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티그레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티그레어는 에리트레아와 수단에서 사용되는 셈어파 언어이다.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게에즈어의 음운을 보존하고 있다. 그으즈 문자를 기반으로 한 티그레 문자를 사용하며, 명사, 대명사, 동사 등에서 셈어파 언어의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악숨 - 악숨 왕국
    악숨 왕국은 기원전 1000년경 에티오피아 고원에 세워져 국제 무역과 군사력을 통해 번성하고 기독교를 국교로 삼았으나, 이슬람의 부상과 무역로 변화 등으로 쇠퇴하여 11세기 또는 12세기에 멸망한 고대 왕국이다.
  • 악숨 - 티그라이주
    티그라이주는 에티오피아 북부의 티그리냐족 고향이자 고대 악숨 왕국의 중심지로, 다양한 종교의 영향을 받은 역사적 깊이가 깊은 지역이며 20세기에는 내전과 국경 분쟁, 최근에는 티그라이 전쟁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 티그라이주 - 티그라이 전쟁
    티그라이 전쟁은 2020년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TPLF)이 에티오피아 국방군 기지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으며, 에티오피아군, 에리트레아군, TPLF 간의 전쟁 범죄 혐의와 인도적 위기를 초래했고, 2022년 휴전 협정 이후에도 여파가 지속되고 있다.
  • 티그라이주 - 메켈레
    메켈레는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의 주도로서, 13세기 작은 마을에서 19세기 에티오피아 제국의 수도가 되었고,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에티오피아 내전, 티그라이 분쟁 등 역사적 격변을 겪었으며, 티그리냐어를 사용하는 티그라이인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풍부한 역사와 문화, 급성장하는 경제를 가진 도시이다.
  • 에리트레아의 언어 - 아파르어
    아파르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아파르족이 사용하며 사호어, 소말리어와 친족 관계를 가지고 지부티의 국어이자 에티오피아의 공식 업무 언어이며 에리트레아의 국어 중 하나로 인정받고, 짧고 긴 모음 구별, 주어-목적어-동사 어순, 다양한 문자 체계, 여러 방언 존재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에리트레아의 언어 - 티그리냐어
    티그리냐어는 에리트레아의 주요 언어이자 에티오피아에서도 널리 쓰이는 언어로서, 게에즈 문자를 사용하며 기독교 용어에서 게에즈어의 영향을 받았고, 13세기 법률 문서 기록이 있으며, 에리트레아 독립 후 공용어가 되었고, 아스마라 방언이 주로 사용되며, 인두음이 풍부하고 독특한 문법적 특징을 지닌다.
티그레어
언어 정보
이름티그레어
고유 이름티그레이트 Tigrayit, ኻሳ Xasa
사용 국가에리트레아, 수단
사용자 수약 89만 명 (2022년)
언어 계통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남셈어군
에티오피아 셈어군
북에티오피아 셈어군
문자그으즈 문자, 아랍 문자
ISO 639-2tig
ISO 639-3tig
Glottologtigr1270
Glottolog 이름Tigre
방언만사 (Mensa)
하밥 (Habab)
베니-아미르 (Beni-Amir)
셈하르 (Semhar)
알게덴 (Algeden)
세니트 (Senhit) (아드-테클레이스, 아드-테마리암, 베트-주크, 마리아 카야)
기타 정보
사용 민족티그레족
공용어/소수어

2. 방언

티그레어에는 여러 방언이 있으며, 만사(Mensa), 하밥, 바르카, 셈하르, 알게덴, 센힛(Ad-Tekleis, Ad-Temariam, Bet-Juk, Marya Kayah) 등이 있다. 다흐라크 제도에서 사용되는 다할릭어도 티그레어의 방언 중 하나이다. 방언 간의 상호 이해도는 91% 이상이지만, 다할릭어와 다른 방언 간의 상호 이해도는 24%에서 51% 사이이다.

