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트로브리안드 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트로브리안드 군도는 파푸아뉴기니에 위치한 4개의 주요 섬으로 이루어진 군도이다. 1793년 유럽인이 처음 방문했으며, 19세기 말 감리교 선교사가 정착하면서 유럽과의 접촉이 시작되었다. 20세기 초 영국이 식민지화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중 문화인류학자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의 연구로 유명해졌다. 전통적인 모계 사회 구조를 유지하며, 쿨라 교역과 같은 독특한 문화가 존재한다. 1970년대부터 반식민주의 운동이 일어났으며, 현대에는 인구 증가, 환경 문제, 소득 불평등, HIV/AIDS 문제 등과 같은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푸아뉴기니의 군도 - 당트르카스토 제도
    당트르카스토 제도는 파푸아뉴기니 밀른베이 주에 속하며 굿이너프섬, 퍼거슨섬, 노만비섬 등의 주요 섬으로 구성된 3,100km² 면적의 제도로, 활발한 화산 활동과 지열 지대로 유명하고 1792년 프랑스 탐험가 앙투안 브뤼니 당트르카스토가 발견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의 주요 기지로 활용되었고 주민들은 주로 생계형 농업과 어업에 종사하며 최근에는 상업적 활동도 이루어진다.
  • 파푸아뉴기니의 군도 - 애드미럴티 제도
    애드미럴티 제도는 파푸아뉴기니 마누스 주의 섬들로, 마누스섬을 포함한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고온 다습한 기후와 고유종이 서식하는 독특한 생태계를 지니며, 1767년 명명 후 독일령 뉴기니, 오스트레일리아 위임통치령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격전지였고, 현재는 파푸아뉴기니 영토이며 코코넛 재배와 진주 채취가 주요 산업이다.
  • 파푸아뉴기니의 섬 - 뉴브리튼섬
    뉴브리튼섬은 파푸아뉴기니에 속하는 초승달 모양의 열대우림 섬으로, 활발한 화산 활동과 석회암 카르스트 지형이 특징이며, 윌리엄 댐피어가 방문한 이후 독일과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민 지배를 거쳐 현재는 동뉴브리튼 주와 서뉴브리튼 주로 나뉘어 있고, 파푸아인과 오스트로네시아인이 거주하며 팜유 농장 개발로 인한 삼림 벌채 문제가 있다.
  • 파푸아뉴기니의 섬 - 뉴기니섬
    뉴기니섬은 오세아니아에 위치한 섬으로, 여러 국가의 식민 지배를 거쳐 현재 인도네시아령과 파푸아뉴기니령으로 나뉘어 있으며, 다양한 부족과 언어가 존재하고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한다.
  • 열대·아열대 습윤활엽수림 - 술라웨시섬
    술라웨시섬은 인도네시아에 속한 세계에서 11번째로 큰 섬으로, 험준한 산악 지형과 지진 및 화산 활동이 활발하며, 다양한 고유종이 서식하고 선사시대 유적과 동굴 벽화,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는 복잡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지만, 현재 심각한 환경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열대·아열대 습윤활엽수림 - 할마헤라섬
    할마헤라섬은 인도네시아 북말루쿠주에서 가장 큰 K자 모양의 화산섬으로, 활화산인 두코노 화산이 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고 고유종이 서식하며 역사적 사건과 경제 성장을 겪은 섬이다.
트로브리안드 군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리
위치솔로몬해
좌표(위치 미표시)
면적450 km²
행정 구역
국가파푸아뉴기니
행정 구역 단위밀른베이 주
가장 큰 도시로수이아
인구 통계
인구 (2016년)60,000명
추가 정보

2. 지리

트로브리안드 군도는 키리위나섬, 카일레우나, 바쿠타, 키타바의 4개 주요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2]

2. 1. 주요 섬

트로브리안드 군도는 4개의 주요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큰 키리위나섬과 카일레우나, 바쿠타, 키타바 섬이다. 키리위나 섬은 길이가 43km이며, 너비는 1km에서 16km 사이이다. 1980년대에는 이 섬에 약 60개의 마을과 약 12,000명의 주민이 있었으며, 다른 섬들은 수백 명의 인구로 제한되었다. 키리위나 섬의 일부 고지대를 제외하면, 이 섬들은 평평한 산호 환초이며 "연중 덥고 습하며, 잦은 강우량을 보인다."[2]

3. 역사

영혼의 배, 키리위나, 트로브리안드 제도 (나무와 흰 석회)


트로브리안드 군도는 1793년 프랑스 선박 ''에스페랑스''의 항해사 앙투안 브루니 당트르카스토가 자신의 첫 번째 부관인 드니 드 트로브리앙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면서 유럽에 알려지기 시작했다.

