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틸라코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틸라코이드는 엽록체 내부에 있는 막 구조로, 광합성의 명반응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그리스어 '자루' 또는 '주머니'를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틸라코이드 막, 틸라코이드 내강, 그라나와 스트로마 라멜라로 구성된다. 틸라코이드 막에는 광합성 색소와 광합성에 중요한 단백질 복합체가 존재하며, 틸라코이드 내강은 광인산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틸라코이드는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분해하고, 전자 전달 사슬을 통해 양성자 기울기를 형성하여 ATP를 생성한다. 시아노박테리아의 틸라코이드 막은 고등 식물과 다르게 여러 층으로 구성된 연결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포소기관 - 소포 (세포)
    소포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세포 내 물질 수송, 소화, 분비, 세포간 신호 전달, 세포 외부 물질 소화 및 배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세포외소포체는 질병과의 연관성으로 주목받고 있고, 클라트린, COPI, COPII, SNARE 단백질 등이 소포 형성 및 수송에 관여한다.
  • 세포소기관 - 세포막
    세포막은 세포질을 둘러싸고 세포 내외부 환경을 구분하는 선택적 투과성 막으로,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물질 수송, 세포 형태 유지, 세포 간 신호 전달, 세포 접합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유동 모자이크 모델로 설명된다.
  • 광합성 - 멜빈 캘빈
    멜빈 캘빈은 광합성 과정의 탄소 고정 경로를 밝혀 196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미국의 화학자로, 캘빈 순환을 규명하고 화학 생역학 연구소 설립, NASA 협력 등을 통해 과학 발전에 기여했다.
  • 광합성 - 명반응
    명반응은 엽록체 틸라코이드 막에서 광계 II와 I을 통해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ATP와 NADPH를 합성하고 물을 광분해하여 산소를 발생시키는 광합성의 첫 번째 단계이다.
  • 막생물학 -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은 세포막의 주요 인지질로서 동물세포에서 심장 기능, 지단백질 분비, 혈액 응고, 아난다마이드 합성에 관여하고, 세균에서는 막 인지질의 음전하 중화, 막 단백질 구조 형성, 다약물 수송체 기능에 필수적이며, 식품 내 마이야르 반응을 통해 산화 스트레스 유발 및 혈관 질환, 당뇨병과의 연관성이 연구된다.
  • 막생물학 - 소포 (세포)
    소포는 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세포 내 물질 수송, 소화, 분비, 세포간 신호 전달, 세포 외부 물질 소화 및 배출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특히 세포외소포체는 질병과의 연관성으로 주목받고 있고, 클라트린, COPI, COPII, SNARE 단백질 등이 소포 형성 및 수송에 관여한다.
틸라코이드
개요
틸라코이드 막의 전자 현미경 사진
틸라코이드 막의 전자 현미경 사진. 막은 어두운 선으로 나타나고 틸라코이드 내강은 밝은 공간으로 나타난다. 틸라코이드 막은 광계 II와 같은 단백질 복합체를 포함한다.
발견19세기
발견자빌헬름 필립퍼
위치엽록체
시아노박테리아
기능광합성의 명반응 장소
구조
구성 요소틸라코이드 막
틸라코이드 내강
그라나틸라코이드가 쌓여 형성된 구조
스트로마 틸라코이드그라나를 연결하는 틸라코이드
틸라코이드 막
주요 구성 성분인지질
단백질
단백질 복합체광계 II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
광계 I
ATP 합성 효소
지질 조성모노갈락토실 다이아실글리세롤 (MGDG)
다이갈락토실 다이아실글리세롤 (DGDG)
설포퀴노보실 다이아실글리세롤 (SQDG)
포스파티딜글리세롤 (PG)
막 유동성높은 유동성을 가짐
틸라코이드 내강
주요 이온양성자 (H+)
단백질광합성에 관여하는 단백질 존재
형성
시아노박테리아세포막 함입을 통해 형성
엽록체엽록체 내막에서 소포가 분리되어 형성
기능
광합성 명반응빛 에너지 흡수
물 분해를 통한 산소 발생
ATP 및 NADPH 생성
양성자 농도 기울기 형성ATP 합성 효소 활성화에 기여
광보호 작용과도한 빛 에너지로부터 보호
기타
관련 질병틸라코이드 기능 이상은 식물의 생장 저해를 유발할 수 있음

