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 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제 이주는 박해, 분쟁, 자연재해 등을 피해 강제로 고향을 떠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국제 이주 기구(IOM)는 이를 생명, 자유, 생계를 위협하는 상황을 피하기 위한 이동으로 정의하며, 유네스코는 무력 분쟁을 주요 원인으로 꼽는다. 강제 이주는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이주와 구분되며, 난민, 국내 실향민(IDP), 개발 이주민, 불법 이민자 등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된다. 강제 이주는 전쟁, 분쟁, 권력에 의한 강제 연행, 자연재해, 인위적 환경 재해, 범죄 행위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개인의 생명, 안전, 사회적 연결을 위협하는 어려움을 야기한다. 국제 사회는 UNHCR, 각국 정부 등을 통해 보호 체계 구축, 인도적 지원 제공 등의 대응을 하며, 지역적 차원에서는 재정착 및 고용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진다. 강제 이주는 전쟁 범죄, 반인륜 범죄로 간주되어 국제 형사 재판소에서 다루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강제 이주 |
---|
2. 정의
강제 이주는 정부, NGO, 기타 국제 기구 및 사회 과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강제 이주는 개인을 그들의 환경과 관련된 연결로부터 강제로 제거하거나 재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며, 도피, 대피, 인구 이동 등 다양한 유형의 이동을 포함한다.[9][10]
- 국제이주기구(IOM)는 강제 이주민을 "박해, 분쟁, 억압, 자연 및 인위적 재해, 생태적 악화 또는 생명, 자유, 생계를 위협하는 기타 상황을 피하기 위해" 이주하는 모든 사람으로 정의한다.[9]
- 유네스코(UNESCO)는 강제 이주를 "사람들이 그들의 지역 또는 환경, 그리고 직업 활동으로부터 강제로 이동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주요 원인으로 무력 분쟁을 꼽는다.[10]
- 연구원 알덴 스피어(Alden Speare)는 생명에 대한 직접적인 위협 속에서의 이동조차도 숨거나 박해를 피하려는 선택권이 있는 한 자발적인 요소를 포함한다고 보았다. 그는 "이주는 사람이 육체적으로 한 국가에서 운송되고 그를 운송하는 사람들로부터 탈출할 기회가 없을 때만 비자발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이주민들이 생명과 생계에 대한 임박한 위협과 같이 결정에 거의 또는 전혀 선택의 여지가 없는 직접적이고 간접적인 요인을 고려할 때 비판을 받아왔다.[11]
2. 1. 개념 구분
강제 이주와 관련된 여러 개념들을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 강제 이주민은 국내 실향민(IDP) 또는 실향민에 해당하며, 이 두 용어는 법적 틀을 요구하지 않고, 그들이 집을 떠났다는 사실만으로 충분하다. '실향민'과 '강제 이주민'이라는 용어 사이의 차이는 미미하지만, '실향민'이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과 같은 중요한 역사적 맥락을 가지고 있다. "강제 이주민(DP)"이라는 용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유럽에서 발생한 난민 유출 이후 처음 널리 사용되었다.[13] 이 맥락에서 "DP"는 특히 출신 국가에서 난민, 포로, 또는 강제 노동자로 강제로 이주된 개인을 지칭했다. A. J. 자페는 이 용어가 원래 유진 M. 쿨리셔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다.[14]인류학자 아야베 쓰네오는 이민과 달리 강제 이주로 인해 타향으로 보내져 소수 민족이 된 사례로, 영불 전쟁의 결과 캐나다에서 루이지애나로 이주한 프랑스계 케이전,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통치 하의 조선인朝鮮人일본어, 사할린이나 카자흐 공화국의 조선인, 대독 협력을 했다는 이유로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 이주된 메스헤티 투르크인이나 코카서스·볼가 강 유역에서 강제 이주된 이슬람교도 등을 들고 있다.[84][85]
국제 연합의 국제 기구인 국제 이주 기구(IOM)에서는 전쟁이나 박해 등 정치적인 이유로 주민이 강제적으로 고향에서 쫓겨나는 경우 외에도, 천재지변이나 환경 변화로 인해 주민이 이주를 강요받는 경우를 강제 이주(forced migration)로 분류하고 있다.[86]
전쟁이나 분쟁의 결과나, 당시 권력자에 의해 본래 거주지에서 강제적으로 주민이 연행되는 사례도 역사상 다수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부터 도호쿠 지방·에조치를 대상으로 한 이배나 부수 제도가 있었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미국 정부에 의한 원주민(인디언)의 강제 이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일본계 미국인의 강제 수용[87] 등의 사례가 있다.
