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루아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테루아르는 와인, 차, 치즈 등 특정 음식의 맛과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 인위적 요소들의 총체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기후, 토양, 지형, 주변 환경 등의 자연적 요소와 포도 품종 선택, 양조 방식과 같은 인간의 영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유한 특성을 만들어낸다. 테루아르는 특히 프랑스 와인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며, 원산지 명칭 시스템을 통해 보호받기도 한다. 기후 변화는 테루아르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차 - 버블티
버블티는 1980년대 후반 대만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타피오카 펄이 들어간 차 음료로, 다양한 차 종류를 기반으로 우유, 과일 등 여러 토핑과 함께 제공되지만 높은 설탕 함량과 타피오카 펄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 차 - 찻집
찻집은 전 세계 여러 문화권에서 차와 음식, 사회적 교류를 제공하는 장소로, 아시아의 차관, 차실, 라페예잔, 차이하나, 유럽의 티룸, 살롱 드 테, 티하우스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각 지역의 문화와 역사를 반영하는 복합적인 공간이다. - 포도주 - 신의 물방울
《신의 물방울》은 2004년부터 2014년까지 연재된 와인 만화로, 주인공들이 아버지의 유산을 상속받기 위해 와인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통해 와인과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며, 드라마, 소셜 게임으로도 제작되었다. - 포도주 - 보졸레 누보
보졸레 누보는 프랑스 보졸레 지역의 햇포도주로, 가메이 포도를 사용하여 빠르게 생산되며, 매년 11월 셋째 주 목요일에 전 세계 동시 출시를 기념하는 축제와 함께 많은 사랑을 받는 신선하고 과일 향이 풍부한 와인이다. - 커피 - 커피콩
커피콩은 커피나무 열매 속 씨앗으로, 볶아서 커피 음료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생두와 볶은 콩으로 나뉘고,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브라질이 최대 생산국이다. - 커피 - 디카페인
디카페인은 커피나 차에서 카페인을 제거한 제품을 의미하며, 유기 용매, 물, 초임계 이산화탄소 등을 이용한 탈카페인 기술로 제조되거나 카페인 없는 커피나무를 재배하는 방법으로 생산된다.
테루아르 | |
---|---|
개요 | |
어원 | 프랑스어 terroir (땅) |
정의 | 와인, 커피, 차, 담배 등 특정 농산물의 특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인들의 총합 토양, 지형, 기후, 강수량, 일조량, 미생물, 생물 다양성, 재배 기술 등을 포함 |
와인에서의 테루아 | |
중요성 | 와인의 품질과 개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로 여겨짐 |
구성 요소 | 토양: 와인의 미네랄 함량, 산도, 배수 등에 영향 기후: 포도의 생장 기간, 당도, 산도 등에 영향 지형: 일조량, 배수, 바람 등에 영향 인간: 포도 재배 및 와인 양조 기술 |
예시 | 부르고뉴: 석회암 토양과 서늘한 기후가 특징이며, 섬세하고 복합적인 피노 누아 와인을 생산 보르도: 자갈 토양과 온화한 기후가 특징이며, 탄닌이 풍부하고 구조감 있는 카베르네 소비뇽 와인을 생산 상파뉴: 백악질 토양이 특징이며, 섬세하고 산뜻한 스파클링 와인을 생산 |
기타 농산물에서의 테루아 | |
커피 | 에티오피아: 고지대, 화산재 토양, 아라비카 원산지로 유명하며, 복합적인 풍미와 산미를 가진 커피 생산 콜롬비아: 안데스 산맥 고지대, 풍부한 강수량, 균형 잡힌 맛과 향을 가진 커피 생산 |
차 | 다즐링: 히말라야 산맥 고지대, 안개, 독특한 풍미와 향을 가진 홍차 생산 우롱: 대만 산악 지역, 다양한 품종, 독특한 발효 및 제다 기술을 통해 다양한 풍미의 차 생산 |
담배 | 쿠바: 비옥한 토양, 온화한 기후, 독특한 풍미와 향을 가진 시가용 담배 생산 |
논쟁과 비판 | |
테루아 맹신론 | 테루아가 와인의 품질을 결정하는 유일한 요소라고 주장하는 견해에 대한 비판 |
과학적 근거 부족 | 테루아의 구체적인 영향 메커니즘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 부족 지적 |
마케팅 수단 | 테루아가 와인 판매를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비판 |
관련 용어 | |
아펠라시옹 | 특정 지역에서 생산된 와인의 품질을 보증하는 프랑스의 제도 |
빈티지 | 포도를 수확한 해 |
미시 기후 | 특정 지역의 좁은 범위 내에서 나타나는 기후 |
2. 기원
프랑스 와인 생산자들은 수 세기 동안 서로 다른 지역, 포도원, 심지어 같은 포도원의 다른 구획에서 생산된 와인의 차이를 관찰하면서 테루아르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프랑스인들은 테루아르를 와인에 영향을 미치고 형태를 부여하는 장소의 고유한 측면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하기 시작했다.[3]
와인 전문가들은 테루아르의 정확한 정의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지만,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는 자연적 요소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인다.