19세기 중반 이후 고래잡이 배들이 식량, 물, 나무를 얻기 위해 이 섬에 들렀고, 1894년에는 감리교 목사인 새뮤얼 벤자민 펠로우 부부가 키리위나로 이주하면서 본격적인 정착이 시작되었다. 20세기 초에는 호주에서 온 식민지 관리들이 정부 기지를 세우고 외국 상인들이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외부 세계와의 접촉이 늘어났다. 1930년대에는 성심 가톨릭 선교회가 초등학교를 설립하기도 했다.[2]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문화인류학자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가 이 섬을 방문하여 쿨라 교환 시스템, 정원 가꾸기, 마법, 성적 관행 등을 연구하여 현대 인류학의 고전으로 남는 기록을 남겼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민이었던 그는 적국이었던 호주의 통제하에 있었지만, 당국에 신고하는 조건으로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3년에는 연합군이 카트휠 작전의 일환으로 이 섬에 상륙하기도 했다.

1970년대부터는 일부 원주민들이 반식민주의 단체와 정치 운동을 결성하여 전통 부흥을 위해 노력했다.

2022년 10월에는 키리위나에서 축구 경기 중 사망 사건으로 인해 쿨루마타족과 쿠보마족 사이에 부족 간 싸움이 발생하여 최소 30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5][6]

3. 1. 유럽인과의 조우

이 섬을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은 1793년 프랑스 선박 ''에스페랑스''였다. 이 배의 항해사인 앙투안 브루니 당트르카스토는 자신의 첫 번째 부관인 드니 드 트로브리앙의 이름을 따서 섬의 이름을 지었다.[3]

1850년대와 1860년대에 고래잡이 배들이 식량, 물, 나무를 얻기 위해 이 섬에 들렀다.[3]

트로브리안드 제도에 정착한 최초의 유럽인은 1894년 키리위나로 이주한 감리교 목사인 새뮤얼 벤자민 펠로우와 그의 아내 사라 마가렛 펠로우였다. 그로부터 10년 후, 호주에서 온 식민지 관리들이 근처에 정부 기지를 세웠고, 곧 외국 상인들이 섬에 작은 식민지를 세우기 시작했다. 1930년대에는 성심 가톨릭 선교회가 근처에 초등학교가 있는 정착지를 세웠다. 이러한 유럽의 식민지화 이후 "트로브리안드"라는 이름이 이 섬 무리에 법적으로 채택되었다.[2]

3. 2. 식민지 시대

이 섬을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은 1793년 프랑스 선박 ''에스페랑스''였다. 이 배의 항해사인 앙투안 브루니 당트르카스토는 자신의 첫 번째 부관인 드니 드 트로브리앙의 이름을 따서 섬의 이름을 지었다.[2] 1850년대와 1860년대에는 고래잡이 배들이 식량, 물, 나무를 얻기 위해 이 섬에 들렀다.[3]

트로브리안드 제도에 정착한 최초의 유럽인은 1894년 키리위나로 이주한 감리교 목사인 새뮤얼 벤자민 펠로우와 그의 아내 사라 마가렛 펠로우였다. 그로부터 10년 후, 호주에서 온 식민지 관리들이 근처에 정부 기지를 세웠고, 곧 외국 상인들이 섬에 작은 식민지를 세우기 시작했다. 1930년대에는 성심 가톨릭 선교회가 근처에 초등학교가 있는 정착지를 세웠다. 이러한 유럽의 식민지화 이후 "트로브리안드"라는 이름이 이 섬 무리에 법적으로 채택되었다.[2]

