1세는 비잔틴의 종주권을 인정받아 쿠로팔라테스 칭호를 얻고 조지아 공국을 세우면서 타오-클라르제티에 새로운 시대가 열렸다. 조지아 왕은 비잔틴에게 이베리아의 쿠로팔라타테(쿠로팔라티나테)로 알려졌다. 아솟 1세는 아랍의 지배로부터 타오, 코라, 아르타니와 샤브셰티를 포함한 주변 영토들을 점진적으로 해방시키기 위해 싸웠다. 그는 이 지역에 조지아인들의 재정착을 장려하고, 그리고르 칸드즈테리(칸드즈타의 그레고리우스, 759~861년)가 시작한 클라르제티의 중요한 조지아 수도자 생활을 후원했다. 이 지역은 오랫동안 문화적 은신처이자 조지아의 가장 중요한 종교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아솟 1세의 후계자들은 카르틀리 영토를 지키기 위해 계속 싸웠고, 동 조지아(에그리시)와 압하지아 왕조, 아랍의 트빌리시 토후국, 카케티(동조지아에 있던 왕국), 아르메니아 통치자들과도 경쟁했다. 그러나 공국 내의 빈번한 내분은 큰 걸림돌이었다. 다비트 1세 쿠로팔라테스(876~881년)가 암살된 후 벌어진 내전에서 아다르나세 1세(881~923년)가 승리하여 888년에 조지아의 왕으로 즉위했다. 아다르나세 1세의 아들 다비트 2세 마기스트로스(923~937) 통치 기간 동안 조지아는 비잔틴의 침략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그러나 바그라티오니 가는 타오와 카르트벨리아 왕의 칭호를 유지하는 가문, 클라르제티를 통제하는 가문, 왕의 군주권을 명목상 인정하는 가문으로 분열되어 왕국 통합에 실패했다. 카르트벨리아 왕국은 타오 왕권에 어느 정도 의존하는 여러 소군주국들을 포함했다.

958년, "검소한" 바그라트 2세 레구에니(858~994년)는 조지아 왕위에 올라 남타오를 상속받았다. 반면 다비트 3세(961~1001년)는 쿠로팔라테스 칭호를 받고 북타오를 소유지로 얻었다. 다비트 3세는 반역자 비잔틴 귀족 바르다스 스클레로스(976~979년)를 무찌르기 위해 비잔틴 황제 바실 2세와 동맹을 맺었고, 그 대가로 광대한 영토를 받아 남부 캅카스의 가장 강력한 지배자가 되었다. 그의 왕국은 반 호수를 끼고 있는 조지아와 아르메니아 공국들을 포함했다. 모든 조지아 영토를 통합하려는 강한 의지를 가진 다비트 3세는 바그라트 레구에니의 손자이자 압하지아의 예상 후계자인 바그라트 왕자(훗날 바그라트 3세)를 양자로 들였다. 다비트 3세는 그를 카르틀리 왕위에 앉히고 압하지아 왕위에 앉혔으며, 바그라트의 아버지인 검소한 바그라트가 죽자 구르겐이 두 왕국의 통치자가 되어 카르트벨리아의 왕중왕으로 즉위했다. 987~989년 비잔틴 제국과의 충돌에서 패배한 다비트 3세는 자신의 통치권을 황제 바실 2세에게 양도해야 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1008년 구르겐이 죽자 바그라트는 통일 조지아 왕국(공식적으로는 조지아와 압하지아의 왕국)의 첫 번째 통치자가 되었다.
2. 3. 후기 역사
그 지역은 조지아의 영토로 계속 남아있었고 1551년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기까지, 삼츠케-사아타바고의 왕자에 의해 관리되었다. 오스만 제국의 통치 기간 동안에, 이슬람화 정책이 시행되었고 많은 기독교 성당들이 모스크로 개조되었다. 1877~1878년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결과로 인해, 대부분의 타오-클라르제티아의 영토들은 러시아 제국에게 마지못해 양도되었다. 그러나 1918년에 러시아 공화국이 함께한 브레스트-리토프스크 조약으로 터키가 되돌려 받았다. 오스만은 제1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함으로 새로 생성된 조지아 민주 공화국이 그 지역의 통제권을 되찾도록 허용했다. 하지만 조지아 공화국은 1921년 소련군의 침공으로 얼마 못가 붕괴되었고, 동시에 터키가 다시 차지하게 되었다. 소련과 터키 정부는 1921년 3월 16일에 모스크바 조약을 통해 양도권을 승인했다.3. 건축
타오-클라르제티 지역에는 중세 조지아 건축의 여러 기념물이 남아있으며, 이들 중 다수는 폐허로 보존되어 있다. 버려지거나 개조된 교회, 수도원, 다리, 성곽 등이 이 지역에 흩어져 있다.