프랑스보다 훨씬 전에, 고대 세계의 와인 생산 지역은 동일한 포도 품종으로도 매우 다르고 독특한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지역의 잠재력을 이미 알고 있었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생산된 지역의 인장을 암포라에 찍었고, 서로 다른 지역은 와인의 품질에 따라 명성을 얻었다.
수 세기 동안 베네딕토회와 시토회의 학식있는 수도사들은 부르고뉴 서클의 대부분 지역에서 포도를 재배했다. 광대한 토지 소유를 통해 수도사들은 다양한 토지 구획이 생산하는 와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규모 관찰을 수행할 수 있었다.[4] 일부 전설에 따르면 수도사들은 서로 다른 ''테루아르''의 경계를 설정했는데, 그 중 많은 부분이 오늘날에도 부르고뉴의 그랑 크뤼 포도원으로 존재한다.[5]
3. 요소
테루아르를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2]요소 설명 기후 넓은 지역의 거시 기후부터 작은 구역의 중기후, 포도나무 한 그루 수준의 미기후까지 다양하다. 토양 비옥도, 배수, 열 보존 능력 등 포도원 토양의 구성 및 특성과 관련된다.[6] 지형 산, 계곡, 수역 등 자연 지형과 포도밭 위치, 방위, 고도를 포함한다.[2] 주변 유기체 포도원에 존재하는 동물군, 식물군, 미생물군 등 지역 고유의 생물들을 의미한다.[7][8]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의 포도 재배 및 식물 생리학 교수인 마크 A. 매튜스(Mark A. Matthews)는 테루아르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을 신화로 묘사했다. 매튜스는 지역 특성이 식물 성장과 특정 포도 품종으로 만든 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하지만, 이 용어의 정의가 부정확하며, 테루아르 개념은 주로 전통적 믿음에 기반하여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엄격한 데이터나 연구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9]
3. 1. 자연적 요소
프랑스 와인 생산자들은 수 세기 동안 서로 다른 지역, 포도원, 심지어 같은 포도원의 다른 구획에서 생산된 와인의 차이를 관찰하면서 테루아르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프랑스인들은 테루아르의 개념을 그곳에서 생산된 와인에 영향을 미치고 형태를 부여하는 장소의 고유한 측면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구체화하기 시작했다.[3] 프랑스보다 훨씬 전에, 고대 세계의 와인 생산 지역은 동일한 포도 품종으로도 매우 다르고 독특한 와인을 생산할 수 있는 서로 다른 지역의 잠재력에 대한 개념을 이미 발전시켰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그들이 생산된 지역의 인장을 암포라에 찍었고, 서로 다른 지역은 와인의 품질에 따라 명성을 얻었다. 수세기 동안 베네딕토회와 시토회의 수도사들은 부르고뉴 서클의 대부분 지역에서 포도를 재배했다. 광대한 토지 소유를 통해 수도사들은 다양한 토지 구획이 생산하는 와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규모 관찰을 수행할 수 있었다.[4]
와인 전문가들은 정확한 정의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지만,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는 자연적 요소에 특별한 고려를 기울인다. 테루아르의 측면으로 자주 묘사되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2]
기후와 테루아르의 상호 작용은 일반적으로 더 넓은 지역의 거시 기후 (예: 부르고뉴의 코트 드 뉘 지역)에서 해당 지역의 더 작은 하위 구역의 중기후 (예: 본 로마네 마을)로, 심지어 특정 포도원 또는 포도 줄의 개별 미기후 (예: 그랑 크뤼 포도원인 라 그랑 뤼)까지 세분된다. 토양 요소는 비옥도, 배수, 열 보존 능력과 같은 포도원 토양의 구성과 고유한 특성과 관련이 있다.[6] 지형은 기후가 지역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산, 계곡, 수역과 같은 자연적인 지형 특징을 의미하며, 포도원 위치의 방위 및 고도 요소도 포함한다.[2] 포도밭 주변에서 자라는 다른 유기체는 포도원에 존재하는 지역 특유의 동물군, 식물군, 미생물군을 의미한다.