2. 어원

단어 ''틸라코이드''는 "자루" 또는 "주머니"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thylakos'' 또는 θύλακος|틸라코스grc에서 유래되었다.[1] 따라서, ''틸라코이드''는 "자루 모양" 또는 "주머니 모양"을 의미한다.

3. 틸라코이드의 구조

틸라코이드는 엽록체 기질에 내장된 막 결합 구조이다. 틸라코이드 층은 그라눔이라고 불리며 동전 층과 유사하다.

틸라코이드 구조


틸라코이드는 광합성의 명반응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여기에는 빛에 의한 물의 산화와 산소 생성, 양성자 및 전자의 기울기 형성 등이 포함된다.

3. 1. 틸라코이드 막 (Thylakoid membrane)

'''틸라코이드 막'''은 광합성의 명반응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광합성 색소가 막에 직접 내장되어 있다. 1 nm씩 측정되는 어둡고 밝은 띠가 번갈아 나타나는 패턴이다.[2] 틸라코이드 지질 이중층은 원핵생물 세포막과 엽록체 내부 막과 특징을 공유한다. 예를 들어, 산성 지질은 틸라코이드 막, 시아노박테리아 및 기타 광합성 세균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광계의 기능적 완전성에 관여한다.[3] 고등 식물의 틸라코이드 막은 주로 인지질[4]과 막을 따라 비대칭적으로 배열된 갈락토지질로 구성되어 있다.[5] 틸라코이드 막은 인지질보다 갈락토지질이 더 풍부하며, 주로 육방정계 II상을 형성하는 모노갈락토실 다이글리세라이드 지질로 구성된다. 이러한 독특한 조성에도 불구하고, 식물 틸라코이드 막은 대체로 지질 이중층의 역동적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6] 틸라코이드 막을 형성하는 지질은 유동성이 높은 리놀렌산이 가장 풍부하며,[7] 소포체와 엽록체 외피의 내부 막 사이에서 지질 전구체의 교환을 포함하는 복잡한 경로를 통해 합성되며, 소포체를 통해 내부 막에서 틸라코이드로 수송된다.[8]

3. 2. 틸라코이드 내강 (Thylakoid lumen)

'''틸라코이드 내강'''은 틸라코이드 막으로 둘러싸인 연속적인 수성 공간이다. 이는 광인산화 과정에서 광합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명반응 동안, 양성자가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질러 내강으로 펌핑되어 pH 4까지 산성으로 만든다.[1] 틸라코이드 루멘은 틸라코이드 막에 결합된 구획으로, 광합성 과정에서의 광인산화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광화학 반응 시에는 틸라코이드 막을 통과하여 루멘 내로 프로톤이 수송되어 pH 4까지 산성화된다.[1]

3. 3. 그라나와 스트로마 라멜라 (Granum and stroma lamellae)

고등 식물에서 틸라코이드는 그라나-스트로마 막 복합체로 구성된다. 그라나(복수형 그라눔)는 틸라코이드 원반이 쌓여있는 구조이다. 엽록체는 10개에서 100개의 그라나를 가질 수 있다. 그라나는 스트로마 틸라코이드(과립간 틸라코이드 또는 라멜라)로 연결된다. 그라나 틸라코이드와 스트로마 틸라코이드는 단백질 구성의 차이로 구별할 수 있다. 그라나는 엽록체의 큰 표면적 대 부피 비율에 기여한다.

