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툴레 공군기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툴레 공군기지는 그린란드에 위치한 미국 공군 기지이다. 1951년 건설되어, 전략 항공 사령부, 항공우주 방어 사령부 등을 거쳐 2019년 미국 우주군으로 이관되었다. 1950년대에는 B-36, B-47, B-52 등 전략 폭격기의 기지로 활용되었으며,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시스템(BMEWS) 레이더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현재는 피투피크 우주 기지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제12 우주 경보 비행대대, 제23 우주 작전 비행대대 등이 주둔하고 있다. 1968년 B-52 추락 사고로 방사능 오염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툰드라 기후로 인해 영구 동토 위에 건설된 기지 구조물이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핀만 - 배핀 해류
    배핀 해류는 북극해에서 래브라도 해류로 이어지는 차가운 해류이며, 서쪽 그린란드 해류와 배핀 섬 주변의 물이 섞여 형성된다.
  • 그린란드의 공항 - 누크 공항
    누크 공항은 1979년 건설된 그린란드 수도의 공항으로, 2024년 재건축을 통해 국제선 운항 능력을 강화했으며 에어 그린란드의 허브 공항으로서 국내외 노선을 연결하고, 2025년부터는 유나이티드 항공과 스칸디나비아 항공이 계절편을 운항할 예정이다.
  • 미국 공군 기지 - 칸다하르 국제공항
    칸다하르 국제공항은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에 위치하며, 미국이 건설하고 탈레반의 거점이었다가 미군 기지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여러 항공사의 노선이 운항하고 과거에 납치 및 테러 사건이 발생한 공항이다.
  • 미국 공군 기지 - 에드워즈 공군기지
    에드워즈 공군기지는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미국 공군 기지로, 항공기 개발의 중심지로서 혁신적인 항공 기술 시험 및 개발, 그리고 척 예거의 음속 돌파, X-15 프로그램, 우주왕복선 시험 착륙 등 항공 역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다.
툴레 공군기지
지도 정보
피투피크 우주 기지의 항공 사진. 배경에는 [[손더스 섬 (그린란드)|손더스 섬]]과 오른쪽에 톰볼로가 있다.
피투피크 우주 기지의 항공 사진. 배경에는 손더스 섬과 오른쪽에 톰볼로가 있다.
[[제1 우주 기지 델타]]의 방패
제1 우주 기지 델타의 방패
기본 정보
이름피투피크 우주 기지
위치그린란드, 아반나타, 카나크 근처
운영미국 우주군
관리제1 우주 기지 델타
종류미국 우주군 기지
좌표76°31′52″N 68°42′11″W
고도76.5m
IATATHU
ICAOBGTL
WMO042020
활주로 번호08T/26T
활주로 길이3047m
활주로 표면아스팔트 콘크리트
역사
건설 시작1943년
사용 시작1943년–현재
상태운영 중
사건B-52 추락 사고 (1968년)
구성
주둔군제821 우주 기지 그룹
지휘관

2. 역사

툴레 지역의 역사는 19세기 초 이누이트 원주민과 서구 탐험대의 만남으로 시작되었다. 20세기 초 탐험가 크누드 라스무센이 이곳에 정착지를 세우고 "툴레"라 명명했다. 제2차 세계 대전덴마크나치 독일에 점령되자, 미국그린란드 방어를 명분으로 이 지역에 군사 시설을 건설하기 시작했다.

냉전이 시작되면서 툴레는 소련과의 지리적 근접성 때문에 전략적 요충지로 부상했다. 1951년, 미국 공군은 대규모 공군 기지 건설을 시작했으며, 이 과정에서 원주민 이누이트들은 원래 거주지에서 강제 이주되는 아픔을 겪었다. 이 강제 이주 문제는 이후 수십 년간 논란이 되었고, 덴마크 법원은 이를 불법 행위로 판결했다.

