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중피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탄중피낭은 인도네시아 리아우 제도 주에 위치한 도시로, 빈탄섬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주청 소재지이다. 500년 전 말레이인들이 포르투갈과의 전쟁에서 패하여 무역항으로 발전하였으며, 말레이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행정적으로는 4개의 구로 나뉘며, 열대 우림 기후를 보인다. 주요 종교는 이슬람교이며, 페녕갓섬과 라자 하지 피사빌릴라 기념비 등 문화 유적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주도 - 암본
암본은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 위치한 도시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950년 남몰루카 공화국 독립 운동의 중심지였고, 1999년 종교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공존하며 서비스업, 무역업, 농업, 어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 인도네시아의 주도 - 메단
메단은 인도네시아 북수마트라 주에 위치한 도시로, 1590년대에 작은 마을로 시작해 델리강과 바부라강의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성장하여,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 담배 플랜테이션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현재는 다양한 경제 활동과 관광 자원을 통해 성장하고 있다. - 인도네시아의 도시 - 데폭
데폭은 인도네시아 서자와주에 위치하며 자카르타 수도권의 일부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장교의 사유지에서 기원하여 자치시가 되었고, 발달한 대중교통망과 여러 대학을 보유한 교육 도시이자 다양한 쇼핑 및 여가 시설을 갖춘 곳이다. - 인도네시아의 도시 - 암본
암본은 인도네시아 몰루카 제도에 위치한 도시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았으며 1950년 남몰루카 공화국 독립 운동의 중심지였고, 1999년 종교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현재는 기독교와 이슬람교가 공존하며 서비스업, 무역업, 농업, 어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탄중피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 | |
공식 명칭 | 탄중피낭 시 |
지방어 | 코타 탄중피낭 |
별칭 | "구린다므 시" (구린다므: 전통 시의 한 종류) |
표어 | 정직한 언행, 현명한 행동 |
로마자 표기 | Tanjungpinang |
중국어 표기 | 丹戎檳榔/廖都 |
행정 | |
국가 | 인도네시아 |
지역 | 수마트라 |
주 | 리아우 제도 |
시장 권한대행 | 하산 |
부시장 | (정보 없음) |
역사 | |
정착 | 3세기 초 |
설립 | 1784년 1월 6일 |
시 승격 | 2001년 6월 21일 |
면적 | |
총 면적 | 812.7 km² |
육지 면적 | 144.56 km² |
해발 고도 | 18 m |
인구 | |
총 인구 (2023년 추정) | 234840 명 |
기타 정보 | |
시간대 | 인도네시아 서부 표준시 (UTC+7) |
우편 번호 | (정보 없음) |
지역 번호 | (+62) 771 |
웹사이트 | 탄중피낭 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포르투갈과의 식민 전쟁에서 패한 말레이인들이 말레카에서 비탄섬으로 도망쳐 세운 도시가 탄중피낭이다. 이후 무역항이 되어 유럽, 인도, 중국의 무역상들이 모였으며, 수많은 중국인들이 이주하였다. 탄중피낭은 말레이 문화의 선두에서 말레카 지역보다 300여 년 앞서 발전했다.[1]
탄중피낭(Tanjungpinang)이라는 이름은 바다로 돌출된 해변의 견과류 나무에서 유래했다. 이 나무는 빈탄강으로 가는 항해사들의 길잡이 역할을 했으며, 탄중피낭 강은 빈탄의 입구이자 현재 부킷바투(Bukit Batu) 지구에 위치한 빈탄 왕국의 근거지였다.
말라카 왕국이 포르투갈에 함락된 후, 술탄 마흐무드가 빈탄으로 망명하여 500년 동안 이 섬은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다.[1] 탄중피낭은 빈탄섬에서 가장 큰 도시이자 행정 중심지이며, 인도네시아 리아우 제도 주의 주도이다.
