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톱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톱밥은 목공 작업 시 발생하는 나무 먼지와 칩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파티클 보드, 펄프 제조, 숯 브리켓 생산 등 다양한 산업에서 활용되며, 연료, 버섯 재배 배지, 축산 및 애완동물 깔개, 완충재 등 다용도로 사용된다. 톱밥은 식품, 예술, 생활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활용되지만, 공기 중 톱밥은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을 수 있다. 톱밥 작업 시에는 안전을 위해 집진 시스템, 호흡 보호구 등의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 목분은 톱밥과 유사한 미세한 분말 형태의 목재로, 충전재, 건축 자재, 오염 제거제 등으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먼지 - 집진장치
    집진장치는 공기나 기체에서 먼지, 분진과 같은 고체 입자를 제거하는 장치로, 다양한 원리를 이용하여 입자를 분리하며 환경 규제 준수와 작업 환경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먼지 - 황사
    황사는 중국과 몽골 사막에서 발원하여 편서풍을 타고 동아시아로 이동하는 먼지 현상으로, 지구온난화와 사막화로 심화되어 국제적 협력이 요구된다.
  • 쓰레기 - 산업폐기물
    산업폐기물은 산업 활동 중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와 성분의 폐기물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며, 부적절한 처리 시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므로, 발생량 감량과 재활용률 증대, 환경 친화적 처리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
  • 쓰레기 - 바다 쓰레기
    바다 쓰레기는 해양에 유입되어 축적되는 인공적인 폐기물로, 플라스틱을 포함한 다양한 물질로 구성되며 해양 생태계 파괴, 사회·경제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국제적 해결 노력이 진행 중이다.
  • 환경화학 - 부영양화
    부영양화는 과도한 영양소 공급으로 수질이 악화되어 식물 성장이 과해지는 현상으로, 인간 활동으로 인해 심화되었으며 조류 대발생, 산소 고갈, 생물 다양성 감소 등을 초래하므로 영양염류 유입 감소와 농업 및 하수 관리 개선 등 다각적인 방지 노력이 필요하다.
  • 환경화학 - 토양 오염
    토양 오염은 유해 물질로 토지가 오염되어 인체 건강 및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다양한 정화 기술과 정책을 통해 해결하려는 환경 문제이다.
톱밥
개요
정의목재를 톱, 대패, 연마 등의 작업으로 가공할 때 생기는 작은 나무 조각 또는 가루
다른 이름나무밥 (문화어)
활용
용도동물 깔개
톱밥 벽돌 제조
퇴비 제조
균사체를 사용한 포장재 생산
바닥 청소 (기름이나 액체 흡수)
인형 속 채우기
점토와 결합하여 조형물 제작
폭발물 제조
주의사항톱밥을 태울 때 다량의 연기가 발생하며,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노출 시 질식 위험이 있음
건강특정 나무 톱밥은 발암 물질로 분류될 수 있으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
관련
관련 용어제재소
목공
목재
파티클보드
톱밥밥
기타
어원톱으로 켜서 생긴 가루
일본어 "오가쿠즈(おが屑)"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음.

2. 생성

톱밥은 톱질, 밀링, 샌딩과 같은 목공 작업 중에 발생하는 먼지와 칩, 두 가지 폐기물로 형성된다. 이러한 작업은 리그닌화된 목재 세포를 파쇄하고 전체 세포 및 세포 그룹을 파괴한다. 목재 세포가 파쇄되면 먼지가 생성되고, 전체 목재 세포 그룹이 파괴되면 칩이 생성된다. 세포 파쇄가 많을수록 더 미세한 먼지 입자가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톱질과 밀링은 세포 파쇄 및 칩 형성이 혼합된 과정인 반면, 샌딩은 거의 전적으로 세포 파쇄이다.