수단의 티그레어 화자들은 이 언어를 "hāsā"라고 부르기도 한다.[3]

3. 음운

티그레어는 게에즈어의 두 인두 자음을 보존했다. 게에즈어의 모음 체계는 거의 보존되었지만, [ɐ]/ɐtir와 [a]에 음성적으로 가까운 두 모음이 동일한 음질(동일한 조음)을 가지지만 길이에 차이가 있는 한 쌍의 음소, 즉 [a] 대 [aː]/ātir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 음질에 따른 원래의 음소 구별은 티그리냐어에 남아 있다. 전통적으로 "제1차 모음"이라고 불리는 모음 [ɐ]/ɐtir는 셈족 언어학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ä''로 표기된다.

티그레어의 음소는 국제 음성 기호(IPA) 기호(IPA 괄호로 표시)와 에티오피아 셈어 연구자들 사이에서 일반적(하지만 보편적이지 않음)으로 사용되는 기호로 표시된다. 장모음 /aː//ātir의 경우 Raz(1983)에 따라 기호 'ā'가 사용된다. 세 개의 자음 /p, p', x/는 소수의 차용어에서만 발생하므로 괄호 안에 표기한다.

다른 에티오피아 셈어와 마찬가지로, /ə//ətir의 음소적 지위는 의문시된다. 자음군을 분리하기 위해 도입된 삽입음 모음으로 취급할 수 있다.

colspan="2"|순음치음후치경음연구개음인두음성문음
비음mn
파열음무성음(p)t[tʃ]/čtirk[ʔ]/ʔtir
유성음bd[dʒ]/ǧtirɡ
방출음(pʼ)[tʃʼ]/č'tir
마찰음무성음fs[ʃ]/štir(x)[ħ]/ħtirh
유성음z[ʒ]/žtir[ʕ]/ʕtir
방출음
접근음l[j]/ytirw
R음r




3. 1. 자음

wikitable

colspan="2"|순음치음후치경음연구개음인두음성문음
비음mn
파열음무성음(p)t[tʃ]/čtirk[ʔ]/ʔtir
유성음bd[dʒ]/ǧtirɡ
방출음(pʼ)[tʃʼ]/č'tir
마찰음무성음fs[ʃ]/štir(x)[ħ]/ħtirh
유성음z[ʒ]/žtir[ʕ]/ʕtir
방출음
접근음l[j]/ytirw
R음r


3. 2. 모음


3. 3. 자음 길이

티그레어에서 자음 길이는 음소적이다. 즉, 단어 쌍이 자음 길이만으로 구별될 수 있다는 의미이며, 그러한 최소 대립쌍은 거의 없다. 인두 자음, 성문 자음, /w/, /j/를 포함한 일부 자음은 길게 나타나지 않는다. 이 언어에서 긴 자음은 거의 전적으로 쌍자음화에 의해 형태론적 과정으로 발생하며, 어근에는 긴 자음이 거의 없다. 쌍자음화는 특히 동사 형태론에서 두드러진다.




4. 문자

그으즈 문자아부기다이며 각 글자가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으즈 문자와 그 문자는 에티오피아어라고도 불린다. 이 문자는 티그레어를 표기하기 위해 약간 수정되었다.[6]

'''티그레 그으즈 문자'''
äuiaeəowiwawe
h/hsemcolspan="6" |
l/lsemcolspan="6" |
ḥ/ḥsemcolspan="6" |
m/msemcolspan="6" |
r/rsemcolspan="6" |
s/ssemcolspan="6" |
š/šsemcolspan="6" |
ḳ/ḳsem
b/bsemcolspan="6" |
t/tsemcolspan="6" |
č/čsemcolspan="6" |
ḫ/ḫsem
n/nsemcolspan="6" |
ʾ/ʾsemcolspan="6" |
k/ksem
w/wsemcolspan="6" |
ʿ/ʿsemcolspan="6" |
z/zsemcolspan="6" |
ž/žsemcolspan="6" |
y/ysemcolspan="6" |
d/dsemcolspan="6" |
ǧ/ǧsemcolspan="6" |
g/gsem
ṭ/ṭsemcolspan="6" |
č̣/č̣semcolspan="6" |
p̣/p̣semcolspan="6" |
ṣ/ṣsemcolspan="6" |
f/fsemcolspan="6" |
p/psemcolspan="6" |
äuiaeəowiwawe



1889년경부터 게에즈 문자(에티오피아 문자)가 티그레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티그레어 화자들은 이전에는 아랍어를 공용어로서 더 널리 사용했다.[6] 성경은 티그레어로 번역되었다.[7]

4. 1. 티그레 그으즈 문자

그으즈 문자아부기다이며 각 글자가 자음과 모음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으즈 문자와 그 문자는 에티오피아어라고도 불린다. 이 문자는 티그레어를 표기하기 위해 약간 수정되었다.