최근 전자 단층 촬영법을 이용한 틸라코이드 막 연구에 따르면, 스트로마 라멜라는 그라나 적층 축에 수직인 넓은 시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라나 인터페이스에서 여러 개의 오른손 나선형 표면을 형성한다.[9] 왼손 나선형 표면은 오른손 나선형과 시트 사이에 통합된다. 서로 다른 반경과 피치의 교대 나선형 막 표면의 이 복잡한 네트워크는 막의 표면 및 굽힘 에너지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9]

4. 틸라코이드 형성

엽록체는 원형질체로부터 발달하며, 이는 묘목이 땅에서 솟아날 때 시작된다. 틸라코이드 형성은 빛을 필요로 한다. 식물 배아와 빛이 없는 환경에서 원형질체는 에티오플라스트로 발달하는데, 여기에는 프로라멜라체라고 하는 반결정성 막 구조가 포함된다. 빛에 노출되면 이러한 프로라멜라체가 틸라코이드로 발달한다. 어둠 속에서 자란 묘목에서는 이러한 과정이 일어나지 않으며, 황백화 현상이 발생한다. 빛에 과도하게 노출되지 않으면 틸라코이드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엽록체가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어 식물이 죽게 된다.

틸라코이드 형성은 '엽록체 내 소포 유도 단백질 1'(VIPP1)의 작용을 필요로 한다. 식물은 이 단백질 없이는 생존할 수 없으며, VIPP1 수치가 감소하면 광합성 능력이 저하되어 식물의 성장 속도가 느려지고 잎의 색이 옅어진다. VIPP1은 틸라코이드 막의 기본 형성에 필요하지만, 틸라코이드 막의 단백질 복합체 조립에는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16] 이는 시아노박테리아,[17] 클라미도모나스와 같은 녹조류,[18] 그리고 애기장대와 같은 고등 식물을 포함하여 틸라코이드를 포함하는 모든 생물체에서 보존된다.[19]

5. 틸라코이드 단백질

틸라코이드는 적분형 막 단백질, 주변 막 단백질, 그리고 루멘 단백질을 포함한다. 최근 단백질체학 연구에 따르면, 틸라코이드 단백질체는 최소 335개의 서로 다른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21] 이 데이터는 온라인 색소체 단백질 데이터베이스에 요약되어 있다.[22][23]

틸라코이드 단백질체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루멘 단백질: 89개
  • 적분형 막 단백질: 116개
  • 스트로마 쪽 주변 단백질: 62개
  • 루멘 쪽 주변 단백질: 68개


추가적인 저농도 루멘 단백질은 계산 방법으로 예측 가능하다.[20][24] 기능이 알려진 틸라코이드 단백질 중 42%는 광합성에 관여하며, 단백질 표적화, 처리 및 접힘 (11%), 산화 스트레스 반응 (9%), 번역 (8%)이 그 뒤를 잇는다.[22]

5. 1. 내재성 막 단백질 (Integral membrane proteins)

틸라코이드 막은 광합성의 광 수집 및 광 의존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적분 막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 틸라코이드 막에는 광계 I, 광계 II, 시토크롬 b6f 복합체, ATP 생성효소의 4가지 주요 단백질 복합체가 있다.[35]

광계 II는 주로 그라나 틸라코이드에 위치하는 반면, 광계 I과 ATP 생성효소는 주로 스트로마 틸라코이드와 그라나의 바깥층에 위치한다. 시토크롬 b6f 복합체는 틸라코이드 막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35]

이러한 단백질들은 함께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지르는 전자 전달 연쇄를 구동하여 화학 삼투 전위와 최종 산화 환원 반응의 산물인 NADPH를 생성한다. ATP 생성효소는 화학 삼투 전위를 사용하여 광인산화 과정에서 ATP를 생성한다.[35]

5. 1. 1. 광계 (Photosystems)

광계는 빛에 의해 구동되는 산화 환원 중심이며, 각각 안테나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 복합체는 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피코빌리단백질과 같은 보조 광합성 색소를 사용하여 다양한 파장의 빛을 수확한다. 각 안테나 복합체는 250개에서 400개 사이의 색소 분자를 가지고 있으며, 흡수된 에너지는 공명 에너지 전달에 의해 각 광계의 반응 중심에 있는 특수 클로로필 ''a''로 전달된다. 반응 중심에 있는 두 개의 클로로필 ''a'' 분자 중 하나가 에너지를 흡수하면 전자가 여기되어 전자 수용체 분자로 전달된다.