3. 용도

톱밥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산업: 파티클 보드의 주재료, 목재 펄프 제조, 커틀러 수지 및 파이크리트 제작에 사용된다.
  • 농업 및 축산업: 멀칭 재료, 고양이 모래 대체재, 버섯 재배용 배지, 가축 분뇨 처리 및 위생 관리, 목재 펠릿 등으로 활용된다.
  • 연료: 숯 브리켓 제조, 오가라이트, 오가탄 등 연료로 사용된다.
  • 생활: 얼음 창고 보냉재, 액체 유출물 흡수, 새우 출하, 철도역 구토물 처리, 바이오 화장실 등에 사용된다.
  • 예술 및 기타: 예술 작품, 모형 철도 및 기타 모형의 흩뿌리기 재료, 포장 완충재, 괴수 슈트 조형 소재로 사용된다.
  • 식품: 섬유소 추출 후 저칼로리 식품 충전재, 소시지 케이싱, 빵 충전재 등으로 사용된다.

3. 1. 산업

파티클 보드의 주요 재료이며, 굵은 톱밥은 목재 펄프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커틀러 수지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물과 혼합하여 얼리면 파이크리트가 형성되는데, 이는 천천히 녹는 얼음의 훨씬 더 강한 형태이다.

3. 2. 농업 및 축산업

톱밥은 멀칭 재료나 고양이 모래 대체재로 사용된다.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표고버섯 등 버섯 재배용 배지로도 쓰이는데, 한국에서는 버섯 산업이 발달하여 톱밥을 이용한 버섯 재배가 활발하다.

목재 펠릿 형태로 가공된 톱밥은 축산 및 애완동물 깔개로도 활용된다. 한국 축산업에서도 톱밥은 가축 분뇨 처리와 위생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3. 연료

톱밥은 연료로 사용될 수 있다. 톱밥은 파티클 보드 제조나 목재 펄프 생산에 사용되는 굵은 톱밥과는 달리 다양한 실용적인 용도로 활용된다. 톱밥은 숯 브리켓 제조에도 사용되는데, 최초의 상업용 숯 브리켓은 헨리 포드가 자동차 공장에서 생산된 나무 조각과 톱밥을 활용하여 만들었다.[3]

고체화된 톱밥 연료인 오가라이트는 목욕 등의 연료로 사용되었으나, 가정용 가스나 등유 등의 보급으로 수요가 감소하였다. 오가라이트를 목탄화한 오가탄은 숯불구이 음식점에서 수요가 높지만, 국내산은 품질이 좋은 반면 제조 유통량이 적고, 대부분 중국아시아 각국에서 수입된 숯이 사용된다.

3. 4. 생활

냉장 기술이 발명되기 전, 톱밥은 여름 동안 얼음을 보관하기 위해 얼음 창고에서 사용되었다. 톱밥은 액체 유출물을 흡수하여 쉽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어, 과거 술집 바닥에 흔히 사용되었다.[2] 새우는 톱밥을 저장한 장소의 습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비교적 오랫동안 살아있기 때문에 출하 시 톱밥이 사용된다. 철도역에서는 구토물 청소 시 톱밥을 뿌려 수분을 흡수시켜 처리한다.[37]

수세식 변소 설치가 어려운 장소에서는 바이오 화장실이 사용되는데, 배설물 처리에 톱밥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톱밥과 섞여 처리된 잔사는 퇴비로도 사용 가능하다. 한국에서는 등산로나 자연휴양림 등 수세식 화장실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 톱밥을 이용한 바이오 화장실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3. 5. 예술 및 기타

톱밥은 예술 작품, 모형 철도 및 기타 모형에서 흩뿌리기 재료로 사용된다. 포장 시 완충재로 사용되기도 한다.[2] 쇼와 시대의 특촬 영화에서는 괴수 슈트 조형 소재로 사용되었다. 톱밥을 라텍스에 섞어 표면에 두드리면서 발라 표피의 가시를 표현했다.