제1차 세계 대전문화인류학자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가 이곳을 방문하여, 내부에서 상세한 조사 연구를 실시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시민이었던 그는 당시 트로브리안드 제도를 통제하고 있던 호주와 전쟁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끔 당국에 신고하는 조건으로) 머물 수 있었다.[4] 그가 기록한 쿨라 교역이나 문화·습속에 관한 다양한 기록은 현대 문화인류학의 고전이 되었고, 이로 인해 트로브리앙 제도가 유명해졌다. 정신분석학자 빌헬름 라이히는 말리노프스키의 섬 연구를 바탕으로 ''강제적인 성 도덕의 침략''을 저술했고, 1936년 저서 Die Sexualität im Kulturkampf|문화 투쟁에서의 성de에서 성 경제 이론을 발전시켰다.

태평양 전쟁에서는 주변이 전장이 되었고, 1943년 카트휠 작전에 따라 연합군이 키리위나섬에 진주했다.

1970년대부터 반식민지·전통 부흥 운동이 활발해졌다.

3. 3. 인류학 연구

이 섬을 방문한 최초의 유럽인은 1793년 프랑스 선박 ''에스페랑스''였다.[3] 이 배의 항해사인 앙투안 브루니 당트르카스토는 자신의 첫 번째 부관인 드니 드 트로브리앙의 이름을 따서 섬의 이름을 지었다.

트로브리안드 제도를 연구한 최초의 인류학자는 C. G. 셀리그먼으로, 그는 뉴기니 본토의 마심족에 초점을 맞췄다.[4] 셀리그먼 이후 몇 년 뒤 그의 제자인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섬을 방문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시민이었던 그는 당시 트로브리안드 제도를 통제하고 있던 호주와 전쟁 중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끔 당국에 신고하는 조건으로) 머물 수 있었다.[4] 그의 ''쿨라'' 교환 시스템, 정원 가꾸기, 마법, 성적 관행에 대한 묘사는 현대 인류학 저술의 고전이 되어, 많은 외국 연구자들이 이 섬 무리의 사회를 방문하여 그들의 문화의 다른 측면을 연구하도록 했다.

정신분석학빌헬름 라이히는 말리노프스키의 섬 연구를 바탕으로 ''강제적인 성 도덕의 침략''을 저술했고, 1936년 저서 Die Sexualität im Kulturkampf|문화 투쟁에서의 성de에서 성 경제 이론을 발전시켰다.

오마라카나의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 기념 명판, 마을 아이들이 장식함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를 기리는 기념 명판이 트로브리안드 제도 최고 족장의 거주지인 오마라카나 마을에 세워져 있다.[10] 현 족장인 풀라야시 다니엘은 20세기 초 말리노프스키의 텐트가 세워졌던 장소라고 말한다.[11] 명판에는 폴란드어와 영어로 두 개의 비문이 새겨져 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토보마 미스카바티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1884–1942) 저명한 과학자 폴란드 국민의 아들 현대 사회 인류학의 아버지 트로브리안드 제도 사람들의 친구이자 그들의 문화를 알린 사람".[12] 이 명판은 크라쿠프의 야기엘론 대학교와 폴란드 슈체친의 국립 박물관의 후원을 받았다.[11]

말리노프스키의 주요 저서는 다음과 같다.

출판년도제목
1922서태평양의 아르고호
1929북서 멜라네시아 원주민의 성생활
1935산호 정원과 그 마법



이후 트로브리안드 제도에 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출판년도저자제목
1988애넷 B. 와이너파푸아뉴기니의 트로브리안드인
1992폴 서루오세아니아의 행복한 섬들
1994애넷 B. 와이너가치 있는 여성, 명성 있는 남성
2010군터 센프트트로브리안드 섬 주민들의 말하기 방식[15]
2012캐서린 레파니사랑의 섬, 위험의 섬: 트로브리안드의 문화와 HIV
2012미셸 매카시얌으로 정치하기: 파푸아뉴기니 트로브리안드 섬의 식량 안보.
2016미셸 매카시현대 원시인을 만들기: 트로브리안드 섬의 문화 관광
2017프레데릭 데이먼나무, 매듭, 아웃리거: 북동 쿨라 링의 환경 지식
2017마크 모스코발로마의 방식: 트로브리안드에서 마법과 친족 관계 재고하기
2007앤드루 제임스 코넬리코코넛 세기: 파푸아 트로브리안드 섬 지역의 순찰 보고서, 1907-1934


