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원계측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원계측법은 빛의 타원 편광 현상을 이용하여 물질의 특성을 분석하는 광학 기술이다. 1888년 파울 드루데의 연구를 기원으로 하며, 빛의 반사, 투과, 흡수, 산란 시 편광 상태의 변화를 측정하여 시료의 두께, 복소 굴절률, 유전 함수 등을 파악한다. 타원계측법은 나노미터 수준의 얇은 박막의 두께와 광학 상수를 비접촉 방식으로 측정하는 데 유용하며, 단일 파장 및 분광 타원계측법, 이미징, 현장, 다공성 측정, 자기 광학 일반화 타원계측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반도체, 마이크로 전자 공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비파괴적이고 비접촉 방식이며, 광원의 강도 불안정성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는 장점을 가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이저 - 엑시머 레이저
엑시머 레이저는 비활성 기체와 할로겐 혼합물에서 전기 자극으로 생성된 엑시머 분자가 자외선을 방출하는 레이저로, 다양한 파장을 가지며 포토리소그래피, 시력 교정 수술, 피부 질환 치료, 과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레이저 - 바코드
바코드는 다양한 폭의 막대와 공백 조합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기호로, 상품 식별, 재고 관리 등에 사용되며 1차원과 2차원 바코드가 존재하고 바코드 스캐너로 판독되어 산업 효율성을 높인다. - 분광학 - 에너지 준위
에너지 준위는 양자 역학적 계에서 입자가 가질 수 있는 특정 에너지 값으로, 원자 내 전자의 양자화된 에너지 상태를 나타내며 분자에서는 전자, 진동, 회전 에너지 준위가 존재하고, 에너지 준위 간 전이는 광자의 흡수 또는 방출을 수반한다. - 분광학 - 아인슈타인 계수
아인슈타인 계수는 원자의 자발 방출(A21), 유도 방출(B21), 광자 흡수(B12) 세 가지 광-물질 상호작용을 기술하는 확률 계수로서, 원자 스펙트럼선의 형태와 세기를 결정하고 분광학, 레이저 물리학에서 활용된다. - 광학 - 광자
광자는 전자기파의 기본 입자이자 빛의 입자적 성질을 나타내는 양자이며, 전하를 띠지 않고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며 다양한 기술 분야에 응용된다. - 광학 - 굴절
굴절은 빛이 한 매질에서 다른 매질로 진행할 때 속도 변화로 인해 진행 방향이 꺾이는 현상이며, 렌즈, 프리즘, 광섬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타원계측법 | |
---|---|
개요 | |
종류 | 분석 기술 |
분야 | 분광학 |
설명 | 표면에서 반사된 빛의 편광 변화를 분석하여 박막의 두께와 광학적 성질을 측정하는 비파괴적 광학 기술 |
역사 | |
개발자 | 파울 드루데 |
개발 시기 | 1888년 |
작동 원리 | |
측정 대상 | 편광 상태 변화 |
입사광 | 알려진 편광 상태의 빛 |
분석 | 반사 후 편광 상태 분석 |
측정량 | 진폭비 (Ψ) 위상차 (Δ) |
모델링 | 측정된 Ψ와 Δ를 기반으로 모델 파라미터 (두께, 굴절률 등) 추출 |
응용 분야 | |
반도체 산업 | 박막 두께 및 굴절률 측정 식각 공정 모니터링 |
광학 코팅 | 광학 코팅의 특성 분석 및 품질 관리 |
생물학 | 단백질 흡착 연구 세포층 분석 |
재료 과학 | 박막 성장 연구 표면 개질 연구 |
화학 | 화학 반응 모니터링 |
장점 | |
비파괴적 측정 | 샘플 손상 없이 측정 가능 |
높은 감도 | 옹스트롬 수준의 두께 변화 감지 |
다양한 재료 측정 | 금속, 유전체, 유기물 등 다양한 재료 측정 가능 |
빠른 측정 속도 | 실시간 측정 가능 |
