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나이티오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나이티오스는 기원전 185년경 로도스 섬에서 태어난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로, 스토아 학파의 중추적인 인물이다. 언어학자 크라테스에게서 교육받고 아테네에서 디오게네스, 안티파트로스에게서 철학을 배운 후, 로마로 건너가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 등과 교류하며 스토아 철학을 전파했다. 그는 아테네와 로마를 오가며 활동했으며, 스키피오의 사절단에 동행하기도 했다. 파나이티오스는 스토아 학파의 엄격함을 완화하고 절충주의적인 사상을 펼쳤으며, 특히 윤리학에서 덕을 이론적, 실천적 덕으로 구분하고, 아파테이아 교리를 거부하는 등 독자적인 사상을 전개했다. 그의 저서 『의무론』은 키케로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도스의 철학자 - 포세이도니오스
    포세이도니오스는 다재다능한 고대 그리스 스토아 학파 철학자로, 과학적 관찰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우주와 인간의 삶을 탐구하며 지리학, 천문학, 역사 분야에 기여했고, 로도스 학파를 이루어 폼페이우스, 키케로 등 유명한 로마인들을 제자로 배출했다.
  • 기원전 2세기 철학자 -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
    아테네의 아폴로도로스는 기원전 2세기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문법학자, 신화학자, 역사가이며, 주요 저작으로는 《연대기》, 《신들에 대하여》 등이 있으나 대부분 소실되었다.
  • 기원전 2세기 철학자 - 조조 (전한)
    조조는 전한 시대에 활동하며 흉노 대책 마련, 중농억상 정책 주장, 삭번 정책 주도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했으나 오초칠국의 난으로 처형당한 관료였다.
  • 헬레니즘 시대의 철학자 - 에피쿠로스
    에피쿠로스는 기원전 341년 사모스에서 태어난 고대 그리스 철학자로, 원자론적 유물론에 기반한 자연학과 쾌락을 최고의 선으로 보는 윤리학을 주창하며 쾌락주의 철학의 시조로 여겨지고, 아타락시아를 강조하며 '에피쿠로스의 정원' 공동체를 통해 철학적 삶을 추구했다.
  • 헬레니즘 시대의 철학자 - 키티온의 제논
    키티온 출신의 제논은 스토아 학파 철학을 창시한 철학자로, 아테네에서 다양한 학파의 영향을 받아 금욕주의적 삶과 이성적 판단을 강조하는 자신만의 철학을 정립하고 스토아 학파를 발전시켰다.
파나이티오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나이티오스, 뉘른베르크 연대기에 묘사된 중세 학자 모습
파나이티오스, "뉘른베르크 연대기"에 묘사된 중세 학자 모습
이름파나이티오스
로마자 표기Panaitios
그리스어Παναίτιος
출생기원전 185/180년경
출생지로도스
사망기원전 110/109년
사망지아테네
국적고대 그리스
철학적 배경
분야윤리학
학파스토아 학파
영향말로테스의 크라테스, 바빌론의 디오게네스, 타르수스의 안티파트로스
영향을 줌로도스의 헤카토, 키케로, 포세이도니오스
주요 관심사
주요 관심사윤리학

2. 생애

기원전 185년경 로마 공화정 로도스섬에서 태어난 파나이티오스는 유서 깊고 부유한 가문 출신이었다.[43] 그는 말루스의 크라테스에게서 수학했고,[44] 아테네에서 바빌론의 디오게네스와 타르수스의 안티파트로스에게 가르침을 받았다.[45] 가이우스 라일리우스 사피엔스의 소개로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를 알게 되었고, 폴리비우스와도 친분을 맺었다.[46]

파나이티오스는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와 함께 로마로 건너가 그리스의 스토아 철학을 전파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9] 기원전 129년 스키피오가 사망하자 아테네로 돌아와 스토아 학파의 수장이 되었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11] 그의 제자로는 포세이도니오스가 대표적이다.[13] 파나이티오스는 기원전 110년 또는 기원전 109년경 아테네에서 생을 마감했다.[13]

2. 1. 출생과 초기 교육

기원전 185년 로마 공화정 그리스령 로도스섬에서 니카고라스(Nikagoras)의 아들로 태어났다. 파나이티오스의 조상은 대대로 로도스섬에서 머문 내력을 갖고 있었으며, 가정 환경은 부유했다.[43] 초기 교육은 언어논리학자이자 스토아 철학자인 말로테스의 크라테스 밑에서 받았다.[44] 이후 아테네로 이주하였고 이곳에서 바빌론의 디오게네스와 타르수스의 안티파트로스의 제자로서 두각을 나타냈다.[45]