3. 4. 제2차 세계 대전

1943년, 연합군은 라바울로의 연합군 진격 작전인 카트휠 작전의 일환으로 이 섬에 상륙했다.[4]

3. 5. 독립 이후



1970년대부터 일부 원주민들은 반식민주의 단체와 전통 부흥 운동을 활발하게 펼쳤다.[2] 현재는 관광지로 개발되었지만, 전통 문화는 여전히 보존되고 있다.

2022년 10월, 키리위나에서 쿨루마타족과 쿠보마족 사이에 부족 간 싸움이 발생했는데, 이는 축구 경기 중 사망 사건으로 촉발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싸움으로 최소 30명이 사망했으며, 이는 서로 다른 집단 간의 싸움이 드물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사망으로 이어진 첫 사례였다.[5][6]

4. 사회

주민들은 화전 농업으로 토란, 등을 재배하며 전통적인 마을에 거주한다. 사회 구조는 모계 사회이다.[17]

쿨라 교역은 이곳을 중심으로 예로부터 행해져 온 대규모 의례적 교역이다. 카누를 타고 다른 섬으로 건너가 조개껍데기 장식품을 교환하는 것으로, 생활 필수품의 물물 교환과는 다르며 쿨라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시된다.[17][18]

죽은 자는 인근 섬에서 산 후 태아로 환생한다고 믿어졌다. 근대에 싸움이 금지된 후에는 의례적인 크리켓이 성행하게 되었다.

언어(킬리빌라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서오세아니아어군영어(뉴기니 섬 북동부 연안·도서부)에 속한다.

4. 1. 모계 사회

주민들은 주로 화전 농업을 하며, 토란, 등을 재배하며 전통적인 마을에 거주한다. 사회 구조는 모계 사회이다.[17]

4. 2. 마을

주민들은 화전 농업을 하며, 토란, 등을 재배하며 전통적인 마을에 거주한다. 사회 구조는 모계 사회이다.[17]

5. 문화

트로브리안드 군도는 음력 달력 체계, 화전 농업, 모계 사회 등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주민들은 토란, 등을 재배하며 전통적인 마을에 거주한다. 죽은 자는 인근 섬에서 산 후에 태아로 환생한다고 믿으며, 킬리빌라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14]

5. 1. 쿨라 교역

쿨라(쿨라 교역)는 이곳을 중심으로 예로부터 행해져 온 대규모 의례적 교역이다. 이는 카누를 타고 차례로 다른 섬으로 건너가 조개껍데기로 만든 장식품을 교환하는 것이다. 물건과 물건의 교환이지만, 생활 필수품의 물물 교환과 같은 거래와는 다른 것으로 여겨지며, 쿨라의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시된다.[17][18]

5. 2. 성 관념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는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이 섬을 방문하여 쿨라 교환 시스템, 정원 가꾸기, 마법, 성적 관행에 대한 묘사를 했는데, 이는 현대 인류학 저술의 고전이 되었다. 많은 외국 연구자들이 이 섬 무리의 사회를 방문하여 그들의 문화의 다른 측면을 연구하게 되었다.[4] 정신분석학빌헬름 라이히는 말리노프스키의 섬 연구를 바탕으로 ''강제적인 성 도덕의 침략''을 저술했고, 1936년 저서 Die Sexualität im Kulturkampf|문화 투쟁에서의 성de에서 성 경제 이론을 발전시켰다.[4]

5. 3. 크리켓

근대에 들어 싸움이 금지되면서, 그 대안으로 의례적인 크리켓 경기가 성행하게 되었다.