3. 6. 식품

섬유소(cellulose)는 인간이 소화할 수 없는 섬유 전분으로, 일부 저칼로리 식품의 충전재로 사용될 수 있다.[4] 톱밥에서 추출한 섬유소는 소시지 케이싱[6], 빵의 충전재[7]로 사용되었다. 곡물이 부족했을 때, 톱밥은 ''콤미스브로트''의 재료로 사용되기도 했다.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 생존자 니즐리 미클로스는 그의 저서에서 요제프 멩겔레 박사를 보좌하던 의무진이 "톱밥을 뿌린 야생 밤으로 만든 빵"으로 연명했다고 기록했다.[8] 이는 나치가 저지른 잔혹한 인권 유린 행위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사례로, 역사의 교훈을 되새기게 한다.

4. 건강 문제

공기 중의 톱밥과 톱밥 축적은 여러 건강 및 안전 위험을 초래한다.[9] 샌딩과 같은 공정에서 생성되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나무 입자는 흡입 시 잠재적인 건강 문제가 된다. 나무 먼지는 인간에게 알려진 발암 물질이며,[10][11] 특정 나무와 그 먼지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독소를 함유하고 있다.[12] 톱밥의 구성은 톱밥의 재료에 따라 달라지는데, 천연 목재에서 생성된 톱밥은 가공된 목재나 목재 베니어에서 생성된 톱밥과 다르다.

물속 세균은 침출수 내 유기물을 분해하지만, 가용 산소를 소모하여 물고기 등 다른 유기체를 질식시킬 수 있다. 이는 유익한 세균에도 해로운 영향을 미치므로, 가정용 수족관 내에서 톱밥을 사용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는다.

4. 1. 호흡기 질환

여러 공정에서 생성된 경목 분진의 입자 크기 분포 (0-9마이크론). 질량 기준으로 측정, 수치적 측정 아님 (PNC)


공기 중의 톱밥과 톱밥 축적은 여러 건강 및 안전 위험을 초래한다.[9] 샌딩과 같은 공정에서 생성되어 공기 중에 떠다니는 나무 입자는 흡입 시 잠재적인 건강 문제가 된다. 나무 먼지는 인간에게 알려진 발암 물질이며,[10][11] 특정 나무와 그 먼지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독소를 함유하고 있다.[12]

공기 중의 나무 먼지를 흡입하면 알레르기성 호흡기 증상, 점막 및 비알레르기성 호흡기 증상, 그리고 암을 유발할 수 있다.[13] 미국 정부 산업 위생 전문가 회의(ACGIH), 미국 산업안전보건청(OSHA), 미국 국립 산업안전보건연구원(NIOSH) 모두 나무 먼지를 비강과 부비동 관련 발암 물질로 인정한다.[14]

사람들은 작업장에서 나무 먼지를 흡입하거나, 피부 또는 눈에 접촉하여 노출될 수 있다. OSHA는 작업장에서의 나무 먼지 노출에 대한 법적 제한(허용 노출 한계)을 8시간 작업일 기준 총 노출 15mg/m3, 호흡기 노출 5mg/m3로 설정했다. NIOSH는 8시간 작업일 기준으로 1mg/m3의 권장 노출 한계(REL)를 설정했다.[15]

4. 2. 입자 크기와 노출

목재 분진 입자 크기는 인체 호흡기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분류된다. 50 μm 미만의 입자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으며,[19] 100 μm 미만의 입자는 인체 호흡기 건강과 관련하여 우려된다.