냉전 시기 툴레 공군 기지는 미국의 핵심 전략 기지 역할을 수행했다. 1968년에는 핵무기를 탑재한 B-52 스트라토포트리스 폭격기가 기지 인근에 추락하여 방사능 오염을 일으키는 심각한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냉전 종식 후 기지의 역할은 변화하여,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및 위성 관제 임무를 주로 수행하게 되었다. 2020년 미국 우주군으로 공식 이관되었으며, 2023년에는 지역의 원주민 명칭을 반영하여 피투피크 우주 기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 1. 초기 역사 및 원주민 이주 문제

1818년, 존 로스 경이 이끄는 탐험대가 이 지역에서 유목 생활을 하던 이누이트와 처음으로 접촉했다. 이후 1849년부터 1850년까지 제임스 손더스가 지휘하는 HMS ''노스 스타'' 탐험대가 노스 스타 만에 머물며 주변 지형에 이름을 붙였다.[5] 1892년에는 로버트 피어리가 상징적인 던다스 산 기슭의 항구에 지원 기지를 건설했는데, 이곳은 그의 북극 탐험 기지로 활용되면서 점차 사람들이 정착하기 시작했다. 1910년, 탐험가 크누드 라스무센은 이곳에 선교소와 무역소를 세우고, 고전적인 ''울티마 툴레'' 전설을 따라 지역 이름을 "툴레"라고 명명했다. 이누이트들은 이곳을 ''우마나크''("심장 모양")라고 불렀으며, 오늘날에는 주로 "던다스"라고 불린다. 한편, 미국은 1917년 미국령 버진 아일랜드를 구매하는 대가로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했고, 덴마크는 1937년부터 이 마을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원래 기지가 건설된 넓은 평원에는 이누이트들이 "피투피크"("개들이 묶여 있는 곳")라고 부르는 작은 정착지가 있었다. 1951년 미군 기지 건설이 시작되면서 이곳 주민들은 툴레 마을로 강제 이주되었다. 이후 1953년, 미국 공군이 툴레 마을 근처에 방공 기지를 추가로 건설할 계획을 세우자, 덴마크 정부는 군인들과 원주민의 접촉을 제한한다는 명분으로 "올드 툴레" 주민 약 130명을 다시 북쪽으로 약 약 96.56km 떨어진 곳에 새로 건설된 마을로 이주시켰다. 이 새로운 마을 역시 툴레(구어체로는 "뉴 툴레")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카아나크로 알려져 있다.

이 강제 이주 문제는 수십 년간 논란이 되었고, 결국 2003년 11월 28일 덴마크 대법원은 이 이주가 불법적인 수용 행위였음을 인정하는 판결을 내렸다. 재판 과정에서 덴마크 정부 스스로도 이주 조치가 지역 주민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준 불법 행위였음을 시인했다. 판결에 따라 툴레 부족은 50만덴마크 크로네의 손해 배상을 받았으며, 강제 이주를 겪은 개별 주민들에게는 각각 1.5만덴마크 크로네 또는 2.5만덴마크 크로네의 보상금이 지급되었다. 이주 후에도 덴마크 라디오 방송국은 던다스에서 계속 운영되었고, 버려진 집들은 그대로 남았다. 미국 공군은 해당 지역을 약 10년 정도 사용한 뒤 민간에 반환했다.

공군 기지 부지 선정과 관련해서는, 크누드 라스무센이 처음으로 피투피크 평원이 공항 건설에 이상적이라고 생각했다. 손드레스트롬 공군 기지 건설을 주도했던 USAAF의 번트 발첸 대령은 라스무센의 아이디어를 알고 있었고, 1942년 8월 두 대의 컨솔리데이티드 PBY 카탈리나 비행정을 이끌고 툴레를 방문한 뒤 헨리 "해프" 아놀드 사령관에게 공군 기지 건설을 건의하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1951년에 건설된 공군 기지는 1946년 처음 만들어진 활주로에서 몇 킬로미터 내륙으로 이동했으며, 역사적인 툴레 정착지와는 만 건너편에 위치하게 되었다. 덴마크와 미국 간의 조약에 따라 설정된 공동 방어 구역은 공군 기지 자체뿐만 아니라 상당한 내륙 지역까지 포함한다.[6]