3. 1. 주요 건축물 목록
다음은 중세 조지아 건축의 여러 가지 기념 건축물들이다.- 카후리 수도원(터키. 하호/바그바시)
- 오스키(터키, 오스크 반크/카므리야막) 성당
- 이슈하니(터키. 이산)
- 바나(터키. 페넥)
- 파르크하리(터키. 바르할/알티파르막)
- 돌리스카나(터키, 올리샤네/하마므리코이)
- 호트크타 에크레시아(터키. 도르트키리세)
- 오피자(터키. 바그실라)
- 트베티(터키, 세비즐리)
- 칸드즈타 수도원
- 안차
- 오슈키 교회
- 바나
- 파르할리
- 오트흐타 에클레시아
- 샤트베르디
- 라바티("새 라바티"-"예니 라바티")
- 파레키




4. 타오-클라르제티의 바그라티드 통치자들
타오-클라르제티의 바그라티드 왕조는 여러 분가로 나뉘어 통치했다.
- 이베리아 바그라티드의 카르틀리-계열: 8세기 말부터 1014년까지 존속했으며, 아쇼트 1세 쿠로팔라테스부터 바그라트 3세까지 이어졌다.
- 이베리아 바그라티드의 타오-계열:
- 구르겐 1세 맘팔리 (약 870년~891년)
- 아다르나세 (891년-896년)
- 아쇼트 쿠히 (896년/908년~918년)
- 구르겐 2세 대제 (918년-941년)
- 타오의 두 번째 왕가:
- 바그라트 마기스트로스 (945년 죽음)
- 아다르나세 2세 쿠로팔라테스 (945~961년)
- 바그라트, 에리스타브트 에리스타비 (961~966년)
- 다비트 3세 쿠로팔라테스 (966~1000년)
- 이베리아 바그라티드의 클라르제티-계열: 9세기 후반부터 1012년까지 존속했으며, 숨바트 1세 맘팔리부터 구르겐까지 이어졌다.
4. 1. 이베리아 바그라티드의 카르틀리-계열
통치 기간 | 이름 |
---|---|
8세기 끝무렵/813~826년 | 아쇼트 1세 쿠로팔라테스 |
826~876년 | 바그라트 1세 쿠로팔라테스 (공동 통치자: 아다르나세 (830년~약 870년), 구아람 맘팔리 (882년 죽음)) |
876~881년 | 다비트 1세 쿠로팔라테스 |
881~923년 | 아다르나세 1세 쿠로팔라테스 (조지아의 왕: 888~923년) |
923~937년 | 다비트 2세 마기스트로스 |
937~954년 | 아쇼트 2세 쿠로팔라테스 |
954~958년 | 숨바트 1세 쿠로팔라테스 |
958~994년 | 바그라트 2세 레구에니 ("검소한") |
994~1008년 | 구르겐 (왕중왕) |
978년~1014년 | 바그라트 3세 (978년부터 압하제티의 왕, 1008년부터 연합된 조지아 왕) |
4. 2. 이베리아 바그라티드의 타오-계열
- 구르겐 1세 맘팔리 (약 870년~891년)
- 아다르나세, 에리스타브트 에리스타비 (891년-896년)
- 아쇼트 쿠히 , 에리스티브트 에리스타비 (896년/908년~918년)
- 구르겐 2세 대제 (918년-941년)
4. 3. 타오의 두 번째 왕가
- 바그라트 마기스트로스(945년 죽음)
- 아다르나세 2세 쿠로팔라테스(945~961년)
- 바그라트, 에리스타브트 에리스타비(961~966년)
- 다비트 3세 쿠로팔라테스(966~1000년)
4. 4. 이베리아 바그라티드의 클라르제티-계열
이름 | 재위 기간 |
---|---|
숨바트 1세 맘팔리 | 약 870년~889년 |
바그라트 1세 | 889~900년 |
다비트 1세 | 889~943년 |
숨바트 2세 | 943~988년 |
다비트 2세 | 988~992년/993년 |
숨바트 3세 | 992년/993~1011년 |
구르겐 | 1012년 사망 |
참조
[1]
웹사이트
Turkey's forgotten Georgian kingdom
https://www.bbc.com/[...]
2022-07-09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Georgi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5-02-06
[3]
서적
The Making of the Georgian Nation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