Zhang (2004)는 호흡 분획에 따라 실내 미립자의 크기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20]

호흡 분획크기 범위
흡입성≤ 100 μm
흉부≤ 10 μm
호흡성≤ 4 μm
극미세≤ 0.5 μm



입과 눈 근처에 침전되어 유기체로 들어가는 입자는 흡입성 분획, 즉 총 먼지로 정의된다. 연골이 없는 호흡기에 침투하는 더 작은 분획은 호흡성 먼지로 정의된다.[21] 목재 산업에서 배출되는 먼지는 최대 5 μm까지 입자가 분해되는 특징을 가지며,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비강에 침전되어 상부 호흡기의 암 위험을 증가시킨다.[22]

공기 중의 목재 분진 노출을 특성화하는 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매개변수는 총 목재 분진 농도로, 단위 부피당 질량(mg/m3)으로 표시한다.[23]

유럽 연합(EU-25)의 연구에 따르면, 2000~2003년 동안 약 360만 명의 근로자(EU-25 고용 인구의 2.0%)가 직업적으로 흡입 가능한 목재 분진에 노출되었다. 가장 높은 노출 수준은 건설 부문과 가구 산업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24]

4. 3. 암 발생

톱밥은 인간 대상 연구에서 발암성이 충분히 입증되어 인간 발암 물질로 알려져 있다.[25] 톱밥 노출은 코(비강 및 부비동) 암 발생률 증가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수많은 사례 보고, 코호트 연구, 사례 대조 연구에서 관찰되었다.[25]

5. 안전 대책

톱밥 작업 시 발생하는 분진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안전 대책이 사용된다. 공기 중 분진 농도를 낮추기 위한 집진 시스템과 함께, 개인 호흡 보호구를 사용하여 작업자를 분진으로부터 격리시킬 수 있다.

5. 1. 환기 시스템

톱밥 작업 시 공기 중의 분진 농도를 낮추기 위해 집진 시스템이 사용된다. 집진 시스템은 국소 배기 환기 시스템과 실내 환기 시스템으로 나뉜다. 개인 보호 장비의 일종인 개인 호흡 보호구를 사용하면 작업자를 분진으로부터 격리시킬 수도 있다.[28]

5. 1. 1. 국소 배기 환기 (LEV)

국소 배기 환기 장치(LEV)는 먼지가 발생하는 지점으로부터 폐기물 처리 장치까지 파이프 시스템을 통해 흡입력으로 공기를 끌어온다. 국소 배기 환기 장치는 먼지 발생 지점의 먼지 후드, 환기 덕트, 공기 정화 장치(폐기물 분리기 또는 집진기) 및 공기 이동 장치(팬, 임펠러라고도 함)의 네 가지 요소로 구성된다.[26] 목공 작업에서 발생하는 먼지와 칩이 포함된 공기는 임펠러에 의해 흡입되며, 임펠러는 일반적으로 폐기물 처리 장치 또는 집진기 내부에 내장되거나 가까이에 배치된다.

목공 LEV 시스템의 성능 지침이 존재하며, 이는 많은 국가에서 존재하는 직업적 공기질 규정과 연관된다.

5. 1. 2. 저유량/고속 (LVHV)

저유량/고속(LVHV) 포집 시스템은 절삭 공구의 작동 지점과 통합되도록 설계되거나 매우 가깝게 배치된 추출 후드를 사용하는 특수 유형의 국소 배기 환기 장치(LEV)이다. 후드는 오염 물질 배출 지점에서 종종 50m (10000fpm) 이상의 높은 포집 속도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높은 속도에는 일반적으로 0.02m3/s (50cfm) 미만의 공기 흐름이 동반되며, 이는 사용되는 후드의 작은 표면적에서 비롯된다.[27] 이러한 시스템은 휴대용 전동 공구에 선호되게 되었지만, 기술 채택은 널리 퍼지지 않았다. 페스툴(Festool)은 공구 설계에 통합된 LVHV 환기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동 공구 제조업체 중 하나이다.