1949년 제네바 협약 제4조약에서는 점령 권력이 주민에 대해 해당 지역에서 외부 지역으로의 강제 이송 또는 추방 형태의 강제 이주를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예외로, 주민의 안전 또는 군사상의 이유로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물적 이유로 불가피한 경우에는 주민의 타 지역으로의 강제 이주가 인정되지만, 해당 지역에서의 적대 행위가 종료된 후에는 신속하게 각자의 가정으로 송환될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2. 1. 1. 난민
난민법과 국제법에 따르면, 난민은 박해, 전쟁, 폭력 등의 이유로 국경을 넘어 다른 나라로 피신한 사람들을 의미하며, 특정한 법적 지위와 보호를 받는다.[12] '난민'이라는 용어는 법적으로 인정된 지위를 구체적으로 가리키는 말이지만, '실향민'과 혼동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난민'이라는 용어를 엄밀하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면, 실향민이라는 일반적인 분류와 법적으로 난민으로 정의될 수 있는 사람들 사이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일부 강제 이주민은 거주 국가의 법적 시스템 때문에 해당 국가에서 망명을 신청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그들이 난민법의 국제법적 정의를 충족하더라도 망명권을 주장할 수 없으며, 그들을 받아들인 국가로부터 난민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
2. 1. 2. 국내 실향민 (IDP)
정치적 박해나 폭력으로 인해 고향을 떠났지만 국제 국경을 넘지 않은 실향민은 일반적으로 ''국내 실향민''(IDP)으로 분류되며, 국제적 보호가 더 취약하게 적용된다. 1998년, 유엔 인권 위원회는 국내 실향민 원칙을 발표하여 국내 실향민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무력 분쟁, 일반화된 폭력 상황, 인권 침해, 또는 자연 또는 인위적 재해의 결과로, 또는 그 영향을 피하기 위해, 특히 강제로 또는 어쩔 수 없이 집이나 통상적인 거주지를 떠난 개인 또는 집단으로서, 국제적으로 인정된 국가 경계를 넘지 않은 자."[12]난민이라는 용어는 특정 법적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법적으로 인정된 지위를 구체적으로 지칭하기 때문에, 국내 실향민과는 구별된다. 실향민이 국제 국경을 넘어 난민법 관련 국제법에 해당될 경우 망명을 신청할 수 있으며, 신청이 성공하면 난민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강제 이주민은 거주 국가의 법적 시스템으로 인해 해당 국가에서 망명을 신청할 수 없어, 난민법의 국제법적 정의를 충족하더라도 망명권을 주장하거나 난민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
2. 1. 3. 경제적 이주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집을 떠난 이주자는 경제적 이주민이며, 엄밀히 말하면 강제 이주민이 아니다.[12]2. 1. 4. 개발 이주민
댐 건설, 도시 재개발 등 개발 사업으로 인해 강제로 이주하는 사람들은 '''개발로 인한 이주'''라고 한다.[12] 경제적 이주민과는 다르게 경제적 어려움이 아닌 외부 요인으로 인해 이주하게 된다. 중국의 싼샤 댐 건설이 대표적인 사례이다.2. 1. 5. 불법 이민자
허가 없이 국경을 넘거나, 이후 망명을 신청하지 않은 실향민은 불법 이민자로 간주될 수 있다.[12]3. 원인 및 사례
보구밀 테르민스키는 강제 이주를 위험과 적응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하였다.[15] 위험의 강제 이주는 주로 분쟁, 추방, 재해로 인해 발생하며, 적응의 강제 이주는 자발적 이주, 개발, 환경적 요인과 관련된다.
국제 연합 산하 국제기구인 국제이주기구(IOM)는 전쟁이나 박해 등 정치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천재지변이나 환경 변화로 인해 주민이 이주를 강요받는 경우도 강제 이주로 분류한다.[86]
전쟁이나 분쟁, 권력자에 의해 본래 거주지에서 강제적으로 주민이 연행되는 사례는 역사적으로 많이 존재한다.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부터 도호쿠 지방·에조치를 대상으로 한 이배나 부수 제도가 있었다. 그 외에도 미국 정부에 의한 원주민(인디언)의 강제 이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계 미국인의 강제 수용[87] 등의 사례가 있다.
인류학자 아야베 쓰네오는 이민과 달리 강제 이주로 인해 타향으로 보내져 소수 민족이 된 사례로, 영불 전쟁의 결과로 캐나다에서 루이지애나로 이주한 프랑스계 케이전, 일제강점기 조선인(朝鮮人|조선인일본어), 사할린이나 카자흐 공화국의 조선인, 대독 협력을 했다는 이유로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 이주된 메스헤티 투르크인이나 코카서스·볼가 강 유역에서 강제 이주된 이슬람교도 등을 언급했다.[84][85]
1949년 제네바 협약 제4조약에서는 점령 권력이 주민에 대해 해당 지역에서 외부 지역으로의 강제 이송 또는 추방 형태의 강제 이주를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만, 주민의 안전 또는 군사상의 이유로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물적 이유로 불가피한 경우에는 주민의 타 지역으로의 강제 이주가 인정되지만, 해당 지역에서의 적대 행위가 종료된 후에는 신속하게 각자의 가정으로 송환될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3. 1. 자연적 원인
자연 재해는 강제 이주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자연재해는 직접적으로 강제 이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후 사회 기반 시설, 식량 및 물 접근성,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간접적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주는 재해의 범위와 해당 지역의 복구 능력에 따라 일시적일 수도 있고 영구적일 수도 있다. 기후 변화는 주요 자연 재해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는 더 많은 수의 인구를 강제 이주 상황에 놓이게 할 수 있다.[16][17]병충해 및/또는 해충으로 인한 작물 실패는 사람들의 식량 접근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 범주에 속한다. 또한, 환경 난민이라는 용어는 생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또는 생태계의 생물학적, 물리적 또는 화학적 변화와 같은 환경 파괴로 인해 전통적인 서식지를 떠나도록 강요받는 사람들을 나타낸다.[18] 사막화 또는 해수면 상승, 산림 벌채 또는 토지 황폐화와 같은 서서히 진행되는 기후 변화의 결과로 이주가 발생할 수도 있다.
19세기의 기근으로 인해, 많은 아일랜드인들이 아메리카 대륙 등으로 이주를 강요받았다.
