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포드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탈포드주의는 지리학자 아쉬 아민에 따르면 규제 학파, 유연 전문화, 신 슘페터주의의 세 가지 학파로 나뉘는 개념이다. 규제 학파는 자본주의의 위기와 안정성을 동시에 설명하며, 유연 전문화론은 1970년대 국제 경제 변화로 기업들이 유연한 생산 시스템을 구축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신 슘페터주의는 슘페터의 콘드라티예프 파동 이론에 기반하여 포스트 포디즘을 설명한다. 탈포드주의는 포드주의에서 벗어나 소비와 생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며, 생산 방식, 소비 패턴, 노동 시장 및 사회 문화적 변화를 동반한다. 이탈리아 제3지방과 일본은 탈포드주의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며, 비판으로는 포드주의의 진화에 대한 오해, 특정 사례에 대한 과도한 의존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산경제학 - 수확 체감
수확 체감은 생산 요소 투입 증가에 따라 한계 생산량이 감소하는 현상으로, 농업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며 기술 발전에 따라 단기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 생산경제학 - 경제잠재력
- 경제 체제 - 자본주의
자본주의는 생산 수단의 사적 소유, 이윤 추구, 시장 기반의 자원 배분, 자본 축적을 특징으로 하는 경제 체제이며, 경제 성장과 기술 혁신을 이끌었지만 불평등 심화, 환경 파괴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경제 체제 - 계획 경제
계획 경제는 정부가 경제의 주요 요소를 중앙집권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는 체제로, 자원 배분의 효율성 증대, 시장 실패 해결, 특정 산업의 빠른 성장을 목표로 하지만, 관료주의, 비효율성, 혁신 저해 등의 문제점도 드러내며 일부 국가에서만 시행되고 있다.
탈포드주의 |
---|
2. 이론적 배경
포디즘 이후의 체제, 즉 탈포드주의는 규제 학파, 유연 전문화론, 신 슘페터주의 등 다양한 이론적 관점에서 논의된다.[4]
이 외에도 이탈리아에서는 노동자주의 또는 자율주의의 영향을 받은 이론이 발전하기도 했다. 주요 사상가로는 크리스티안 마라치, 안토니오 네그리, 파올로 비르노 등이 있다. 마라치는 저서 《자본과 언어》에서 금융 시장의 변화와 노동의 비물질적 노동으로의 전환이 신(新) 경제의 부상에 따른 금융화의 두 측면이라고 주장한다.[8]
2. 1. 규제 학파
규제 접근 방식(신마르크스주의 또는 프랑스 규제 학파라고도 함)은 자본주의가 위기, 변화, 불안정으로 향하는 경향과 함께 제도, 규칙 및 규범을 안정시키는 능력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이 이론은 "축적 체제"와 "규제의 방식"이라는 두 가지 핵심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축적 체제"는 포디즘 및 포스트 포드주의와 같은 생산 및 소비 시스템을 의미한다. "규제의 방식"은 축적 체제를 통제하고 그 형태를 결정하는 사회의 성문 및 불문법을 의미한다.[21]규제 이론에 따르면, 모든 축적 체제는 규제의 방식이 더 이상 이를 지원하지 못하게 되는 위기점에 도달할 것이며, 사회는 새로운 규칙과 규범을 찾아 새로운 규제의 방식을 형성해야 한다. 이것은 새로운 축적 체제를 시작하고, 결국 위기에 도달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규제 이론의 지지자로는 미셸 아글리에타, 로버트 보이어, 밥 제솝, 알랭 리피에츠 등이 있다.[21]
2. 2. 유연 전문화론
유연 전문화론은 1970년대 초반부터 국제 경제의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면서 기업들이 대량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유연 전문화라는 새로운 전략으로 전환해야 했다고 주장한다.[6]기업들은 획일적인 상품 대신 다양한 소비자 집단을 겨냥하여, 그들의 취향과 유행에 맞는 다양한 제품 라인을 생산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단일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데 막대한 자금을 투자하는 대신,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지능형 노동 및 기계 시스템을 구축해야 했다. 초기의 유연 생산 관련 기술은 수치 제어 공작 기계였다. 이후 컴퓨터의 발전은 유연 전문화 기술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컴퓨터는 생산되는 상품의 특성을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급을 주문하고 현재 수요에 맞춰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러한 기술 덕분에 조정 작업이 단순하고 저렴해져서 소규모의 전문화된 생산이 경제적으로 가능해졌다. 노동력의 유연성과 기술 또한 중요했다. 노동력은 기술적으로 유연한 핵심 그룹과 시간적으로 유연한 주변부로 나뉘었다. 핵심 근로자의 기술과 지식의 유연성, 그리고 생산에 사용되는 기계는 상품의 전문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현대의 적시 생산 방식은 유연한 생산 방식의 한 예이다.