광계 I은 반응 중심에 P700으로 지정된 한 쌍의 클로로필 ''a'' 분자를 포함하며, 이는 700nm 빛을 최대한 흡수한다. 광계 II는 680nm 빛을 가장 잘 흡수하는 P680 클로로필을 포함한다(이 파장은 딥 레드를 나타낸다. 가시 스펙트럼 참조). P는 색소(pigment)의 약자이며, 숫자는 각 반응 중심의 클로로필 분자에 대한 특정 흡수 피크를 나노미터 단위로 나타낸다.

5. 1. 2. 시토크롬 b6f 복합체 (Cytochrome b6f complex)

시토크롬 b6f 복합체는 틸라코이드 전자 전달 사슬의 일부이며, 전자 전달을 틸라코이드 내강으로의 양성자 펌핑에 연결한다. 에너지적으로는 두 광계 사이에 위치하며, 광계 II-플라스토퀴논으로부터 플라스토시아닌-광계 I로 전자를 전달한다.[1]

틸라코이드 막 상에서 두 개의 광계가 존재하는 위치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자의 운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플라스토퀴논과 플라스토시아닌이 가동형 전자 운반체가 되어 전자를 운반한다. 플라스토퀴논은 광계 II 단백질 복합체에서 시토크롬 b6f 복합체까지, 플라스토시아닌은 시토크롬 b6f 복합체에서 광계 I 단백질 복합체까지 전자를 운반한다.[1]

5. 1. 3. ATP 합성효소 (ATP synthase)

틸라코이드 ATP 합성효소는 미토콘드리아 ATPase와 유사한 CF1FO-ATP 합성효소이다. CF1 부분이 스트로마로 돌출되도록 틸라코이드 막에 통합되어 있다. 따라서 ATP 합성은 광합성의 암반응에 필요한 ATP가 만들어지는 틸라코이드의 스트로마 쪽에서 일어난다.[1] ATP 합성효소는 전기화학적 기울기를 이용하여 광인산화를 통해 아데노신 삼인산(ATP)을 만들어낸다.[2]

5. 2. 틸라코이드 내강 단백질 (Lumen proteins)

전자 전달 단백질인 플라토시아닌은 틸라코이드 내강(루멘)에 존재하며, 사이토크롬 b6f 단백질 복합체로부터 광계 I으로 전자를 전달한다. 플라스토퀴논은 지질에 잘 녹기 때문에 틸라코이드 막 내에서 이동하지만, 플라토시아닌은 틸라코이드 내강을 통해 이동한다.[20]

틸라코이드 내강은 광계 II에 있는 산소 발생 복합체에 의해 물이 산화되는 장소이기도 하다.[20]

내강 단백질은 표적 신호에 기초하여 컴퓨터로 예측할 수 있다. Tat 신호를 가진 예측된 루멘 단백질 중, 애기장대에서 기능이 알려진 가장 큰 그룹은 단백질 처리(단백질 분해 및 폴딩)에 19%, 광합성에 18%, 대사에 11%, 산화 환원 운반체 및 방어에 7%가 관여한다.[20]