3. 1. 1. 자연재해로 인한 강제 이주 사례
2004년 인도양 지진해일: 북 수마트라 해안에서 발생한 규모 9.1의 지진으로 발생한 인도양 지진해일은 227,898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고, 인도양 전역의 해안선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19] 그 결과, 170만 명 이상이 이재민이 되었으며, 대부분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인도 출신이었다.[20]
- 허리케인 카트리나 (2005): 2005년 8월 말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를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는 약 1250억달러의 피해를 입혀 미국 역사상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힌 폭풍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21] 카트리나로 인한 피해로 100만 명 이상이 국내 이재민이 되었다. 재난 발생 한 달 후에도 60만 명 이상이 이재민 상태로 남아 있었다. 재난 직후 뉴올리언스는 인구의 약 절반을 잃었고, 많은 주민들이 휴스턴, 댈러스, 배턴루지, 애틀랜타와 같은 도시로 이주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이재민 발생은 루이지애나의 빈곤층,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에게 불균형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22][23]
- 2011년 동아프리카 가뭄: 소말리아, 케냐, 에티오피아의 강수량 부족으로 가축과 농작물 피해가 커지면서, 다수의 유목민들이 식수와 식량을 찾아 주변 지역으로 이동하게 되었다.[24] 식량과 물을 찾는 것 외에도, 지역 주민들의 이주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을 유지할 수 없다는 점이 동기가 되었다.[16]
3. 1. 2. 기후 변화와 강제 이주
기후 변화는 주요 자연 재해의 빈도를 증가시켜 더 많은 인구를 강제 이주 상황에 놓이게 한다.[16][17] 강제 이주는 자연 재해로 인해 직접 발생하거나, 사회 기반 시설, 식량 및 물 접근성,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간접 발생할 수 있다. 이주는 재해 범위와 지역 복구 능력에 따라 일시적 또는 영구적일 수 있다.병충해 및/또는 해충으로 인한 작물 실패는 식량 접근성에 영향을 미쳐 강제 이주를 유발한다. 환경 난민은 생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생태계의 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변화 등 환경 파괴로 인해 전통적 서식지를 떠나도록 강요받는 사람들을 의미한다.[18] 사막화, 해수면 상승, 산림 벌채, 토지 황폐화 등 서서히 진행되는 기후 변화도 이주를 유발할 수 있다.
3. 2. 인위적 원인
보구밀 테르민스키는 강제 이주를 위험과 적응의 두 가지 범주로 구분했다. 인위적 원인으로 인한 강제 이주는 정치 단체, 범죄 조직, 분쟁, 인위적인 환경 재해, 개발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유네스코(UNESCO)에 따르면, 무력 분쟁은 강제 이주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며, 이는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로부터의 이주민 유출의 가장 큰 요인으로 정치적 및 무력 분쟁을 지목하는 지역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10][25][26][27]국제 연합 산하 국제기구인 국제이주기구(IOM)는 전쟁이나 박해 등 정치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천재지변이나 환경 변화로 인해 주민이 이주를 강요받는 경우도 강제 이주로 분류한다.[86]
전쟁이나 분쟁, 또는 당시 권력자에 의해 본래 거주지에서 강제적으로 주민이 연행되는 사례는 역사적으로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본에서는 나라 시대부터 도호쿠 지방·에조치를 대상으로 한 이배나 부수 제도가 있었다. 그 외에도 미국 정부에 의한 원주민(인디언)의 강제 이주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계 미국인의 강제 수용[87] 등의 사례가 있다.
인류학자 아야베 쓰네오는 이민과 달리 강제 이주로 인해 타향으로 보내져 소수 민족이 된 사례로, 영불 전쟁의 결과로 캐나다에서 루이지애나로 이주한 프랑스계 케이전, 일본 통치 하의 조선인朝鮮人|조선인일본어, 사할린이나 카자흐 공화국의 조선인, 대독 협력을 했다는 이유로 우즈베키스탄으로 강제 이주된 메스헤티 투르크인이나 코카서스·볼가 강 유역에서 강제 이주된 이슬람교도 등을 언급했다.[84][85]
1949년 제네바 협약 제4조약에서는 점령 권력이 주민에 대해 해당 지역에서 외부 지역으로의 강제 이송 또는 추방 형태의 강제 이주를 해서는 안 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다만, 주민의 안전 또는 군사상의 이유로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 물적 이유로 불가피한 경우에는 주민의 타 지역으로의 강제 이주가 인정되지만, 해당 지역에서의 적대 행위가 종료된 후에는 신속하게 각자의 가정으로 송환될 것이 의무화되어 있다.
3. 2. 1. 범죄 행위로 인한 강제 이주
멕시코의 카르텔 폭력으로 인한 강제 이주: 멕시코 전역에서 마약 카르텔, 준군사조직, 자경단의 폭력이 국내 및 국외 이주를 초래하고 있다.[28][27] 가족들은 살인, 강탈, 잠재적 납치를 피해 생존 수단으로 집을 떠났다. 2006년과 2012년 사이에 강제 이주된 사람의 총수는 약 74만 명으로 추산되었다.[27]중앙 아메리카의 카르텔/갱 폭력으로 인한 강제 이주: 21세기 초 미국 이민 위기(예: 2014년 이민 위기)의 주요 요인인 북부 삼각지대의 만연한 갱 폭력은 부패 및 낮은 경제적 기회와 결합되어 많은 사람들이 안정과 더 나은 기회를 추구하기 위해 조국을 떠나도록 강요했다. 엘살바도르와 온두라스와 같은 국가의 살인율은 인구 10만 명당 103건의 살인으로 최고조에 달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29] 강탈, 영토 분쟁, 강제 갱 모집 등이 주요 원인이며, 연간 약 50만 명이 강제 이주된 것으로 추산된다.[29][4][30]
3. 2. 2. 정치적 분쟁으로 인한 강제 이주
유네스코(UNESCO)에 따르면, 무력 분쟁은 강제 이주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며, 라틴 아메리카, 아프리카, 아시아로부터의 이주민 유출의 가장 큰 요인으로 정치적 및 무력 분쟁을 지목하는 지역 연구에 의해 뒷받침된다.[10][25][26][27]
- 1950-1951년 불가리아에서 튀르크인의 탈출: 일부에 따르면, 한국 전쟁 당시 미국의 튀르키예 지지 때문에 발생했다. 공산주의 이념, 이슬람 혐오, 반튀르크주의도 영향을 미쳤다.