2. 2.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1940년 4월 9일 독일이 덴마크를 점령하자, 미국 주재 덴마크 대사 헨리크 카우프만은 독일의 침략으로부터 그린란드덴마크 식민지를 보호한다는 명분 아래, "국왕의 이름으로" 미국과 독자적으로 협정을 추진했다. 이 행동으로 카우프만은 덴마크의 보호 정부로부터 반역죄로 고발당하기도 했다. 툴레 지역에 미국이 지원하는 첫 시설은 1941년 4월 9일, 미국 국무장관 코델 헐과 카우프만 대사가 워싱턴 D.C.에서 ''그린란드 방어에 관한 협정''에 서명하면서 마련되었다. 덴마크 정부는 이 조약을 비난했지만, 조약은 미국이 북미에 대한 위협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한 그린란드에서 군사 기지를 운영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1941년 여름부터 미국 해안 경비대와 전쟁부는 나르사르수아크 공항 (블루이 웨스트-1), 손드레스트롬 공군 기지 (블루이 웨스트-8), 이카테크 (블루이 이스트 투), 그뢰네달 (블루이 웨스트-9) 등 그린란드 남부에 기상 및 무선 기지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1943년에는 미국 육군 항공대가 동해안의 스코레스비순 (블루이 이스트-3)과 덴마크 인력이 운영하던 툴레 (블루이 웨스트-6)에 기상 관측소를 설치했다. 당시 북쪽에 위치한 BW-6(툴레)는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여겨졌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 덴마크는 카우프만 조약을 비준했으나, 미국 시설을 인수하려고 시도했다. 그러나 1946년 여름, 툴레에는 미국-캐나다의 북극 고지대 공동 기상 관측소 건설 계획의 일환으로 자갈 활주로와 고층 기상 관측소가 들어섰다. 이 시설은 미국과 덴마크가 공동으로 운영했으며, 위치는 기존의 툴레(던다스) 민간 마을에서 본토의 피투피크로 옮겨졌다. 1946년부터 1951년까지 이 활주로는 북극 재보급, 항공 지도 제작, 연구 및 수색 구조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49년 덴마크가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에 가입하면서 미국의 기지 철수 요구는 사실상 중단되었다. 이듬해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미국 공군은 전 세계적인 기지 건설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툴레는 소련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선박 보급이 가능한 최북단 항구라는 이점 때문에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로 부상했다. 툴레는 미국의 핵 보복 전략에서 핵심 거점이 되었는데, 전략 공군 사령부(SAC) 폭격기가 북극 상공을 통해 비행하는 것이 영국 기지를 이용하는 것보다 조기 경보에 노출될 위험이 적었기 때문이다. 또한 방어적으로는 캐나다와 미국 북동부로 향하는 소련 폭격기를 요격하는 기지 역할을 할 수 있었다.

1950년 11월, 고든 P. 새빌이 이끄는 공군 장교단은 툴레에 공군 기지를 건설할 것을 권고했고, 이는 합동 참모 본부의 지지와 트루먼 대통령의 승인을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체결된 협정을 대체하기 위해 1951년 4월 27일 새로운 그린란드 관련 협정이 비준되었으며(1951년 6월 8일 발효), NATO의 요청에 따라 이 협정은 NATO 방위 프로그램의 일부가 되었다. 협정은 두 국가가 그린란드 방위 구역으로 지정된 NATO 지역 방어를 위해 NATO군이 그린란드 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의하는 내용을 담았다. 1951년 조약 비준 이후 기지에는 덴마크 국기가 미국 국기와 나란히 게양되기 시작했다.

툴레 공군 기지 건설은 블루 제이 작전이라는 암호명 아래 비밀리에 진행되었으나, 1952년 9월에 그 존재가 공개되었다. 건설은 1951년에 시작되어 1953년에 완료되었으며, 그 규모와 노력은 파나마 운하 건설에 비견될 정도였다고 평가된다.[8] 미국 해군은 버지니아 노퍽의 해군 조선소에서 대부분의 인력, 물자, 장비를 수송했다. 1951년 6월 6일, 120척으로 구성된 선단이 노퍽 해군 기지를 출발했으며, 여기에는 12,000명의 인력과 300,000톤의 화물이 실려 있었다. 이들은 1951년 7월 9일 툴레에 도착했다. 여름철 백야 기간 동안 24시간 내내 건설 작업이 진행되었고, 작업자들은 숙소가 완공될 때까지 선박에서 생활했다.