단점 | |
간접 측정 | 모델링 필요 |
복잡한 모델링 | 다층 박막의 경우 모델링 복잡 |
샘플 균질성 | 샘플이 균질해야 정확한 결과 획득 가능 |
측정 변수 | |
진폭비 (Ψ) | 반사 전후 p-편광 진폭 변화 비율 |
위상차 (Δ) | 반사 전후 p-편광과 s-편광 사이의 위상차 |
엘립소미터 종류 | |
회전 분석기 방식 | 분석기의 회전을 통해 편광 상태 측정 |
회전 보정기 방식 | 보정기의 회전을 통해 편광 상태 측정 |
위상 변조 방식 | 위상 변조 소자를 사용하여 편광 상태 측정 |
분광 방식 | 넓은 파장 범위에서 편광 특성 측정 |
데이터 분석 | |
모델 기반 분석 | 이론 모델과 측정 데이터 비교 |
커브 피팅 | 측정 데이터에 가장 적합한 모델 파라미터 찾기 |
소프트웨어 |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 소프트웨어 사용 |
추가 정보 | |
관련 기술 | 반사율 측정법 투과율 측정법 표면 플라즈몬 공명 |
응용 연구 | 태양 전지 디스플레이 바이오 센서 |
2. 역사
타원계측법이라는 이름은 빛의 타원 편광이 사용된다는 사실에서 유래되었다. "분광"이라는 용어는 얻어지는 정보가 빛의 파장 또는 에너지(스펙트럼)의 함수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이 기술은 1888년 파울 드루데의 연구에서 처음 고안되었으며, 오늘날 많은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
타원계측법은 시료에 빛을 비추었을 때 반사, 투과, 흡수, 산란되면서 나타나는 편광 상태의 변화를 측정한다. 측정된 편광 변화는 진폭비(Ψ)와 위상차(Δ)로 정량화되며, 이는 시료의 두께, 복소 굴절률, 유전 함수 등에 따라 결정된다.[3] 빛의 파장보다 얇은 층, 심지어 단일 원자층까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3] 대부분의 모델은 시료가 광학적으로 균질하고 등방성인 소수의 개별적이고 잘 정의된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비균질 매질이나 거친 시료 표면의 경우, 침지 또는 다각 타원계측법을 적용하거나, 별도의 모델을 통해 분석해야 한다.[4]
타원계측법은 측정값을 통해 시료의 광학 상수를 바로 알 수 없는 간접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보통 모델 분석을 해야 한다. 모델 분석에는 에너지 전이에 기반한 물리적 모델이나 단순한 자유 매개변수를 사용한다.[5]
"타원계측법"이라는 용어는 1945년에 처음 사용되었다.[11]
3. 기본 원리
4. 측정 방법
등방성이고 균질하며 매우 두꺼운 막은 예외적으로 와 값을 직접 변환할 수 있다. 하지만 그 외에는 층 모델을 구축해야 한다. 층 모델은 시료 모든 층의 정확한 순서, 굴절률 또는 유전 함수 텐서 같은 광학 상수, 두께 변수 등을 고려한다. 미지 광학 상수나 두께 변수는 반복해 바꾸고, 프레넬 방정식으로 와 값을 계산한다. 실험 데이터와 가장 일치하는 계산 값으로 시료의 광학 상수와 두께 매개변수를 얻는다.[5]
이처럼 편광된 빛이 시료에서 반사될 때 생기는 편광 상태 변화를 분석해 시료의 광학 정수를 결정한다.[12]
4. 1. 타원계 (Ellipsometer)
타원계는 시료에서 반사된 빛의 편광 상태를 검출하는 반사형 타원계와 시료를 투과한 빛의 편광 상태를 검출하는 투과형 타원계로 나뉜다. 일반적인 박막 분석에는 반사형 타원계가 주로 사용된다.[5]
가장 기본적인 '''PSA 타원계'''는 광원에서 나온 전자기파가 선형 편광자(polarizer)를 통과한 후 시료(sample)에 부딪히면, 그 반사된 빛을 또 다른 편광자(검광자, analyzer)에서 검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PCSA 타원계'''는 광원과 시료 사이에 보정기(compensator)를 추가한 형태이며, '''PSCA 타원계'''는 시료와 검광자 사이에 보정기를 추가한 형태이다.