3. 2. 인간의 영향
와인 전문가들은 정확한 정의에 대해 의견이 분분하지만,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는 자연적 요소에 특별한 고려를 기울인다.
테루아르의 정의는 인간에 의해 통제되거나 영향을 받는 요소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여기에는 어떤 포도 품종을 심을지 결정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지만, 해당 포도 품종이 품질 좋은 와인을 생산할지는 인간의 영향 범위를 벗어나는 테루아르의 고유한 요소일 수 있다. 일부 포도 품종은 다른 지역보다 특정 지역에서 더 잘 자란다. 배양된 효모나 실험실에서 생산된 효모 대신 발효 과정에서 자생 효모 또는 자연 효모를 사용하는 와인 양조 결정은 테루아르를 반영할 수 있다. 오크 사용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요소인데, 어떤 사람은 오크 사용이 테루아르의 자연적인 특성을 드러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사람은 오크 사용이 테루아르의 영향을 가릴 수 있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2] 유기농법이나 바이오다이내믹 농법을 사용하는 포도원 관리 (보다 전통적인 농법보다) 역시 인간이 통제하는 테루아르의 측면으로 볼 수 있다.[10]
4. 포도 재배 및 와인 양조에 미치는 영향
테루아르는 인간이 통제하거나 영향을 주는 요소를 포함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어떤 포도 품종을 심을지는 인간이 결정할 수 있지만, 해당 품종이 좋은 와인을 생산할지는 테루아르의 고유한 요소일 수 있다. 일부 포도 품종은 특정 지역에서 더 잘 자란다. 발효 과정에서 배양된 효모 대신 자생 효모 또는 자연 효모를 사용하는 것은 테루아르를 반영하는 와인 양조 결정이다. 오크 사용은 논란이 있는데, 어떤 사람은 오크가 테루아르의 자연적인 특성을 드러내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사람은 오크가 테루아르의 영향을 가릴 수 있다고 주장한다.[2] 유기농법이나 바이오다이내믹 농법을 사용하는 포도원 관리(보다 전통적인 농법보다) 역시 인간이 통제하는 테루아르의 한 측면으로 볼 수 있다.[10]
포도 재배 및 와인 양조 과정에서 많은 결정은 와인의 테루아 표현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여기에는 가지치기, 관개, 수확 시기 선택이 포함된다. 양조장에서는 오크 사용, 배양 또는 자연 효모, 침용 기간 및 술지게미와의 접촉 시간, 발효 중 온도, 미세 산소 공급, 샤프탈화, 정제 시 정제제 사용, 역삼투압과 같은 과정이 테루아에서 파생된 어떤 측면을 줄이거나 강조할 수 있다. 와인 생산자는 테루아 중심의 와인을 생산하고 한 지역의 테루아 고유한 측면을 순수하게 표현하는 데 집중하거나, 테루아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와인을 만드는 극단 사이에서 작업할 수 있다. 또한, 훌륭한 와인을 만드는 것이 목표이고 테루아 중심의 와인이 아니라면, 어떤 포도 품종을 심을지 결정할 때 기후 및 토양 유형과 같은 테루아의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2]
이러한 영향의 중요성은 특정 와인 지역의 문화에 따라 다르다. 프랑스, 특히 부르고뉴에서는 와인 생산자의 역할이 와인의 테루아 표현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믿는다. "와인 생산자"에 해당하는 프랑스어 단어 ''vigneron''은 "와인 양조자"보다는 "와인 재배자"로 더 적절하게 번역된다. 테루아가 와인에서 지배적인 영향이라는 믿음은 프랑스 와인 라벨이 품종보다, 그리고 종종 생산자보다 지역, 포도원 또는 AOC를 더 두드러지게 강조하는 것의 근본이다.[11]