빈탄은 말레이시아 남부 조호르 왕국의 수도였으며, 말레이인의 지도적 역할을 해왔다. 300년 전 말라카 왕국처럼, 빈탄은 무역항으로서 현지인, 유럽인, 인도인, 화교를 끌어들였다.[1]
인도네시아의 국민 영웅 라자 하지 피사빌릴라(Raja Haji Fisabilillah)는 1784년 네덜란드와의 전투 중 사망했다. 그는 탄중피낭 앞바다 페니야갓 섬에 왕궁을 소유한 왕이었다.[1]
2. 1. 초기 역사
말레이 연대기에 따르면, 팔렘방 함락으로부터 도망친 세리 테리 부아나라는 스리비자야 왕자는 몇 년 동안 빈탄에 머물면서 세력을 키운 후 싱가푸라 왕국(싱가포르)을 건국하였다. 그러나 한 세기 후, 싱가푸라 왕국 또한 경쟁 세력에 의해 함락되었고, 그 왕은 말라카에 새로운 도시를 건설하였다. 말라카 왕국(1400–1511)은 이 지역의 강대국 중 하나가 되었으며, 그 영토에는 리아우 제도도 포함되었다. 1511년 말라카는 포르투갈에 점령되었고, 망명한 술탄 마무드 샤는 빈탄에 수도를 세우고 포르투갈에 대한 공격과 봉쇄를 조직하였다. 1526년, 말레이 군대를 진압하려는 여러 번의 시도 끝에 포르투갈은 빈탄을 초토화시켰다.[1]말라카 왕국이 포르투갈에 함락된 후, 술탄 마흐무드가 빈탄으로 망명하여 포르투갈에 대항하는 기지로 삼은 이후 500년 동안 이 섬은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했다.[1]
500년 전, 말레이인들이 포르투갈식민 전쟁에서 패하여 말레카에서 비탄섬으로 도망하여, 포르투갈에 대항하여 세운 도시가 탄중피낭이다. 이후 무역항구가 되어 유럽, 인도, 중국의 무역상들이 모이는 곳이 되었으며, 수 많은 중국인들이 이 곳으로 이민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탄중피낭은 역사적으로 말레이 문화의 선두에 서 말레카 지역에서 3백여 년이나 앞서 발전하게 되었다.[1]
탄중피낭의 역사는 3세기 초, 인도-중국 무역로의 무역항으로 번영했던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수마트라를 중심으로 중국과의 무역을 장려했던 스리비자야 제국은 7세기부터 13세기까지 말레이 제도 대부분을 지배하게 되었다. 이 제국은 이 지역의 해적들의 등장과 함께 쇠퇴하였고, 12세기에는 빈탄섬이 중국인들에게 "해적섬"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
2. 2. 말라카 왕국과 조호르 왕국
말라카에서 포르투갈과의 식민 전쟁에서 패한 말레이인들이 빈탄섬으로 도망쳐 세운 도시가 탄중피낭이다. 이후 무역항이 되어 유럽, 인도, 중국의 무역상들이 모여들었고, 수많은 중국인들이 이주하였다. 탄중피낭은 말레이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며 말라카보다 300여 년 앞서 발전했다.말레이 연대기에 따르면, 팔렘방 함락 후 세리 테리 부아나는 빈탄에 머물며 세력을 키운 후 싱가푸라 왕국을 건국하였다. 싱가푸라 왕국은 경쟁 세력에 의해 함락되었고, 그 왕은 말라카 왕국(1400–1511)을 건설하였다. 말라카 왕국은 리아우 제도를 포함한 이 지역의 강대국이 되었다. 1511년 말라카는 포르투갈에 점령되었고, 술탄 마무드 샤는 빈탄에 수도를 세우고 포르투갈에 대한 공격과 봉쇄를 조직하였다. 1526년, 포르투갈은 빈탄을 초토화시켰다.[1]
알라우딘 리야앗 샤 2세는 마무드 샤의 아들로, 1528년 조호르 왕국을 건설했다. 빈탄섬을 포함한 전 말라카 영토가 조호르의 영향 아래 들어왔다. 1722년 잠비 왕국과의 전쟁 위협으로 수도는 리아우로 옮겨졌고, 리아우는 무역과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1]
1784년 1월 6일, 네덜란드 함대의 리아우 포위 공격은 말레이와 부기스 연합군의 저항으로 격퇴되었다. 말레이군은 네덜란드를 계속 괴롭혔지만, 패배와 왕위 계승 위기로 권력이 약화되었다. 1788년 수도는 리아우에서 링가로 옮겨졌다. 조호르 왕국은 조호르-리아우-링가 제국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
영국은 1795년 네덜란드로부터 말라카를 장악했다. 182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에 따라 조호르-리아우는 분할되었고, 해협 남쪽 지역은 네덜란드의 리아우-링가 왕국이 되었다.[1]
말라카 왕국이 포르투갈에 함락된 후, 술탄 마흐무드가 빈탄으로 망명하여 500년 동안 이 섬은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담당했다.[1] 빈탄은 말레이시아 남부 조호르 왕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 이 도시는 항상 말레이인의 지도적 역할을 했으며, 300년 전 말라카 왕국처럼 무역항으로서 현지인, 유럽인, 인도인, 화교를 끌어들였다.[1]