일부 타원계는 보정기 대신 위상 변조기(phase modulator)를 사용한다. 위상 변조 방식은 매우 정확하고 기계적인 지터(Jitter)를 제거하여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얇은 다층 박막 분석에 널리 응용된다.[12]
4. 2. 결과 분석
타원계측법은 간접적인 방법이므로, 일반적으로 측정된 와 값을 시료의 광학 상수로 직접 변환할 수 없다. 보통 Forouhi Bloomer 모델과 같은 모델 분석을 수행해야 한다. 모델은 에너지 전이에 기반한 물리적 모델이거나 데이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되는 단순한 자유 매개변수일 수 있다.[5]
등방성이고 균질하며 무한히 두꺼운 막의 매우 간단한 경우에만 와 의 직접적인 역변환이 가능하다. 그 외의 경우에는 층 모델을 구축해야 하는데, 여기에는 정확한 층 순서와 더불어 시료의 모든 개별 층의 광학 상수(굴절률 또는 유전 함수 텐서)와 두께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미지의 광학 상수 및/또는 두께 변수는 반복 절차(최소 제곱 최소화)를 통해 변경되며, 프레넬 방정식을 사용하여 와 값을 계산한다. 실험 데이터와 가장 잘 일치하는 계산된 와 값은 시료의 광학 상수와 두께 매개변수를 제공한다.[5]
편광된 빛이 시료에서 반사될 때 생기는 편광 상태의 변화를 바탕으로 해당 시료의 광학 정수를 결정한다.[12]
5. 타원계의 종류
타원계는 측정에 사용되는 빛의 종류 및 구성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단일 파장 타원계단색광 광원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주로 가시광선 영역의 레이저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632.8nm 파장을 갖는 HeNe 레이저가 사용된다. 레이저를 사용하기 때문에 레이저 타원계측법이라고도 불린다. 레이저 빔은 작은 지점에 집중시킬 수 있고, 광대역 광원보다 출력이 높다는 장점이 있어 이미징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측정 결과로 하나의 Ψ 및 Δ 값만 얻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표준 타원계 vs. 일반화된 타원계표준 타원계측법은 ''s'' 편광된 빛이 ''p'' 편광된 빛으로 변환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가 없을 때 적용된다. 이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시료(예: 비정질 물질, 입방정계 구조의 결정질 물질)나 광축이 표면 수직선과 평행하게 정렬된 광학적 일축성 시료에 해당한다. 그 외의 경우, 즉 ''s'' 편광된 빛이 ''p'' 편광된 빛으로 변환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는 일반화된 타원계측법을 사용해야 한다.
존스 행렬 vs. 뮬러 행렬 형식존스 행렬과 뮬러 행렬 형식은 타원계측기 내에서 전자기파와 시료의 상호작용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두 가지 방법이다. 존스 행렬 형식에서는 전자기파를 두 개의 직교 복소수 값 항목(와 )을 갖는 존스 벡터로 설명하고, 광학 요소의 영향은 복소수 값 2×2 존스 행렬로 설명한다. 뮬러 행렬 형식에서는 전자기파를 4개의 실수 값 항목을 가진 스토크스 벡터로 설명하며, 변환은 실수 값 4x4 뮬러 행렬로 설명한다.