5. 원산지 명칭 시스템
프랑스의 AOC 시스템과 같은 원산지 명칭 관리 시스템은 "독특한 지역에서 생산된 독특한 와인"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이러한 시스템은 유럽 연합 전역에서 원산지 보호 명칭으로 발전하여, 토스카나 와인과 같은 지역 밖의 와인 생산자는 산지오베제 와인을 생산하고 키안티라고 부를 수 없게 되었다. 와인이 키안티 지역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클론 품종의 산지오베제로 만들어지고, 동일한 토양 구성으로 만들어지며, 와인 생산자가 토스카나 생산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테루아 때문에 두 와인이 다를 것이라는 가정이 있다.[2]
이러한 유럽 와인 지역의 명칭은 서로 다른 지역과 서로 다른 테루아의 와인이 해당 지역의 와인과 혼동되지 않도록 보호된다. 즉, 스페인 와인 또는 호주 와인을 "키안티"라고 칭할 수 없다. 미국 와인에서는 샴페인과 포트 와인과 같은 준일반 명칭 사용에 대한 혼란이 있지만, 2005년 장소에 대한 나파 선언 협약과 같이 미국의 와인 산업은 지명과 해당 지역에서 생산되는 와인과의 고유한 연관성을 인식하기 위해 더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원산지 명칭 관리 시스템과 원산지 보호 명칭은 "독특한 테루아"를 보호하는 방법이 될 수 있지만, 테루아의 상업적 중요성은 와인 산업에서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2] 2018년 스페인에서는 와인 생산자 네트워크가 풀뿌리 운동에 참여하여 스페인 농촌 와인 문화를 향상시키려는 의도로 테루아 가치를 더한 와인을 생산했다.[12]
6. 기후 변화의 영향
기후 변화는 포도 재배 지역의 오랫동안 확립된 온도 및 강수량 패턴을 방해하고 더 극심한 기상 이변을 일으키면서, 테루아르와 와인 산업에 심각한 잠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따뜻한 기온과 더 이른 생육 기간은 포도 열매를 더 높은 당도, 더 적은 산도, 그리고 향에 중요한 이차 화합물의 차이로 밀어 넣을 수 있다. 재배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기후 변화 적응을 시도하고 있다. 2021년, 논란이 많은 조치로 프랑스 국립 농업, 식품 및 환경 연구소는 보르도 지역의 와인 생산자들에게 프랑스 다른 지역에서 선정된 4가지 적포도주 품종과 2가지 백포도주 품종에 대한 시험적 실험을 공식적으로 허가했다. 새로운 품종은 최종 와인 블렌드의 10%를 넘을 수 없다. 나머지는 2,000년 역사 동안 이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재배된 6가지 적포도 품종과 8가지 백포도 품종에서 가져와야 한다.[13][14]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부터 식물을 보호하는 또 다른 접근 방식은 스트레스 환경에서 탄력적이고, 튼튼하며, 물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식물을 개발하기 위해 대목을 실험하는 것이다. 식재, 관개 및 수확 방식의 차이점도 연구되고 있다. 호주, 이스라엘, 남미, 스페인과 같은 더 따뜻한 기후에서 개발된 방식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이전에는 더 시원했던 국가에서 사용하도록 적용되고 있다.[13]