5. 3. 단백질 발현 및 이동

엽록체는 자체 유전자체를 가지고 있어 많은 틸라코이드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그러나 엽록체가 남세균의 내공생을 통해 진화하면서 엽록체 유전체에서 세포 핵으로 광범위한 유전자 이동이 일어났다. 그 결과, 4개의 주요 틸라코이드 단백질 복합체는 엽록체 유전체와 핵 유전체에 의해 부분적으로 암호화된다. 식물은 서로 다른 소기관에 암호화된 소단위체의 발현을 공동 조절하여 이러한 단백질 복합체의 적절한 화학량론과 조립을 보장하는 여러 메커니즘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광합성 장치의 일부를 암호화하는 핵 유전자의 전사 (유전학)는 에 의해 조절된다. 틸라코이드 단백질 복합체의 생합성, 안정성 및 회전율은 틸라코이드 막의 산화환원 민감성 키나아제를 통한 인산화에 의해 조절된다.[25] 엽록체에 의해 암호화된 단백질의 번역 (생물학) 속도는 조립 파트너의 유무에 의해 제어된다(합성의 에피스타시스에 의한 제어).[26] 이 메커니즘은 과도한 단백질이 엽록체 mRNA의 5' 비번역 영역에 결합하는 것을 통한 음성 피드백을 포함한다.[27] 엽록체는 또한 전자 전달 사슬을 위해 광계 I광계 II의 비율을 균형 있게 유지해야 한다. 틸라코이드 막에서 전자 전달체 플라스토퀴논의 산화 환원 상태는 광계의 반응 중심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엽록체 유전자의 전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전자 전달 사슬의 불균형을 상쇄한다.[28]

6. 틸라코이드 기능

틸라코이드는 광합성의 명반응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명반응에서는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물을 분해하고 산소를 발생시키며, 전자 전달을 통해 양성자 기울기를 형성한다. 이 양성자 기울기는 ATP 합성효소를 통해 ATP를 합성하는 데 사용된다.[1]

틸라코이드 단백질은 엽록체 내부의 신호 펩타이드와 원핵생물형 분비 경로를 통해 목적지로 이동한다. 대부분의 틸라코이드 단백질은 N-말단 엽록체 타겟팅 펩타이드와 틸라코이드 타겟팅 펩타이드, 이렇게 두 개의 타겟팅 신호를 필요로 한다. 단백질은 Toc 및 Tic 복합체를 통해 엽록체로 들어간 후, 첫 번째 타겟팅 펩타이드가 절단되고, 두 번째 타겟팅 신호에 의해 스트로마에서 틸라코이드로 이동한다. 이 과정은 에너지 의존적이며, SRP 의존적 경로, Tat 의존적 경로, 또는 막횡단 도메인을 통해 자발적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루멘 단백질은 Tat 의존적 경로 또는 Sec 의존적 경로를 통해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질러 루멘으로 이동하며, 각 경로는 다른 신호와 에너지원을 사용한다. Sec 경로는 ATP를, Tat 경로는 pH 구배를, SRP 경로는 GTP와 pH 구배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6. 1. 물의 광분해 (Water photolysis)

광합성의 첫 번째 단계는 빛을 이용한 물의 환원(분해)으로, 광합성 전자 전달 연쇄에 전자를 제공하고 양성자 기울기를 확립하기 위한 양성자를 제공한다. 물 분해 반응은 틸라코이드 막의 루멘 쪽에서 일어나며, 광계에 의해 포착된 빛 에너지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물의 산화는 세포 호흡에 필수적인 O2를 생성한다. 이 반응에 의해 형성된 분자 산소는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1]

6. 2. 전자 전달 사슬 (Electron transport chains)

광합성 과정에서 두 가지 변형된 전자 수송 방식이 사용된다.

  • '''비순환 전자 수송''' 또는 '''비순환적 광인산화'''는 NADPH + H+ATP를 생성한다.
  • '''순환 전자 수송''' 또는 '''순환적 광인산화'''는 ATP만 생성한다.


비순환 방식은 두 광계의 참여를 포함하는 반면, 순환 전자 흐름은 광계 I에만 의존한다.