편광 소멸이 없는 시료는 존스 행렬 형식을 사용하면 충분하지만, 시료가 편광 소멸을 일으키는 경우에는 뮬러 행렬 형식을 사용해야 한다. 편광 소멸은 두께 불균일성이나 투명 기판의 뒷면 반사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5. 1. 단일 파장 타원계
단일 파장 타원계측법은 단색광 광원을 사용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시광선 영역의 레이저로, 예를 들어 632.8nm 파장을 갖는 HeNe 레이저가 사용된다. 따라서 단일 파장 타원계측법은 레이저 타원계측법이라고도 한다. 레이저 타원계측법의 장점은 레이저 빔을 작은 지점에 집속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레이저는 광대역 광원보다 더 높은 출력을 갖는다. 따라서 레이저 타원계측법은 이미징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실험적 출력은 측정당 하나의 Ψ 및 Δ 값으로 제한된다.5. 2. 표준 타원계 vs. 일반화된 타원계
표준 타원계측법(또는 간단히 '타원계측법')은 ''s'' 편광된 빛이 ''p'' 편광된 빛으로 변환되지 않거나 그 반대의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시료, 예를 들어 비정질 물질이나 입방정계 구조의 결정질 물질에 해당한다. 표준 타원계측법은 광축이 표면 수직선과 평행하게 정렬된 특수한 경우의 광학적 일축성 시료에도 충분하다. 그 외의 모든 경우, 즉 ''s'' 편광된 빛이 ''p'' 편광된 빛으로 변환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 일반화된 타원계측법 접근 방식을 적용해야 한다. 예로는 임의로 정렬된 광학적 일축성 시료 또는 광학적 이축성 시료가 있다.5. 3. 존스 행렬 vs. 뮬러 행렬 형식
존스 행렬과 뮬러 행렬 형식은 타원계측기 내에서 전자기파와 시료의 상호작용을 수학적으로 설명하는 두 가지 방법이다. 존스 행렬 형식에서 전자기파는 전계에 대한 두 개의 직교 복소수 값 항목(와 )을 갖는 존스 벡터로 설명되며, 광학 요소(또는 시료)의 영향은 복소수 값 2×2 존스 행렬로 설명된다. 뮬러 행렬 형식에서 전자기파는 4개의 실수 값 항목을 가진 스토크스 벡터로 설명되며, 해당 변환은 실수 값 4x4 뮬러 행렬로 설명된다.편광 소멸이 없는 시료의 경우, 더 간단한 존스 행렬 형식이 충분하다. 그러나 시료가 편광 소멸을 일으키는 경우, 편광 소멸의 양도 제공하는 뮬러 행렬 형식을 사용해야 한다. 편광 소멸의 원인으로는 두께 불균일성 또는 투명 기판의 뒷면 반사 등이 있다.
6. 고급 실험 방법
이미징 타원계측법은 CCD 카메라를 검출기로 사용하여 시료의 실시간 대비 이미지를 얻는 방법으로, 막 두께와 굴절률 정보를 제공한다.[6] 이 기술은 널 타원계측법과 실시간 타원계측 대비 이미징 원리를 결합한 것이다. 널링(nulling)은 분석기와 편광자를 조정하여 기판 반사광을 소멸시켜 막 두께 데이터를 얻는 방식이다. 굴절률 차이로 샘플이 선명하게 보이며, 광원은 보통 532nm 녹색 레이저를 사용한다.[6]
일반적인 이미징 타원계측기는 레이저(L) 빛이 선형 편광자(P)를 통과한 후, 4분의 1 파장 보상기(C)를 거쳐 타원 편광된 빛으로 변환된다.[7] 이 빛은 샘플(S)에서 반사된 후 분석기(A)를 통과하여 CCD 카메라에 이미징된다. 분석기(A)는 편광 변화를 정량화한다. 이 구성을 LPCSA 구성이라고 한다.