'''티그레 그으즈 문자'''
äuiaeəowiwawe
h/hsemcolspan="6" |
l/lsemcolspan="6" |
ḥ/ḥsemcolspan="6" |
m/msemcolspan="6" |
r/rsemcolspan="6" |
s/ssemcolspan="6" |
š/šsemcolspan="6" |
ḳ/ḳsem
b/bsemcolspan="6" |
t/tsemcolspan="6" |
č/čsemcolspan="6" |
ḫ/ḫsem
n/nsemcolspan="6" |
ʾ/ʾsemcolspan="6" |
k/ksem
w/wsemcolspan="6" |
ʿ/ʿsemcolspan="6" |
z/zsemcolspan="6" |
ž/žsemcolspan="6" |
y/ysemcolspan="6" |
d/dsemcolspan="6" |
ǧ/ǧsemcolspan="6" |
g/gsem
ṭ/ṭsemcolspan="6" |
č̣/č̣semcolspan="6" |
p̣/p̣semcolspan="6" |
ṣ/ṣsemcolspan="6" |
f/fsemcolspan="6" |
p/psemcolspan="6" |
äuiaeəowiwawe


5. 문법

티그레어의 문법은 셈어파 언어의 특징을 보인다.

명사는 남성형과 여성형의 두 가지 성을 가지며, 부정 관사와 정관사가 존재한다. 남성 명사는 '''uoro አሮ'''(예: '''uoro ennas አሮ እነ스''' - 남자), 여성 명사는 '''hatte ሐተ'''(예: '''hatte sit ሐተ እሲት''' - 여자)와 같은 부정 관사를 취한다. 정관사는 '''la ለ'''로 표현된다.(예: '''ለጸሐይ ወ ለወርሕ''' – 해와 달) 여성 명사는 주로 '''t'''를 포함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예: 남성형 '''ʼadəg'''- 당나귀, 여성형 '''ʼədgəhat''' – 암컷 당나귀)

단수와 복수의 구분은 음운 변화를 통해 나타나기도 한다.

예시는 다음과 같다.


  • '''nəgus''' – 왕; '''negüs''' – 왕들
  • '''bahar''' – 바다; '''ʼabhur''' – 바다들
  • '''ʼəsit''' – 여자; '''ʼans''' – 여자들
  • '''walat''' – 소녀; '''ʼāwaləd''' – 소녀들
  • '''kokob''' – 별; '''kawākəb''' – 별들


인칭 대명사는 단수와 복수, 그리고 남성과 여성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 '''ʼana''' – 나
  • '''ʼənta''' – 너 (단수, 남성)
  • '''ʼənti''' – 너 (단수, 여성)
  • '''hətu''' – 그 (남성)
  • '''həti''' – 그녀 (여성)
  • '''hənna''' – 우리
  • '''ʼəntum''' – 너희 (복수, 남성)
  • '''ʼəntən''' – 너희 (복수, 여성)
  • '''hətom''' – 그들 (남성)
  • '''həten''' – 그들 (여성)


소유 대명사는 명사에 접미사로 붙거나 별도의 단어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나의 책'은 '''kətābya'''(크타브የ) 또는 '''nāy'''(나예, 남성 명사), '''nāya'''(나የ, 여성 명사)로 표현된다.

동사 "to be"의 현재 시제는 다음과 같다.