- 무슬림 세계에서의 유대인 탈출
- 베트남 전쟁: 베트남 전쟁 기간과 그 이전 수년간, 많은 사람들이 무력 충돌과/또는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과 같은 정부의 박해로 인해 베트남과 주변 국가에서 강제로 쫓겨났다. 이 사건은 인도차이나 난민 위기로 불리며, 수백만 명이 아시아, 호주, 유럽, 북미 전역으로 이주했다.[33][34]
- 엘살바도르 내전: 엘살바도르 정부와 FMLN 간의 12년간의 분쟁 기간과 이후, 엘살바도르인들은 전투, 박해, 삶의 질 저하/사회 경제적 기회 접근성 저하로 인해 강제 이주를 겪었다. 전반적으로 4명 중 1명의 엘살바도르인이 국내 및 국외로 이주했다(100만 명 이상).[35][36]
- 2021년 미얀마 쿠데타: 2021년 2월 1일 쿠데타 이후, 미얀마 군부의 권력 장악은 광범위한 혼란과 폭력을 초래했으며,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의 경험을 고려할 때 군사 정권을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 대중의 광범위한 반대에 의해 악화되었다. 그 결과, 공공 부문의 많은 사람들이 파업을 시작했고,[37] 이 나라는 국내 실향민(IDP)(2021년 2월 1일 이후 208,000명)과 해외로 탈출하는 난민(2021년 2월 1일 이후 추정 22,000명) 모두 높은 수준의 강제 이주를 겪었다.[38] 이주를 야기하는 특정 정치적 갈등은 붕괴 직전의 국가의 징후로 지적되었다. 이의 두 가지 주요 지표는 첫째, 시민들이 더 이상 국가의 폭력으로부터 보호받지 못할 정도로 보안 수준이 심각하게 감소했다는 점이다. 둘째, 축출된 정부나 새로운 군사 지도부가 불안정성 조성과 파업으로 인해 시민들에게 상품과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39] 이러한 내부 문제는 정부 및 비정부 기구 모두의 국제적 승인 철회에 의해 더욱 반영되고 있다.[40]
3. 2. 3. 인위적 환경 재해로 인한 강제 이주
- 2019년 아마존 열대 우림 산불: 인위적인 화재는 아마존 농업의 일반적인 부분이지만, 2019년 건기에는 화재 발생률이 국제적으로 주목할 만큼 증가했다. 빠르게 확산되는 화재는 농업 및 벌목 회사들의 노력과 결합되어 브라질 원주민들을 그들의 고유한 땅에서 쫓아냈다.[41][42]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1986년 4월 26일, 우크라이나 프리피야트 인근에서 발생한 핵 사고로 도시와 주변 지역이 유해한 수준의 방사능에 오염되어 1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강제로 이주해야 했다.[43]
- 아일랜드 대기근: 1845년부터 1849년 사이에, 감자 역병은 영국의 정책 결정과 잘못된 관리로 인해 악화되어, 주로 감자에 의존하는 소작농인 수백만 명의 아일랜드인들이 굶주리거나 결국 나라를 떠나게 만들었다. 그 결과 발생한 기근과 질병으로 100만 명 이상이 사망했고, 또 다른 100만 명이 국외로 탈출하여 아일랜드 전체 인구가 최소 4분의 1로 감소했다.[44]
3. 2. 4. 기타 인위적 강제 이주
- 인신매매/인신 밀매: 기만이나 강압을 통해 착취를 목적으로 강제 이주된 이주민이 이 범주에 속한다. 은밀한 특성으로 인해 이러한 유형의 강제 이주에 대한 데이터는 제한적이다. 국제 노동 기구(ILO)는 인신매매를 노동 보호에 대한 위반으로 간주한다.[45]
- 노예제: 역사적으로 노예제는 강제 노동을 위해 개인을 이주시켰으며, 15세기부터 19세기까지의 대서양 노예 무역이 주목할 만한 사례이다. 대서양 노예 무역은 15세기에 포르투갈인에 의해 시작되었으며,[88] 주로 서아프리카의 부족이나 노예 상인 등에게 붙잡힌 사람들이 유럽인에게 팔려, 1,000만 명 전후가 아메리카 대륙으로 노예로서 보내졌다.[89] 노예 무역을 위해 붙잡힌 2천만 명의 아프리카인 중 절반은 아프리카 해안으로의 강제 행진 중에 사망했으며, 10~20%가 아프리카에서 아메리카로 향하는 노예선에서 사망했다.[45]
- 민족 청소: 영토를 민족적으로 동질화할 의도로 민족 또는 종교 집단을 체계적으로 제거하는 행위. 예시로는 잘츠부르크 개신교도의 가톨릭교도 제거, 홀로코스트 동안의 유대인 제거 등이 있다.[45]
- 정치적 반대 억압: 예를 들어, 소련의 강제 이주 및 소련의 인구 이동 (크림 타타르족의 추방, 체첸인 및 잉구시인의 추방, 소련의 고려인 강제 이주 포함)
- 인위적인 정치적 국경에 민족 구성을 맞추기: 예를 들어 독일인의 탈출 및 추방 (1944~1950), 폴란드 인구 이동 (1944~1946) 및 비스툴라 작전
- 식민지화: 예를 들어, 영국 정부의 호주 죄수 이송, 미국 식민 협회 및 기타 단체의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한 국가(라이베리아) 건설 시도, 만주 침략 이후의 일본인 정착민 등이 있다.[45]
4. 강제 이주민이 직면하는 어려움
강제 이주민들은 이주 과정과 정착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에 직면한다.[46][47][48] 이들은 이주 전보다 더 큰 빈곤, 재정적 취약성, 잠재적인 사회적 해체 위험을 안고 있으며, 이는 인권, 문화, 삶의 질과 관련된 다른 위험 요소들에 더해진다.[57] 강제 이주는 강제로 이주당한 수단, 지리적 위치, 보호 상태, 개인적인 회복 능력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이주인 무력 분쟁 상황에서, 개인들은 종종 도망갈 때, 그리고 새로운 국가에 도착할 때 재산을 잃게 되며, 그곳에서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단절에 직면할 수도 있다.[10][58]
4. 1. 이동 과정의 위험

강제 이주민들은 종종 목숨을 걸고, 비인간적인 환경에서 이동해야 하며, 착취와 학대에 노출될 수 있다.[46][47][48] 이러한 위험은 밀수업자와 인신매매업자의 개입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이들은 강제 이주민들을 마약·무기 밀매, 강제 노동, 성매매와 같은 불법 활동에 이용할 수 있다.[49]