P와 C 각도는 샘플 반사광이 완전히 선형 편광되도록 조정되며, 보상기는 계산 단순화를 위해 입사면에 대해 45도 각도로 고정된다.[7] 널 조건은 분석기(A)가 반사광 편광 축에 수직일 때(CCD 카메라에서 광속 최소) 얻어진다. 이때 P, C, A 각도로 재료의 Ψ 및 Δ 값을 결정한다.[7]
: 및
(여기서 ''A''와 ''P''는 널 조건에서 분석기와 편광자의 각도)
이미지 빛 세기 변화를 측정하고, 컴퓨터 광학 모델링으로 데이터를 분석하면 공간 분해된 막 두께 및 복소 굴절률 값을 얻는다. 이미징은 각도로 수행되므로 시야 일부만 초점이 맞춰지며, 초점을 이동시켜 전체 영역을 분석하고 사진들을 결합하여 단일 초점 이미지를 만든다.
현장(in situ) 타원계측법은 시료 변화 과정을 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얇은 막 성장,[8] 액체 계면 인산칼슘 광물화,[9] 시료 에칭/세척 연구에 쓰인다. 성장/에칭 속도, 광학 특성 시간 변화 등 공정 매개변수를 파악한다. 측정 환경이 까다로워 광학 요소 배치, 고온 영역 분리 등 고려가 필요하다. 단일/분광형으로 나뉘며, 분광형은 다중 채널 검출기로 넓은 스펙트럼 범위의 타원계측 매개변수를 동시 측정한다.
타원계측 다공성 측정법(Ellipsometric Porosimetry)은 휘발성 물질 흡착/탈착 과정에서 재료 광학 특성/두께 변화를 측정한다.[10] 10nm까지 얇은 박막 다공성 측정이 가능하며, 재현성이 좋고 빠르다. 저-κ 재료, OLED, 졸겔 코팅 등에 활용된다.
자기 광학 일반화 타원계측법(MOGE)은 전도성 샘플의 자유 전하 운반자 특성 연구용 적외선 분광 타원계측법이다. 외부 자기장으로 밀도, 광학적 이동도, 유효 질량 등 자유 전하 운반자 매개변수를 독립 결정한다. 자기장 없이는 세 변수 중 두 가지만 독립 추출된다.
6. 1. 이미징 타원계측법 (Imaging Ellipsometry)
이미징 타원계측법은 검출기로 CCD 카메라를 사용하여 샘플의 실시간 대비 이미지를 제공하며, 이는 막 두께 및 굴절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고급 이미징 타원계측 기술은 고전적인 널 타원계측법과 실시간 타원계측 대비 이미징의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이미징 타원계측법은 널링(nulling)의 개념에 기반한다. 타원계측법에서 조사 대상인 막은 반사 기판 위에 놓인다. 막과 기판은 서로 다른 굴절률을 가지므로, 막 두께에 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기판에서 반사되는 빛을 소멸시켜야 한다. 널링은 분석기 및 편광자를 조정하여 기판에서 반사되는 모든 빛이 소멸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굴절률의 차이로 인해 샘플은 매우 밝고 선명하게 보이게 된다. 광원은 원하는 파장의 단색 레이저로 구성된다.[6]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장은 532nm 녹색 레이저 광이다. 빛의 세기 측정만 필요하므로, 거의 모든 유형의 카메라를 CCD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부품으로 타원계측기를 조립할 때 유용하다.일반적으로 이미징 타원계측기는 레이저(L)가 빛의 빔을 발사하여 선형 편광자(P)를 즉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선형 편광된 빛은 그 다음 4분의 1 파장 보상기(C)를 통과하여 빛을 타원 편광된 빛으로 변환한다.[7] 이 타원 편광된 빛은 샘플(S)에서 반사된 다음, 분석기(A)를 통과하고 긴 작동 거리 대물렌즈에 의해 CCD 카메라에 이미징된다. 여기서 분석기는 P와 동일한 또 다른 편광자이지만, 이 편광자는 편광의 변화를 정량화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분석기라는 이름이 붙는다. 이 설계는 일반적으로 LPCSA 구성이라고 한다.