5. 4. 달력

트로브리안드 군도는 독특한 음력 달력 체계를 가지고 있다. 12개 또는 13개의 음력 주기가 있지만, 고정된 것은 10개뿐이며, 나머지는 자유 시간으로 간주된다. 달력의 시작은 밀라막 축제를 시작하는 벌레의 출현이며, 이 벌레는 산란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섬에서 시간의 개념은 선형적이지 않으며, 언어에는 단 하나의 시제만 존재한다.[14]

6. 현대의 트로브리안드 제도

파푸아뉴기니 정부가 1975년 이후 트로브리안드 군도를 통치하면서 섬의 인구,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측면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를 기리는 기념 명판이 트로브리안드 제도 최고 족장의 거주지인 오마라카나 마을에 세워져 있다.[10] 현 족장인 풀라야시 다니엘은 20세기 초 말리노프스키의 텐트가 세워졌던 장소라고 말한다.[11] 명판에는 폴란드어와 영어로 "토보마 미스카바티 브로니슬라프 말리노프스키(1884–1942) 저명한 과학자 폴란드 국민의 아들 현대 사회 인류학의 아버지 트로브리안드 제도 사람들의 친구이자 그들의 문화를 알린 사람"이라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 이 명판은 뉴질랜드에 남겨진 것을 모니카 브로니카와 마리우스 델가스가 키리위나로 가져왔으며,[12] 크라쿠프의 야기엘론 대학교와 폴란드 슈체친의 국립 박물관의 후원을 받았다.[11]

6. 1. 인구 증가와 환경 문제

파푸아뉴기니 정부는 1975년 이후 트로브리안드 군도를 정치적으로 통제해 왔으며, 이 섬의 인구는 빠르게 증가했다.[7] 늘어나는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더 많은 토지가 개간되었고, 산림 벌채와 같은 환경 문제가 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7]

정부는 종종 사회복지사를 파견하여 피임 사용을 장려하려 하지만, 트로브리안드 사람들은 자신들의 생식 규범을 따르려는 외부의 영향에 잘 따르지 않는다. 이들에게 섹스는 "문화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이기 때문이다.[7]

트로브리안드 사회의 성적 개방성은 섬을 방문하는 외국인들에 의해 HIV/AIDS가 빠르게 확산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HIV/AIDS의 첫 번째 사례는 2001년에 보고되었으며, 이후 심각한 건강 문제로 대두되었다. 젊은 트로브리안드 사람들은 결혼 전에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갖는 경우가 많아 질병 확산을 늦추기 어렵다.[8] 트로브리안드 사람들은 혼전 성행위를 건강하고 삶을 긍정하는 것으로 여기며, 호혜주의와 차이를 관계의 생산적 가치로 강조하기 때문에, HIV 예방에서 강조하는 위험과 문란함에 대한 도덕주의적 비유는 이들의 성 관념과 쉽게 조화되지 않는다.[8]

6. 2. 소득 불평등

1975년 주(state)로 승격된 후, 트로브리안드 제도의 경제는 관광 및 수출 시장에 맞게 재편되었다. 대부분의 트로브리안드인들은 하루 1USD 미만으로 생활한다.[7] 전통적으로 음식은 필요에 따라 사람들 사이에 분배되었기 때문에, 쿨라 반지를 제외하고는 통화 기반 경제의 필요성이 거의 없었다.[9] 이러한 현금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서구식 상품 상점들이 섬에 문을 열어 외국 상품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 상점들은 수백만 달러 규모의 기업이다.[7] 대부분의 트로브리안드인들은 현금만 받기 때문에 이 상점에서 물건을 사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7] 이러한 관행 때문에, 자금 부족으로 인한 불안정 보고가 자주 발생한다. 많은 섬 주민들이 찾는 해결책 중 하나는 통화를 얻기 위해 문화 유물과 유물을 관광객에게 판매하는 것이다.[8] 예를 들어, 한 노동자가 의례용 거북이 그릇 제작에 10일을 투자하고 10USD만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상업화는 종종 독선적으로 이루어진다."[9] "그들은 문화적 정체성을 보호하면서 관광 상품으로 이용한다."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수입품 중 하나는 빈랑 열매이다.[7] 빈랑 열매는 섬의 주요 마약이다.[7] 이러한 새로운 통화 기반 경제로 인해 섬에서 범죄가 더 많이 보고되고 있다. 현대 세계와 트로브리안드 사이의 소득 불평등으로 인해 심각한 경제적 격차가 존재한다.