  • 광계 I은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NADP+를 NADPH + H+로 환원시키며, 비순환 및 순환 전자 수송 모두에서 활성화된다. 순환 모드에서 에너지를 얻은 전자는 최종적으로 기본 상태에서 에너지를 제공한 엽록소로 되돌아가는 연쇄를 따라 전달된다.
  • 광계 II는 빛 에너지를 사용하여 물 분자를 산화시켜 전자(e), 양성자(H+), 분자 산소(O2)를 생성하며, 비순환 수송에서만 활성화된다. 이 시스템의 전자는 보존되지 않고, 산화된 2H2O(O2 + 4 H+ + 4 e)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어 최종적으로 NADPH로 환원될 때 NADP+와 함께 유출된다.

6. 3. 화학 삼투 (Chemiosmosis)

틸라코이드 막과 그 안에 내장된 광계의 주요 기능은 화학삼투 전위를 확립하는 것이다. 전자 전달 사슬의 운반체는 전자의 에너지 일부를 사용하여 기질에서 강으로 양성자를 능동적으로 수송한다. 광합성 과정에서 강은 기질의 pH 8에 비해 pH 4 정도로 산성이 된다.[30] 이는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지르는 양성자의 농도 기울기가 10,000배에 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6. 3. 1. 양성자 기울기 (Proton gradient)

루멘의 양성자는 다음 세 가지 주요 공급원에서 비롯된다.[1]

  • 광계 II에 의한 광분해: 물을 루멘에서 산소, 양성자 및 전자로 산화시킨다.[1]
  • 명반응 동안 광계 II에서 플라스토퀴논으로의 전자 전달: 스트로마에서 두 개의 양성자를 소비한다. 이들은 환원된 플라스토퀴놀이 틸라코이드 막의 루멘 측면에 있는 사이토크롬 b6f 단백질 복합체에 의해 산화될 때 루멘으로 방출된다. 플라스토퀴논 풀에서 전자는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를 통과한다. 이 막 통합체는 사이토크롬 bc1과 유사하다.[1]
  • 명반응 동안 페레독신에 의한 플라스토퀴논의 환원: 스트로마에서 루멘으로 두 개의 양성자를 전달한다.[1]


양성자 기울기는 또한 NADP 환원효소에서 NADP+로부터 NADPH를 만들기 위해 스트로마에서 양성자가 소비됨으로써 발생한다.[1]

6. 3. 2. ATP 생성 (ATP generation)

엽록체에서 ATP(아데노신 삼인산) 생성의 분자 메커니즘은 미토콘드리아의 그것과 유사하며, 필요한 에너지를 양성자 구동력(PMF)에서 얻는다. 그러나 엽록체는 ATP 합성에 필요한 잠재 에너지를 생성하기 위해 PMF의 화학적 퍼텐셜에 더 많이 의존한다. PMF는 양성자 화학 퍼텐셜(양성자 농도 기울기에 의해 주어짐)과 막을 가로지르는 전하 분리에 의해 주어진 막횡단 전기적 퍼텐셜의 합이다. 전하 분리로 인해 막 전위가 훨씬 더 높은 미토콘드리아의 내막과 비교하여, 틸라코이드 막은 전하 기울기가 부족하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틸라코이드 막을 가로지르는 10,000배의 양성자 농도 기울기는 미토콘드리아의 내막을 가로지르는 10배 기울기에 비해 훨씬 높다. 결과적인 화학 삼투 퍼텐셜은 루멘과 스트로마 사이에서 ATP 합성 효소를 사용하여 ATP 합성을 유도할 만큼 충분히 높다. 양성자가 ATP 합성 효소의 채널을 통해 기울기를 따라 다시 이동하면서 ADP + Pi는 ATP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명반응은 양성자 기울기를 통해 ATP의 합성과 연결된다.