국경을 넘는 대부분의 강제 이주는 이주민들이 합법적인 여행에 필요한 서류를 소지하지 못한다. 이주민들이 보호를 요청하는 국가는 그들을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고 간주할 수 있다.[49] 그 결과, 강제 이주민들은 구금 및 형사 처벌뿐만 아니라 신체적, 심리적 트라우마에 직면할 수 있다. 이주민 건강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은 이주가 우울증, 불안 및 기타 심리적 문제의 가능성을 높인다고 밝혔다.[47][48] 예를 들어, 미국은 최근 이주민 구금 정책, 특히 아동 구금과 관련하여 비판받고 있다. 비평가들은 열악한 구금 환경, 부모와의 불안정한 연락, 장기적인 트라우마의 높은 가능성을 정책 변경 요구 이유로 지적한다.[55][56]
4. 2. 정착 과정의 어려움
강제 이주민들은 이주를 결심하고 이동하는 과정, 그리고 목적지에 도착한 이후에도 여러 어려움에 직면한다.[46][47][48] 이들은 종종 목숨을 걸고 비인간적인 환경에서 이동해야 하며, 착취와 학대의 위험에 노출된다. 특히 밀수업자와 인신매매업자는 강제 이주민들을 마약/무기 밀매, 강제 노동, 성매매와 같은 불법 활동에 이용할 수 있어 위험을 더욱 증가시킨다.[49]국경을 넘는 강제 이주의 경우, 대부분의 이주민들은 합법적인 여행 서류를 소지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이주민들이 보호를 요청하는 국가는 이들을 국가 안보에 위협으로 간주할 수 있다.[49] 그 결과, 강제 이주민들은 구금 및 형사 처벌뿐만 아니라 신체적, 심리적 트라우마를 겪을 수 있다. 이주민 건강 관련 연구들은 이주가 우울증, 불안 및 기타 심리적 문제의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을 보여준다.[47][48] 예를 들어, 미국은 최근 이주민 구금 정책, 특히 아동 구금과 관련하여 열악한 구금 환경, 부모와의 불안정한 연락, 장기적인 트라우마 유발 가능성 등으로 인해 비판받고 있다.[55][56]
강제 이주는 강제로 이주당한 수단, 지리적 위치, 보호 상태, 개인적인 회복 능력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이주인 무력 분쟁 하에서, 개인들은 종종 도망갈 때, 그리고 새로운 국가에 도착할 때 재산을 잃게 되며, 그곳에서 문화적, 사회적, 경제적 단절에 직면할 수도 있다.[10][58] 강제 이주민들은 이주 전보다 더 큰 빈곤, 재정적 취약성, 잠재적인 사회적 해체 위험을 안고 있으며, 이는 인권, 문화, 삶의 질과 관련된 다른 위험 요소들에 더해진다.[57]
5. 강제 이주에 대한 대응
강제 이주 문제는 국제 사회와 개별 국가의 노력을 통해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5. 1. 국제적 대응
UNHCR같은 국제 기구, 국경없는 의사회같은 비정부 기구, USAID같은 각국 정부는 강제 이주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3] 이들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보호 체계를 만들거나, 이주민 캠프에 진료소를 제공하고, 이주민에게 자원을 공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돕는다.[4][5]프랜시스 뎅(Francis Deng)과 같은 연구자들과 유엔은 국내 실향민(IDP)이 늘어나면서 국제적인 대응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특히 국내 실향민은 주권 국가 안에 있기 때문에 국제사회가 대응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다.[59][3][60][61]
1951년 난민 협약, 1967년 의정서, 캄팔라 협약, 1998년 지침 원칙 등 여러 협약은 강제 이주민에게 권리와 보호를 제공하고자 한다.[62][57] 그러나 이러한 국제적인 협력에도 불구하고 각 국가가 이를 무시할 수 있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2012년 송영훈의 연구에 따르면, 국가들은 강제 이주와 국내 실향민 발생에 대해 "매우 선택적으로" 대응했다.[61]
유엔 및 세계 은행과 같은 국제기구와 개별 국가들은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거나 분쟁 국가에 강제로 개입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들의 중립성 문제와 제한된 자원은 대량 이주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한 국제적 인도적 행동 능력을 저해한다.[63]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제 협력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여러 기구는 강제 이주 발생을 줄이기 위해 향상된 분쟁 해결과 역량 강화를 요구하며, 더 포괄적인 접근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64][65]
5. 2. 지역적 대응
다양한 수준[66]과 여러 분야에 걸친 대응이 필수적이다.[67] 예를 들어, 한 연구에서는 재정착 및 고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업과 비정부 기구 간의 협력이 중요함을 강조했다.[68]이주민의 경험은 재정착 국가와 지역 정책에 따라 달라진다. 국가 정책이 이주민을 배제하더라도, 포용적인 도시 정책은 이를 무효화할 수 있다. 피난처 도시는 이민법 집행과의 협력 또는 참여를 규제하는 공간의 예시이다.[69] 거주를 통해 도시 구성원 자격을 얻으면, 이주민은 법적 지위에 관계없이 도시 서비스와 혜택을 누릴 수 있다.[70] 피난처 도시는 이주민에게 더 큰 이동성과 활동 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개인 정보 수집을 제한하며, 모든 주민에게 신분증을 발급하고, 의료와 같은 필수 서비스 접근성을 보장한다.[69] 이러한 서비스 접근성은 이주 후 건강한 적응을 도와 이주민의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다.