P와 C 각도의 방향은 타원 편광된 빛이 샘플에서 반사된 후 완전히 선형 편광되도록 선택된다. 향후 계산을 단순화하기 위해, 보상기는 레이저 빔의 입사면에 대해 45도 각도로 고정할 수 있다.[7] 이 설정은 널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분석기와 편광자의 회전을 필요로 한다. 타원계측 널 조건은 A가 반사된 빛의 편광 축에 수직이 되어 완전한 파괴적 간섭을 달성할 때, 즉 CCD 카메라에서 광속의 절대 최소값이 감지되는 상태에서 얻어진다. 얻어진 P, C 및 A의 각도는 재료의 Ψ 및 Δ 값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7]
: 및
여기서 ''A''와 ''P''는 널 조건에서 각각 분석기 및 편광자의 각도이다. 분석기와 편광자를 회전시키고 이미지에서 빛의 세기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컴퓨터 광학 모델링을 사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면 공간적으로 분해된 막 두께 및 복소 굴절률 값을 추론할 수 있다.
이미징이 각도로 수행되기 때문에 전체 시야의 작은 선만 실제로 초점이 맞춰진다. 초점이 맞춰진 선은 초점을 조정하여 시야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전체 관심 영역을 분석하기 위해, 초점을 관심 영역을 따라 점진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각 위치에서 사진을 찍어야 한다. 그런 다음 모든 이미지를 샘플의 단일 초점 이미지로 컴파일한다.
6. 2. 현장 타원계측법 (In situ Ellipsometry)
현장(in situ) 타원계측법은 시료의 수정 과정 동안의 동적 측정을 의미한다. 이 과정은 예를 들어, 얇은 막의 성장,[8] 공기-액체 계면에서의 인산칼슘 광물화,[9] 시료의 에칭 또는 세척 등을 연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현장 타원계측법 측정을 통해 성장 또는 에칭 속도, 광학적 특성의 시간 변화와 같은 기본적인 공정 매개변수를 결정할 수 있다. 현장 타원계측법 측정에는 몇 가지 추가적인 고려 사항이 필요하다. 시료 지점은 일반적으로 공정 챔버 외부의 외부 측정보다 접근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기계적 설정을 조정해야 하며, 여기에는 광선을 재지향하거나 초점을 맞추기 위한 추가적인 광학 요소(거울, 프리즘 또는 렌즈)가 포함될 수 있다. 공정 중의 환경 조건이 가혹할 수 있으므로, 타원계측법 설정의 민감한 광학 요소는 고온 영역과 분리되어야 한다. 가장 간단한 경우, 이것은 광학 시창을 통해 수행되지만, (유리) 창의 변형으로 인한 복굴절을 고려하거나 최소화해야 한다. 또한, 시료는 높은 온도에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실온의 시료와 비교하여 다른 광학적 특성을 의미한다. 이러한 모든 문제에도 불구하고, 현장 타원계측법은 얇은 막 증착 및 수정 도구에 대한 공정 제어 기술로서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현장 타원계측기는 단일 파장 또는 분광형일 수 있다. 분광형 현장 타원계측기는 CCD 검출기와 같은 다중 채널 검출기를 사용하여, 연구된 스펙트럼 범위의 모든 파장에 대한 타원계측 매개변수를 동시에 측정한다.6. 3. 타원계측 다공성 측정법 (Ellipsometric Porosimetry)
타원계측 다공성 측정법은 응용 분야에 따라 대기압 또는 저압에서 휘발성 물질의 흡착 및 탈착 동안 재료의 광학적 특성 및 두께 변화를 측정한다.[10] EP 기술은 10 nm까지 얇은 박막의 다공성을 측정하고, 재현성이 뛰어나며, 측정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기존 다공성 측정기와 비교하여 타원계측 다공성 측정기는 매우 얇은 박막의 기공 크기 및 기공 크기 분포를 측정하는 데 적합하다. 필름 다공성은 저-κ 재료를 사용하는 실리콘 기반 기술, 유기 산업(캡슐화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 및 졸겔 기술을 사용하는 코팅 산업에서 핵심적인 요소이다.6. 4. 자기 광학 일반화 타원계측법 (Magneto-optic Generalized Ellipsometry, MOGE)