7. 다른 음료 및 식품에서의 테루아르
우이암차는 테루아르 개념이 적용된 대표적인 차(茶)이며, 꼬냑 또한 석회질 토양, 기후, 바다와의 거리 등 테루아르 요소가 제품에 영향을 미친다.[15] 싱글 몰트 위스키, 버번, 럼, 보드카 생산자들은 배럴 숙성에서 유래하는 나무의 풍미를 포함하여 생산 과정에서 테루아르 요소를 활용한다.[15]
수제 치즈 생산에도 테루아르 원칙이 적용된다.[16] 프랑스 당국은 전통 치즈 제조업체의 테루아르 치즈에 대한 우려와 주요 산업체의 우려 사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해 왔다.[17]
치즈(및 기타 유제품)의 풍미는 생산 지역의 영향을 받는다.[18] 예를 들어, 알프스 고산 초원은 저지대보다 더 다양한 풀, 허브 및 꽃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식물상은 방목 기간(봄부터 가을까지) 동안 크게 변화하여 서로 다른 배치에서 생산된 치즈의 맛에도 영향을 미친다. 스위스에서는 알프 치즈가 일반적으로 원산지 보호 명칭(AOP) 외에 특별 로고로 표시된다.[19]
8. 상업적 중요성
슬로 푸드 운동은 다양한 식물이나 동물의 역사, 이를 생산한 농부의 이야기, 그리고 궁극적으로 제품의 품질을 높이 평가한다. 요리사와 제빵사는 자신들의 창작물에 필요한 품질 목록을 개발하며, 테루아르는 이러한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와인 평론가들은 부르고뉴 그랑 크뤼 포도원의 피노 누아 와인의 가치가 "덜 중요한 테루아르"의 ''프리미에 크뤼'' 포도원에서 생산된 와인과 비교하여 더 높은 가격을 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의문은 와인 제조의 품질 및 기타 인간의 영향이 고려될 때에도 제기되는데, 이는 "덜 중요한" 프리미에 크뤼에서 더 높은 수준일 수 있다.
이러한 평론가들은 또한 신세계 와인과 구세계 와인의 차이점에 의문을 제기하며, 상당한 오크 숙성, 과숙된 과일, 배양 효모, 미세 산소 공급, 색소 첨가제와 같은 현대적인 와인 제조 기술이 서로 다른 지역을 독특하게 만드는 테루아르의 영향을 가리는지, 심지어 제거하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평론가들은 인기 있는 품종인 샤르도네로 만든 대량 생산 와인에 대한 균질화 효과를 자주 지적하는데, 이는 침습적이고 집중적인 와인 제조로 인해 테루아르 특성이 숨겨질 수 있다. 캘리포니아 와인에서 생산된 오크 향이 강하고 과숙된 샤르도네는 다른 지역의 동일한 스타일의 와인과 매우 유사한 맛을 낼 수 있다. 다양한 지역 및 생산자의 와인의 시장성은 와인 산업과 소비자 와인 시장 모두에서 테루아르에 부여하는 중요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일부 생산자는 테루아르와 테루아르가 와인에 미치는 영향을 축소한다.[2]
9. 비유럽 지역
미국에서는 테루아의 원칙이 몇몇 제한적인 경우에 적용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 농무부에 의해 정의된 비달리아 양파와 인디언 리버 과일이 있는데, 인디언 리버 과일은 미국 연방거래위원회가 정의한 지역 내에서 재배된 경우에만 해당 라벨을 사용할 수 있다.[21]
일부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테루아' 또는 '마리아주'와 같은 용어가 일본 만화를 통해 대중화되었다. 2008-09년 대한민국 드라마인 《떼루아》는 주요 등장인물 대부분이 와인 관련 일을 하고 있으며, 이 드라마의 제목은 주요 배경인 와인 레스토랑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고, 이 레스토랑 역시 테루아라는 개념에서 이름을 따왔다.