5. 3. 형사 처벌
강제 이주는 여러 지역 및 국제 법원에서 재판의 대상이 되어 왔다. 전쟁 범죄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민간인 피해자가 국제 인도법에 따라 "보호 대상자"여야 하는데, 현재 "보호 대상자"는 특정 전쟁법 조약에 따라 보호를 받을 자격이 있는 모든 범주의 개인을 지칭한다.[71]1949년 8월 12일에 채택된 제4 제네바 협약 제49조는 강제 이주를 금지하고 있다.[72] 국제 형사 재판소 로마 규정은 강제 이주를 재판소 관할 하의 범죄로 정의한다.[73]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크루프 재판이 강제 노동을 목적으로 적 민간인 집단을 강제 이주한 혐의로 열렸다.[71]
- 뉘른베르크 재판에서 점령된 폴란드의 수석 법률가였던 한스 프랑크는 민간인 집단의 강제 이주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았다.[74]
-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 중 강제 이주와 관련된 혐의로 여러 사람이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 형사 재판소 (ICTY)에서 재판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았다. 2018년 4월 11일, 보이슬라브 셰셸에게 크로아티아인들의 보이보디나 추방을 촉구한 혐의로 10년 징역형이 선고되었는데, 이는 반인륜 범죄에 해당한다.[75][76][77] 강제 이주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은 다른 인물로는 모므칠로 크라예시니크,[78] 밀란 마르티치,[79] 믈라덴 나레틸리치,[80] 라도슬라브 브르자닌 등이 있다.[81]
- 2023년 3월 17일, 국제 형사 재판소 (ICC)는 블라디미르 푸틴과 러시아 어린이 권리 위원 마리아 르보바-벨로바에 대해 우크라이나 러시아 점령 지역에서 러시아로의 어린이 추방 및 불법 이송이라는 전쟁 범죄 혐의로 체포 영장을 발부했다.[82]
참조
[1]
웹사이트
Global Trends Report 2022
https://www.unhcr.or[...]
[2]
웹사이트
UNHCR Global Trends –Forced Displacement in 2014
http://unhcr.org/556[...]
UNHCR
2015-06-18
[3]
보고서
High Commissioner's Dialogue on the Root Causes of Forced Displacement
Brill
2018
[4]
논문
Invisible War: Central America’s Forgotten Humanitarian Crisis
2018
[5]
웹사이트
Mission, Vision and Values U.S. Agency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https://www.usaid.go[...]
2018-02-16
[6]
웹사이트
Legal and Protection Policy Research Series: Forced Displacement and International Crimes
http://www.unhcr.org[...]
UNHCR
2011-06
[7]
뉴스
UNHCR: A record 100 million people forcibly displaced worldwide
https://news.un.org/[...]
2022-05-23
[8]
뉴스
Number of displaced people passes 100m for the first time, says UN
https://www.theguard[...]
2022-05-23
[9]
웹사이트
What is forced migration? – Forced Migration Online
http://www.forcedmig[...]
[10]
웹사이트
Displaced Person / Displacement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http://www.unesco.or[...]
[11]
서적
Demography of Refugee and Forced Migration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7-12-20
[12]
웹사이트
U.N. Convention relating to status of Refugees
https://web.archive.[...]
[13]
서적
DPs: Europe's Displaced Persons, 1945–1951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14]
논문
Notes on the Population Theory of Eugene M. Kulischer
https://www.jstor.or[...]
1962-04
[15]
서적
Risks and rights : the causes, consequences, and challenges of development-induced displacement
The Brookings Institution
2003
[16]
논문
Vulnerability and Climate Change Induced Human Displacement
2017
[17]
서적
Climate Change, Forced Migration, and International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2-01
[18]
문서
Environmentally-Induced Displacement: Theoretical Frameworks and Current Challenges
University de Liege
2012
[19]
웹사이트
Tsunami Event - December 26, 2004 The Indian Ocean Tsunami
https://nctr.pmel.no[...]
NOAA Center for Tsunami Research
[20]
웹사이트
Internationally displaced people
https://www2.gwu.edu[...]
[21]
보고서
The Deadliest, Costliest, and Most Intense United States Tropical Cyclones from 1851 to 2010 (And Other Frequently Requested Hurricane Facts)
https://www.nhc.noaa[...]
2011-08
[22]
book review
Climate Change, Forced Displacement and International Law, by Jane McAdam, published by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344pp., £74.00, hardback
2013-11
[23]
논문
The Location of Displaced New Orleans Residents in the Year After Hurricane Katrina
2014-06-01
[24]
웹사이트
Famine thresholds surpassed in three new areas of southern Somalia
https://reliefweb.in[...]
[25]
웹사이트
NOW WHAT? THE INTERNATIONAL RESPONSE TO INTERNAL DISPLACEMENT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THE CONGO
https://www.brooking[...]