생산 구조 또한 부문 수준에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원자재부터 완제품까지 조립 라인을 관리하는 단일 기업 대신, 개별 기업이 전문 분야에 특화되면서 생산 과정이 분화되었다. 이러한 전문화 이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지지자들은 실리콘 밸리, 유틀란트 반도, 스몰란드와 이탈리아의 여러 지역 등에서 마셜식 "산업 지구", 즉 통합된 기업 클러스터가 발전했다고 주장한다.
2. 3. 신 슘페터주의
신 슘페터주의적 접근은 콘드라티예프 파동(장기 파동이라고도 함) 이론에 기반한다. 이 이론은 각 장기 파동을 특징짓는 "기술 경제 패러다임"(페레즈)[7]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포드주의는 네 번째 콘드라티예프 파동의 기술 경제 패러다임이었으며, 포스트-포드주의는 정보 통신 기술(ICT)이 지배하는 다섯 번째 파동의 기술 경제 패러다임이다.주목할 만한 신슘페터학파 사상가로는 칼로타 페레즈와 크리스토퍼 프리먼, 그리고 마이클 스토퍼와 리처드 워커가 있다.
3. 포드주의에서 포스트 포디즘으로의 변화
포디즘은 191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헨리 포드에 의해 완성된 라인 생산 방식을 중심으로 한 생산 조직의 지배적인 모델이었다. 이는 미국의 제조업 성장과 미국 경제의 우위성을 가져왔으나, 포스트 포디즘 이론가들은 포디즘의 종말이 미국 경제 우위성의 종말을 설명한다고 주장한다.[21]
포스트 포디즘은 생산, 소비, 노동 시장,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포드주의와 구별되는 특징을 보인다.
포스트 포디즘 시대의 소비는 소비자의 선택과 정체성 증가로 특징지어진다. 소매업체는 정보 기술을 통해 소비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트렌드와 수요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생산 네트워크에서는 직원의 유연성이 요구되며, 직원의 역할은 다양해지고, 노사 관계는 개별화되며, 린 생산 방식과 같이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연한 생산 방식이 요구된다.
포스트 포디즘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3. 1. 생산 방식의 변화
포디즘의 대량 생산 시스템은 소비자 수요의 다양화와 개인화된 소비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변화하였다.- 다품종 소량 생산: 다양한 소비자 그룹의 취향과 패션 감각에 맞춰 다양한 제품 라인을 생산한다.
- 린 생산 방식: 낭비 없는 생산을 통해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한다.
- 적시 생산 시스템: 생산에 대한 유연한 접근 방식의 예시로, 공급업체와 제조업체 간의 긴밀한 상호 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 유연한 전문화: 기업들이 일반 상품 대신 다양한 소비자 그룹을 겨냥한 특화된 상품을 생산하고, 시장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 수치 제어 기술 및 CNC: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산되는 상품의 특성을 변경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급품을 주문하며, 현재 수요에 따라 상품을 생산한다.
이러한 변화는 노동 시장에도 영향을 미쳤다. 분업 대신 생산의 여러 역할에 더 적응할 수 있는 유연성이 요구되었고, 노동 과정에 대한 더 깊은 참여와 지식, 업무에 대한 자율성이 커졌다. 또한, 비정규직 고용 형태가 증가하였다.[2]
생산 방식의 변화는 경제, 정치, 이념에도 변화를 가져왔다.[13]
- 경제: 국민 국가의 규제와 생산 쇠퇴, 세계 시장과 기업 부상, 대량 마케팅에서 유연한 전문화로 대체, 조직 내 의사 소통 강조.
- 노동력: 내부 마케팅, 프랜차이징, 하청업체 증가, 파트타임, 임시직, 자영업자, 재택 근무자 증가.
- 정치: 계급 기반 정당 쇠퇴, 지역, 성별, 인종 기반 사회 운동 증가, 대규모 노동 조합 쇠퇴, 지역별 공장 기반 교섭으로 대체.