1951년 6월 16일, 프랑스의 문화 인류학자이자 지리학자인 장 말로리와 그의 이누이트 친구 쿠티키소크가 지구 자기 북극에서 돌아오는 길에 우연히 건설 중인 기지를 발견하기도 했다.[9]

2. 3. 1968년 B-52 추락 사고

1968년 1월 21일, 미국 뉴욕주 플래츠버그 공군 기지의 제380 전략 항공우주단 소속 B-52G 스트라토포트리스 한 대가 비밀 공중 핵 경계 임무를 수행하던 중 툴레 공군 기지 인근 얼음에 추락하여 화재가 발생했다.[26] 이 사고로 기체에 탑재되어 있던 4발의 B28 핵폭탄에 포함된 고폭 화약이 폭발했으나, 무기의 퍼미시브 액션 링크(PAL) 및 안전 장치 덕분에 핵반응이나 핵융합 반응과 같은 실제 핵폭발은 일어나지 않았다. 하지만 추락과 화재로 인해 사고 현장 주변에 광범위한 방사능 오염이 발생했다.[26]

사고 수습 과정에서 700명 이상의 덴마크 민간인과 미군 인력이 별다른 보호 장비 없이 핵 폐기물 제거 작업에 동원되었다.[27] 이후 1987년, 당시 작업에 참여했던 덴마크 노동자 약 200명이 건강 피해 등을 이유로 미국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려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덴마크 국립 방사선 위생 연구소의 수석 컨설턴트인 카레 울바크는 덴마크 정부가 툴레 노동자들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추적 조사했으며, 조사 결과 사망률 증가나 암 발병률 증가와 같은 유의미한 건강 이상 징후는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28][29][30]

미국 국방부(펜타곤)는 사고로 인해 4개의 핵무기가 모두 파괴되었다고 공식 발표했다. 사고 관련 세부 정보 중 상당수는 여전히 기밀로 분류되어 있지만, 일부 정보는 미국의 정보 공개법에 따라 공개되었다. 2007년 5월, 영국의 BBC 뉴스는 공개된 파일을 검토한 결과 미 공군이 핵무기 중 하나를 회수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하며 무기 분실 의혹을 제기했다.[27] 그러나 2009년, 공개 해제된 문서를 추가로 검토한 덴마크 정부의 보고서는 BBC의 주장을 반박하며 4개의 핵무기가 모두 설명되었다고 결론지었다.[31]

2. 4. 우주군 기지로의 전환

2017년 툴레 공군 기지 상공의 오로라


툴레는 1982년 공군 우주 사령부 기지가 되었다. 현재 툴레는 툴레 방어 지역 내에서 공군 기지 지원 책임을 수행하는 제821 공군 기지 그룹의 본거지이다. 이 기지에는 북미를 향해 발사된 ICBM을 탐지하고 추적하기 위해 설계된 탄도 미사일 조기 경보 기지인 제12 우주 경고 비행대대(제21 작전 그룹, 제21 우주 비행단)가 주둔하고 있다. 미사일 경고 및 우주 감시 정보는 콜로라도주 피터슨 우주 기지에 위치한 북미 항공 우주 방위 사령부(NORAD) 지휘 센터로 전달된다. 툴레는 또한 제50 우주 비행단의 글로벌 위성 제어 네트워크의 일부인 제23 우주 작전 비행대대 제1 분견대의 기지이며, 여러 새로운 무기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비행장에는 길이 3047m, 폭 42m의 아스팔트 활주로가 있으며, 연간 3,000회의 미국 및 국제선 항공편이 운항한다.