[26]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Refugee and Forced Migration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14-06-01
[27]
논문
Violencia y Desplazamientos Forzados En México
2018
[28]
웹사이트
Mexico's Unseen Victims
https://www.refugees[...]
[29]
논문
As deadly as armed conflict? Gang violence and forced displacement in the Northern Triangle of Central America
2016
[30]
논문
La violencia en el Triángulo Norte de Centroamérica: una realidad que genera desplazamiento
2017-01-18
[31]
논문
A City Torn Apart: Forced Displacement in Medellín, Colombia
2013
[32]
서적
The Palestinian Exodus: 1948-1998
Ithaca Press
1999-01-28
[33]
논문
The Indochina Refugee Crisis
1979
[34]
논문
Refugees, Immigrants, and the State
1993-08-01
[35]
웹사이트
Truth Commission: El Salvador
https://www.usip.org[...]
[36]
웹사이트
Annual Report 1989–1990 – Table of Contents
http://www.cidh.org/[...]
Inter-American Commission on Human Rights
2022-01-03
[37]
웹사이트
Myanmar on the Brink of State Failure
https://www.crisisgr[...]
2022-01-03
[38]
웹사이트
Myanmar Emergency Update (as of 15 September 2021) – Myanmar
https://reliefweb.in[...]
2021-09-21
[39]
논문
Analysis of Failed States: Some Problems of Definition and Measurement
2007
[40]
뉴스
Myanmar coup: UN calls for arms embargo against military
https://www.bbc.com/[...]
BBC News
2021-06-19
[41]
웹사이트
Rainforest on Fire: On the Front Lines of Bolsonaro's War on the Amazon, Brazil's Forest Communities Fight Against Climate Catastrophe
https://theintercept[...]
2019-07-06
[42]
웹사이트
The Land Battle Behind the Fires in the Amazon
https://www.theatlan[...]
2019-08-27
[43]
서적
Nuclear Disasters & The Built Environment : a Report to the Royal Institute of British Architects.
Elsevier Science
2014
[44]
학술지
The online atlas of Irish population change 1841–2002: A new resource for analysing national trends and local variations in Irish population dynamics
2011-07-01
[45]
웹사이트
The Middle Passage
https://www.pbs.org/[...]
1999
[46]
웹사이트
Living Conditions of displaced persons and host communities in urban Goma, DRC
https://www.nrc.no/g[...]
2022-01-03
[47]
학술지
The impact of immigration detention on mental health: a systematic review
2018-12-06
[48]
학술지
The impact of migration on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https://www.europsy-[...]
2008-04-01
[49]
웹사이트
UNHCR Resettlement Handbook
http://www.unhcr.org[...]
2023-10-16
[50]
웹사이트
Migrants' Journeys – Increased Hardship and Incremental Human Rights Abuses: Caught in the Middle
https://www.clingend[...]
2019-11-15
[51]
서적
Global human smuggling : comparative perspectiv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52]
뉴스
Austria's migrant disaster: Why did 71 die?
https://www.bbc.com/[...]
BBC News
2016-08-25
[53]
뉴스
Smugglers abandon more than 1,400 migrants in Arizona desert since Augus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8-10-12
[54]
뉴스
Migrants Die as Burning Boat Capsizes Off Italy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3-10-03
[55]
웹사이트
US held record number of migrant children in custody in 2019
https://apnews.com/0[...]
2019-11-12
[56]
웹사이트
UN rights chief 'appalled' by US border detention conditions, says holding migrant children may violate international law
https://news.un.org/[...]
2019-07-08
[57]
서적
Refugees and Forced Displacement: International Security, Human Vulnerability and the State
United Nations Publications
2005-01
[58]
학술지
Economic Consequences of Forced Displacement
http://ageconsearch.[...]
2015-09-18
[59]
웹사이트
International Response to Internal Displacement: A Revolution in the Making
https://digitalcommo[...]
2022-01-03
[60]
서적
Global report on internal displacement
[61]
학술지
Conflict, International Response, and Forced Migration in Sub-Saharan Africa, 1980-2007
2012-06-30
[62]
학술지
Migrant and refugee populations: a public health and policy perspective on a continuing global crisis
2018-12
[63]
학술지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Forced Migration
2003-09-01
[64]
논문
Forced Displacement Today: Why Multilateralism Matters
2018
[65]
서적
Forced Displacement
http://elibrary.worl[...]
World Bank
2009-12
[66]
학술지
When Context Matters: What Happens to International Theory When Researchers Study Refugees
http://journals.aom.[...]
2021-08
[67]
서적
Integrating Refugees into the Workplace – A Collaborative Approach
https://www.emerald.[...]
Emerald Publishing Limited
2021-08-16
[68]
학술지
Refugee employment support: The HRM–CSR nexus and stakeholder co-dependency
https://onlinelibrar[...]
2021-04-14
[69]
학술지
Conceptualizing sanctuary as a process in the United States
2019-02-06
[70]
학술지
Comparing Urban Citizenship, Sanctuary Cities, Local Bureaucratic Membership, and Regularizations
https://boris.unibe.[...]
2019-02-11
[71]
웹사이트
Legal and Protection Policy Research Series: Forced Displacement and International Crimes
http://www.unhcr.org[...]
UNHCR
2011-06-01
[72]
웹사이트
Convention (IV) relative to the Protection of Civilian Persons in Time of War. Geneva, 12 August 1949 – DEPORTATIONS, TRANSFERS, EVACUATIONS
https://ihl-databas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2018-05-08
[73]
웹사이트
Rome Statute of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https://www.icc-cpi.[...]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2018-05-08
[74]
백과사전
Nuremberg Trial Judgements: Hans Frank
http://www.jewishvir[...]