자기 광학 일반화 타원계측법(MOGE)은 전도성 샘플의 자유 전하 운반자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첨단 적외선 분광 타원계측법 기술이다. 외부 자기장을 가하면 밀도, 광학적 이동도 매개변수, 유효 질량 매개변수를 자유 전하 운반자로부터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자기장이 없으면 세 가지 자유 전하 운반자 매개변수 중 두 가지만 독립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7. 응용 분야
이 기술은 반도체 물리학에서 마이크로 전자 공학, 생물학에 이르기까지 기초 연구에서 산업 응용 분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타원 계측법은 매우 민감한 측정 기술이며 얇은 박막 계측에 탁월한 기능을 제공한다. 광학 기술로서 분광 타원 계측법은 비파괴적이고 비접촉 방식이다. 입사 방사선을 집속할 수 있으므로 작은 샘플 크기를 이미징하고 원하는 특성을 더 넓은 영역(1m2)에 걸쳐 매핑할 수 있다.
8. 장점
- 빛의 세기가 아닌 세기 비율을 측정하므로 빛의 세기 불안정에 의한 영향이 적다.
- 크라머스-크로니히 변환식을 사용하지 않고 복소 굴절률의 실수부인 굴절률과 허수부인 소광계수를 동시에 간단히 구할 수 있다.
- 편광의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측정하므로, 박막이나 표면층에 매우 예민하여 원자홀층(atomic monolayer)은 물론 원자부분층(atomic partial coverage)까지 분석이 가능하다.[3]
- 기준 측정이 필요 없다.
- 이방성 시료를 연구할 때 반사율 측정보다 특히 우수하다.[12]
- 측정에 사용되는 빛은 매질에 따른 제약을 거의 받지 않는다. 다른 표면분석 장비들과 달리 고진공이 필요 없을 뿐 아니라 고밀도 플라즈마나 액체매질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 광학적 측정이므로 측정 과정을 통해 시료에 영향을 주지도 않는다.
9. 기타
검출기로는 PM 튜브, 포토다이오드 등이 사용된다. 편광을 설정하거나 분석하기 위해 편광자를 사용한다. 편광 변조기를 사용하여 주기적인 편광 변화를 주는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1]
참조
[1]
논문
Ueber die Gesetze der Reflexion und Brechung des Lichtes an der Grenze absorbirender Krystalle
1887
[2]
학술지
The Ellipsometer, an Apparatus to Measure Thicknesses of Thin Surface Films
1945
[3]
서적
Handbook of Ellipsometry
https://books.google[...]
William Andrew
2005-01-06
[4]
학술지
Ellipsometry method application in optics of inhomogeneous media.
http://ntv.ifmo.ru/e[...]
[5]
서적
Measurement of Adsorption Isotherms
Wiley-VCH
2006
[6]
서적
Handbook of Ellipsometry
https://archive.org/[...]
[7]
서적
Handbook of Ellipsometry
https://archive.org/[...]
[8]
간행물
Real time spectroscopic ellipsometry for analysis and control of thin film polycrystalline semiconductor deposition in photovoltaics
[9]
간행물
Morphological, chemical and kinetic characterisation of zein protein-induced biomimetic calcium phosphate films
[10]
웹사이트
Semilab | Products
https://semilab.com/[...]
[11]
논문
Ueber die Gesetze der Reflexion und Brechung des Lichtes an der Grenze absorbirender Krystalle.
1887
[12]
학술지
偏光解析法の基礎と応用
https://doi.org/10.1[...]
日本表面科学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