- 문화 및 이념: 개인주의적 사고 방식과 행동 부상, 기업가 정신 문화, 교육의 전문화, 가치의 파편화와 다원주의, 포스트모던 절충주의, 문화에 대한 포퓰리즘적 접근 방식.
3. 2. 소비 패턴의 변화
포디즘 시대의 대량 소비는 탈포드주의 시대에 들어서면서 개인화된 소비, 라이프스타일 중심의 소비, 지위재 소비 등으로 변화하였다.[2]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의 선택권이 확대되고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 나타난 현상이다.[2]소비 패턴은 라이프스타일과 정체성을 지향하게 되었고, 소비는 문화의 핵심적인 부분이 되었다.[2] 소비자는 생산 조직을 결정하는 '글로벌 독재자'가 되었으며,[2] 소매업체는 소비자의 수요 패턴에 대응하기 위해 고객 데이터를 처리하려고 한다.[2]
주요 시장의 포화는 대량 소비에 대한 반전을 가져왔고, 더 높은 생활 수준을 추구하게 되었다.[9] 소비자는 대량 시장으로 간주되기보다는, 소규모의 전문화된 상품으로 더 잘 서비스될 수 있는 서로 다른 목표를 추구하는 다양한 그룹으로 간주되기 시작했다.[10] 이에 따라 대량 시장의 중요성은 줄어든 반면, 사치품, 맞춤형 또는 지위재 시장은 더 중요해졌다.[11]
3. 3. 노동 시장의 변화
포디즘에서 포스트 포디즘으로 전환되면서 노동 시장은 크게 변화했다. 주요 시장이 포화되면서 대량 소비보다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생산 방식이 변화했고, 이는 노동 시장의 유연화를 초래했다.[9][10][11][12]이러한 변화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비정규직 증가: 파트타임, 임시직, 자영업, 재택 근무 등 비정규적인 고용 형태가 증가했다.[13]
- 노동력 구성 변화: 서비스업과 화이트칼라 직종이 부상하고, 여성 노동력의 비중이 증가했다.
- 노사 관계 변화: 대규모 노동 조합이 쇠퇴하고, 지역별 공장 기반의 교섭이 증가했다.
- 개인주의 심화: 노동자들은 분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고, 업무에 대한 자율성이 향상되었다.
포스트 포디즘 시대에는 린 생산 방식과 JIT 생산 방식과 같이 유연한 생산 방식이 중요해졌다. 이는 기업들이 소비자의 변화하는 수요에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정보기술의 발전은 소비자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트렌드와 수요 변화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탈리아에서는 포스트 포디즘이 노동자주의와 자율주의(오토노미즘)의 오랜 흐름을 통해 이론화되었다. 이탈리아의 주요 사상가들은 금융 시장의 불안정성과 노동의 비물질적 노동(추상적 지식, 일반 지성, 사회 협력에 대한 의존)으로의 전환이 "감사에 의한 금융화"와 뉴 이코노미의 부상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3. 4. 사회 문화적 변화
포스트 포디즘은 생산 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경제, 정치,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경제적으로는 대량 마케팅 대신 유연한 전문화가 중요해졌고, 조직은 명령보다 의사소통을 강조하게 되었다. 노동 시장에서는 정규직 외에도 파트타임, 임시직, 자영업 등 다양한 고용 형태가 증가했다.[13]정치적으로는 계급 기반 정당의 영향력이 줄어들고, 지역, 성별, 인종 등 다양한 정체성에 기반한 사회 운동이 성장했다. 노동조합 역시 전국 단위의 대규모 조직보다는 개별 공장 중심의 교섭 형태로 변화했다.[13]
문화적으로는 개인주의가 확산되고 기업가 정신이 강조되었다. 교육은 획일적인 표준화 교육에서 벗어나 전문화, 특성화 교육으로 변화했다. 또한 가치의 다양성이 존중되고, 포스트모던 문화의 영향으로 절충주의와 포퓰리즘적 접근이 나타났다.[13]
이러한 변화는 소비와 생산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대량 생산, 대량 소비 시대가 저물고, 소비자는 다양한 취향과 개성을 가진 집단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소규모 전문화 상품, 고급품, 지위재 시장이 중요해졌다.[11] 생산은 규모의 경제보다 범위의 경제를 추구하며 다양화, 차별화되었다.[12]
4. 포스트 포디즘의 사례
이탈리아와 일본은 탈포드주의 생산 방식이 나타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이탈리아에서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중부 및 북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소규모 기업과 작업장이 모여 발전한 '제3의 이탈리아' 지역이 나타났다. 이 지역은 고도로 숙련된 노동자들이 협력하여 고품질의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는 특징을 보였다.[14]
일본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생산 방식에 여러 변화가 나타났다. 기업 구조, 생산 기술, 제품 다양성, 공급 네트워크 등 다양한 측면에서 탈포드주의적 특징이 발전했다. 특히, 유연 생산 기술과 로봇, CNC 기술의 발전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15]
이탈리아에서 포스트포디즘은 노동자주의와 자율주의(오토노미즘)의 오랜 흐름을 통해 이론화되었다. 이 경향의 주요 사상가로는 스위스계 이탈리아 경제학자 크리스티안 마라치, 안토니오 네그리, 파올로 비르노, 카를로 베르셀로네, 마우리치오 라짜라토가 있다. 마라치는 저서 『자본과 언어』에서 금융 시장의 변화와 노동의 비물질적 노동으로의 전환(추상적 지식, 일반 지성, 사회 협력에 대한 의존)은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의 양면, 즉 "감사에 의한 금융화"이며, 이는 뉴 이코노미의 부상으로 이어진다고 주장한다.