인도네시아의 국민 영웅 라자 하지 피사빌릴라는 1784년 네덜란드와의 전투 중 사망했다. 그는 탄중피낭 앞바다의 페니야갓 섬에 왕궁을 소유했던 왕이었다.[1]
2. 3. 네덜란드와의 갈등과 식민지 시대
포르투갈과의 전쟁에서 패한 말레이인들이 말레카에서 빈탄섬으로 도망쳐 세운 도시인 탄중피낭은, 이후 무역항으로 발전하여 유럽, 인도, 중국 상인들이 모여들었고, 많은 중국인들이 이주해왔다. 이러한 배경으로 탄중피낭은 말레이 문화의 중심지로서 말레카 지역보다 300여 년 앞서 발전했다.[1] 3세기 초부터 인도-중국 무역로의 무역항으로 번영했던 탄중피낭은, 7세기부터 13세기까지 스리비자야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스리비자야 제국 쇠퇴 이후, 12세기에는 빈탄섬이 중국인들에게 "해적섬"으로 불리기도 했다.[2]말레이 연대기에 따르면, 팔렘방 함락 후 도망친 스리비자야 왕자 세리 테리 부아나는 빈탄에 머물며 세력을 키운 후 싱가푸라 왕국을 건국했다. 그러나 싱가푸라 왕국은 1세기 후 경쟁 세력에 의해 함락되었고, 왕은 말라카 왕국을 건설했다. 말라카 왕국(1400–1511)은 리아우 제도를 포함한 지역의 강대국이 되었으나, 1511년 포르투갈에 점령되었다. 망명한 술탄 마무드 샤는 빈탄에 수도를 세우고 포르투갈에 대한 공격과 봉쇄를 조직했으나, 1526년 포르투갈은 빈탄을 초토화시켰다.[3]
마무드 샤의 아들 알라우딘 리야앗 샤 2세는 1528년 조호르 왕국을 건설했다. 조호르 왕국은 반다르 리아우와 같은 중요 무역항을 포함한 빈탄섬을 빠르게 영향권 아래 두었다. 1722년 잠비 왕국과의 전쟁 위협으로 수도는 리아우로 옮겨졌고, 리아우는 무역과 이슬람 학문의 중심지가 되었다.[4]
포르투갈로부터 말라카를 빼앗은 네덜란드와의 갈등은 1784년 1월 6일, 네덜란드 함대의 리아우 포위 공격으로 절정에 달했다. 말레이와 부기스 연합군은 네덜란드의 기함 "말라카스 발 파렌"(Malaka's Wal Faren)을 침몰시키며 저항했다. 말레이군은 네덜란드를 계속 괴롭히고 말라카를 봉쇄했지만, 패배와 왕위 계승 위기로 권력을 잃었고, 1788년 수도는 리아우에서 링가로 옮겨졌다. 이로 인해 조호르 왕국은 조호르-리아우-링가 제국이라고 불리기도 한다.[5]
영국은 1795년 네덜란드로부터 말라카를 장악했다. 말라카 해협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과정에서, 두 강대국은 왕위 계승 위기(1812~1818) 동안 각각 다른 후보를 조호르-리아우의 술탄으로 옹립했다. 이는 1824년 영국-네덜란드 조약에 따라 조호르-리아우를 분할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해협 남쪽 지역은 네덜란드의 통치 아래 리아우-링가 왕국이 되었다.[6]

1911년 2월 11일, 네덜란드는 술탄이 식민 지배자에게 반항하자 술탄을 축출하고 공식적으로 술탄국을 병합하여 네덜란드 동인도의 리아우 레지덴시로서 탄중피낭에서 관리하였다. 탄중피낭에는 군사 기지도 건설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군은 탄중피낭을 리아우 제도의 중심지로 삼았다. 일본의 항복 후 네덜란드의 통치가 회복되었고, 네덜란드는 1950년 공식적으로 철수하였다. 리아우는 "다에라-다에라 풀리한(daerah-daerah pulihan)"(회복된 지역)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에 편입된 마지막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 탄중피낭은 1960년 수도가 페칸바루로 이전될 때까지 잠시 리아우 주의 수도가 되었다.[8]
2. 4. 독립 이후
1911년 2월 11일, 네덜란드는 술탄이 식민 지배에 저항하자 술탄을 몰아내고 공식적으로 술탄국을 합병하여 네덜란드 동인도의 리아우 레지덴시로서 탄중피낭을 관리하였다. 탄중피낭에는 군사 기지도 건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점령군은 탄중피낭을 리아우 제도의 중심지로 삼았다. 일본의 항복 후 네덜란드의 통치가 다시 시작되었고, 네덜란드는 1950년 공식적으로 철수하였다. 리아우는 "다에라-다에라 풀리한(daerah-daerah pulihan)"(daerah-daerah pulihan|회복된 지역id)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에 편입된 마지막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 탄중피낭은 1960년 주도가 페칸바루로 옮겨질 때까지 잠시 리아우 주의 주도가 되었다. 2001년에 통과된 법률에 따라 2001년 6월 21일부터 탄중피낭은 자치시로 지정되었으며(이전에 속해 있던 빈탄 군과는 별도로), 2002년 리아우 제도 주가 신설되면서 그 주의 주도가 되었다. (1999년 독립 도시로 설립된 바탐 다음으로 두 번째 도시가 되었다).