2. 2. 아테네 유학과 스승들

파나이티오스는 기원전 185년경 로마 공화정 그리스령 로도스섬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43] 그의 조상은 대대로 로도스섬에 거주하였다.[43] 그는 페르가몬에서 언어논리학자이자 스토아 철학자인 말루스의 크라테스에게서 초기 교육을 받았다.[44] 이후 아테네로 이주하여 크리톨라오스와 카르네아데스의 강의를 들었지만, 주로 스토아 학파의 바빌론의 디오게네스와 그의 제자 타르수스의 안티파테르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4]

2. 3. 로마에서의 활동과 스토아 철학 전파

기원전 185년 로마 공화정 그리스령 로도스섬에서 니카고라스(Nikagoras)의 아들로 태어난 파나이티오스는 부유한 가정 환경에서 자랐다.[43] 초기에는 언어논리학자이자 스토아 철학자인 말루스의 크라테스에게서 교육을 받았다.[44] 이후 아테네로 이주하여 바빌론의 디오게네스와 타르수스의 안티파트로스의 제자가 되어 두각을 나타냈다.[45]

가이우스 라일리우스 사피엔스의 소개로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를 알게 되었고, 그의 후원으로 철학 공부에 전념했다.[46] 폴리비우스와도 친분을 맺었다. 파나이티오스와 폴리비우스는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기원전 139년에서 138년에 걸쳐 헬레니즘 동방의 주요 군주와 폴리티에 파견한 로마 사절단에 동행했다.

파나이티오스는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와 함께 로마로 돌아와 스토아 학설과 그리스 철학을 전파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쿠인투스 무키우스 스카에볼라 아우구르와 스토아 학파의 쿠인투스 엘리우스 투베로 등 여러 저명한 로마인들을 제자로 두었다. 기원전 129년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죽은 후, 아테네와 로마를 오가며 주로 아테네에 거주하며 스토아 학파의 수장이 되었다.[11]

2. 4. 아테네 귀환과 스토아 학파 수장

기원전 129년 스키피오 아이밀리아누스가 죽자 파나이티오스는 아테네와 로마를 오가며 주로 아테네에 머물렀다. 그는 타르수스의 안티파테르의 뒤를 이어 스토아 학파의 수장이 되었다.[11] 아테네인들은 그에게 시민권을 제안했지만, 그는 거절하였다. 그의 주요 철학 제자는 포세이도니오스였다. 그는 기원전 110년 또는 기원전 109년경 아테네에서 사망했으며,[13] 이 시기는 웅변가 루키우스 리키니우스 크라수스가 아테네에서 파나이티오스 본인이 아닌 그의 제자 아테네의 므네사르쿠스를 만난 해와 대략 일치한다.

3. 사상

파나이티오스는 중기 스토아 학파의 거두로서, 초기 스토아 학파의 유물론적 교의에서 벗어나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은 새로운 교리를 만들어냈다.[47] 그는 자연학을 논리학보다 우선시했으며,[15] 우주 대화재 학설을 포기하고,[16] 점의 현실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등[18] 기존 스토아 학파의 사상과 차별점을 보였다.

파나이티오스는 혼(Psyche)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고, 아파테이아(Apatheia) 개념을 비판하는 등 독자적인 철학 사상을 전개했다. 또한, 키케로의 저서 『의무에 관하여』를 통해 의무론을 전개하여 도덕성과 유용성의 조화를 강조했으며, 이는 자연법 사상의 초기 형태로 평가받는다.[52]

3. 1. 혼(Psyche)에 대한 재정립

파나이티오스는 중기 스토아 학파의 대표적인 인물로, 기존 스토아 학파의 혼(Psyche) 개념을 재정립하여 철학적 발전을 이끌었다. 초기 스토아 학파는 혼을 로고스(Logos)를 파악하도록 돕는 수동적인 존재로 보았으나, 파나이티오스는 플라톤주의의 영향을 받아 혼의 능동적인 역할을 강조했다.[47]

기존 스토아 학파는 혼을 '로고스를 담는 항아리'에 비유하며, 로고스보다 열등하고 자체적인 내용을 갖지 않는 것으로 여겼다. 이러한 관점에서는 인간의 수동적인 본성은 물질적인 반응일 뿐이며, 혼은 이성적 사유를 가능하게 하는 보조적인 역할에 불과했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인간 스스로가 이성적인 사유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렵게 만들고, 이성적 사유를 위한 수양의 의미를 퇴색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이에 파나이티오스는 결정론 및 유물론적 경향을 벗어나 혼 개념을 세 가지로 나누었다.