7. 남세균의 틸라코이드 막 (Thylakoid membranes in cyanobacteria)

시아노박테리아는 고도로 분화된 막 시스템을 가진 광합성 원핵생물이다. 시아노박테리아는 광합성세포 호흡의 완전하게 기능하는 전자 전달 사슬이 존재하는 틸라코이드 막의 내부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31] 서로 다른 막 시스템의 존재는 이러한 세포에 세균 중에서 독특한 복잡성을 부여한다. 시아노박테리아는 막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막 지질을 합성하며, 적절한 단백질을 올바른 막 시스템으로 표적화할 수 있어야 한다. 세균 외부 막, 세포질 막, 그리고 틸라코이드 막은 각각 시아노박테리아 세포에서 특화된 역할을 수행한다. 막 시스템의 조직, 기능, 단백질 구성 및 역학에 대한 이해는 시아노박테리아 세포 생물학에서 여전히 큰 과제로 남아 있다.[31]

고등 식물의 틸라코이드 네트워크가 그라나와 스트로마 라멜라로 분화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시아노박테리아의 틸라코이드는 여러 개의 동심원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층들은 분리되고 융합되어 평행한 층을 형성하여 매우 연결된 네트워크를 형성한다.[32] 이로 인해 단일 루멘(고등 식물 엽록체와 같이)을 둘러싸는 연속적인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수용성 및 지용성 분자가 전체 막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될 수 있다.[32] 또한, 평행한 틸라코이드 시트 내에서 천공이 자주 관찰된다.[32] 막의 이러한 틈새는 리보솜, 글리코겐 과립 및 지질체를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의 입자가 세포 전체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32] 틸라코이드 사이의 비교적 넓은 거리는 외부 광 수확 안테나인 피코빌리소체를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33] 이러한 거대 구조는 고등 식물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물리화학적 환경의 변화 동안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보인다.[34]