  • '''ana halleco (o) tu''' – 나는 ~이다
  • '''enta halleco (o) tu''' – 너 (단수, 남성)는 ~이다
  • '''enti hallechi tu''' – 너 (단수, 여성)는 ~이다
  • '''hötu halla tu''' – 그는 ~이다
  • '''höta hallet tu''' – 그녀는 ~이다
  • '''henna hallena tu''' – 우리는 ~이다
  • '''entum hallecum tu''' – 너희 (복수, 남성)는 ~이다
  • '''entim hallechen tu''' – 너희 (복수, 여성)는 ~이다
  • '''hötön hallaa tom''' – 그들 (남성)은 ~이다
  • '''hötön halleia ten''' – 그들 (여성)은 ~이다


과거 시제는 '''alco'''(나는 ~이었다), '''alca'''(너(단수, 남성)는 ~이었다) 등과 같이 표현된다.

동사 "to have"는 '''Uoro chitab bi-e'''(나는 책이 있다), '''Uoro chitab bö-ca'''(너(단수, 남성)는 책이 있다)와 같이 표현된다. 과거 시제는 '''Hatte bēt álet-ilu'''(그는 집이 있었다)와 같이 표현된다.

5. 1. 명사

5. 2. 대명사

6. 수사

6. 1. 기수

티그레어의 기수는 다음과 같다.

  • 1. ḥate ሐቴ 또는 ḥante ሐንቴ (여성); አሮ 'aro (남성)
  • 2. kili’ē ክልኤ
  • 3. sel'ās ሰለአስ
  • 4. 'arbaʽe አርበዕ
  • 5. ḥams ሐምስ 또는 ḥamus ሐሙስ
  • 6. si'es ስእስ 또는 sus ሱስ
  • 7. sebuʽi ሰቡዕ
  • 8. seman ሰመን
  • 9. siʽe ሰዕ
  • 10. ʽasir ዐስር
  • 11. ʽasir-hatte ዐስር-ሐተ
  • 12. ʽasir-kil'e ዐስር-ክልኤ
  • ...
  • 20. ʽisra ዕስረ
  • 21. ʽisra w ḥate ዕስረ ወሐተ
  • 22. ʽisra w kili’ē ዕስረ ወክልኤ
  • ...
  • 30. selasa ሰለሰ
  • 31. selasa w ḥate ሰለሰ ወሐተ
  • ...
  • 40. arbaʽa አርበዐ
  • 41. arbaʽa w ḥate አርበዐ ወሐተ
  • ...
  • 50. ḥamsa ሐምሰ
  • 51. ḥamsa w ḥate ሐምሰ ወሐተ
  • ...
  • 100. mi'et ምእት
  • 200. kil'e miʽet ክልኤ ምእት
  • 300. seles miʽet ሰለአስ ምእት
  • ...
  • 1000. 'alf አልፍ

6. 2. 서수

티그레어에서 서수는 남성형과 여성형을 모두 갖는다. 남성형을 표현하려면 "-ay"를, 여성형을 표현하려면 "-ayt"를 추가한다.

  • 1st: 아웰(awel): አወላይtir/አወላይትtir(awelay/awelayit) (남/여) 또는 캐담(q’edam): ቀዳማይtir/ቀዳሚትtir(qedamay/qedamit) (남/여)
  • 2nd: ከልእtir(kaal'e): ከለኣይtir/ከለኣይትtir(kale'ay/kale'ayt) (남/여)
  • 3rd: ሰልስtir(saals)
  • 4rd: ረብዕtir(raab'e)
  • 5th: ሐምስtir(ḥaams)
  • 6th: ሰድስtir(saads)
  • 7th: ሰብዕtir(saab'e)
  • 8th: ሰምንtir(saamn)
  • 9th: ተስዕtir(taas'e)
  • 10th: ዐስርtir('asr)

참조

[1] 서적 Wörterbuch der Tigrē-Sprache: Tigrē-Deutsch-Englisch Franz Steiner Verlag
[2] 서적 Vocabulaire de la langue tigré T. O. Weigel 1865
[3] 서적 Семитские языки. Эфиосемитские языки Academia
[4] 뉴스 Tigre language https://www.britanni[...]
[5] 웹사이트 Languages of Eritrea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1-01
[6] 웹사이트 Tigré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17-10-30
[7] 간행물 The 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Bible into Tǝgre http://www.ityopis.o[...] 2012
[8] 웹사이트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articles translated into Tigre language https://www.asmarino[...] 2023-1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