  • 개인적인 차원의 혼 (동물의 혼)
  • 로고스가 담겨 있는 혼 (이성의 혼)
  • 모든 것에 깃들어 인간이 신에게 다가갈 수 있게 하는 원인으로서의 혼


파나이티오스는 정념적인 것도 개인 차원의 혼을 거친 결과물로 보았으며,[48][49] 혼이 정념과 이성적 사유 모두에 관여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념 추구에도 이성적 사유의 연결 고리가 있으며, 이성적 사유 역시 혼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정념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고 보았다.[50] 따라서 파나이티오스는 정념으로부터의 완전한 해방을 의미하는 아파테이아(Apatheia) 개념을 부정했다.[51]

파나이티오스의 이러한 주장은 인간의 모든 행동이 이성적 사유와 연결될 수 있으며, 그 자체로 정념으로부터 구원받을 수 있다는 실천적인 철학으로 이어졌다. 또한, 이는 기존 스토아 학파의 엄격한 금욕주의를 완화하는 논리로 작용하기도 했다. 그는 절충주의적인 스토아 철학 이론을 통해 신플라톤주의자들에게 플라톤주의자로 여겨지기도 했다.[14]

3. 2. 아파테이아(Apatheia) 비판과 정념의 인정

파나이티오스는 기존 스토아 학파의 금욕주의적 이상인 아파테이아(Apatheia) 개념을 비판했다. 초기 스토아 학파는 정념(passion)을 이성(logos)에 반하는 것으로 여겨 완전히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보았으나, 파나이티오스는 인간 본성에 정념이 깊이 뿌리박혀 있어 이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51]

그는 혼(psyche)을 개인적인 차원의 혼(동물의 혼), 로고스가 담겨 있는 혼(이성의 혼), 모든 것에 깃들어 인간이 신에게 다가갈 수 있게 하는 원인으로서의 혼으로 나누었다. 이를 통해 정념 역시 개인 차원의 혼이 매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았다.[48][49]

나아가 파나이티오스는 정념 추구에도 이성적 사유로 연결될 수 있는 희미한 연결 고리가 있다고 보았다. 반대로 이성적 사유 역시 혼을 매개로 하기에, 정념의 영향을 완전히 벗어날 수 없다고 주장했다.[50] 즉, 정념과 이성은 완전히 분리된 것이 아니라 상호 연결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인간이 어떤 행동을 하더라도 이성적 사유와 연결될 가능성을 내포하며, 그 자체로 정념으로부터 구원받을 수 있다는 실천적 함의를 지닌다. 동시에 스토아 학파의 엄격한 금욕주의를 완화하는 논리로 작용했다. 그는 아파테이아 교리를 거부하고,[24] 대신 특정한 쾌적한 감각이 피시스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25]

3. 3. 의무론(On Duties)

파나이티오스는 『의무에 관하여』(Peri tou Kathikodos)라는 저서를 통해 의무론을 전개했다.[52] 그는 백성에게 의무를 부과하기 위해서는 그 의무가 도덕적으로 옳은 것임이 증명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의무를 세우기 위한 세 가지 과정은 다음과 같다.[52]

단계설명
첫 번째도덕적인 것과 비도덕적인 것에 대한 근본적인 분석
두 번째어떠한 행동이 사회적으로 유용한지, 유용하지 않은지를 조사
세 번째유용성과 도덕성의 합치 여부 판단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덕성과 유용성이 합치된다면, 이것은 백성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의무가 될 수 있다.[52] 이러한 의무와 형이상학적 본질과의 연결은 자연법 사상의 시초로 볼 수 있다.

파나이티오스는 윤리학에서 을 이론적 덕과 실천적 덕의 두 가지로만 구분했다.[15][19] 그는 삶의 궁극적인 목표를 자연적인 충동에 더 가깝게 만들려고 시도했다.[20] 또한, 카르네아데스의 비판에 대한 답변으로, 적절한 삶과 건강이 없다면 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했다.[22] 그는 아파테이아 교리를 거부하고, 특정한 쾌적한 감각이 피시스에 부합한다고 주장했다.[24][25]

파나이티오스의 주요 저작은 세 권으로 구성된 ''On Duties''(Περί του Καθήκοντοςel '페리 투 카데콘토스'(고전) 또는 '페리 투 카디코도스'(현대))이다. 이 책에서 그는 무엇이 도덕적인지, 유용한지를 탐구하고, 도덕적인 것과 유용한 것 사이의 갈등을 해결하려 했다. 그는 세 번째 책에서 이 갈등에 대한 해결을 약속했지만 실행하지 못했고,[27] 그의 제자 포세이도니우스가 불완전하게 보충했다.[28]

키케로는 파나이티오스를 모방하여 ''On Duties''를 썼으며, 파나이티오스가 다루지 않은 부분을 독자적으로 완성했다고 밝혔다.[30]

3. 4. 기타 저작

파나이티오스는 『유쾌함에 관하여』,[38] 『집정관에 관하여』,[39] 『섭리에 관하여』,[40] 『점술에 관하여』,[18] 키케로가 그의 『국가론』에서 사용한 정치 논문, 퀸투스 아엘리우스 투베로에게 보낸 편지를 저술했다.[41] 또한, 그의 저서 『철학 학파에 관하여』는 사실과 비판적인 언급이 풍부했던 것으로 보이며, 소크라테스에 관한 언급과 파나이티오스의 권위에 따른 플라톤 및 소크라테스 학파의 다른 저서에 대한 내용은 아마도 그 저작에서 가져온 것일 것이다.

