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토리노-밀라노 철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리노-밀라노 철도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이름을 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협회와 토마스 브래시가 건설하여 1856년 토리노와 노바라 사이에 개통된 철도 노선이다. 이후 티치노강까지 연장되었으며, 1859년 마젠타에서 밀라노로 이어지는 다리가 개통되었다. 이 철도는 프랑스-사르데냐 연합군의 마젠타 전투 승리에 기여했고, 이탈리아 통일의 중요한 단계가 되었다. 20세기 초 국유화되어 페로비에 델로 스타토가 운영을 인수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중 손상되었으나 복구되었다. 현재 다양한 회사에서 화물 및 여객 열차를 운행하며, 토리노-밀라노 고속철도와 평행하게 놓여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에몬테주의 철도 노선 - 토리노 지하철
    토리노 지하철은 2006년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개통된 이탈리아 토리노 시의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VAL 시스템 기반의 1호선이 운행 중이며 2호선이 계획 단계에 있다.
  • 피에몬테주의 철도 노선 - 심플론 철도
    스위스 로잔에서 이탈리아 도모도솔라까지 이어지는 심플론 철도는 1906년 심플론 터널 개통과 함께 완공되어 스위스와 이탈리아를 잇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장거리, 지방간, 화물 열차가 운행된다.
  • 185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SEPTA 15호선
    SEPTA 15호선은 미국 필라델피아의 지라드 애비뉴를 따라 운행하는 노면 전차 노선으로, 1859년 개통 이후 여러 변화를 거쳐 2005년 트롤리 서비스로 복원되었으며 2024년 6월에 전차와 버스가 함께 운행할 예정이다.
  • 185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라퍼스빌–치겔브뤼케 철도 노선
    라퍼스빌–치겔브뤼케 철도 노선은 취리히와 쿠어 사이의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건설되었으며, 1858년 개통되어 1927년 전철화되었고, 현재 장크트갈렌 S-반 노선과 포어알펜 익스프레스가 운행한다.
토리노-밀라노 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노선 이름토리노-밀라노 철도
원어 이름Ferrovia Torino-Milano
노선 종류중궤조
노선 시스템해당 없음
노선 상태운행 중
노선 위치이탈리아
노선 기점토리노
노선 종점밀라노
역 개수18개 역, 8개의 정차장
노선S6
일일 승객 수해당 없음
개통일1859년 7월 1일
폐쇄일해당 없음
소유주RFI
운영자트렌이탈리아, 트레노르드
특징해당 없음
차량기지해당 없음
차량해당 없음
노선 길이 (km)153
노선 길이 (mi)해당 없음
노선 길이해당 없음
선로 길이 (km)해당 없음
선로 길이 (mi)해당 없음
선로 길이해당 없음
선로 수2
구 궤간해당 없음
차량 한계해당 없음
최소 곡선 반지름해당 없음
랙 시스템해당 없음
노선 번호해당 없음
선 번호해당 없음
전철화3 KV DC
속도 (km/h)160
속도 (mph)해당 없음
속도해당 없음
해발 고도 (m)해당 없음
해발 고도 (ft)해당 없음
해발 고도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노바라 근처의 철도
노바라 근처의 철도

2. 역사

이 철도는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 국왕의 이름을 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협회'와 계약한 토마스 브래시에 의해 건설되었다. 1856년 토리노-노바라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1859년 6월에는 티치노강을 건너 밀라노까지 연결되는 다리가 완공되었다.

개통 직후 이 철도는 마젠타 전투에서 프랑스-사르데냐 연합군의 보급로 역할을 수행하며 오스트리아 제국에 대한 승리에 기여했고, 이는 이탈리아 통일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후 노선은 1865년 이탈리아 북부 철도 협회(Società per le strade ferrate dell'Alta Italia)를 거쳐 1885년 지중해 철도 회사(Società per le Strade Ferrate del Mediterraneo)의 일부가 되었다.

2. 1. 건설과 개통

이 철도는 토마스 브래시가 Società Vittorio Emanueleita(당시 사르데냐와 피에몬테의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를 기리기 위해 '빅토르 에마누엘 회사'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회사)와 계약을 맺고 건설했다. 1856년 10월 20일 토리노노바라 사이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고, 1858년 10월 18일 티치노강까지 연장되었다. 당시 티치노강은 피에몬테와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였던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 사이의 국경이었다. 마젠타에서 밀라노로 이어지는 기존 철도와 연결하는 티치노강 위의 다리는 1859년 6월 1일에 완공되었다.

다리 개통 사흘 뒤, 나폴레옹 3세가 이끄는 프랑스-사르데냐 연합군은 새 철도를 통한 보급 지원 덕분에 마젠타 전투에서 오스트리아 군대를 물리쳤다. 이 승리는 이탈리아 통일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1]

이후 이 노선은 1865년부터 Società per le strade ferrate dell'Alta Italiaita (북이탈리아 철도)의 일부가 되었고, 1885년부터는 Società per le Strade Ferrate del Mediterraneoita (지중해 철도 회사)에 속하게 되었다.

2. 2. 이탈리아 통일에 기여

이 철도는 사르데냐와 피에몬테의 국왕이었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의 이름을 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협회'와의 계약에 따라 토마스 브래시가 건설했다. 1856년 10월 20일 토리노노바라 사이 구간이 먼저 개통되었고, 1858년 10월 18일에는 당시 오스트리아 제국의 일부였던 롬바르디아-베네치아 왕국과의 경계인 티치노강까지 노선이 연장되었다. 마젠타에서 밀라노로 이어지는 기존 철도와 연결되는 티치노강 다리는 1859년 6월 1일에 완공되었다.