2010년 9월 초 북대서양 조약 기구 의회 대표단이 툴레를 방문했을 당시, 기지 사령관은 약 600명의 인원이 근무하며 대부분 미국과 덴마크의 현역 군인 및 계약자로 구성되어 있다고 설명했다.[13]

매년 여름, 해빙이 충분히 녹아 보급선이 기지로 접근할 수 있는 짧은 기간 동안 미국은 페이서 구스 작전이라는 이름 아래 대형 보급선을 보낸다.[14]

2020년 툴레 공군 기지는 공식적으로 미국 우주군으로 이관되었다. 2023년 4월 6일, 기지는 우주군 기지로서의 지위와 해당 지역의 원주민 명칭을 반영하여 피투피크 우주 기지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5]

3. 현재

툴레 공군기지는 현재 미국 우주군의 주요 시설 중 하나로, 우주 작전 사령부 예하 여러 부대가 주둔하며 기지를 운영하고 있다.[24]

3. 1. 주요 부대

주요 사령부[16][17][18][19][20]

  • 북동부 항공 사령부: 1951년 7월 1일 – 1957년 4월 1일
  • 전략 항공 사령부: 1957년 4월 1일 – 1960년 7월 1일 (제8 공군 예하), 1979년 12월 1일 – 1992년 9월 30일
  • 항공 방어 사령부 (이후 항공우주 방어 사령부로 명칭 변경): 1968년 1월 15일 – 1979년 12월 1일
  • 공군 우주 사령부: 1992년 9월 30일 – 2019년 12월 20일
  • 미국 우주군: 2019년 12월 20일 – 현재

과거 주요 배속 부대[16][17][18][19][20]

  • 제6622 공군기지 비행대대: 1951년 7월 20일 창설. 1952년 1월 1일 제6612 공군기지 그룹으로, 1954년 6월 1일 제6607 공군기지 비행단으로 재지정 (1957년 4월 1일 해체)
  • 제318 전투 요격 비행대대: 1953년 7월 1일 – 1954년 8월 5일
  • 제74 전투 요격 비행대대: 1954년 8월 20일 – 1958년 6월 25일
  • 제320 공중 급유 비행대대: 1955년 5월 4일 – 1957년 6월 10일 (캘리포니아 마치 AFB 제320 폭격 비행단 파견)
  • 제509 공중 급유 비행대대: 약 1955년 6월 17일 – 약 1955년 8월 3일 (뉴멕시코 워커 AFB 제509 폭격 비행단 파견); 약 1958년 4월 3일 – 1959년 7월 4일 (뉴햄프셔 피스 AFB 제509 폭격 비행단 파견)
  • 제96 공중 급유 비행대대: 1955년 7월 13일 – 1955년 9월 14일 (오클라호마 알투스 AFB 제96 폭격 비행단 파견)
  • 제26 공중 급유 비행대대: 1955년 9월 9일 – 1955년 11월 2일; 1956년 9월 5일 – 1956년 12월 15일 (뉴욕 플래츠버그 AFB 제380 폭격 비행단 파견)
  • 제42 공중 급유 비행대대: 1955년 11월 2일 – 1955년 12월 28일; 1957년 1월 1일 – 1957년 3월 7일 (메인 로링 AFB 제42 폭격 비행단 파견)
  • 제71 공중 급유 비행대대: 1955년 12월 29일 – 1956년 3월 27일 (루이지애나 바크스데일 AFB 제2 폭격 비행단 파견)
  • 제341 공중 급유 비행대대: 1956년 3월 27일 – 1956년 6월 26일 (텍사스 다이에스 AFB 제341 폭격 비행단 파견)
  • 제40 공중 급유 비행대대: 1956년 6월 27일 – 1956년 9월 4일; 약 1958년 10월 1일 – 1959년 1월 9일 (캔자스 스모키 힐 AFB 제40 폭격 비행단 파견)
  • 제340 공중 급유 비행대대: 1956년 10월 29일 – 1956년 12월 30일 (미주리 화이트만 AFB 제340 폭격 비행단 파견)
  • 제100 공중 급유 비행대대: 약 1958년 1월 2일 – 1958년 4월 2일 (뉴햄프셔 피스 AFB 제100 폭격 비행단 파견)
  • 제4083 전략 비행단: 1957년 4월 1일 – 1959년 7월 1일
  • 제4083 공군 기지 그룹: 1957년 4월 1일 창설. 1960년 7월 1일 제4083 공군 기지 비행단으로, 1960년 10월 1일 제4083 공군 기지 그룹으로, 1965년 7월 1일 제4683 전투 지원 그룹으로, 1970년 7월 1일 제4683 공군 기지 그룹으로 재지정 (1977년 10월 1일 해체)
  • 제4683 방공 비행단: 1960년 7월 1일 – 1965년 7월 1일
  • 제327 전투 요격 비행대대: 1958년 7월 3일 – 1960년 3월 25일
  • 제332 전투 요격 비행대대: 1960년 9월 1일 – 1965년 7월 1일
  • OL-5, 제6594 시험 비행단(위성), 공군 시스템 사령부: 1961년 10월 15일 창설. 1997년 6월 1일 제22 우주 작전 비행대대로, 2004년 5월 1일 제3 분견대, 제22 우주 작전 비행대대로, 2010년 10월 1일 제1 분견대, 제23 우주 작전 비행대대로 재지정 (현재까지 활동 중)
  • 제12 미사일 경고 그룹: 1977년 3월 31일 창설. 1983년 6월 15일 제12 미사일 경고 비행대대로, 1989년 10월 1일 제12 미사일 경고 그룹으로, 1992년 5월 15일 제12 우주 경고 비행대대로 재지정 (현재까지 활동 중)
  • 제4711 공군 기지 비행대대: 1977년 3월 31일 창설. 1980년 10월 1일 제4685 공군 기지 비행대대로 재지정 (1981년 3월 31일 해체)
  • 제821 공군 기지 그룹: 2002년 6월 1일 창설. 2023년 4월 6일 제821 우주 기지 그룹으로 재지정 (현재까지 활동 중)
  • 제4대대, 제55포병: 1958년 9월 1일 – 1965년 12월 20일 (나이키 미사일)[21]
  • 제7대공포병단: 1955년 7월 1일 – 1965년 12월 20일 (1958년 3월 20일 제7포병단으로 재지정). 예하 부대: A, B, C, D 포대 (90mm 대공포), 제549 75mm 대공포 대대 (스카이 스위퍼), 제51병기중대[21]