참조

[1] LSJ θύλακος
[2] 서적 Photosynthesis McGraw Hill Encyclopedia of Science and Technology
[3] 논문 Roles of the acidic lipids sulfoquinovosyl diacylglycerol and phosphatidylglycerol in photosynthesis: their specificity and evolution
[4] 백과사전 photosynthesis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04-09
[5] 논문 Structural and functional organization of galactolipids on thylakoid membrane organization
[6] 논문 Magnetic resonance studies of dynamic organization of lipids in chloroplast membranes http://www.ias.ac.in[...]
[7] 논문 13C NMR studies of lipid fatty-acyl chains of chloroplast membranes https://www.research[...]
[8] 논문 Non-vesicular and vesicular lipid trafficking involving plastids
[9] 논문 Fundamental helical geometry consolidates the plant photosynthetic membrane
[10] 논문 Three-dimensional organization of higher-plant chloroplast thylakoid membranes revealed by electron tomography
[11] 논문 The Three-Dimensional Network of the Thylakoid Membranes in Plants: Quasihelical Model of the Granum-Stroma Assembly
[12] 논문 Stacked endoplasmic reticulum sheets are connected by helicoidal membrane motifs
[13] 논문 "Parking-garage" structures in nuclear astrophysics and cellular biophysics American Physical Society
[14] 논문 Disordered nuclear pasta, magnetic field decay, and crust cooling in neutron stars
[15] 논문 Effect of topological defects on "nuclear pasta" observables
[16] 논문 Vipp1 is required for basic thylakoid membrane formation but not for the assembly of thylakoid protein complexes
[17] 논문 Vipp1 deletion mutant of Synechocystis: A connection between bacterial phage shock and thylakoid biogenesis?
[18] 논문 The chloroplast HSP70B-CDJ2-CGE1 chaperones catalys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VIPP1 oligomers in Chlamydomonas
[19] 논문 VIPP1, a nuclear gene of Arabidopsis thaliana essential for thylakoid membrane formation
[20] 논문 Central Functions of the Lumenal and Peripheral Thylakoid Proteome of Arabidopsis Determined by Experimentation and Genome-Wide Prediction
[21] 논문 Plastid proteomics
[22] 논문 In-Depth Analysis of the Thylakoid Membrane Proteome of Arabidopsis thaliana Chloroplasts: New Proteins, New Functions, and a Plastid Proteome Database http://ppdb.tc.corne[...]
[23] 논문 plprot: a comprehensive proteome database for different plastid types http://www.plprot.et[...]
[24] 논문 Proteomics of the Chloroplast: Systematic Identification and Targeting Analysis of Lumenal and Peripheral Thylakoid Proteins
[25] 논문 Protein phosphorylation and redox sensing in chloroplast thylakoids
[26] 논문 Assembly-controlled regulation of chloroplast gene translation
[27] 논문 Chloroplast Biogenesis of Photosystem II Cores Involves a Series of Assembly-Controlled Steps That Regulate Translation
[28] 논문 Balancing the two photosystems: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fer governs transcription of reaction centre genes in chloroplasts
[29] 논문 Toc, Tic, Tat et al.: structure and function of protein transport machineries in chloroplasts
[30] 논문 ATP formation caused by acid-base transition of spinach chloroplasts. 1966
[31] 서적 The Cyanobacteria: Molecular Biology, Genomics and Evolution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32] 논문 Thylakoid membrane perforations and connectivity enable intracellular traffic in cyanobacteria
[33] 논문 Ultrastructure and light adaptation of phycobilisome mutants of Synechocystis PCC 6803
[34] 논문 Reversible membrane reorganizations during photosynthesis in vivo: revealed by small-angle neutron scattering. https://hal.archives[...] 2011-06-01
[35] 서적 Photosynthesis McGraw Hill Encyclopedia of Science and Technology
[36] 논문 Roles of the acidic lipids sulfoquinovosyl diacylglycerol and phosphatidylglycerol in photosynthesis: their specificity and evolution
[37] 백과사전 photosynthesis Encyclopædia Britannica 2008-04-09
[38] 논문 Structural and functional organization of galactolipids on thylakoid membrane organization
[39] 논문 Non-vesicular and vesicular lipid trafficking involving plastids
[40] 논문 The three-dimensional network of the thylakoid membranes in plants: quasihelical model of the granum-stroma assembly
[41] 논문 Vipp1 is required for basic thylakoid membrane formation but not for the assembly of thylakoid protein complexes
[42] 논문 Vipp1 deletion mutant of Synechocystis: a connection between bacterial phage shock and thylakoid biogenesis?
[43] 논문 The chloroplast HSP70B-CDJ2-CGE1 chaperones catalyse assembly and disassembly of VIPP1 oligomers in Chlamydomonas
[44] 논문 VIPP1, a nuclear gene of Arabidopsis thaliana essential for thylakoid membrane formation
[45] 논문 Central functions of the lumenal and peripheral thylakoid proteome of Arabidopsis determined by and a sex tool experimentation and genome-wide prediction
[46] 논문 Plastid proteomics
[47] 논문 In-depth analysis of the thylakoid membrane proteome of Arabidopsis thaliana chloroplasts: new proteins, new functions, and a plastid proteome database http://ppdb.tc.corne[...]
[48] 논문 plprot: a comprehensive proteome database for different plastid types http://www.plprot.et[...]
[49] 논문 Proteomics of the chloroplast: systematic identification and targeting analysis of lumenal and peripheral thylakoid proteins
[50] 논문 Protein phosphorylation and redox sensing in chloroplast thylakoids
[51] 논문 Assembly-controlled regulation of chloroplast gene translation
[52] 논문 Chloroplast biogenesis of photosystem II cores involves a series of assembly-controlled steps that regulate translation
[53] 논문 Balancing the two photosystems: photosynthetic electron transfer governs transcription of reaction centre genes in chloroplasts
[54] 서적 The Cyanobacteria: Molecular Biology, Genomics and Evolution http://www.horizonpr[...] Caister Academic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