4. 1. 이탈리아 제3지방
이탈리아에서 제3의 이탈리아는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탈리아 중부 및 북동부 지역에서 소규모 기업과 작업장이 모여 발전한 곳이다.[14] 제1의 이탈리아는 토리노, 밀라노, 제노바와 같은 대규모 대량 생산 지역을 포함했고, 제2의 이탈리아는 개발되지 않은 남부를 의미했다. 제3의 이탈리아 지역에는 토스카나주, 움브리아, 마르케, 에밀리아-로마냐주, 베네토주, 프리울리, 트렌티노알토아디제/쥐트티롤이 포함되었다.[14]각 지역은 광범위하게 관련된 제품을 전문으로 생산했으며, 각 작업장에는 일반적으로 5명에서 50명의 노동자가 있었고, 종종 10명 미만이었다. 각 지역의 제품 범위는 범위 경제로의 탈포드주의 전환을 반영했다. 또한, 이 작업장은 고품질 제품을 생산하고 고도로 숙련되고, 급여가 높은 노동자를 고용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이 작업장은 매우 디자인 지향적이고, 다학제적이었으며, 기업가, 디자이너, 엔지니어 및 노동자 간의 협업을 포함했다.[14]
4. 2. 일본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의 생산 방식은 여러 변화를 겪으며 탈포드주의적 조건이 발전했다. 주요 변화는 다음과 같다:[15]순서 | 변화 내용 |
---|---|
1 | 독립적인 노동조합이 친경영진 성향의 기업별 노조로 대체되는 등 기업 구조 변화. 숙련된 정규직 남성 노동자가 핵심 인력이 되고, 대부분 여성인 미숙련 임시직 및 파트타임 노동자가 주변부 인력이 되는 구조 형성. |
2 | 수입 장벽과 외국인 투자 제한으로 인해 생산 기술 실험 시작. |
3 | 수입 기술을 복제, 흡수, 개선하고 현지 조건에 맞춰 수정. |
4 | 비교적 작은 시장에서 다양한 제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소량 생산 및 신속한 제품 라인 전환에 집중. 비공식적인 가격 담합으로 인해 가격이 아닌 제품 차별화를 기반으로 경쟁. |
5 | 수직 통합된 포드주의적 미국 기업과 대조적으로 장기적인 공급 및 하청 네트워크 구축. |
6 | 중소 제조업체들이 다양한 제품을 생산했기 때문에 저렴한 다목적 장비가 필요. 유연 생산 기술이 중요해졌으며, 특히 소규모 생산자에게 필수적. 로봇과 CNC의 주요 사용 국가가 됨. |
이러한 변화는 시간이 지나면서 제도화되었다.
유연 전문화 접근 방식(신 스미스주의적 접근 방식)의 지지자들은 1970년대 초 국제 경제의 근본적인 변화로 인해 기업들이 대량 생산에서 유연 전문화로 전환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한다. 기업들은 다양한 소비자 그룹의 취향과 패션 감각에 맞춰 다양한 제품 라인을 생산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단일 제품 대량 생산 대신, 유연하고 시장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노동력과 기계를 활용하는 지능적인 시스템을 구축해야 했다.