; 야마나시현(와인, 일본술)
: [https://hq.pref.yamanashi.jp/article/a02672/ 와인현 야마나시의 "테루아르"란? 야마나시의 노력과 테루아르가 키우는 풍미에 대해 설명]
: [https://hq.pref.yamanashi.jp/article/a02703/ 야마나시현의 일본술 테루아르란]
9. 1. 한국의 테루아르
2008년부터 2009년까지 대한민국에서 방영된 드라마 《떼루아》는 주요 등장인물 대부분이 와인 관련 일을 하고 있으며, 드라마 제목은 주요 배경인 와인 레스토랑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 레스토랑 역시 테루아라는 개념에서 이름을 따왔다.[21]10. 대중문화 속 테루아르
조나단 노시터의 2004년 다큐멘터리 ''몬도비노''는 와인 사업의 세계화를 탐구하며, 테루아르에 대해 이야기하는 주로 프랑스 출신의 소규모 생산자들과의 인터뷰를 담고 있다. 2006년 BBC 시리즈 ''오즈와 제임스의 와인 어드벤처''에서는 오즈 클라크가 제임스 메이에게 테루아르에 대해 가르치는 에피소드가 거의 전부를 할애하고 있다. 에피소드 마지막에 메이는 테루아르의 품질을 바탕으로 세 가지 와인을 성공적으로 식별하여 올바른 순서로 배치한다.
레스 블랭크와 지나 라이브레히트의 2007년 다큐멘터리 ''올 인 디스 티''는 중국 차 시장의 품질과 미래 지속 가능성을 위해 테루아르와 유기농 재배 방식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테루아르는 또한 일본 와인 만화 ''신의 물방울''에서도 자주 논의되는 주제이다. 영화 ''프렌치 키스''와 ''굿 이어''도 테루아르를 언급한다. 테루아르 인식은 1976년 프랑스 코미디 ''L'aile ou la cuisse''(《날개 아니면 허벅지》)에서 루이 드 퓌네스가 등장하는 줄거리 전환점이다. 2014년 키스 캐러딘은 존 조프슨의 에드거 앨런 포에게 영감을 받은 영화 ''테루아르''에 출연했다. 테루아르는 제프 반더미어의 2014년 소설 ''권위''에서도 자주 언급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terroir?
http://www.winophili[...]
2015-07-23
[2]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French Wine for Dummies
Wiley Publishing
[4]
서적
The Wine Bible
https://books.google[...]
Workman Publishing Company
2016-06-29
[5]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6]
논문
Integrated Analysis of Climate, Soil, Topography and Vegetative Growth in Iberian Viticultural Regions
[7]
논문
PNAS Plus: Microbial biogeography of wine grapes is conditioned by cultivar, vintage, and climate
[8]
논문
Quantifying separation and similarity in a Saccharomyces cerevisiae metapopulation
[9]
서적
Terroir and Other Myths of Winegrow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서적
Managing Wine Quality
[11]
문서
[12]
논문
The 'terroirist' social movement: The reawakening of wine culture in Spain
[13]
논문
Climate change is altering the chemistry of wine
https://knowablemaga[...]
2022-06-22
[14]
뉴스
Bordeaux Aims to Protect its Future with New Grape Varieties
https://www.winemag.[...]
2021-02-08
[15]
뉴스
Can Liquor Have a Local Taste? They're Banking on It
https://www.nytimes.[...]
2018-08-21
[16]
뉴스
Vive le Terroir
https://www.nytimes.[...]
2013-08-31
[17]
웹사이트
The end to a French cheese tradition?
http://www.bbc.com/t[...]
BBC
2018-06-18
[18]
간행물
The contribution of mountain pastures to the link to terroir in dairy and meat products
https://citarea.cita[...]
[19]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Chees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6
[20]
웹사이트
Vidalia Onions Grown in Georgia
https://www.law.corn[...]
[21]
웹사이트
History – Indian River Citrus League
http://ircitrusleagu[...]
[22]
웹사이트
What is terroir?
http://www.winophili[...]
2015-07-23
[23]
서적
French Wine for Dummies
Wiley Publishing
[24]
서적
The Wine Bible
https://books.google[...]
Workman Publishing Company
2016-06-29
[25]
서적
The Wine Bible
Workman Publishing
[26]
서적
The Oxford Companion to Wine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