2018-05-03
[75]
웹사이트
APPEALS CHAMBER REVERSES ŠEŠELJ'S ACQUITTAL, IN PART, AND CONVICTS HIM OF CRIMES AGAINST HUMANITY
http://www.unmict.or[...]
United Nations Mechanism for International Criminal Tribunals
2018-04-11
[76]
웹사이트
UN court sentences ultranationalist Serb leader to 10 years
https://www.trtworld[...]
TRT World
2018-04-11
[77]
웹사이트
Serbia: Conviction of war criminal delivers long overdue justice to victims
https://www.amnesty.[...]
Amnesty International
2018-04-11
[78]
뉴스
UN tribunal transfers former Bosnian Serb leader to UK prison
https://news.un.org/[...]
UN News
2009-09-08
[79]
뉴스
UN tribunal upholds 35-year jail term for leader of breakaway Croatian Serb state
https://news.un.org/[...]
UN News
2008-10-08
[80]
뉴스
Bosnian Croat commander convicted by UN tribunal to serve jail term in Italy
https://news.un.org/[...]
UN News
2008-04-25
[81]
뉴스
Bosnian Serb politician convicted by UN tribunal to serve jail term in Denmark
https://news.un.org/[...]
UN News
2008-03-04
[82]
뉴스
Russia: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ssues arrest warrant for Putin
https://news.un.org/[...]
UN News
2023-03-17
[83]
서적
外務省発表集・昭和35年2月第10号および公表資料集第8号
外務省情報文化局
1960
[84]
논문
序論 少数民族問題の現状と課題
アカデミア出版会
[85]
서적
在日・強制連行の神話
[86]
웹사이트
Types of migration Forced migration or displacement
https://migrationdat[...]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Migration
2019-02-17
[87]
논문
第二次世界大戦中に強制収容された日系人に対するもう一つの戦後補償 ―日系ペルー人ヘクター・ワタナベさんの闘い―
http://id.nii.ac.jp/[...]
2012-03-01
[88]
웹사이트
Bristol and Transatlantic Slavery
http://www.discoveri[...]
2017-04-17
[89]
웹사이트
Bristol and Transatlantic Slavery
http://www.discoveri[...]
2017-04-17
[90]
웹사이트
A Short History of the African Slave Trade
https://www.thoughtc[...]
2017-04-17
[91]
웹사이트
THE STORY OF AFRICA: SLAVERY
http://www.bbc.co.uk[...]
2017-04-17
[92]
서적
アメリカ黒人の歴史
岩波書店
[93]
논문
不法占拠地の合法化と女性のリーダーシップ:トリニダード・トバゴの場合
https://doi.org/10.3[...]
立命館大学人文学会
2006-03-01
[94]
논문
儀礼の音へのアプローチ(1) : アフロ・カリビアン宗教の事例を手がかりとして
http://www.lib.kobe-[...]
大阪学院大学人文自然学会
1989-12-01
[95]
서적
アメリカ黒人の歴史
中公新書
[96]
뉴스
Indian Treaties and the Removal Act of 1830
https://history.stat[...]
미국 국무부
2017-01-14
[97]
뉴스
The Long Walk
https://www.crowcany[...]
Crow Canyon Archaeological Center
2017-01-14
[98]
뉴스
Navajo Treaty, 1868
http://nmai.si.edu/n[...]
스미소니언 박물관
2017-01-14
[99]
서적
스타린의 제노사이드
[100]
서적
스타린의 제노사이드
[101]
뉴스
미국 대통령으로부터의 사과와 보상, 그리고 복잡한 심경
https://www.nikkansa[...]
日刊サン
2014-12-06
[102]
뉴스
U.S. Apologizes to Internees
http://articles.lati[...]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998-01-13
[103]
서적
적국인 억류―전시하의 외국 민간인
吉川弘文館
[104]
웹사이트
日系アメリカ人強制収容所の概要
http://www.janm.org/[...]
전미일계인박물관
2017-10-09
[105]
웹사이트
Personal Justice Denied サマリー
https://www.archives[...]
미국 연방 기록청
[106]
보고서
Personal Justice Denied 勧告
https://www.archives[...]
アメリカ合衆国戦時民間人再定住・抑留に関する委員会
[107]
논문
Forsaken and Forgotten: The U.S. Internment of Japanese Peruvians During World War II
http://scholarship.l[...]
[108]
서적
アメリカ在住日系人強制収容の悲劇
明石書店
1997
[109]
학술지
日系人の強制立ち退き・収容に関する実態分析
https://hdl.handle.n[...]
関西学院大学
2008-03
[110]
뉴스
ブラジル政府、日本人迫害を謝罪 戦中戦後の強制退去、収監 移民の名誉回復
https://www.sankei.c[...]
2024-07-26
[111]
백과사전
Bantustan
https://www.britanni[...]
2018-01-05
[112]
뉴스
豪先住民「盗まれた世代」、政府謝罪を機に新しい人生に踏み出す
https://www.afpbb.co[...]
2008-02-11
[113]
뉴스
Australia Apologizes To Aborigines
http://www.cbsnews.c[...]
2008-02-12
[114]
논문
人種主義と二十世紀の世界―オーストラリアの「盗まれた世代」の例―
https://www.ic.nanza[...]
[115]
뉴스
NSW Stolen Generations receive compensation
http://www.sbs.com.a[...]
2015-01-25
[116]
웹사이트
Legal and Protection Policy Research Series: Forced Displacement and International Crimes
http://www.unhcr.org[...]
UNHCR
2011-06
[117]
뉴스
UNHCR: A record 100 million people forcibly displaced worldwide
https://news.un.org/[...]
2022-05-23
[118]
뉴스
Number of displaced people passes 100m for the first time, says UN
https://www.theguard[...]
2022-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