3. 행정
탄중피낭은 빈탄섬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행정 중심지이다. 또한 리아우 제도주 주청사 소재지이다.[15] 300년 전 말라카 왕국처럼, 빈탄은 교역 항구였으며, 지역, 유럽인, 인도인, 화교를 끌어들였다.
탄중피낭시는 4개의 구(''kecamatan'')로 나뉜다. 각 구별 면적과 인구는 아래 표와 같다. (2010년 인구조사[8], 2020년 인구 조사[9], 2023년 중반 공식 추산치[10])
구 이름 (kecamatan) | 면적 (km2) | 2010년 인구 | 2020년 인구 | 2023년 중반 인구 추산 | 마을 수 | 우편번호 |
---|---|---|---|---|---|---|
부킷 베스타리 | 45.64km2 | 54,157 | 54,410 | 52,590 | 5 | 29122-124 |
탄중피낭 티무르 (동 탄중피낭) | 58.95km2 | 70,867 | 109,780 | 120,320 | 5 | 29122-125 |
탄중피낭 코타 (탄중피낭 시내) | 35.42km2 | 17,026 | 19,226 | 19,220 | 4 | 29111-115 |
탄중피낭 바랏 (서 탄중피낭) | 4.55km2 | 45,309 | 44,247 | 42,710 | 4 | 29111-113 |
4. 기후
탄중피낭은 연중 강수량이 많은 열대 우림 기후(Af)를 가지고 있다.[16]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30°C | 30.5°C | 30.9°C | 31.2°C | 31.3°C | 31.2°C | 30.7°C | 30.9°C | 30.8°C | 30.9°C | 30.5°C | 30.2°C |
평균 기온 (℃) | 25.8°C | 26.1°C | 26.4°C | 26.7°C | 26.9°C | 26.8°C | 26.4°C | 26.5°C | 26.6°C | 26.6°C | 26.3°C | 26.2°C |
평균 최저 기온 (℃) | 21.7°C | 21.8°C | 21.9°C | 22.2°C | 22.6°C | 22.5°C | 22.2°C | 22.1°C | 22.4°C | 22.3°C | 22.2°C | 22.2°C |
월 강수량 (mm) | 295mm | 177mm | 213mm | 271mm | 244mm | 215mm | 213mm | 195mm | 227mm | 253mm | 305mm | 347mm |
라자 하지 피사빌릴라 국제공항(Raja Haji Fisabilillah International Airport)의 2000~2020년 기후 자료는 다음과 같다.[11]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29.8°C | 30.6°C | 31.4°C | 31.4°C | 31.5°C | 31°C | 30.6°C | 30.6°C | 30.8°C | 31°C | 30.2°C | 30°C |
평균 최저 기온 (℃) | 24.1°C | 23.9°C | 24°C | 24.2°C | 24.7°C | 24.4°C | 24.2°C | 24.2°C | 24°C | 24.2°C | 24°C | 24.2°C |
월 강수량 (mm) | 234.6mm | 142.6mm | 216.7mm | 298.9mm | 284.4mm | 230.7mm | 205.2mm | 171.1mm | 212.3mm | 259.5mm | 442.8mm | 348.2mm |
평균 강수일수 | 10.2 | 6.1 | 11.1 | 15.3 | 15.2 | 13.2 | 11.3 | 10.3 | 11.0 | 14.2 | 19.6 | 15.0 |
5. 인구
탄중피낭에서 이슬람교는 전체 인구의 78.57%를 차지하는 주요 종교이다. 그 외에도 불교(13.58%), 기독교(개신교 포함, 7.56%), 힌두교(0.02%), 유교(0.27%) 등이 있다.[13]
6. 문화
탄중피낭에는 말레이 음악과 무용 공연을 위한 문화 센터가 있다. 이 센터는 축제 및 기타 공연을 정기적으로 개최한다. 탄중피낭 교외 싱가랑에는 새로운 불교 사찰이 있다.