현재 주둔 부대[24]

  • '''우주 작전 사령부'''
  • * 제1 우주 기지 델타
  • ** 제821 우주 기지 그룹

제821 지원 비행대대
제821 경비 비행대대

  • * 제4 우주 델타
  • ** 제12 우주 경보 비행대대
  • * 제6 우주 델타
  • ** 제23 우주 작전 비행대대

제1 파견대

4. 기후

피투피크는 툰드라 기후 (ET)를 나타내며, 이는 연중 대부분 길고 혹독하게 추운 겨울과 짧고 서늘한 여름이 특징이다. 강수량은 연중 매우 적은 편이지만, 여름철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기지의 구조물들은 영구 동토 위에 건설되었기 때문에 기후 변화의 영향에 취약한 상태이다.[34]

피투피크 우주 기지의 기후 데이터 (출처: [https://www.climate-charts.com/Locations/g/GL04202.html climate-charts.com], 2014년 3월)[34]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평균
평균 최고 기온 (°C)약 -19.0°C약 -20.6°C약 -20.1°C약 -12.8°C약 -2.6°C약 4.2°C약 7.4°C약 6.2°C약 0.6°C약 -6.7°C약 -12.9°C약 -17.8°C약 -7.8°C
평균 최저 기온 (°C)약 -27.0°C약 -28.4°C약 -27.8°C약 -21.0°C약 -8.6°C약 -0.7°C약 2.1°C약 1.6°C약 -4.0°C약 -12.8°C약 -20.1°C약 -25.0°C약 -14.3°C
평균 강수량 (mm)약 0.51cm약 0.51cm약 0.51cm약 0.51cm약 0.76cm약 0.76cm약 1.52cm약 2.29cm약 1.78cm약 1.27cm약 1.02cm약 0.76cm약 12.70cm