5. 1. 3. 실내 환기

적절하게 설계된 경우 일반 환기는 공기 중 먼지 제어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 환기는 피부와 의류 오염, 표면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28]

6. 환경 문제

제재소에서 발생하는 톱밥은 파티클 보드 제조, 소각, 난방 등에 활용되지 않으면 쌓여서 환경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톱밥 더미에서 나오는 침출수는 주변 물을 오염시킬 수 있으며, 이는 소규모 제재업자와 환경 당국 간의 갈등을 빚고 있다.[1]

6. 1. 환경 오염 논란

제재소에서 톱밥이 파티클 보드로 재가공되거나 소각, 또는 다른 제재 작업에 사용되지 않으면 더미로 쌓여 유해한 침출수를 지역 수계에 유입시켜 환경적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논란이 있다. 이는 소규모 제재업자와 환경 기관 간의 갈등을 야기했다.[1]

톱밥이 환경적 위험이라는 결정에 대한 과학적 근거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제재소 운영자들은 톱밥을 숲 속의 죽은 나무와 비교하며, 기술 고문들은 일부 환경 연구가 표준화된 방법론이나 야생 동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증거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또한, 넓은 배수 구역을 고려하지 않아 부지에서 물로 유입되는 물질의 양이 과장되었다고 주장한다.[1]

하지만 다른 과학자들은 "희석은 오염의 해결책"이라는 주장은 더 이상 환경 과학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고 반박한다. 숲 속의 나무 분해는 톱밥의 영향과 유사하지만, 제재소는 한 곳에 수천 입방 미터의 목재 잔재를 저장할 수 있어 농축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이다.[1]

나무가 살아있는 동안 포식자로부터 나무를 보호하는 리그닌지방산과 같은 물질은 물에 침출되어 야생 동물을 중독시킬 수 있다. 제재소에서 이러한 물질이 고농도로 유출되면, 광범위한 유기체에 해로운 독성을 유발한다.[1]

7. 목분 (Wood Flour)

폐기물로써의 톱밥


목분(Wood flour)은 모래나 톱밥과 거의 같은 질감을 가진 미세하게 분쇄된 목재이다. 입자 크기는 미세한 가루에서 쌀알 크기까지 다양하다. 대부분의 목분 제조업체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질감을 가진 목분을 만든다. 고품질 목분은 내구성과 강도 때문에 활엽수로 만들어진다. 매우 낮은 등급의 목분은 때때로 소나무전나무와 같은 수액이 없는 침엽수로 만들어지기도 한다.

7. 1. 목분 활용

목분은 베이클라이트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및 리놀륨 바닥재의 충전재로 사용된다. 목재/플라스틱 복합 건축 제품의 주요 성분이기도 하다. 1920년 이전에는 에디슨 다이아몬드 디스크의 충전재로 사용되었다.[17]

발전소의 누수된 주 응축기(열 교환기) 튜브의 작은 벽 관통 구멍을 막는 데에도 목분이 사용되었다. 소량의 목분을 냉각수 공급 라인에 주입하여 구멍을 막는 방식인데, 주입된 목분 중 일부는 작은 구멍을 막고 나머지는 비교적 환경 친화적인 방식으로 발전소 밖으로 배출된다.

흡착성 때문에 다양한 직업에서 기름이나 오물을 제거하는 세척제로 사용되었으며, 물에서 오염을 제거하는 능력으로도 알려져 있다.[18]

목분은 곡물 충전재 화합물의 결합제로 사용될 수 있다.

8. 역사

2008년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제재소 운영자들은 톱밥을 거의 공짜로 처리해야 했다. 이들은 톱밥을 숲에 버리거나 태워 없앴다. 그러나 최근에는 톱밥에 대한 시장이 형성되었다.[1] 예를 들어, 톱밥은 바이오매스 발전소에서 연료로 사용되거나, 낙농가에서 가축 깔짚으로 판매된다.[1]