섬에서의 말리노프스키와 초기 교육

6. 3. HIV/AIDS 문제

1975년 이후 파푸아뉴기니 정부가 이 섬을 통제하면서 인구가 빠르게 증가했다.[7] 늘어나는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더 많은 토지가 개간되었고, 산림 벌채와 같은 환경 문제가 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7]

파푸아뉴기니 정부는 종종 사회복지사를 파견하여 피임 사용을 늘리려 하지만, 트로브리안드 군도 주민들은 자신들의 생식 규범을 지시하는 외부의 영향에 잘 따르지 않는다. 이는 섹스가 "문화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것"임을 의미한다.[7] 트로브리안드 사회의 문란함의 또 다른 영향은 섬의 외국인들에 의해 HIV/AIDS가 빠르게 확산되는 것이다.[8] HIV/AIDS의 첫 번째 기록 사례는 2001년에 보고되었다. HIV는 심각한 건강 문제가 되었다. 젊은 트로브리안드 군도 주민들은 결혼 전에 여러 명의 성 파트너를 갖는 경우가 많아 질병의 확산을 늦추기 어렵다.[8] "HIV 예방 언어를 지배하는 위험과 문란함에 대한 도덕주의적 비유는 트로브리안드인들의 성에 대한 생각과 쉽게 조화되지 않는다. 그들은 혼전 성행위를 건강하고 삶을 긍정하는 것으로 축하하며, 호혜주의와 차이의 관계의 생산적 가치를 강조한다."[8]

6. 4. 교육

트로브리안드에는 선교 학교 외에도 파푸아뉴기니 정부가 도입한 공립 학교가 있다. "모든 어린이는 학교에 다녀야 한다."[7] 필수 과목은 영어, 수학, 과학, 문화이며, 학생들에게 현재의 국제 행사에 대해서도 교육한다.[7] 섬의 학생들은 수학을 가장 좋아한다.[7] 수요일은 정부가 의무화한 문화의 날로, 어린이들은 전통 의상을 입고 트로브리안드 문화, 역사, 가치를 배운다.[7]

6. 5. 관광 산업

트로브리안드 제도는 관광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남태평양의 섬들이다. 2012년 독일 화가 잉고 퀠은 키리위나와 포트모르즈비에서 쿨라 문화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13]

참조

[1] 기타 The fear gasping face as a threat display in a Melanesian society https://www.research[...]
[2] 서적 The Trobrianders of Papua New Guinea Harcourt Brace Jovanovich
[3] 서적 Where the whalers went: an index to the Pacific ports and islands visited by American whalers (and some other ships) in the 19th century Pacific Manuscripts Bureau 1984
[4] 서적 The Trobrianders of Papua New Guinea Harcourt Brace Jovanovich
[5] 웹사이트 More than 30 dead in tribal fighting on Papua New Guinea's 'island of love' https://www.theguard[...] 2022-10-25
[6] 웹사이트 PNG official confirms 30 dead in tribal clash https://www.rnz.co.n[...] 2022-10-25
[7] AV media The Unholy Paradise https://www.youtube.[...] ZDF 2012-05-16
[8] 서적 Culture sketches: case studies in anthropology The McGraw-Hill 2012
[9] 서적 Culture sketches: case studies in anthropology The McGraw-Hill 2012
[10] 서적 Seks, betel i czary. Życie seksualne dzikich sto lat później. Znak Litera Nova 2014
[11] 서적 Seks, betel i czary. Życie seksualne dzikich sto lat później. Znak Litera Nova 2014
[12] 웹사이트 Przygoda, Rafa Koralowa i życie bez butów [ZDJĘCIA] https://plus.dzienni[...] 2017-08-18
[13] 기타 Ingo Kühl Sketchbook Trobriand Islands http://ingokuehl.com[...]
[14] 서적 Introducing Cultural Studies Routledge 2016
[15] 서적 de Gruyter Reference Global - The Trobiand Islanders' Way of Speaking
[16] 간행물 Cultural and cognitive aspects of string figure-making in the Trobriand Islands https://www.cairn.in[...] 2015-01-21
[17] 서적 西太平洋の遠洋航海者 講談社学術文庫
[18] 서적 人類学のコモンセンス 学術図書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