참조

[1] 간행물 BGTL – Thule Air Base https://aim.naviair.[...] Naviair 2020-10-31
[2] 웹사이트 821st Air Base Group http://www.peterson.[...] Peterson Air Force Base 2017-11-07
[3] 웹사이트 Why the Air Force’s Only Tugboat Lives on a Space Force Base https://www.airandsp[...] Air & Space Forces Magazine 2024-09-21
[4] 웹사이트 Thule Air Base coordinates ship rescue, saves 6 https://www.spacefor[...] United States Space Force Public Affairs 2024-09-21
[5] 웹사이트 Icy Imprisonment: The 1849 Voyage of the HMS North Star https://beyondthebac[...] 2014-09-03
[6] 웹사이트 Thule http://pubs.aina.uca[...] 2012-07-13
[7] 서적 I Kongens Navn (In the Name of the King) Copenhagen 2013
[8] 웹사이트 Groundhogs, Iceworms, and a New View of the North https://www.bowdoin.[...]
[9] 서적 Les derniers rois de Thulé http://www.plon.fr/o[...] Plon, collection Terre Humaine 1996-04-05
[10] 문서 Thule Air Base/Camp Century information http://www.whoi.edu/[...]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ion
[11] 뉴스 FAQ: Tornado history, climatology https://www.usatoday[...] 2012-07-13
[12] 웹사이트 Two of Thule's Extreme Storms http://www.afweather[...] Air Force Weather Agency 2012-07-13
[13] 간행물 30 August – 4 September 2010, Visit to Denmark, Greenland and Iceland http://www.nato-pa.i[...] NATO Parliamentary Assembly 2010-09-06
[14] 뉴스 Ship Heads to Greenland for Once-a-Year Supply Trip http://hamptonroads.[...] 2012-07-13
[15] 웹사이트 Thule Air Base Gets New Name https://www.spacefor[...] 2023-04-06
[16] 웹사이트 Units of the 21st Space Wing | USAF | Peterson Air Force Base https://www.peterson[...] 2007-03-13
[17] 웹사이트 Units of the 21st Space Wing | USAF | Peterson Air Force Base https://www.peterson[...]
[18] 서적 Air Force Bases Volume II, Active Air Force Bases outside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on 17 September 1982 Office of Air Force History 1989
[19] 웹사이트 USAFHRA Document 00460649 http://airforcehisto[...]
[20] 웹사이트 USAFHRA Document 00461736 http://airforcehisto[...]
[21] 서적 Rings of Supersonic Steel: Air Defenses of the United States Army 1950–1979: an Introductory History and Site Guide https://books.google[...] Hole in the Head Press
[22] 보고서 Thule Air Base, Greenland http://www.militaryo[...] MilitaryOneSource.mil 2014-03-16
[23] 보고서 Air Force Bases http://media.defense[...] 2014-03-16
[24] 웹사이트 Pituffik SB, Greenland https://www.spacebas[...] US Space Force 2023-04-11
[25] 웹사이트 Accident description http://aviation-safe[...] 2016-10-13
[26] 뉴스 US B-52 nuclear bomber crash in Greenland 51 years ago has ill Danes seeking compensation https://www.foxnews.[...] 2019-08-20
[27] 뉴스 Mystery of lost US nuclear bomb http://news.bbc.co.u[...] 2008-11-10
[28] 웹사이트 Broken Arrows: The Palomares and Thule Accidents http://www.brookings[...] Brookings Institution 1998
[29] 웹사이트 Denmark's Thulegate: U.S. Nuclear Operations in Greenland http://www.nukestrat[...] 2008-01-22
[30] 뉴스 Denmark challenged over B52 crash http://news.bbc.co.u[...] 2008-01-25
[31] 뉴스 The Marshal's Baton. There is no bomb, there was no bomb, they were not looking for a bomb http://www.diis.dk/t[...] Danish Institute for International Studies 2009-08-14
[32] 웹사이트 Air Greenland, Departures and Arrivals http://airgreenland.[...] 2010-03-09
[33] 웹사이트 RAL tabte: Pituffik-kontrakt til USA-rederi https://www.sermitsi[...] 2019-03-21
[34] 웹사이트 This Arctic US Air Base Has Its Eyes on Russia. But Climate is a Bigger Threat https://insideclimat[...] 2023-02-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