6. 1. 페녕갓섬
페녕갓섬에는 옛 궁전과 왕실 무덤이 있으며, 말레이어 문법책의 아버지로 존경받는 라자 알리 하지의 무덤도 그곳에 있다. 리아우 술탄령은 많은 전설을 많이 만들어 낸 곳이다. 준 황실 모스크인 메스지드 라야가 지금도 이용된다.[17] 세계유산에서 "빼어난 보편적 가치"로 고려되고 있는 곳이다.
옛 통치자의 궁전과 왕족 묘지에는 말레이어 최초 문법책을 집필한 라자 알리 하지의 무덤을 포함한 여러 유산들이 리아우-링가 왕국의 유산으로 남아있다. 옛 부왕궁 모스크인 마스지드 라야는 아직도 사용되고 있다.
리아우 왕국의 유적으로, 왕궁과 왕릉이 남아 있다. 그중에는 말레이어 최초의 문법서를 저술한 라자 알리 하지의 묘도 있다. 마스지드 라야는 왕들의 부속 모스크였지만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다.
6. 2. 라자 하지 피사빌릴라 기념비
인도네시아의 국민 영웅인 라자 하지 피사빌릴라는 1784년 말라카 전투에서 네덜란드와의 전투 중에 사망했다. 그는 유명한 말레이 왕으로 탄중피낭 바다의 페녕갓섬에 왕궁이 있었다. 그를 기리는 기념비(Raja Haji Fisabillah Monument)는 28m 높이로 만들어졌다.[1]
7. 관광
탄중피낭에는 말레이 음악 및 춤 공연무대가 되는 문화센터가 있어 정기적으로 페스티벌과 공연이 열린다. 이 센터에서는 오락 및 기타 기획도 실시하고 있다. 탄중피낭 교외 슨가란에는 새로운 불교 사원이 위치해 있다.
리아우 왕국의 유적으로 왕궁과 왕릉이 남아 있으며, 그중에는 말레이어 최초의 문법서를 저술한 라자 알리 하지의 묘도 있다. 마스지드 라야는 왕들의 부속 모스크였지만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으며, 세계유산 등재 후보로 여겨지고 있다.[14]
참조
[1]
서적
Untung Sabut Muhammad Sani
https://books.google[...]
Gramedia Pustaka Utama
2013-02-08
[2]
웹사이트
J.D.I.H. - Dewan Perwakilan Rakyat
http://www.dpr.go.id[...]
2020-06-03
[3]
간행물
Kota Tanjungpinang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4]
웹사이트
Kabupaten - Kementerian Dalam Negeri - Republik Indonesia
http://www.kemendagr[...]
2013-10-31
[5]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6]
웹사이트
Badan Pusat Statistik Provinsi Kepulauan Riau
https://kepri.bps.go[...]
2020-06-03
[7]
간행물
Kota Tanjungpinang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8]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2011
[9]
간행물
Badan Pusat Statistik
2021
[10]
간행물
Kota Tanjungpinang Dalam Angka 2024
Badan Pusat Statistik
2024-02-28
[11]
웹사이트
SYNOP/BUFR observations. Data by months
http://www.meteomanz[...]
Meteomanz
2024-03-22
[12]
웹사이트
Religion in Indonesia
https://e-database.k[...]
[13]
웹사이트
Riau Islands Province in Figures 2017
https://kepri.bps.go[...]
BPS Kepulauan Riau
2018-07-22
[14]
웹사이트
World Heritage Center: The Criteria for Selection
http://whc.unesco.or[...]
[15]
간행물
Biro Pusat Statistik
2011
[16]
웹사이트
Tanjung Pinang climate: Average Temperature, weather by month, Tanjung Pinang water temperature - Climate-Data.org
https://en.climate-d[...]
2020-06-03
[17]
웹사이트
World Heritage Center: The Criteria for Selection
http://whc.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