유연 생산과 처음 연관된 기술은 1950년대 미국에서 개발된 수치 제어 기술이었지만, 이후 일본에서 개발된 CNC가 이를 대체했다. 컴퓨터의 발전은 유연 전문화 기술에 매우 중요했다. 컴퓨터는 생산되는 상품의 특성을 변경하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공급품을 주문하며, 현재 수요에 따라 상품을 생산할 수 있게 했다. 이러한 기술은 소규모의 특수 생산을 경제적으로 가능하게 했다.
노동 기술의 유연성 또한 중요했다. 노동력은 기술에 유연한 핵심 노동자와 시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주변부 노동자로 분할되었다. 핵심 노동자와 생산 기계의 기술 및 지식 유연성과 다양성은 상품의 특수한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최신 적시 제조는 생산에 대한 유연한 접근 방식의 한 예이다. 생산 구조는 단일 기업이 모든 과정을 담당하는 대신, 개별 기업들이 전문 분야에 특화하는 방식으로 세분화되었다.
5. 한국 사회와 포스트 포디즘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수정 후 출력하겠습니다.)
6. 비판 및 한계
탈포드주의에 대한 주요 비판은 탈포드주의가 포드주의 혁명의 본질을 오해하고 있으며, 포드주의가 위기에 처한 것이 아니라 단순히 진화하고 있으며 계속 진화할 것이라고 주장한다는 것이다.[16] 다른 비평가들은 탈포드주의가 실제로 존재하지만 포드주의와 공존한다고 믿는다. 자동차 산업은 포드주의와 탈포드주의 전략을 결합하여[17] 대량 생산과 유연한 전문화를 모두 사용했다. 포드는 대량 생산에 유연성을 도입하여 포드주의가 계속 진화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탈포드주의 옹호자들은 주로 유연한 전문화에 초점을 맞춘 비판은 삶의 다른 영역에서의 탈포드주의적 변화를 무시하며, 탈포드주의를 검토할 때 유연한 전문화를 단독으로 볼 수 없다고 지적한다.
또 다른 비판은 탈포드주의가 이탈리아 제3지방과 일본의 사례에 지나치게 의존한다는 것이다. 일부는 일본이 포드주의도 탈포드주의도 아니며, 수직적 분해와 대량 생산이 함께 이루어진다고 믿는다.[18] 다른 사람들은 이탈리아의 새로운 소규모 기업이 자율적으로 발전한 것이 아니라, 더 낮은 부가가치 작업을 더 작은 기업에 하청한 대규모 포드주의 기업의 수직적 분해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19] 또 다른 비판은 유연한 전문화가 대규모로 일어나지 않고 있으며, 소규모 기업이 항상 대량 생산과 함께 존재해왔다는 것이다.
또 다른 주요 비판은 우리가 새로운 생산 시스템이 실제로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에는 너무 가까이 있다는 것이다.[20] "탈포드주의"라는 용어는 문헌에서 지식 경제, 인지 자본주의, 인지-문화 경제 등과 같은 일련의 대체 용어로 점차 대체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Key Concepts in Economic Geography
http://dx.doi.org/10[...]
SAGE Publications Ltd
2011
[2]
서적
An introduction to economic geography: globalisation, uneven development, and place
http://worldcat.org/[...]
Routledge, Taylor and Francis
[3]
간행물
Brave new world.
1988-10
[4]
서적
Post-Fordism : a Reader.
http://worldcat.org/[...]
Wiley
2011
[5]
문서
Nilges
[6]
문서
The Second Industrial Divide: Possibilities for Prosperity
https://scholarship.[...]
1984
[7]
논문
Technological revolutions and techno-economic paradigms
https://academic.oup[...]
2010
[8]
논문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Italian Workerism: A Conceptual Approach
http://dx.doi.org/10[...]
2010
[9]
문서
Milani
[10]
문서
Kumar
[11]
문서
Milani
[12]
문서
Kumar
[13]
문서
Kumar
[14]
문서
Kumar
[15]
문서
Bernard
[16]
문서
Kumar
[17]
문서
Kiely
[18]
문서
Kumar
[19]
문서
Kiely
[20]
문서
Kumar
[21]
서적
Key Concepts in Economic Geography
London: SAGE Publications Ltd.
[22]
서적
포드주의에서 포스트 포드주의까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