4. 영향

파나이티오스는 로마 철학에서 스토아 학파의 기초를 다지는 데 큰 영향을 주었다.[42] 그의 사상은 키케로의 저서 『의무론』에 영향을 주었다.[42]

참조

[1] 웹사이트 Panaetius (c. 185–c. 110 BC) –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www.rep.rout[...] 2021-07-24
[2] 문서 Suda, ''Panaitios''; Strabo, xiv 2.13 – 655 ed. Casaubon, includes Panaetius' ancestors (''hoi progonoi'') among the most memorable Rhodian commanders and athletes
[3] 문서 Strabo, xiv 5.16 – 676 ed. Casaubon
[4] 문서 Suda ''Panaitios''; Cicero, ''de Divinatione'', i. 3
[5] 문서 "[[P. E. Easterling]], [[Bernard Knox]], (1989), ''The Cambridge History of Classical Literature: Part 3'', p. 196.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서적 The Hellenistic Stoa: political thought and action. Bristol Classical Press
[7] 문서 Cicero, ''de Finibus'', ii. 8
[8] 문서 Suda, ''Panaitios'', comp. ''Polybios''
[9] 문서 Cicero, ''de Finibus'', iv. 9, ''[[de Officiis]]'', i. 26, ''de Amicitia'', 27, comp. ''pro Murena'', 31, Velleius i.13.3
[10] 문서 Cicero ''de Re Publica'' vi. 11, A. E. Astin, ''Classical Philology'' 54 (1959), 221–27, and ''Scipio Aemilianus'' (Ox., 1967), 127, 138, 177
[11] 문서 Cicero, ''de Divinatione'', i. 3
[12] 문서 Suda, ''Panaitios''
[13] 문서 Cicero, ''de Oratore'', i. 11
[14] 문서 Proclus, ''in Plat. Tim.''
[15] 문서 "{{harvnb|Laërtius|1925b|loc=§ 41}}"
[16] 문서 Cicero, ''De Natura Deorum'', ii. 46, comp. 142; Stobaeus, Ecl. Phys. i.
[17] 문서 Nemes. ''de Nat. Hom.'' c. 15; Tertull. ''de Anima'', c. 14
[18] 문서 Cicero, ''de Divinatione'', i. 3, ii. 42, 47, ''Academica'', ii. 33, comp. Epiphanius, ''adv. Haeres.'' ii. 9
[19] 문서 Aristotle, ''Nicomachean Ethics, VI.''
[20] 문서 Clement of Alexandria, ''Stromata'', ii.
[21] 문서 Stobaeus, ''Ecl. Eth.'' ii.
[22] 서적 A Companion to Greek and Roman Sexualities John Wiley & Sons 2013
[23] 문서 Plutarch, ''Demosthenes''
[24] 문서 Aulus Gellius, xii. 5
[25] 문서 Sextus Empiricus, ''adv. Math.'' xi. 73
[26] 문서 Seneca, ''Epistles'', 116. 5
[27] 문서 Cicero, ''ad Atticum'', xvi. 11, ''de Officiis'', iii. 2, 3, comp. i. 3, iii. 7, ii. 25
[28] 문서 Cicero, ''[[de Officiis]]'', iii. 2
[29] 문서 Cicero, ''de Officiis'', ii. 17, iii. 2, i. 2, ''ad Atticum'', xvi. 11
[30] 문서 Cicero, ''de Officiis'', iii. 7
[31] 문서 Cicero, ''de Officiis'', i. 2
[32] 문서 Cicero, ''de Officiis'', i. 3, comp. ii. 25
[33] 문서 Cicero, ''de Officiis'', ii. 5
[34] 문서 Cicero, ''de Officiis'', ii. 24, 25
[35] 문서 Cicero, ''de Officiis'', ii. 10
[36] 서적 de Finibus
[37] 서적 Aulus Gellius, xiii. 27
[38] 서적 Peri Euthumias 1925
[39] 서적 de Legibus
[40] 서적 ad Atticum
[41] 서적 De Finibus
[42] 웹사이트 パナイティオスとは https://kotobank.jp/[...] 第2版,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 2021-01-21
[43] 서적 Panaitios
[44] 서적 Strabo, xiv 5.16 = 676 ed.Casaubon
[45] 서적 Panaitios
[46] 서적 de Re Publica
[47] 서적 in Plat. Tim
[48] 서적 2014
[49] 서적 De Natura Deorum
[50] 서적 Ecl. Eth
[51] 서적 Aulus Gellius, xii. 5
[52] 서적 ad Atticu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