다리가 개통된 지 불과 사흘 뒤, 나폴레옹 3세가 이끄는 프랑스-사르데냐 연합군은 마젠타 전투에서 오스트리아군을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 승리에는 새로 건설된 철도를 통해 원활하게 이루어진 보급품 수송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 전투의 승리는 이탈리아 통일 운동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1]

2. 3. 20세기

폰자나의 인터시티 열차


철도가 국유화되면서 이 노선은 국영 철도망에 포함되었고, 1905년에서 1906년 사이에 페로비에 델로 스타토(Ferrovie dello Stato)가 운영을 맡게 되었다.[7]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노선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1951년에는 일부 구간에서 임시적으로나마 운행이 재개되었다.

노바라에서 로까지의 주요 구간은 1960년 5월 시간표 변경과 함께 전철화되었다.[2] 토리노에서 노바라까지 나머지 구간은 다음 해인 1961년에 전철화되었는데, 이는 이탈리아 통일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4][8] 전철화 개통식은 주세페 스파타로(Giuseppe Spataro) 당시 교통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6월 4일에 열렸다.[3][9]

2000년대 초반, 노선 관리는 레테 페로비아리아 이탈리아나(Rete Ferroviaria Italiana)로 넘어갔다.

3. 특징

이 노선은 DC 3,000볼트 전압으로 전철화된 복선 철도이며, 표준궤를 사용하고 총 길이는 153km이다. 이탈리아의 철도 인프라 관리자인 RFI는 이 노선을 '기본 노선'linea fondamentaleita으로 분류한다.[5] 노선 상에는 세티모, 키바소, 산티아, 베르첼리, 노바라 등 5개의 주요 분기역이 있다.[6]

3. 1. 주요 분기역

분기역분기 노선[6]
세티모폰트 카나베세 방면
키바소이브레아/아오스타, 아스티, 알레산드리아 방면
산티아아로나, 비엘라 방면
베르첼리카살레, 파비아 방면
노바라비엘라, 알레산드리아/아로나, 도모도솔라, 바랄로 세시아 방면


3. 2. 고속철도와의 연계

이 철도 노선은 토리노-밀라노 고속철도와 평행하게 놓여 있으며, 운행 중에 여러 번 교차한다. 두 노선은 토리노 스투라, 세티모, 비안체, 노바라로 피에라 등 여러 지점에서 연결된다. 열차는 노선 대부분에서 최고 160km/h의 속도에 도달할 수 있으며, 마젠타와 프레냐나 밀라네세 사이의 속도 제한은 180km/h이다.[6]

4. 운행

이 노선은 다양한 회사가 운영하는 여러 종류의 화물 열차와 여객 열차에 사용된다.

4. 1. 여객 열차

이 노선은 다양한 회사가 운영하는 여러 종류의 화물 열차와 여객 열차에 사용된다.

트레니탈리아는 매일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운영한다.

  • 토리노와 밀라노 간 급행 광역 열차 20쌍
  • 노바라/베르첼리–키바소–토리노/이부레아 노선의 광역 열차
  • 토리노와 밀라노 간 인터시티 열차 1쌍
  • 토리노와 레조 칼라브리아 간 인터시티 야간 열차 2쌍


또한 밀라노–토리노–파리 노선에는 하루 6개의 TGV 서비스가 운행된다.

노바라–밀라노 구간은 트레노르드가 운영하는 밀라노 근교 철도 S6선에서도 사용되며, 키바소–토리노 구간은 트레니탈리아가 운영하는 토리노 광역 철도 2호선에서도 사용된다.

4. 2. 광역 철도

이 노선은 다양한 회사가 운영하는 여러 종류의 화물 열차와 여객 열차에 사용된다.

트레니탈리아는 매일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운영한다.

  • 토리노와 밀라노 간 급행 광역 열차 20쌍
  • 노바라/베르첼리–키바소–토리노/이부레아 노선의 광역 열차
  • 토리노와 밀라노 간 인터시티 열차 1쌍
  • 토리노와 레조 칼라브리아 간 인터시티 야간 열차 2쌍


또한 밀라노–토리노–파리 노선에는 하루 6개의 TGV 서비스가 운행된다.

노바라–밀라노 구간은 트레노르드가 운영하는 밀라노 근교 철도 S6선에서도 사용되며, 키바소–토리노 구간은 트레니탈리아가 운영하는 토리노 광역 철도 2선에서도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Italian Railways David & Charles 1971
[2] 논문 Giugno T.E. 1960-06
[3] 논문 T.E. sulla Milano-Torino. 3000 Volt sulla Modane-Alessandria 1961-06
[4] 서적 Storia delle ferrovie in Piemonte Il Punto 2002
[5] 웹사이트 La rete oggi in: Piemonte http://www.rfi.it/rf[...] www.rfi.it 2018-08-07
[6] 웹사이트 RFI, Fascicolo Linea 22 https://donet.rfi.it[...] RFI
[7] 논문 Giugno T.E. 1960-06
[8] 서적 Storia delle ferrovie in Piemonte Il Punto 2002
[9] 논문 T.E. sulla Milano-Torino. 3000 Volt sulla Modane-Alessandria 1961-06
[10] 웹인용 La rete oggi in: Piemonte http://www.rfi.it/rf[...] www.rfi.it 2018-08-07
[11] 웹인용 RFI, Fascicolo Linea 22 https://donet.rfi.it[...] RF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