참조

[1] 간행물 Wood Dust http://monographs.ia[...] IARC 1995
[2] 서적 Why Did Bars Used to Put Sawdust on the Floor? Why Don't They Anymore?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2005
[3] 서적 Wood: Craft, Culture,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Books 2006
[4] 뉴스 Why Wood Pulp Makes Ice Cream Creamier https://www.wsj.com/[...] 2011-05-04
[5] 문서
[6] 웹사이트 Small-scale sausage production: Sausage Casings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1985
[7] 뉴스 Bread Labels on Wood Fiber Draw Attack https://www.latimes.[...] 1985-10-09
[8] 서적 Auschwitz: A Doctor's Eyewitness Account New York: Arcade Publishing 2011
[9] 웹사이트 Wood Dust Exposure https://safeatworkca[...] State Compensation Insurance Fund 2012-04-30
[10] 웹사이트 Report on Carcinogens, Twelfth Edition, Wood Dust https://web.archive.[...] 2014-07-12
[11] 웹사이트 FINAL Report on Carcinogens Background Document for Wood Dust http://ntp.niehs.nih[...] 2014-07-12
[12] 웹사이트 Wood Allergies and Toxicity http://www.wood-data[...] The Wood Database
[13] 웹사이트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Wood Dust. http://www.osha.gov/[...]
[14] 간행물 Wood Dust: An Occupational Hazard Which Increases the Risk of Respiratory Disease http://www.jpp.krako[...] 2007
[15] 웹사이트 CDC -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 Wood dust https://www.cdc.gov/[...] 2015-11-28
[16] 웹사이트 canadiangeographic.ca http://www.canadiang[...]
[17] 웹사이트 Edison Diamond Disc information from Tim Gracyk http://www.gracyk.co[...]
[18] 논문 Synthesis or Amino-Functionalized Waste Wood Flour Adsorbent for High Capacity PB(II) Adsorption 2019
[19] 서적 Indoor Air Quality Engineering CRC Press 2004
[20] 서적 Indoor Air Quality Engineering CRC Press 2004
[21] 간행물 Wood Dust: An Occupational Hazard Which Increases the Risk of Respiratory Disease http://www.jpp.krako[...] 2007
[22] 간행물 Wood Dust: An Occupational Hazard Which Increases the Risk of Respiratory Disease http://www.jpp.krako[...] 2007
[23] 간행물 IARC Monographs on the Evaluation of Carcinogenic Risks to Humans http://monographs.ia[...] IARC 1995
[24] 간행물 Occupational Exposure to Inhalable Wood Dust in the Member States of the European Union 2006
[25] 간행물 Final Report on Carcinogens. Background Document for Wood Dust. Meeting of the NTP Board of Scientific Counselors, December 13–14, 2000. https://ntp.niehs.ni[...]
[26] 간행물 Chapter 41: Local Exhaust Systems www.cdc.gov/niosh/pd[...] US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Health and Safety (NOISH) 1973
[27] 서적 Ventilation for Control of the Work Environment John Wiley & Sons 2004
[28] 간행물 Hazard Prevention and Control in the Work Environment: Airborne Dust https://www.who.int/[...] 1999
[29] 웹사이트 Sawdust: Once a nuisance, now valuable https://www.seattlet[...] 2008-04-03
[30] 간행물 5. 山で働く https://kumamoto-mus[...] 熊本県企画振興部文化企画課 2010-09-10
[31] 보도자료 健康と美容に特化した発酵酵素の温浴サロンが滋賀県長浜にニューオープン! https://prtimes.jp/m[...] 湖北ライフスタイル研究所 2021-03-19
[32] 보도자료 ザ・レインホテル京都から「ファスティング宿泊プラン」販売開始 https://prtimes.jp/m[...] ALM 2021-07-16
[33] 보도자료 箱根の大自然に囲まれた山のリゾート「ふふ 箱根」 2022年1月26日開業 https://prtimes.jp/m[...] カトープレジャーグループ 2021-08-18
[34] Kotobank クワガタムシ
[35] Kotobank カブトムシ
[36] 웹사이트 カブトムシの飼育方法・豆知識 https://www.dcm-hc.c[...] DCM 2022-04-01
[37] 뉴스 駅に置いてある「おが屑」の使い道って? https://www.excite.c[...] エキサイト 2008-02-04
[38] 서적 幻想映画美術体系 大ゴジラ図鑑 ホビージャパン 1995-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